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91B1 -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91B1
KR101540091B1 KR1020080105470A KR20080105470A KR101540091B1 KR 101540091 B1 KR101540091 B1 KR 101540091B1 KR 1020080105470 A KR1020080105470 A KR 1020080105470A KR 20080105470 A KR20080105470 A KR 20080105470A KR 101540091 B1 KR101540091 B1 KR 101540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terminal
external
cas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572A (ko
Inventor
김정하
김현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단자에 대해 별도의 커버나 기구적인 방수 구조물을 적용하지 않으며, 휴대단말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 방수, 홀 이펙트 소자, 스위치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Mobile terminal and craddl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 및 데이터 단자에 대해 별도의 방수 커버나, 기구적인 방수 구조물을 적용하지 않고도 방수 기능을 구현하는 휴대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형태와 용도가 다양화되면서 생활방수가 가능한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가 제안되고 있으며, 현재,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는 워치형 휴대단말기가 제안되고 있다.
워치형 휴대단말기는 시계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따라서, 워치형 휴대단말기는 그 부피가 통상의 휴대단말기에 비해 더욱 적고, 디스플레이부 또한 그 크기가 매우작다. 이러한 형태의 휴대단말기에 방수 기능을 적용하고자 할 때, 가장 큰 문제는 워치형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단자가 물에 의해 쇼트될 위험성이 상존한다는 것이다.
외부단자를 물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커버를 워치형 휴 대단말기에 적용하거나, 기구적인 방수구조를 적용할 경우, 손목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극복하기 어렵고,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을 경우, 휴대단말기 내부의 전자회로가 실장되는 면적, 또는 배터리의 용적을 감소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구적인 방수구조물은 언젠가는 노후화하여 방수 기능이 상실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방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에 따라 노후화하는 기구적인 방수구조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단말기에 방수 기능을 구현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며, 충전, 및 데이터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마련되는 외부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단자, 및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 사이에 마련되며, 외부 자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스위칭부에 의해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단말기용 크래들에 있어서, 본체, 상기 휴대단말기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형성되는 삽입 홈, 상기 삽입 홈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 측에 마련되는 자성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방수 기능을 위해 휴대단말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별도의 방수 커버나 방수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 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 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 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 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3)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칭부(175)는 인터페이스부(170)와 제어부(180) 사이에 마련되며, 외부 자계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부(170)와 제어부(180) 사이를 온-오프 스위칭한다.
스위칭부(17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가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할 경우 적용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단자와 제어부(180) 측 내부 단자 사이를 온-오프 스위칭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별도의 방수 실(seal)을 장착하지 않고도 외부의 물, 또는 습기에 의해 외부 단자간 쇼트를 방지한다.
여기서, 외부 자계는 휴대단말기(100)를 충전하거나 휴대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크래들(미 도시)에 장착되며, 스위칭부(175)는 크래들에 장착될 때, 인터페이스부(170)와 제어부(180)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한다. 따라 서, 휴대단말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 단자 사이가 습기나 물에 의해 쇼트된다 하더라도 스위칭부(175)가 스위칭-오프 상태일 때는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단말기들 중에서 손목에 장착하며, 방수 기능을 필요로 하는 워치 폰 타입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워치 폰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크래들에 대한 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케이스(100A), 케이스(100A)에서 노출되는 카메라(121), 스피커(123), 디스플레이부(151), 조그 휠(130), 및 장착 밴드(106)를 구비한다. 케이스(100A)의 일 측은 크래들(200)과 결합 가능하며, 크래들(200)과 결합할 때, 크래들(200)을 통해 충전 전원을 인가받거나, 크래들(200)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미 도시)와 접속할 수 있다.
케이스(100A)의 측면에는 조그 휠(130)이 장착된다. 조그 휠(130)은 A 방향으로 돌리거나, 또는 A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만일, 조그 휠(130)이 B 방향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받을 때, 조그 휠(130)은 사용자가 선택한 메뉴를 구동할 수 있다.
워치 폰 타입의 휴대단말기(100)는 통상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하므로 별도의 키를 부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스크린에 동일 참조부여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서, 크래들(200)은 케이블(210), 및 커넥터(220)를 구비하며, 커넥터(220)가 충전기와 연결될때, 크래들(200)은 전원충전장치로서 기능하고, 커넥터가 컴퓨터와 연결될때는 크래들(200)이 데이터전송을 위한 장치로 기능한다.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케이스(100A)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로 구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방수를 위해 고무 실링이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는 외부 충격, 및 방수를 위해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마그네슘, 및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또는 금속 재질에 대한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00A-2)의 일 측에는 휴대단말기(100)와 크래들(200)을 접속하기 위한 외부 단자(171)가 노출된다. 외부 단자(171)는 전원접속, 또는 데이터 접속을 위해 마련되며,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성되는 핀(PIN)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단자(171)에 포함되는 핀은 금속 접점을 리어 케이스(100A-2) 외부로 노출하는 노출형, 또는 리어 케이스(100A-2)의 내부에 함몰되는 삽입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 단자(171)는 휴대단말기(100)가 수중에 침수될 때, 전기적으로는 쇼트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외부 단자(171)를 리어 케이스(100A-2)의 외부로 노출하며, 물이나 습기에 의해 외부 단자(171)를 구성하는 핀(PIN) 들이 쇼트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단자(171)를 별도로 방수 처리하지 않는다. 외부 단자를 별도로 방수처리 하기 위해서는 외부 단자를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 커버, 및 방수 커버가 닫힐 때, 물이나 습기가 방수 커버 내부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는 구조물을 필요로 하나, 이 경우, 외부 단자(171)의 방수를 위한 구조물과 방수 커버가 휴대단말 기(100)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단점을 일으킨다. 더욱이, 워치 폰과 같이 사용자의 몸에 부착하는 휴대단말기(100)는 그 크기가 통상의 휴대단말기에 비해 더욱 작게 형성되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만일, 외부 단자(171)가 여러 개이고, 각기 분산되어 있다면, 휴대단말기(100A-2)의 부피는 더욱 증가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방수를 위해 방수 커버로 외부 단자(171)를 밀폐하는 대신, 외부 단자(171)를 리어 케이스(100A-2)의 외부로 노출하여 방수 문제를 해결한다.
한편, 도 3은 외부 단자(171)가 리어 케이스(100A-2)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외부 단자(171)는 프론트 케이스(100A-1)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며,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가 결합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단자(171)는 장착 밴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단, 외부 단자(171)가 장착 밴드에 형성될 경우, 장착 밴드(106)는 플렉서블 케이블과 같은 연성 케이블에 의해 케이스(100A)로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 요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크래들의 일 예에 대한 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에 적용되는 크래들의 일 측에는 자성체(230)가 마련된다. 휴대단말기(100)가 삽입 홈(240)으로 삽입될 때, 자성체(230)는 휴대단말기(100)로 자계를 가하며, 스위칭부(175)는 자계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부(170) 측 외부 단자(171)와 제어부(180) 사이의 전류 패스를 형성 한다.
크래들(200)은 케이블(210)을 통해 전원충전기의 전원을 휴대단말기(100)에 제공하거나, 컴퓨터(미 도시)와 휴대단말기(100)를 연결한다.
도면에서, 크래들(200)에 장착되는 자성체(230)는 크래들(200)의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예시되고 있으나, 크래들(200)의 외관 향상을 위해 크래들(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자성체(230)의 위치는 휴대단말기(100)의 스위칭부(175)의 위치를 고려하여 이웃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은 스위칭부의 구조, 및 작동 개념도를 나타낸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스위칭부(175)는 스위치 제어부(175a), 및 스위치(175b)로 구성된다. 스위치 제어부(175a)는 크래들(200)에서 제공하는 자계에 반응하여, 스위치(175b)를 턴-온하며, 스위치(175b)를 턴-온 할 때, 외부 단자(175)는 홀 이펙트 소자로 구현된다.
도면에는 스위치(175b)와 외부 단자(171)가 단선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스위치(175b)와 외부단자(171)는 항상 접속 상태이며, 도면은 스위치(175b)와 외부단자(171)가 개념적으로 단선된 것을 의미한다.
스위치(175b)와 외부단자(171)가 전기적으로 접속상태이고, 물이나 습기에 의해 외부단자(171)를 구성하는 핀들이 쇼트(short) 상태가 된다 하더라도 휴대단말기(100)에는 아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스위치 제어부(175a)에 자계가 가해지지 않을 때, 스위치(175b)는 항상 오프 상태이며, 외부단자(171)의 쇼트 여부는 휴대단말기(100)측 내부단자(172)에 아무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6은 휴대단말기(100)가 크래들(200)에 장착되었을 때, 스위치 제어부(175a)의 구동 방식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스위치 제어부(175a)는 크래들(200)에 마련되는 자성체(230)의 자계에 응답하여 스위치(175b)를 턴-온한다. 자성체(230)에 의해 스위칭부(175)가 턴 온된다는 것은 휴대단말기(100)가 수중에 있거나, 방수 처리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아니라는 뜻이다. 즉, 휴대단말기(100)가 방수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일 때, 스위치 제어부(175a)는 외부단자(171)와 내부단자(172) 사이의 전류패스를 형성하여 휴대단말기(100)를 크래들(200)과 접속하여 휴대단말기(100)가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스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단자(171)와 내부단자(172) 사이를 온-오프 단속하는 스위치는 트랜지스터 이외에, 포토커플러를 이용할수도 있다. 포토커플러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트랜지스터와는 달리 빛을 이용하여 온-오프 제어되므로 주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적은 장점이 있다.
포토커플러(175c)를 스위치로 이용할 때, 포토커플러의 양단(a, b)은 각각 외부단자(171)와 내부단자(172)에 연결되고, 제어단자(c)는 스위치 제어부(175a)에 연결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및 크래들에 대한 전면 사시도,
도 3는 도 2에 도시한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크래들의 일 예에 대한 전면도,
도 5와 도 6은 스위칭부의 구조, 및 작동 개념도, 그리고
도 7은 스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1 : 외부단자 172 : 내부단자
175a : 스위치 제어부 175b : 스위치

Claims (8)

  1. 손목에 착용하는 워치형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프론트 케이스 및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장착 밴드;
    상기 장착 밴드에 형성되고, 전원접속 또는 데이터 접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해, 자성체를 포함하는 크래들과 연결되는 외부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자회로와 연결되는 내부단자;
    양단이 각각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에 연결되는 포토커플러; 및
    상기 크래들에 포함된 자성체로부터 자계가 가해지면, 상기 외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도록, 빛을 이용하여 상기 포토커플러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치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단자, 포토커플러 및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내장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에는 방수를 위한 고무 실링이 마련되며,
    상기 외부 단자는 복수개가 상기 장착 밴드에 분산되고,
    상기 외부 단자는 상기 장착 밴드에 구비되는 연성 케이블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휴대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자계에 의해 상기 전류패스를 온-오프하는 홀 이펙트(Hall effect)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부 및 포토커플러는,
    상기 외부단자가 상기 크래들에 접근할 때, 상기 내부단자와 상기 외부단자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단자는,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8. 삭제
KR1020080105470A 2008-10-27 2008-10-27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101540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70A KR101540091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470A KR101540091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72A KR20100046572A (ko) 2010-05-07
KR101540091B1 true KR101540091B1 (ko) 2015-07-29

Family

ID=4227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470A KR101540091B1 (ko) 2008-10-27 2008-10-27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46A (ko) * 1999-12-22 2000-04-06 신정호 이동단말기용 배터리의 교류 충전장치
JP2005176548A (ja) * 2003-12-12 2005-06-30 Canon Inc バッテリーパック
KR20060031912A (ko) * 2004-10-11 2006-04-14 주식회사 워터콤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용 배터리 및 그 방수방법
KR2007000317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846A (ko) * 1999-12-22 2000-04-06 신정호 이동단말기용 배터리의 교류 충전장치
JP2005176548A (ja) * 2003-12-12 2005-06-30 Canon Inc バッテリーパック
KR20060031912A (ko) * 2004-10-11 2006-04-14 주식회사 워터콤 방수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용 배터리 및 그 방수방법
KR20070003171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용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572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974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호 신호 처리방법
KR101613953B1 (ko) 휴대 단말기
KR20100046594A (ko) 휴대 단말기
KR20110024485A (ko) 휴대용 단말기
KR101443339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접속장치
KR10191977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0091B1 (ko)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용 크래들
KR20110131750A (ko) 이동 단말기
KR101512042B1 (ko) 휴대단말기
KR101540268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0188B1 (ko) 휴대 단말기
KR101895312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46045A (ko) 이동단말기
KR1013969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블루투스 헤드셋 충전방법
KR101481513B1 (ko)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싱 방법
KR101453907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20130079019A (ko) 이동 단말기
KR20140052481A (ko) 이동 단말기
KR101527732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101396997B1 (ko) 휴대 단말기, 휴대 단말기의 이벤트 알림 방법 그리고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KR101028093B1 (ko) 휴대단말기
KR10165749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130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4964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0094B1 (ko)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