KR101541323B1 -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 Google Patents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323B1
KR101541323B1 KR1020140050451A KR20140050451A KR101541323B1 KR 101541323 B1 KR101541323 B1 KR 101541323B1 KR 1020140050451 A KR1020140050451 A KR 1020140050451A KR 20140050451 A KR20140050451 A KR 20140050451A KR 101541323 B1 KR101541323 B1 KR 10154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ard
layer
thin film
c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정연진
윤정훈
조혜원
Original Assignee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40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2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information-bearing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에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산출할 수 있는 금속 박막처리된 플라스틱카드(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의 외주면(40)의 표면에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박막층(110)은 상기 외주면(40)의 표면 일부만 차지하고 있고, 상기 외주면(40)의 표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플라스틱 노출층(120)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체화되어진다.

Description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Plastic Card with Metalic Film}
본 발명은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카드에 있어서, 그 플라스틱 카드의 사각형 외주면을 따라서 금속 박막을 형성한 것으로서, 카드회사에서 다수의 카드를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쉽게 측정할 수 있고, 외형적으로 고급화 경향을 반영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신용사회의 발달과 함께 급속한 디지털 정보 교환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용카드들이 시중에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신용카드는 주로 은행 등의 금융권에서 계좌주에게 발급하고 있는 은행카드, 신용카드회사에서 회원에게 제공되는 신용카드,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발급하는 학생증,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발급하는 사원증, 업체에서 고객에게 발급되는 회원카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 카드가 발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가 일반 사회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고, 많은 경쟁회사들이 출현하게 되면서, 플라스틱 카드의 기능을 고급화시키고, 플라스틱 카드의 외형을 고급화시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카드의 고급화는 고기능성 카드를 중심으로 하여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플라스틱 카드는 본질적으로 소지자의 개인정보를 내장하고 금융거래 등을 행하는 점에서 서로 동일한 것이므로, 기능성 중심의 고급화 경향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플라스틱 카드의 차별화는 이러한 점에서 필연적으로 플라스틱 카드 전면과 후면을 중심으로 하여 고급화 경향을 띠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형태의 플라스틱 카드는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고, 지금도 수많은 카드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카드 중에서,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을 따라서 금속색의 띠를 형성하여 고급카드로서 출시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성공적인 사례로서 밝혀진 것이 없다. 그 이유는 금속색을 카드의 외부면(즉, 측면)에 입힐 경우, 플라스틱 카드의 갯수를 카운트할 수 없게 된다는 현실적이고 근본적인 한계에 당면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에 금장색을 입힌 카드는 그 외형이 매우 깔끔하고 선명한 인상을 주게 되므로, 모두 선호하는 카드 중의 하나이다. 플라스틱 카드의 발급회사에서는 한 종류의 특정한 카드 제품을 출시하고자 할 경우, 적게는 수천 장을 발행하게 되고, 많게는 수만 장 내지 수십만 장의 카드를 발행하게 된다. 이때, 발급되는 카드 한 장 한 장에는 서로 다른 정보들이 들어갈 수 있고, 그 정보는 그 고객의 개인정보에 관한 것이므로, 카드의 발급 과정에서는 한 장의 카드라도 외부에 유출되어서는 안되고, 엄격한 통제하에 수많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적게는 수천 장, 많게는 수만 장 내지 수십만 장의 카드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셀 수는 없으므로, 대략 200장 내지 300장 정도를 한 묶음으로 하여 세워놓고, 그 묶음 카드들의 위에 카드리더기를 올려놓고, 주욱 그어서 드래그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드리더기가 플라스틱 카드의 절단된 표면과, 그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자동으로 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플라스틱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카운트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b 참조)
그런데, 상기 플라스틱 카드의 절단된 외주면에 금속 재질의 박막을 입혀놓게 될 경우에는, 플라스틱 카드의 금속 박막과 그에 바로 인접한 다른 플라스틱 카드의 금속 박막이 서로 밀접하게 붙어 있어서, 상기 카드리더기가 상기 금속 박막과 그에 인접한 금속 박막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에러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숫자상의 에러는 카드 발급회사에게는 치명적인 발급 불가의 사유를 제공하게 된다. 이것은 오늘날 가장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개인정보의 유출에 관한 위험성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카드의 발급과정에서 수많은 단계들을 거치면서, 각 단계마다 입고 당시의 카드 숫자와 출고 당시의 카드 숫자가 완전히 일치되어야 하는 것인데, 이러한 카드의 숫자를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없게 된다면, 이는 카드의 발급과정에서 어느 단계에서 카드가 분실되었거나 외부로 누출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카드의 누출로 인하여 개인정보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결국, 카드의 발급단계에서 카드의 숫자를 정확하게 카운트하지 못할 경우, 카드 발급과정에서 발생된 개인정보의 유출 현상을 통제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위험부담을 떠 안으면서까지 카드의 외주면에 금속색의 장식을 요청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카드의 외주면에 금속색으로 처리한 플라스틱 카드는 그 외형적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급 카드로서 사용될 수 없는 근본적인 단점을 안고 있는 것이라고 하겠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105696호 "도금장식된 플라스틱 카드 및 그 제조방법" (2009. 10. 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160239호 "귀금속 카드" (1999. 8. 1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 카드의 사각형 외주면을 따라서 금속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카드회사에서 다수의 카드를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 고급화 경향을 반영할 수 있는, 금속 박막으로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의 표면에 금속 색상의 박막 필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색상의 박막 필름은 그 일부가 금속 색상 이외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금속 색상의 박막 필름를 이루고 있는 층에서, 그 일부를 이루고 있는 금속 색상의 이외의 재질은 상기 금속 색상의 박막 필름이 형성되어 있는 바탕의 플라스틱 층을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층의 가공하여 형성된 절단 부위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금속 색상의 박막 필름의 일부를 포함하여 그 모서리 부분을 직각 형으로 절단하거나, 그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형으로 절단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는 그의 외주면이 금, 은, 동과 같은 금속색의 박막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매우 고급화된 이미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는 그 외주면에 금속 색상 이외의 재질을 일부 포함하고 있으므로, 카드 발급회사에서 플라스틱 카드들을 카드리더기로 읽어서 그 수량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종래와 같이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정확하게 그 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는 카드 발급회사에서 정확하게 입고되는 카드와 출고되는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금속 박막 처리된 카드를 실생활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특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의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상태 사시도와, 그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확대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의 일단면도 및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를 하나의 카드뭉치로 형성한 경우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카드의 외주면에 금속 색상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를 카드뭉치로 하여 카드리더기로 스캔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의 구체적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그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에 단일 색상의 색상 띠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에 2개 이상의 복수의 색상 띠를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5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시트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적으로 그 중심을 이루고 있는 코아층(10)과 그 양쪽에 있는 상면 인쇄층(20)과 하면 인쇄층(30)과, 상기 상면 인쇄층을 보호하는 상면 오버레이층(25)과 상기 하면 인쇄층을 보호하는 하면 오버레이층(3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수의 층들을 고온에서 가압하여 하나의 시트층으로 만들고, 상기 시트층을 톰슨기와 같은 플라스틱 절단기로 가압하여 절단함으로써,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제원을 가진 사각형상의 플라스틱 카드(50)를 한꺼번에 일괄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플라스틱 카드(50)는 톰슨기와 같은 플라스틱 절단기로 가압하여 절단할 때, 한쪽 면에서 고압으로 프레스 압박하여 절단하게 되므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이 한쪽 방향에서 다른쪽 방향으로 미세하게 밀려서 휘어지는 경향을 띠게 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플라스틱 절단기의 절단방향을 나타내고, 절단날에 의해 플라스틱카드의 외주면이 미세하게 한쪽 방향으로 밀려서 휘어지는 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약간씩 한쪽 방향으로 휘어진 외주면(40)은, 카드발급회사에서 카드의 수량을 카운트하기 위해, 카드를 수백장씩 한 묶음 단위로 모아서 세로방향으로 세워놓을 때, 서로 인접한 외주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42)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카드리더기(도시되지 않음)를 상기 한 묶음을 이루고 있는 카드뭉치 위에서 드래그하게 되면, 카드리더기는 카드의 외주면(40)과 틈새(42)의 차이를 인식하게되고, 이를 통하여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에 금속색의 박막 필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산출할 수 있는 금속 박막처리된 플라스틱카드(100)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카드에 있어서, 그의 외주면에 금속색의 박막 필름을 형성한 카드가 통상적인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제대로 감지되지 못하여 정확하게 그 수량을 산출할 수 없는 이유는 상기 외주면에 형성된 금속색의 박막 필름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이러한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통상의 플라스틱 카드(50)를 취하여, 그의 외주면(40)에 금속색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주면(40)을 평탄하게 해주어야 한다. 상기 외주면(40)이 평탄하지 않으면, 그 외주면의 표면에 금속색의 박막 시트(70)를 위치시키고 고온으로 가압할 때, 상기 금속색의 박막 시트(70)가 제대로 부착되지 못하고, 외부의 환경조건에 따라 쉽게 외주면 표면에서 떨어져나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3a와 같이, 다수의 플라스틱 카드(50)를 한 묶음으로 하여 바이스와 같은 기계장치로 고정시킨다. 상기 플라스틱 카드(50)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절삭하거나 스크랩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카드(50)의 한쪽 방향으로 휘어진 부분이 제거되어진다. 도면에서는 제거되어지는 부분을 파선으로 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기 틈새(42)를 형성하는 부분이 사라지게 되고, 새롭게 형성된 외주면(40)은 평탄하게 조정되어진다.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을 평탄하게 작업을 완성하였다면, 도 3b와 같이, 그 외주면(40)에 형성하고자 하는 금속색 박막 시트(70)를 올려놓고, 가접착상태를 만든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금속색 박막 시트(70)의 안쪽 부위에 접착제를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가접착된 상기 금속색 박막 시트(70) 위에서 고온하에서 가압함으로써,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의 표면에 얇은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는 방법은, 위에서 소개된 고온 압착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금속색상의 이온금속을 이용하여 증착시켜 형성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도금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그 이외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색 박막 시트(70)가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에 형성되어지면, 상기 금속색 박막 시트는 일련의 한 장의 시트와 같은 모습을 이루게 되므로, 그 상태에서는 한 장의 금속색 박막 시트(70)가 입혀진 한 묶음의 카드뭉치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색이라 함은 금속 색상을 나타내는 얇은 막의 금속 재질의 색을 의미하며, 금색, 은색, 동색, 크롬색 등과 같은 금속 색상으로 표현되는 것을 말한다. 금속색은 통상적인 칼라시트와 인쇄시트에 비하여 훨씬 고급스런 이미지를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낱장으로서 외주면(40)에 금속색 박막이 형성된 카드를 완성하기 위해, 상기 한 묶음의 카드뭉치를 들어서 약간 비스듬한 상태로 바닥에 내려서 충격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충격에 의하여, 상기 금속색 박막 시트(70)가 카드와 카드 사이에서 미세한 균열을 일으키고, 도 3c와 같이, 카드와 카드 사이에서 찢어지는 형태로 분리되어지고, 각각의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의 전체에 걸쳐서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되어진다.
그런데, 상기 외주면(40)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된 플라스틱 카드를 제품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수백장 정도씩을 한 묶음으로 하여서 카드리더기로 카운트하고자 할 경우,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의 외주면에 금속 박막층(110)이 매우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서로 밀착되어 있으며, 더구나 종래와 같은 틈새(42)를 찾아볼 수도 없다. 또한, 상기 금속 박막층(110)은 그 표면이 매우 매끄러워서 모든 빛(전파)을 거의 그대로 반사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금속 박막층(110)을 가지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는 상기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산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에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카드리더기에 의하여, 그 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산출할 수 있는 금속 박막처리된 플라스틱카드(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의 외주면(40)의 표면에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금속 박막층(110)은 상기 외주면(40)의 표면 일부만 차지하고 있고, 상기 외주면(40)의 표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질이 그대로 외부로 드러나 있는 플라스틱 노출층(120)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라스틱카드의 외주면(40)의 표면에 금속 박막층(110)으로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재질의 금속 박막층(110)에 의하여 통상의 카드리더기가 그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없으므로, 상기 금속 박막층(110)과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통상의 카드리더기가 정확하게 플라스틱 카드의 수량을 감지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카드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되어 있는 바탕의 플라스틱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한 이후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에 해당하는 일부의 부분에 대해서만 정밀한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밀링하거나 절삭 처리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플라스틱 층의 재질이 외부로 드러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상태에서 카드리더기를 사용하여 카드뭉치의 수많은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카드뭉치의 위에서 카드리더기를 드래그 할 경우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들의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틈새(112)가 존재하게 되므로, 인간의 육안으로는 식별하기 어려울지라도, 상기 카드리더기가 그 카드 묶음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카드들을 하나씩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전체적인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이루고 있는 층에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직각 형으로 절단한 직각형 절단 부위(122)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각형은 완전한 90도 각도를 의미하는 직각뿐만 아니라, 약간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절단면을 가지고 형성된 직각 형태의 모습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상태에서 카드리더기를 사용하여 그 한묶음을 형성한 카드들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역시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카드뭉치의 위에서 카드리더기를 드래그 할 경우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들의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틈새(114)가 존재하게 되므로, 역시 상기 카드리더기가 위와 동일한 원리로 전체적인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이루고 있는 층에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경사진 형으로 절단한 경사형 절단 부위(124)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진 형태는 완만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급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진 형태가 완만하게 형성되거나 급격하게 형성될 경우에도, 상기 금속 박막층(110)과는 다른 재질인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상태에서 카드리더기를 사용하여 그 한묶음을 형성한 카드들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역시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카드뭉치의 위에서 카드리더기를 드래그 할 경우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들의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틈새(116)가 존재하게 되므로, 역시 상기 카드리더기가 위와 동일한 원리로 전체적인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이루고 있는 층에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라운드 형의 곡선형으로 만든 라운드형 절단 부위(126)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라운드 형의 곡선 형태는 완만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급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라운드 형의 곡선 형태가 완만하게 형성되거나 급격하게 형성될 경우에도, 상기 금속 박막층(110)과는 다른 재질인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상태에서 카드리더기를 사용하여 그 한묶음을 형성한 카드들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역시 수백장을 한 묶음으로 한 카드뭉치의 위에서 카드리더기를 드래그 할 경우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들의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틈새(118)가 존재하게 되므로, 역시 상기 카드리더기가 위와 동일한 원리로 전체적인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d는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예를 사시도 및 그 확대도의 모습으로 도시하여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이 카드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빙둘러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주면의 일부에 대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카드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를 반복하여 기재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카드의 외주면(40)에 빙둘러 형성하면서, 그와 동시에, 카드의 상면 또는 카드의 배면에서 볼 때 카드의 외주면을 따라 색상 띠(1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상기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을 직각형 절단 부위(122)로 형성한 경우에, 상기 직각형 절단 부위(122)에서 색상 띠(130)가 외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달성되어진다. 상기 색상 띠(130)는 플라스틱 카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색상 시트가 외부로 노출된 것인데, 상기 직각형 절단 부위(12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그 위에 합지되어 있던 상면층이 제거됨으로서 외부로 드러난 것이다. 상기 색상 시트는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장의 시트를 합지하는 과정에서 삽입되어진다.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여러 장의 시트를 합지하는 공정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각형 절단 부위(122)는 플라스틱 카드의 상면(102) 또는 배면(104)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이고, 그와 동시에 상기 금속 박막층(110)의 층에서도 직각 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것이므로, 절단되어 외부로 드러난 절단면은 플라스틱 카드의 상면(102) 또는 플라스틱 카드의 배면(104)과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플라스틱 카드(100)의 직각형 절단 부위(12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절단기계(예컨대, NC 가공절단기)를 정밀 조정하여, 그 절단면이 상기 플라스틱의 합지 과정에서 삽입된 상기 색상 시트의 표면에 해당하도록 정밀가공하게 되면, 상기 색상 시트가 외주로 드러나게 되면서 색상 띠(13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색상 띠(130)는 상기 플라스틱 카드(100)의 외주면을 따라 가는 띠 형상으로 보여지게 되는데, 육안으로 볼 때 약간의 입체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플라스틱 카드의 외부로 노출되는 색상 띠(13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단일 색으로 형성되거나, 2 이상의 복수의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색상 띠(130)는 플라스티 시트의 합지과정에서 상기 색상 시트를 단일 색으로 삽입시키거나, 또는 2 이상의 복수 색상 시트를 삽입시켜서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단일 색상의 시트를 삽입시킨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2개의 서로 다른 색상의 시트를 삽입시킨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단일 색상의 시트를 삽입시킨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카드(100)는 그 측면에서 살펴볼 때, 외주면에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있고, 그 상면 또는 배면에서 살펴볼 때, 그 외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일색의 가는 띠를 형성한 것으로 관찰되어진다.
한편, 2 이상의 복수의 색상 시트를 삽입시켜서 가공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라스틱 카드(100)는 그 측면에서 볼 때, 외주면에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있고, 그 상면 또는 배면에서 볼 때, 그 외주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색상을 가진 제 1의 색상 띠(132)와 그에 인접한 다른 색상의 제 2의 색상 띠(134)를 형성한 것으로 관찰되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플라스틱 카드를 제조하게 될 경우,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에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금속 박막층(11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매우 고급스런 느낌을 선사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카드의 수량을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치명적인 단점을 일거에 해소한 기술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
110 : 금속 박막층, 112, 114, 116, 118 : 틈새,
120 : 플라스틱 노출층, 122 : 직각형 절단 부위,
124 : 경사형 절단 부위, 126 : 라운드형 절단 부위,
130 : 색상 띠, 132 : 제 1 색상 띠,
134 : 제 2 색상 띠,

Claims (8)

  1. 플라스틱 시트를 합지하여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에 있어서,
    플라스틱 카드의 외주면(40)의 표면에는 금속 박막층(110)과 플라스틱 노출층(120)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을 절단하여 제거하고, 플라스틱 카드를 이루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을 외부로 드러내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금속 박막층(110)과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서로 인접하여 교대로 정렬된 상태에서 틈새를 형성하게 되고,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를 카운트할 경우, 상기 틈새를 통하여 카운트리더기로 하여금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들의 수량을 카운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금속 박막층(110)이 형성되어 있는 바탕의 플라스틱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직각형으로 절단한 직각형 절단 부위(122)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경사진 형으로 절단한 경사형 절단 부위(124)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노출층(120)은 상기 플라스틱 층을 라운드형의 곡선형으로 만든 라운드형 절단 부위(126)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층(110)이 카드의 외주면(40)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각형 절단 부위(122)에서는 플라스틱 시트의 합지과정에서 삽입된 색상 시트에 의해 색상 띠(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 박막 처리된 플라스틱 카드(100).
  7. 삭제
  8. 삭제
KR1020140050451A 2014-04-28 2014-04-28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KR10154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51A KR101541323B1 (ko) 2014-04-28 2014-04-28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51A KR101541323B1 (ko) 2014-04-28 2014-04-28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323B1 true KR101541323B1 (ko) 2015-08-04

Family

ID=5388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51A KR101541323B1 (ko) 2014-04-28 2014-04-28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798A (ko) 2017-03-16 2018-10-01 (주)바이오스마트 금속 카드와 금속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식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30Y1 (ko) * 2000-08-01 2001-01-15 김영규 제본식 앨범대지의 마감구조
KR101377414B1 (ko) * 2013-08-12 2014-03-26 코나씨 주식회사 이색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30Y1 (ko) * 2000-08-01 2001-01-15 김영규 제본식 앨범대지의 마감구조
KR101377414B1 (ko) * 2013-08-12 2014-03-26 코나씨 주식회사 이색 플라스틱카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798A (ko) 2017-03-16 2018-10-01 (주)바이오스마트 금속 카드와 금속카드의 제조 방법 및 그 식별방법
KR102032121B1 (ko) * 2017-03-16 2019-10-15 (주)바이오스마트 금속카드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8949Y2 (ja) カ−ド
EP2461307A2 (en) Identification label, method of manufacturing identification label, and method of checking identification label
US20090315321A1 (en) Data storage card having a lenticular image fea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806391B1 (ko) 다중 복합구조를 갖는 위조방지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07579A (ko) 길다란 유가증권 요소를 구비한 유가 증권 기판
EP2977935B1 (en) Identification medium, code information reading method, code information reading device, identification medium manufacturing method, and identification medium manufacturing device
JP2012256021A (ja) 体積型ホログラ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回折光の波長スペクトラムの偏移方法
JP2018192108A (ja) 検査システム及び遊技用代用貨幣
GB1604463A (en) Security devices
US9889698B2 (en) Secure laminate with security feature on the edge
GB1595981A (en) Multilayer record card
KR20130051862A (ko) 금속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1323B1 (ko) 금속 박막을 처리한 카드
KR101343625B1 (ko) 카드 표면에 무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카드
JPH10258596A (ja) 貴金属入り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63050B2 (en) Wood inlay car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6191329B2 (ja) 台紙一体型カード
JP4428559B2 (ja) 光回折構造による隠しパターンを内包する表示体
RU145714U1 (ru) Карта пластиковая с зональным стерео/варио эффектом
JP2015032076A (ja) 台紙一体型カード
JP2017087503A (ja) 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243424A (zh) 特征识别防伪标识及其制备方法
KR101750082B1 (ko) 프라스틱 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1971A (ko) 글리터 플라스틱 카드 및 제조방법
EP2817159A2 (en) Double sided printable partially transparent and/or translucent base card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ase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