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411B1 -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411B1
KR101540411B1 KR1020130131092A KR20130131092A KR101540411B1 KR 101540411 B1 KR101540411 B1 KR 101540411B1 KR 1020130131092 A KR1020130131092 A KR 1020130131092A KR 20130131092 A KR20130131092 A KR 20130131092A KR 101540411 B1 KR101540411 B1 KR 10154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pace
wall
heating element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912A (ko
Inventor
전유헌
이건화
Original Assignee
전유헌
이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유헌, 이건화 filed Critical 전유헌
Priority to KR1020130131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4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2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수조의 물을 무화기로 무화시켜 나노물입자를 발생시키는 무화부; 통과하는 나노물입자를 간접 가열하는 발열체 및, 발열체를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발진기가 구비된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마이크로파 발진기로 발열체를 초고온으로 가열시키고, 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로 나노물입자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단시간에 실내 공기층이 고르게 가열되므로 난방시간이 단축되고, 가열된 발열체의 축열기능이 오래도록 유지되므로 기기 운전에 필요한 전기에너지 비용이 감소되므로 난방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Hybrid hot air heat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of}
본 발명은 열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입자의 물분자를 전기마이크로파로 간접 가열하여 고온으로 운동에너지를 갖는 포화증기를 발생하도록 된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기는 건물, 공장 또는 비닐 하우스 등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열풍기로는 전열방식 및 연소가열방식이 있다. 여기서, 전열방식은 내장된 히터나 열선에 전기를 가하고, 흡입된 기체를 비교적 높은 온도로 상승시킨 다음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소가열방식은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높은 온도의 열을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분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열풍기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57771호에는 연료탱크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실의 내부가 버너에 의해 고열로 가열되고, 고열의 내부공기가 외부공기와 혼합하여 적정 온도로 낮아진 열풍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렇게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 자연 환경의 오염이 증가하는 한편, 난방이 요구되는 공간이 넓은 경우, 열풍기와의 거리에 따라 그 온도차가 심하기 때문에 난방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여러 대의 열풍기를 설치해야 하고, 이는 곧 설치비용 및 연료비용이 증가하는 등 사용자에게 많은 부담이 전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0557771 10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미립자로 무화된 나노물입자를 무화관으로 통과시키고, 나노물입자를 마이크로파 발진기의 의해 가열된 발열체의 간접열로 고온 가열하여 토출시킴으로써, 운동에너지로 열을 보유한 고온의 나노물입자가 넓은 공간에 단시간에 확산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는, 수조의 물을 무화기로 무화시켜 나노물입자를 발생시키는 무화부; 통과하는 나노물입자를 간접 가열하는 발열체 및, 발열체를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발진기가 구비된 가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열부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면서 마이크로파 발진기가 장착된 제1내벽과 제2내벽, 하우징과 제1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제1내벽의 내측온도와 하우징의 외측온도 간의 차를 완충시키는 제1공간, 제1내벽과 제2내벽 사이에 형성되어 제2내벽의 열이 제1내벽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완충시키는 제2공간, 제2내벽과 발열체 사이에 형성되어 발열체에서 방출된 고열을 갇아놓기 위한 제3공간, 발열체의 내부에 형성된는 제4공간 및, 제4공간의 내부에 배치된 무화관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무화기는 초음파진동기 또는 안개분무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2내벽에서 발열체측 내면에는 발열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발열체측으로 재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내벽은 발열체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다시 발열체측으로 재반사하기 위해 평면상 다각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공간에 단열을 위한 충전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는 발열체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제4공간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온도에 따라 마이크로파 발진기와 무화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온도의 나노물입자가 배출되도록 한 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는 가열부에서 배출된 나노물입자가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송풍관 및, 가열된 나노물입자와 혼합하도록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팬이 구비된 송풍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무화관의 일단부는 나노물입자가 유입되도록 수조와 통하게 배치되고, 타단부는 송풍관으로 고온의 나노물입자가 유입되도록 송풍관의 내부와 통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열부는 발열체의 내부이면서 무화관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되고, 무화관에서 배출된 나노물입자를 송풍관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열부에는 제2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제2공간과 통하도록 일단부가 설치되고, 무화관의 송풍팬측 단부의 상측으로 제2공간의 공기가 유동하도록 타단부가 배치된 온풍관; 및 제2공간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공급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의 작동방법은, 마이크로파 발진기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로 발열체를 가열하는 제10단계(S10); 무화기로 물을 무화시켜 나노물입자를 발생시키는 제11단계(S11); 나노물입자를 발열체의 열로 간접 가열시키는 제12단계(S12); 가열된 나노물입자에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적정 온도로 저하된 나노물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3단계(S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2단계(S12)에서 나노물입자는 발열체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무화관을 유동하면서 발열체의 열로 간접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미립자로 무화시킨 후 고온의 나노물입자로 전환시킴으로써, 종래의 열에너지를 갖는 증기와는 달리 운동에너지의 열에너지를 가지고, 나노입자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고온의 운동에너지로 인해 실내 공간이 단시간에 고루 따뜻해질 수 있고, 고온의 나노물입자에 포함된 원적외선 및 음이온에 의해 살균 및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을 고온의 나노물입자로 토출하면 이를 송풍기를 사용하여 토출 거리가 길어지며, 풍량이 증가하면서 뛰어난 가습효과가 있고, 실내 공기와의 열교환이 활발히 진행되어 난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파 발진기로 발열체를 단시간에 초고온으로 가열시키고, 이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로 나노물입자를 간접 가열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단시간에 실내 공기층이 고르게 가열되므로 난방시간이 단축되고, 가열된 발열체의 축열기능으로 장시간 발열체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 비용이 감소되므로 난방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열풍기의 작동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열풍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나노입자로 무화시키는 무화부(100)와, 무화된 나노물입자를 가열시키는 가열부(200)와,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나노물입자를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부(300) 및 제어반(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화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나노입자로 무화시켜 가열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부위로, 물을 저장하는 수조(110)와, 수조(110)의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기(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조(110)는 물을 보관하는 곳으로, 이 수조(110)는 외부로부터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물의 수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내장된다. 이 수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수위에 따라 제어반(400)에 의해 외부에서 물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수조(110)는 무화기(120)에 의해 무화된 나노물입자가 후술된 무화관(25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다.
또한, 무화기(120)는 수조(110)의 물을 나노입자로 무화시키는 기기로, 통상의 초음파발생기 또는 안개분무노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가열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화부(100)에서 유입된 나노물입자를 가열시키기 위한 부위로, 하우징(210), 하우징(210)에 내장된 제1내벽(220), 제2내벽(220a), 이 제1내벽(220) 및 제2내벽(220a)에 고정된 마이크로파 발진기(230),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체(240), 발열체(24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무화관(250) 및 제어반(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210)은 내장된 제1내벽(220) 및 마이크로파 발진기(2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210)과 제1내벽(220) 사이에는 밀폐된 제1공간(260)이 형성되고, 이 제1공간(260)은 제1내벽(220)과 외부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발열체(240)에 의해 가열된 제2공간(270)의 내부공기가 제1내벽(220)과 접촉하는 외부공기에 의해 식혀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제1내벽(220) 및 제2내벽(220a)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제1,2내벽(220,220a)에 다수의 마이크로파 발진기(230)가 설치된다. 이 제1,2내벽(220,220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다각을 이루는 형태이고, 마이크로파 발진기(230)가 설치되며, 발열체(240)의 고열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질로 제작된다. 여기서, 제1내벽(220)은 제2내벽(220a)과 동일한 다각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일 수도 있다.
또한, 제1내벽(220)과 제2내벽(220a) 사이에는 제2공간(270)이 형성되고, 이 제2공간(270)은 발열체(240)에 의해 가열된 제2내벽(220a)의 열이 제1내벽(220)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간이다. 여기서, 제2공간(27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측 일부위가 개방되어 공급팬(271)이 설치되고, 이 공급팬(271)이 외부공기를 주입하여 단열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2공간(270)의 상측 일부위가 개방되어 온풍관(272)가 설치되고, 이 온풍관(272)을 통해 제2공간(270)에서 가열된 공기가 송풍관(310)으로 배출된다. 이때, 송풍관(310)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배출관(251)의 상측을 유동하면서 양력차를 이용하여 배출관(251)을 통해 유동하는 나노물입자를 원활히 상승시켜 송풍관(31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공간(270)은 공급팬(271)과 온풍관(272)이 설치된 부위를 제외한 부위는 밀폐된다. 그리고, 제2내벽(220a)의 발열체(240)측 내면에는 반사판(221)이 장착된다. 이 반사판(221)은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에서 발생되어 발열체(240)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발열체(240)로 재반사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제2내벽(220a)과 발열체(240)와의 사이에 밀폐된 제3공간(280)이 형성된다. 이 제3공간(280)은 발열체(240)의 고열이 외부로 최대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발열체(240)의 외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반사판(221)이 재반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3공간(280)에는 단열을 위한 충전재(미도시)가 충전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는 충전재를 통과하여 반사 및 재반사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내벽(220a)의 다각형태와 반사판(221) 및 제3공간(280)은 발열체(240)로부터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재반사하기 위한 것으로, 반사판(221)을 이용한 마이크로파의 재반사가 발열체(240)를 향하는 최적의 각과 공간을 갖도록 한다. 이를 위해, 경우에 따라 제2내벽(220a)의 다각형태는 4각형, 6각형 및 그 이상의 다각형을 이룰 수 있고, 반사판(221)은 마이크로파를 반사하는데 최적의 재질을 사용하며, 제3공간(280)은 제2내벽(220a)과 발열체(240) 사이를 좁거나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파 발진기(230)는 제1,2내벽(220,220a)을 관통하여 다수 설치되고, 발생시킨 마이크로파가 발열체(240)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는 짧은 시간에 발열체(240)를 수 백℃ 내지 수 천℃까지 가열시킨다.
또한, 발열체(240)는 제2내벽(220a)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 발열체(240)는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수 백℃ 내지 수 천℃의 초고온으로 가열되고, 그 가열된 열을 내부에 위치한 무화관(250)에 전달하는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발열체(240)는 초고온으로 가열되고, 한 번 가열되면 그 열을 오랫동안 지속하여 간직할 수 있는 축열기능을 갖는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발열체(24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41)가 설치되고, 이 온도센서(241)는 발열체(240)의 가열된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제어반(400)에 전송하면 제어반(400)에서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의 가동을 제어하여 발열체(240)의 가열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무화관(250)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발열체(240) 내부의 밀폐된 제4공간(290)에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되고, 수조(110)에서 무화된 나노물입자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무화관(250)은 발열체(240)의 내부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고, 발열체(240)에 배출관(251)이 내장되면서 이 배출관(251)에 지지되어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무화관(250)의 일단부는 수조(110)와 통하고, 타단부는 발열체(240)를 통과하여 송풍관(310)의 내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무화관(250)은 직선형태의 관(管)일 수도 있고, 통과하는 나노물입자의 가열이 용이하도록 일부위가 구불구불한 형태의 관일 수도 있다. 또한, 무화관(250)은 발열체(240)의 열에 의해 가열되고, 이 가열된 열을 다시 나노물입자로 전달할 수 있는 열전도성이 매우 뛰어난 구리관 및 세라믹 등 또는, 다른 용이한 재질의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조(110)에서 무화된 나노물입자가 이와 같은 무화관(250)을 통과하면서 발열체(240)의 고열에 의해 가열된다.
한편, 송풍부(300)는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나노물입자의 온도를 낮춰 외부로 토출시키기 부위로, 송풍관(310) 및 송풍팬(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송풍관(310)은 무화관(250)에서 배출되는 나노물입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재이다. 이 송풍관(310)에는 가열된 나노물입자가 유입될 수 있도록 무화관(25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송풍팬(320)은 송풍관(310)에 유입된 고온의 나노물입자의 온도를 저하시키면서 풍량을 늘리기 위해 송풍관(310)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어반(400)은 무화기(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나노물입자의 발생량을 제어하고, 온도센서(241)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발열체(240)의 온도에 따라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의 작동을 제어하고, 무화관(250)에서 배출되는 가열된 나노물입자의 배출량에 따라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송풍팬(320)의 작동을 제어한다.
<방법>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열풍기의 작동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마이크로파로 발열체(240)를 가열한다(S10). 마이크로파 발진기(230)를 작동하여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고, 이 마이크로파로 발열체(240)를 가열한다. 여기서, 마이크로파는 발열체(240)에 흡수되어 발열체(240)를 가열시키기도 하고, 발열체(240)의 외표면에서 반사되어 튕겨나오기도 한다. 이때, 튕겨나온 마이크로파는 제1내벽(220)의 반사판(221)에 의해 다시 발열체(240)로 재반사된다. 또한, 발열체(240)의 내부온도를 측정하고, 원하는 온도로 상승될 때까지 발열체(240)를 가열한다.
다음으로, 물을 나노입자로 무화시킨다(S11). 발열체(240)가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하여 가열되면, 초음파발생기 또는 안개분무노즐 등을 포함한 무화기(120)가 작동하여 수조(110)의 물을 나노입자로 무화시킨다.
다음으로, 나노물입자를 발열체(240)의 열로 간접 가열시킨다(S12). 수조(110)의 물이 무화된 나노물입자가 수조(110)와 연결된 다수의 무화관(250)으로 유입되고, 이 무화관(250)을 감싸도록 배치된 발열체(240)의 열에 의해 무화관(250) 및 나노물입자가 고온으로 가열된다.
다음으로, 외부공기와 고온의 나노물입자를 혼합하여 적정온도로 낮추어 외부로 토출한다(S13). 이때, 제2공간(270)의 가열된 공기가 온풍관(272)을 통해 무화관(250)의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양력 차를 유발하여 무화관(250)의 고온의 나노물입자가 송풍관(310)으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무화관(250)에서 송풍관(310)으로 유입된 고온의 나노물입자의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낮추기 위해 외부공기와 혼합시키기 위해 송풍팬(320)을 가동시켜 외부공기를 송풍관(310)으로 강제로 유입시킨다. 이때, 외부공기의 강제 유입량을 조절하거나, 발열체(240)의 온도를 조절하여 가열되는 나노물입자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로 토출되는 나노물입자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무화부
110:수조
120:무화기
200:가열부
210:하우징
220:제1내벽
220a:제2내벽
221:반사판
230:마이크로파 발진기
240:발열체
241:온도센서
250:무화관
251:배출관
260:제1공간
270:제2공간
271:공급팬
272:온풍관
280:제3공간
290:제4공간
300:송풍부
310:송풍관
320:송풍팬.

Claims (12)

  1. 수조(110)의 물을 무화기(120)로 무화시켜 나노물입자를 발생시키는 무화부(100);
    통과하는 상기 나노물입자를 간접 가열하는 발열체(240) 및, 상기 발열체(240)를 가열하는 마이크로파 발진기(230)가 구비된 가열부(200);를 구비하되,
    상기 가열부(200)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발진기(230)가 장착된 제1내벽(220)과 제2내벽(220a), 상기 하우징(210)과 상기 제1내벽(2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벽(220)의 내측온도와 상기 하우징(210)의 외측온도 간의 차를 완충시키는 제1공간(260), 상기 제1내벽(220)과 제2내벽(220a) 사이에 형성되어 제2내벽(220a)의 열이 제1내벽(220)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완충시키는 제2공간(270), 상기 제2내벽(220a)과 발열체(24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240)에서 방출된 고열을 갇아놓기 위한 제3공간(280), 상기 발열체(240)의 내부에 형성된 제4공간(290) 및, 상기 제4공간(290)의 내부에 배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무화관(2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화기(120)는 초음파진동기 또는 안개분무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하이브리드 열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벽(220a)에서 상기 발열체(240)측 내면에는 상기 발열체(240)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상기 발열체(240)측으로 재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221)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벽(220a)은 상기 발열체(240)에서 반사된 마이크로파를 다시 발열체(240)측으로 재반사하기 위해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간(280)에 단열을 위한 충전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240)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도록 제4공간(290)에 설치된 온도센서(241); 및
    상기 온도센서(241)에서 감지한 온도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와 무화기(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온도의 나노물입자가 배출되도록 한 제어반(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0)에서 배출된 상기 나노물입자가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송풍관(310) 및, 가열된 상기 나노물입자와 혼합하도록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팬(320)이 구비된 송풍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관(250)의 일단부는 상기 나노물입자가 유입되도록 상기 수조(110)와 통하게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송풍관(310)으로 상기 나노물입자가 유입되도록 상기 송풍관(310)의 내부와 통하도록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0)는 상기 발열체(240)의 내부이면서 상기 무화관(250)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지지되고, 상기 무화관(250)에서 배출된 상기 나노물입자를 상기 송풍관(31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설치된 배출관(2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0)에는 상기 제2공간(270)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제2공간(270)과 통하도록 일단부가 설치되고, 상기 무화관(250)의 송풍팬(320)측 단부의 상측으로 상기 제2공간(270)의 공기가 유동하도록 타단부가 배치된 온풍관(272); 및
    상기 제2공간(270)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도록 설치된 공급팬(27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이브리드 열풍기를 작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파 발진기(230)에서 발생한 마이크로파로 발열체(240)를 가열하는 제10단계(S10);
    무화기(120)로 물을 무화시켜 나노물입자를 발생시키는 제11단계(S11);
    상기 나노물입자를 상기 발열체(240)의 열로 간접 가열시키는 제12단계(S12);
    가열된 상기 나노물입자에 외부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나노물입자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제13단계(S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의 작동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단계(S12)에서 상기 나노물입자는 상기 발열체(24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무화관(250)을 유동하면서 상기 발열체(240)의 열로 간접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열풍기의 작동방법.
KR1020130131092A 2013-10-31 2013-10-31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54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92A KR101540411B1 (ko) 2013-10-31 2013-10-31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92A KR101540411B1 (ko) 2013-10-31 2013-10-31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12A KR20150049912A (ko) 2015-05-08
KR101540411B1 true KR101540411B1 (ko) 2015-08-06

Family

ID=5338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092A KR101540411B1 (ko) 2013-10-31 2013-10-31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4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469A (zh) * 2018-09-10 2018-12-25 芜湖旭能自动化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高效能热水供应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56B1 (ko) * 2017-11-09 2020-02-12 주식회사 미로 미세물방울을 이용한 가습난방기용 히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469A (zh) * 2018-09-10 2018-12-25 芜湖旭能自动化设备设计有限公司 一种高效能热水供应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12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9024B2 (ja) ジェットキャビティ触媒加熱装置
CN103732280A (zh) 气溶胶吸引器
KR101540411B1 (ko) 하이브리드 열풍기 및 이의 작동방법
CN105091328A (zh) 一种热电燃油暖风机
KR100990855B1 (ko) 근적외선 건조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5025A (ko) 다기능성 나노물분자의 발생장치 및 나노물분자의 발생방법
CN102102885B (zh) 一种循环反射电暖器
CN205245311U (zh) 一种电暖风机
KR10123556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열풍기
KR100729569B1 (ko) 전기 온풍기
JP2002537537A (ja) 輻射バーナースクリーン
KR100657548B1 (ko) 수소를 열원으로 하는 보일러 시스템
KR200352827Y1 (ko) 산업용 열풍기
JP2010127575A (ja) 熱発生装置、温風ボイラー装置、温水ボイラー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ー装置
KR102426311B1 (ko) 열풍 에너지를 복사파 에너지로 변환하는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복사파 조사 장치
KR101245516B1 (ko) 중공 히트파이프 튜브를 이용한 이동식 열풍기
KR200307716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밀폐형 전기난방장치
CN105202510A (zh) 一种定量生成蒸汽的系统及方法
KR100963306B1 (ko) 산업용 열풍기
KR20160032427A (ko) 전기식 온풍장치
JPH05299170A (ja) 誘電発熱体を用いた熱風燃焼装置
CN217489361U (zh) 雾化装置及具有它的护理装置
KR102322681B1 (ko) 가습 난방기
CN202290507U (zh) 一种辐射烘干室底部喷流加热装置
CN103423827B (zh) 一种直热型两步式空气高焓加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