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082B1 -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 Google Patents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082B1
KR101540082B1 KR1020130072444A KR20130072444A KR101540082B1 KR 101540082 B1 KR101540082 B1 KR 101540082B1 KR 1020130072444 A KR1020130072444 A KR 1020130072444A KR 20130072444 A KR20130072444 A KR 20130072444A KR 101540082 B1 KR101540082 B1 KR 10154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ody
fire
chisel
pis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239A (ko
Inventor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1020130072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0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iercing walls, heaped materia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7/00Fire-fight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괴 방수차의 노즐 몸체 내부 또는 외부에 타격부을 구성하여 화재난 위치를 직접 타격하여, 방수를 통해 화재를 신속히 진화하기 위한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몸체 ; 및 상기 노즐 몸체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되며 왕복운동이 가능한 피스톤 또는 치즐이 포함된 실린더가 구비된 타격부를 ;를 포함하여 동작하는 파괴 방수차용 노즐이다.
따라서 상기 타격부를 이용하여 화재난 위치를 손 쉽게 파괴하여 화재난 위치에 직접적으로 방수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Nozzle Appararus for destruction water truck}
본 발명은 파괴 방수차의 노즐 몸체 내부 또는 외부에 타격부을 구성하여 화재난 위치를 타격하고, 방수를 통해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대형 화재 사고의 경우,, 목조 문화재, 창고 및 공장 등의 특수 구조물에 대한 화재가 많으며 화재의 피해가 커진 경우 공통적으로 초기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고, 적절한 방재 작업을 수행할 장비의 부재가 원인으로 분석된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숭례문 화재와 같은 목조 문화재의 경우 외부에서 방수작업을 진행하여도 화원(화재가 난 위치)에 방수 작업이 직접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와 같은 특수 구조물의 경우 외벽을 파괴하고 방수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목조 건물이나 창고형 건물 등의 특수구조물의 화재에 있어서 화재 진화를 위해서는 화원으로 직접 방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구조물의 벽체를 파괴하고 내부로 노즐을 삽입할 수 있는 파괴 및 방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전용 모듈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써, 화재 난 위치(화원)의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파괴하고, 화원에 직접적으로 방수할 수 있는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는,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몸체 (10); 및 상기 노즐 몸체 내부(8) 또는 외부(9)에 구성되며 왕복운동이 가능한 피스톤(21) 또는/및 치즐(15)을 포함하는 실린더가 구비된 타격부;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본 발명은 노즐 몸체을 관통하여 형성된 타격부에 의거 화재난 위치를 손 쉽게 파괴하여 화원에 직접적으로 방수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화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몸체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를 등 간격으로 구성하여 화재된 위치(화원)를 더욱 빠르게 파괴하여 방수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방수공의 방향을 다양하게 하여 화재 난 위치에 방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로써, 제 1 방수공(16)이 형성된 노즐 몸체(10)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포함된 타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방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의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구비된 타격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피스톤(21) 또는/및 실린더 (20)를 포함하는 타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피스톤(21) 또는/및 실린더 (20)를 포함하는 타격부에서 피스톤의 동작에 의거 치즐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및 보조 브레이커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예로써, 노즐 몸체 외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노즐 몸체 외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노즐 몸체 외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외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및 보조 브레이커(4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구비, 형성 또는 구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특별하게 정의를 내리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같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실린더, 상기 실린더내에 구성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의 동작에 대응되어 동작되는 치즐을 모두 통틀어 타격부로 정의하였으나, 발명의 이해에 따라 치즐을 타격하는 피스톤 또는 치즐 그 자체를 타격부로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의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설명상 모두 피스톤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이하 각 도면을 인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 도 6은 제 1 실시 예로써, 노즐 몸체 내부(8)를 관통하여 타격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7 - 도 10은 제 2 실시 예로써, 노즐 몸체 외부(9)에 등 간격으로 복수개의 타격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로써, 제 1 방수공(16)이 형성된 노즐 몸체(10)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포함된 타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방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의 제 2,3,1 방수공(13,14,16)이 형성된 노즐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구비된 타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피스톤(21) 또는/및 실린더 (20)을 포함하는 타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피스톤(21) 또는/및 실린더 (20)을 포함하는 타격부에서 피스톤의 동작에 의거 치즐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및 보조 브레이커(4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로써, 노즐 몸체 외부(9)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노즐 몸체 외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노즐 몸체 외부에 등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외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및 보조 브레이커(4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이하 먼저 도 1 ~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제 1 방수공(16)이 형성된 노즐 몸체(10)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포함된 타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방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의 제 2,3,1 방수공(13,14,16)이 형성된 노즐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화물질 (예를 들어 물 등)이 분사될 수 있는 구멍(방수공) (16)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몸체 (10); 및 상기 노즐 몸체 내부(8) 에 구성되며 왕복운동이 가능한 피스톤(21) 또는 치즐(15)을 포함하는 타격부(도면번호 미기재)등이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타격부는 실린더 몸체(20), 피스톤(21 및 치즐(15)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 몸체 (10)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격부를 구성하는 피스톤 또는/및 치즐이 상/하 왕복하여 화재가 난 위치를 타격하여 방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는 노즐 몸체 중앙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장치의 균형 면등에서 바람직하나 반드시 노즐 몸체의 중앙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도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의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설명 상 모두 피스톤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도 1,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몸체의 하부(7)는 화재가 난 위치 (예를 들어 소 공간, 구석진 위치등)를 쉽게 파괴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원추형 (17)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추형 타입의 단부에는 첨예부(18)가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18)에는 관통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타격부의 치즐(15)이 왕복운동하여 화재가 난 위치를 타격하여 방수공을 통해 방수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몸체의 상부(미기재)에는 방수용 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미도시)가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노즐 몸체 측면에 상기 유입구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노즐 몸체의 상부(6)에는 소화물질이 수평으로 분사되도록 몸체의 수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 1 방수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몸체의 하부(7)의 원추형(17) 상부에는 소화물질이 상기 원추형의 경사방향에 대응되어 분사되도록 경사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 2 방수공(13)이 형성되고, 원추형(17)의 하부에는 소화 물질이 하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3 방수공(14)이 형성되어 방수되도록 함으로써, 사방/팔방으로의 방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원추형(17)의 하부(미도시)에는 돌출부(19)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통해 소화 물질이 하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제 3 방수공(14)의 방향은 하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 몸체(10)의 내측면(미도시) 또는/및 노즐 몸체의 상부면(미도시)에 실린더(20)의 몸체가 고정 결합 되기 위한 수단(볼트/너트등, 미도시)이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몸체 내에는 유압에 의거 상하 왕복운동 되는 피스톤(21)이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피스톤의 상/하 동작에 연동되어 상/하 동작되는 치즐(15)이 구비된다.
하나의 예로써,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부재(30)에 의거 상기 실린더 몸체(20)와 상기 노즐 몸체(10)가 고정 결합되어 안전하게 타격부의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린더 몸체(20) 내부에는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연결구(미도시) 및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미도시)이 상기 실린더 몸체 내부에 구비된다.
도 3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구비된 타격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피스톤(21) 또는/및 실린더 (20)을 포함하는 타격부 (23)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피스톤과 치즐부가 동작되기 전 상태이고, 도 5는 피스톤의 동작에 의거 치즐부가 연동되어 동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따라서 치즐부가 화재가 난 위치의 대상물을 직접 타격하고 방수공을 통해 방수를 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다.
도 6은 방수공이 형성된 노즐 몸체 내부에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 및 보조 브레이커(40)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로써, 도 7 - 도 10을 인용하여 노즐 몸체 외부(9)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복수개의 타격부가 등 간격으로 형성된 파괴 방수차용 노즐을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노즐 몸체(10) 상측에 구비되는 헤드부(50); 상기 헤드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물 등의 유입구(51) ; 및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54)에 등 간격으로 결합되며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동작한다.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의 타격부의 구성 및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 예서의 타격부의 구성과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타격부를 수용하는 하우징(5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하우징의 내측면에 실린더 몸체(2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몸체 내에는 유압에 의거 상하 왕복운동 되는 피스톤(21)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는 상기 피스톤의 동작에 대응되어 동작되는 치즐(15)이 구비되어 동작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내에 구성되는 타격부의 구성과 동작은 제 1 실시 예에서의 타격부의 구성과 동작이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 2 실시 예에서, 타격부가 노즐 몸체 외부(9)에만 형성되고 노즐 몸체 내부에는 형성되지 아니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이고 제 1 실시 예에서와 같이 노즐 몸체 내부에도 타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 몸체을 관통하여 형성된 타격부에 의거 화재난 위치를 손 쉽게 파괴하여 화재난 위치에 직접적으로 방수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화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몸체와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타격부를 구성하여 화재된 위치를 더욱 빠르게 파괴하여 방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6 : 노즐몸체 상부, 7 : 노즐몸체 하부, 8 : 노즐몸체 내부, 9 : 노즐몸체 외부, 10 : 노즐몸체, 11 관통부, 13:수직인 방수공, 14 : 하측 방향, 18 : 첨예부, 15 : 치즐, 16 : 방수공, 17 : 원추형, 19 : 돌출부, 20 : 실린더, 21 : 피스톤, 23 : 타격부, 30 : 결합부, 40 : 보조 브레이커, 50 : 헤드부, 51 : 물 유입구, 53 : 하우징, 54 : 헤드부 외주

Claims (10)

  1. 소화물질이 분사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 몸체 (10)와;
    상기 노즐 몸체(10) 상측에 구비되는 헤드부(50)와;
    상기 헤드부(5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결합되며, 왕복운동이 가능한 치즐(15)이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방수차용 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의 상부(6)에는 소화물질이 수평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노즐 몸체(10)의 수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 1 방수공(16)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 몸체의 하부(7)의 원추형(17) 상부에는 소화물질이 상기 원추형의 경사방향에 대응되어 분사되도록 경사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 2 방수공(13)이 형성되고, 원추형(17)의 하부에는 소화 물질이 하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 3 방수공(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방수차용 노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17)의 하부에는 돌출부(19)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9)를 통해 소화 물질이 하측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19)에 형성된 제 3 방수공(14)의 방향은 하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방수차용 노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타격부를 수용하는 하우징(53)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하우징(53)의 내측면에 실린더 몸체(20)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몸체(20) 내에는 유압에 의거 상하 왕복운동 되는 피스톤(21)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21)의 하부에는 상기 피스톤(21)의 동작에 대응되어 동작되는 치즐(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괴 방수차용 노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072444A 2013-06-24 2013-06-24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KR10154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444A KR101540082B1 (ko) 2013-06-24 2013-06-24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444A KR101540082B1 (ko) 2013-06-24 2013-06-24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39A KR20150000239A (ko) 2015-01-02
KR101540082B1 true KR101540082B1 (ko) 2015-07-28

Family

ID=5247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444A KR101540082B1 (ko) 2013-06-24 2013-06-24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0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83B1 (ko) * 2018-07-17 2019-03-13 이준호 소방용 파괴 방수 노즐장치
KR101989974B1 (ko) 2018-10-08 2019-06-18 이준호 우수한 파괴력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파괴방수용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6447B (zh) * 2015-08-05 2018-03-30 陈奇 双启动灭火器喷嘴
CN110354428B (zh) * 2019-06-06 2021-01-26 绿建环保有限公司 一种绿地用自动报警的灭火消防装置
CN113144490B (zh) * 2021-05-24 2022-08-19 肖玉倩 一种穿透式破拆喷雾设备
KR102575527B1 (ko) * 2022-07-18 2023-09-06 박대지 샌드위치패널 화재 진압용 살수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067A (en) * 1993-11-22 1995-04-25 Augustus Fire Tool™, Inc. Portable fire fighting tool
JP2544270B2 (ja) * 1990-07-03 1996-10-16 ハンセン,レノ・バーチ 高圧スプレ―ヘッド
KR20120072421A (ko) * 2010-12-24 2012-07-04 이상신 자동차 엔진룸 화재용 소화방법 및 소화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4270B2 (ja) * 1990-07-03 1996-10-16 ハンセン,レノ・バーチ 高圧スプレ―ヘッド
US5409067A (en) * 1993-11-22 1995-04-25 Augustus Fire Tool™, Inc. Portable fire fighting tool
KR20120072421A (ko) * 2010-12-24 2012-07-04 이상신 자동차 엔진룸 화재용 소화방법 및 소화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83B1 (ko) * 2018-07-17 2019-03-13 이준호 소방용 파괴 방수 노즐장치
KR101989974B1 (ko) 2018-10-08 2019-06-18 이준호 우수한 파괴력과 유지보수가 용이한 파괴방수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39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082B1 (ko) 파괴 방수차용 노즐 장치
KR101717083B1 (ko) 압력 챔버 방식의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CN204081985U (zh) 组装式钢直梯
CN104787600A (zh) 抓斗除尘装置
KR101518811B1 (ko) 장볼트의 풀림 및 파손이나 치즐핀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가동이 자동정지되는 유압브레이커
KR101625490B1 (ko) 레그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1670358B1 (ko) 장볼트와 결합된 너트의 풀림 및 파손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를 구비한 유압브레이커
KR101229517B1 (ko) 타격겸용 소방장치
KR102140621B1 (ko) 저소음 구조를 갖는 브레이커
CN106422134A (zh) 一种流体压力顶升式喷嘴
KR20110037531A (ko) 브레이커의 치즐용 치즐핀
KR102106502B1 (ko) 면진 성능을 가진 한옥의 주두 및 그 설치방법
KR20150002188A (ko)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KR20080057517A (ko) 슬래브 내진구조
CN210032321U (zh) 一种装配式实心消防箱墙板
KR101652489B1 (ko) 브레이커용 장볼트 풀림방지장치
KR20090008695U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KR101297132B1 (ko)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KR20190044828A (ko) 수중 유압 브레이커
GB2576647A (en) Hydraulic breaker, in particular for an excavator
KR101738152B1 (ko) 유압 브레이커의 이물질 침투방지구조체
KR20230023149A (ko) 굴착기용 브레이커
KR101446223B1 (ko) 공타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359989B1 (ko) 내진성능이 강화된 기둥과 보의 접합부 구조
CN206453064U (zh) 一种喷杆喷雾机喷头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