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943B1 -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943B1
KR101540943B1 KR1020130153369A KR20130153369A KR101540943B1 KR 101540943 B1 KR101540943 B1 KR 101540943B1 KR 1020130153369 A KR1020130153369 A KR 1020130153369A KR 20130153369 A KR20130153369 A KR 20130153369A KR 101540943 B1 KR101540943 B1 KR 10154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s
dropout
generator
server
gener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650A (ko
Inventor
이종주
김석주
서상수
문영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9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 H02H7/06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generators; for synchronous capacitors for parallel connect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36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 H02J13/0004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switches, relays or circuit breakers involved in a protection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using protection elements, arrangements or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SPS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은,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SPS(Special Protection System) 단말장치; 발전기와 SPS 단말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SPS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SPS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SPS 단말장치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발전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SP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PS Op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SPS 운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을 실제의 전력계통시스템에 적용할 때에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실행하는 SPS(Special Protection System)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시스템은 발전기, 여자기를 비롯한 다양한 기기와 제어기들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잡하게 연결되어 운용되고 있다. 만일 발전기 모선이나 선로에 심각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일부 지역의 발전기들은 과도불안정 상태에 놓이게 되며, 지역 전체 발전기가 정지되거나 광역정전으로 고장이 파급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력시스템에서는 지역의 그룹 발전기의 탈락을 예방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발전력을 탈락시켜 나머지 발전기가 정지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을 전력계통의 고장파급방지 또는 광역정전방지 시스템(SPS: Special Protection System)이라고 한다(이하에서는, 고장파급방지 시스템 또는 SPS라고 한다). 즉,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은 발전기들을 안정시켜 계통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으며, 과도불안정시 발전기들을 안정시켜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사회전반에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전력시스템에도 디지털 장비들의 설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네트워크의 발달로 전력시스템에서 실측데이터로부터 전력시스템의 해석과 운용 정보를 얻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장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시각동기위상측정장치(PMU: Phase Measurement Unit)는 세계 각 국과 중전기기 회사들이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디지털계전기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각동기화 하는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은 PMU와 같은 장치들을 이용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실제 전력계통의 데이터를 평가한 뒤 처리하는 방법이나 과도안정도를 분석하는 방법 등의 과거 및 현재 이력 정보들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원리적이고 이론적인 방법에 그치고 있으며, 이러한 이론적이고 원리적인 방법들을 이용하는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을 실제의 전력계통시스템에 적용할 때에 어떻게 체계적으로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운영시스템의 구성 및 그 제어에 대한 처리방안이 모호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을 실제의 전력계통시스템에 적용할 때에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실행하는 SPS(Special Protection System)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은,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SPS(Special Protection System) 단말장치; 발전기와 SPS 단말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SPS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SPS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SPS 단말장치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발전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SPS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SPS 운영시스템은,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PS 서버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SPS 클라이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S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를 감시 및 제어한다.
또한,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경우, 각각의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발전기 정지(Trip)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한다.
또한, 제어기는, 각각의 SPS 단말장치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SPS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WAMAC: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SPS 단말장치가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단계; 제어기가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SPS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SPS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및 SPS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SPS 단말장치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발전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어방법은, SPS 클라이언트가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PS 서버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S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를 감시 및 제어한다.
또한,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각각의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발전기 정지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한다.
또한, 제어기는, 각각의 SPS 단말장치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SPS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SPS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게 되며, SPS 시스템의 운영상의 예외 처리를 할 수 있고, 멀티 쓰레드 방식을 이용한 빠른 병렬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브로드 캐스팅 및 시각동기화 처리방법을 이용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가 가능해지며, SPS 시스템 운영상의 오류 및 오동작 요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SPS 운영시스템의 SPS 단말장치의 운영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SPS 서버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PS 운영시스템은 SPS 단말장치(100), 제어기(200), SPS 서버(300) 및 SPS 클라이언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200)는 발전기(10)와 SPS 단말장치(100)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SPS 단말장치(100), SPS 서버(300) 및 SPS 클라이언트(4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SPS 단말장치(100)는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킨다. 즉, SPS 단말장치(100)의 주요기능은 탈락(Arming)발전기와 추가 탈락(Backup-Arming)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고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해당 발전기(10)를 절차에 따라서 탈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PS 단말장치(100)는 대상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발전기 운전여부, 동작, 정지, 사고, 발전량 등을 감시)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발전소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한 원격지 SPS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하여 SPS 서버(300)의 요청 정보를 전송하거나, SPS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탈락(Arming)발전기와 추가 탈락(Backup-Arming)발전기 설정을 실행한다.
제어기(200)는 발전기(10)의 상태를 감시하여 그 상태정보를 SPS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 SPS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발전기(10)의 상태를 제어한다.
SPS 서버(3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SPS 단말장치(100)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발전기(10)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한다. 즉, SPS 서버(300)는 내부 또는 외부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지(발전소)에 위치한 SPS 단말장치(100)의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 설정 전송하거나 대상 발전기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SPS 서버(3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WAMAC: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30)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WAMAC 또는 EMS 서버의 정지, 통신 불량, 서비스 지연, 수신 데이터 불량 등의 오류가 발생할 경우 최근 갱신된 데이터를 재사용한다.
또한, SPS 서버(300)는 기 선정된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 설정값을 보유한다. 이는 외부의 서버(WAMAC 또는 EMS 서버)(30)나 데이터가 없이도 독립적으로 수행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SPS 서버(300)는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 SPS 클라이언트(400)에게 서버가 보유한 동일한 감시 및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SPS 클라이언트(400)는 SPS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PS 서버(300)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SPS 클라이언트(400)는 SPS 서버(300)의 접근이 어렵거나 고장, 불능 등의 오류 발생시 제어권을 넘겨 받아 SPS 서버(3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SPS 운영시스템의 SPS 단말장치의 운영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SPS 단말장치들(101, 111, 102, 112)은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11, 12)에 대한 탈락/추가 탈락을 감시 및 제어한다. 즉, SPS 단말장치의 고장, 부동작, 오류 등의 이상 현상에 대비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구성하여 발전기의 탈락/추가 탈락을 감시 및 제어한다. 도 2에서는 총 4개의 SPS 단말장치(101, 111, 102, 112)로 구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SPS 단말장치(100)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복수 개의 SPS 단말장치는 필요한 경우 대상 제어 발전기가 동일한 장치들 간의 통신 기능을 부여하여 상호 간의 건전성을 상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각각의 SPS 단말장치(100)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SPS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통신 장치와 연결되어 예기치 않은 통신 불량, 불능, 고장 등의 대비하여 상위의 SPS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도 2에서는 2개의 통신 장치(103, 113)로 구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발전기(10)는 최소 2개 이상의 SPS 단말 장치(100)로부터 감시 및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발전기가 4개의 SPS 단말 장치와 연결된 예를 나타내었다.
제어기(200)는, 발전기 정지(Trip)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한다.
또한, 제어기(200)는, 각각의 SPS 단말장치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SPS 단말장치(101, 111, 102, 112)로 구성된 경우,
(1) 4대 또는 모든 SPS 단말장치(101, 111, 102, 112)가 정상일 때,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또는 비 정지
(2) 3대의 SPS 단말 장치가 정상이고 1대의 SPS 단말 장치가 비정상일 때, 또는 정상인 SPS 단말 장치의 개수가 비정상 SPS 단말 장치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
- 비정상 SPS 단말장치의 (추가)탈락 발진기 개수 제외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또는 비 정지
(3) 2대의 SPS 단말 장치가 정상이고 2대의 SPS 단말 장치가 비정상일 때, 또는 정상인 SPS 단말 장치의 개수와 비정상 SPS 단말 장치의 개수가 같은 경우,
- 비정상 SPS 단말장치의 (추가)탈락 발진기 개수 제외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또는 비 정지
(4) 1대의 SPS 단말 장치가 정상이고 3대의 SPS 단말 장치가 비정상인 경우, 또는 정상인 SPS 단말 장치의 개수가 비정상 SPS 단말 장치의 개수보다 작은 경우,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추가)탈락 또는 정지
- (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발전기 개수 = 비(추가)탈락 또는 비 정지
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SPS 단말장치(100)가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단계(S110); 제어기(200)가 발전기(10)의 상태를 감시하여 SPS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고, SPS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120); 및 SPS 서버(300)가 네트워크를 통해 SPS 단말장치(100)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발전기(10)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또한, SPS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SPS 클라이언트(400)가 SPS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SPS 서버(300)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PS 단말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10)를 감시 및 제어한다. 또한, SPS 단말장치(100)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1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각각의 SPS 단말장치(100)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SPS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200)는, 발전기 정지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한다.
또한, 제어기(200)는, 각각의 SPS 단말장치(100)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SPS 서버(30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서버(300)는 외부 자료 취득을 위한 WAMAC 또는 EMS 서버(30), 발전소와 같은 원격지에 위치한 SPS 단말장치(100) 감시 및 제어, 그리고 SPS 클라이언트(400) 통신을 위한 데이터 처리 등의 3 가지 주요 테스크를 병렬 처리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SPS 서버(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가지 주요 테스크를 병렬 구조로 실행할 수 있다.
먼저, 실시간 온라인(On-line) 전력계통 데이터 수신 및 처리를 살펴보면,
이 과정의 주요기능으로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데이터 수집, 분석 후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실시간 과도안정도를 평가한 뒤 탈락발전기 선정 값을 정한다. 이때, WAMAC 또는 EMS 서버 접속 단계(S401)와 통신 상태(ACK/NACK) 문의 단계(S402)는 SPS 서버 구동 이후 지속적으로(loop type) 접속 대상 서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후 단계 S403에서 실시간 온라인 전력 계통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 및 데이터를 검증하고(단계 S404), 통신 오류나 이상 발생시, 사용자가 지정한 회수만큼 재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지정회수 설정은 대상 서버의 불능이나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예외 사항 발생시 SPS 서버 단독으로 고정된 탈락발전기 선정 값을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상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분석하고(단계 S405) 상기 데이터가 정상이거나 건전한 값이 경우 해당 정보를 활용하여 SPS 서버는 과도안정도평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단계 S406). 과도안정도평가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해당 결과인 "계산된 탈락발전기 선정 값"을 사용하여 탈락발전기 선정 값 갱신을 수행한다(단계 S407, S409 및 S410). 단, 과도안정도평가 프로그" 실행 및 결과가 불능이거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예외 사항 발생시 SPS 서버는 "고정된 탈락발전기 선정 값"을 사용하여 탈락발전기 선정 값 갱신을 수행한다(단계 S407, S408 및 S410).
이후 탈락발전기 설정 방식을 판단하여(단계 S411) 탈락 발전기 설정 방식이 자동인 경우, 사용자(관리자)의 개입이나 조작없이 탈락발전기 선정값 갱신 정보를 SPS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413).
탈락발전기 설정 방식이 수동인 경우, 사용자(관리자)가 탈락발전기 선정값을 직접 SPS 단말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412).
탈락발전기 설정방식이 자동인 경우와 수동인 경우 모두 전송한 값의 성공여부와 SPS 단말장치(100)의 갱신된 값을 확인 및 검증하여 오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한다(단계 S414).
다음에, SPS 단말 장치 감시 및 제어처리를 살펴본다.
이 과정의 주요기능으로 원격지에 위치한 SPS 단말장치에 접속하여(단계 S420), 현재 발전기의 상태와 설정값을 감시 및 제어한다(단계 S421, S422, S423).
이때, SPS 단말장치 통신접속 단계(단계 S420)와 통신상태(ACK/NACK)문의 단계(단계 S421)는 SPS 서버 구동 이후 지속적으로(loop type) 접속 대상 단말장치의 통신 상태를 확인한다. 이 경우, 통신 오류나 이상 발생시 사용자가 지정한 회수만큼 재접속을 시도한다.
지정회수만큼 재접속을 시도한 후에도 통신이 응답이 없는 경우와 같이 대상 단말 장치가 불능인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단말 장치 통신 회복(복구)가 가능한지 판단하여(단계 S430), SPS 서버는회복 불능인 경우와 같은 예외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사용자(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후 각각의 SPS 단말 장치로부터 각 발전기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S422) 통신 데이터를 검증하여(단계 S423)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수집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요 데이터의 일치 및 무결성을 검사한다(단계 S424). 만일 데이터의 불일치 또는 오류가 발생된 경우 비정상(통신 불능, 고장, 정지 등) 단말 장치의 정보를 제외하고 처리한다(단계 S425 및 S426). 단말 장치 수신정보의 불일치 처리는 다수결을 원칙으로 하며, 1:1 상황에서는 발전기 기동상태가 운전중으로 인지하는 단말 장치의 정보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또한 순시적으로 변동이 있는 계측값의 경우 가장 최근 수신된 정보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데이터의 오류를 정정한다.
각각의 SPS 단말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처리가 완료되면, WAMAC 또는 EMS 서버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데이터와의 비교를 수행한다(단계 S426). 만일 데이터의 정보가 서로 불일치하다면, WAMAC 또는 EMS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우선순위를 두도록 표시한다(단계 S427 및 S428).
전술한 모든 절차에서 오류, 고장, 이상 또는 불일치와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모든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발생시간과 함께 기록하여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SPS 클라이언트 접속 처리과정을 살펴본다.
이 과정의 주요기능으로 SPS 클라이언트 접속 요청시 서버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거나, 제어권 변경시 이를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어권을 넘겨준다.
먼저 SPS 클라이언트 접속요청 대기 단계(단계 S440)와 통신상태(ACK/NACK) 문의 단계(단계 S441)는 SPS 서버 구동 이후 지속적으로(loop type) 접속 대상 SPS 클라이언트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클라이언트의 통신 요청이 없을 경우에도 항시 요청을 받을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클라이언트와 통신 중 오류나 문제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 지정회수 만큼 재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초과한 경우 사용자(관리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SPS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정상상태 시 제어권이 없이 지속적으로 클라이언트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순 감시기능만을 수행한다(단계 S443 및 단계 S442). 하지만 사용자(관리자)가 원할 경우, SPS 서버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권을 넘겨받아 감시 및 제어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S 단말장치의 설정값 갱신은 SPS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설정값으로 복수 개의 SPS 단말장치(100)에 대한 동시 설정값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 GPS 장치의 시각정보를 이용하거나, 제어기(200)와 연계된 별도의 동기화 입출력 장치 또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SPS(Special Protection System) 단말장치;
    발전기와 상기 SPS 단말장치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SPS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SPS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SPS 단말장치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SPS 서버; 및
    상기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SPS 서버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SPS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S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발전기 정지(Trip)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상기 SPS 단말장치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PS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WAMAC: Wide Area Monitoring And Control)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EMS:Energy Management System)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PS 운영 시스템.
  9. SPS 운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SPS 단말장치가 탈락발전기와 추가 탈락발전기의 상태를 설정하며, 전력계통에 이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해당 발전기를 탈락시키는 단계;
    제어기가 상기 발전기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SPS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SPS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발전기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SPS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SPS 단말장치와 통신하며, 탈락발전기 및 추가 탈락발전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고,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및
    SPS 클라이언트가 상기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SPS 서버가 보유하는 감시 및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PS 단말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발전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복수로 구성되며, 대상 발전기가 동일한 SPS 단말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SPS 단말장치는,
    둘 이상의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SPS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발전기 정지 제어를 실행할 경우에 '탈락 또는 정지', '추가 탈락 또는 정지', 및 '비탈락, 비추가 탈락 또는 비정지'의 순서에 따라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각각의 상기 SPS 단말장치에 설정된 탈락과 추가 탈락의 설정값이 다르거나 발전기 정지신호의 출력이 다를 경우, 정상인 SPS 단말장치의 수와, 탈락 및 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와 비탈락 및 비추가 탈락 발전기 개수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SPS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광역감시 제어시스템 또는 에너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온라인 전력계통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20130153369A 2013-12-10 2013-12-10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69A KR101540943B1 (ko) 2013-12-10 2013-12-10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369A KR101540943B1 (ko) 2013-12-10 2013-12-10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50A KR20150067650A (ko) 2015-06-18
KR101540943B1 true KR101540943B1 (ko) 2015-08-03

Family

ID=5351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369A KR101540943B1 (ko) 2013-12-10 2013-12-10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9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8463B (zh) * 2017-07-21 2021-12-10 国网浙江省电力公司 一种任务分解及并行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678A (ja) 2000-06-07 2001-12-21 Hitachi Ltd 電力系統安定化装置
KR100872273B1 (ko) * 2007-03-23 2008-12-05 박은희 전력시스템에서 시각동기 된 측정신호를 이용한 실시간과도안정도 판별과 고장파급방지법
KR101197576B1 (ko) * 2011-08-17 2012-11-06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계통에서 실시간 측정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지능형 고장파급방지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2678A (ja) 2000-06-07 2001-12-21 Hitachi Ltd 電力系統安定化装置
KR100872273B1 (ko) * 2007-03-23 2008-12-05 박은희 전력시스템에서 시각동기 된 측정신호를 이용한 실시간과도안정도 판별과 고장파급방지법
KR101197576B1 (ko) * 2011-08-17 2012-11-06 한국전기연구원 전력계통에서 실시간 측정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지능형 고장파급방지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650A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0544B (zh) 一种数据库系统的进程监控方法及轨道交通综合监控系统
US6651190B1 (en) Independent remote computer maintenance device
US93378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main board and standby board
JP2013130901A (ja) 監視サーバおよ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機器復旧システム
CN107147540A (zh) 高可用性系统中的故障处理方法和故障处理集群
CN103607297A (zh) 一种计算机集群系统的故障处理方法
CN104717077B (zh) 一种管理数据中心的方法、装置及系统
JP2008191878A (ja) 遠隔診断・障害対応システム、遠隔診断・障害対応装置、遠隔診断・障害対応指示装置、遠隔診断・障害対応方法、及び遠隔診断・障害対応プログラム
KR20110084674A (ko) 이더넷 기반 전력기기의 통신오류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062184B (zh) 双机应急救援设备、故障切换方法和救援系统
US200601148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of same, supervisory apparatus, signal carrying supervisory program, and signal carrying maintenance management program
CN114690618A (zh) 飞控计算机备份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40943B1 (ko) Sps 운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4050493A1 (ja) 予備系装置、運用系装置、冗長構成システム、及び負荷分散方法
US20180120828A1 (en) Integrated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integrated monitoring control system
CN105553735B (zh) 一种堆叠系统故障处理方法、设备及堆叠系统
JP4879823B2 (ja) 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750673B1 (ko) 리던던트 시스템 및 통신 유닛
CN101958925A (zh) 一种控制远程设备的方法以及装置
CN115549751A (zh) 遥感卫星地面站监控系统和方法
CN106656437A (zh) 冗余热备平台
KR101552785B1 (ko)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자동 복구 방법 및 시스템
JP5029697B2 (ja) 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のサーバシステム
JP2008204113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CN100413261C (zh) 数据恢复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