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962B1 - 장애인 목욕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목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962B1
KR101538962B1 KR1020140026365A KR20140026365A KR101538962B1 KR 101538962 B1 KR101538962 B1 KR 101538962B1 KR 1020140026365 A KR1020140026365 A KR 1020140026365A KR 20140026365 A KR20140026365 A KR 20140026365A KR 101538962 B1 KR101538962 B1 KR 10153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l
coupled
coupling rod
support plat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기성
Original Assignee
전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기성 filed Critical 전기성
Priority to KR1020140026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6Washing devices for one-arm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목욕장치는 하단이 바닥면에 닿아서 상방으로 길게 세워지고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 조절수단과, 후단부가 상기 승강부와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부에 구비된 좌우 방향으로 뻗은 좌우수평축과 결합하여 상기 좌우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의 전단부와 고정결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지지판이 향하는 면을 바꾸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구비된 전후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고정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뻗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좌우 방향으로 뻗고 상기 이송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운동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좌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좌측 결합봉과, 상기 슬라이드부의 우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우측 결합봉과, 상기 좌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좌측 파지부와, 상기 우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우측 파지부 및 좌측단이 상기 좌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고 우측단이 상기 우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는 때밀이 타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애인 목욕장치 {BATHING MACHINE FOR THE DISABLED}
본 발명은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목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욕을 할 때 등의 때를 밀기 위하여 긴 타올을 양 손에 잡고 때를 밀기도 하지만 비장애인도 등의 때를 온전히 밀지 못하기 때문에 타인이 밀어 주기도 하는데, 더군다나 한팔 지체 장애인의 경우 혼자 목욕하기가 참으로 힘들다.
그리하여 종래의 장애인 목욕장치로서 욕조의 발 위치에 헝겊형 원기둥을 모터로 회전시키고 등쪽 위치에도 형겊형 원기둥을 모터로 회전시키는 기구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종래에 욕조의 등부분을 때밀이용 철물을 평면으로 구성한 후 기어로 운동하여 때를 밀게 하는 기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사람이 닦을 때의 느낌과 너무 달라서 이질적으로 느껴지며 기구의 운동 방향과 길이,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신체 조건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신체의 다양한 부분에 사용하기에 어려우며, 교체가 쉬운 때밀이 타올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어서 여럿이 사용할 때는 물론 혼자 사용할 때에도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682303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쪽 팔만 거동이 가능한 장애인도 쉽게 등을 비롯한 신체 부위를 밀 수 있도록 구성된 장애인 목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목욕장치는 하단이 바닥면에 닿아서 상방으로 길게 세워지고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승강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 조절수단과, 후단부가 상기 승강부와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부에 구비된 좌우 방향으로 뻗은 좌우수평축과 결합하여 상기 좌우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의 전단부와 고정결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지지판이 향하는 면을 바꾸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수단과,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구비된 전후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조절수단과,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고정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뻗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좌우 방향으로 뻗고 상기 이송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운동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의 좌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좌측 결합봉과, 상기 슬라이드부의 우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우측 결합봉과, 상기 좌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좌측 파지부와, 상기 우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우측 파지부 및 좌측단이 상기 좌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고 우측단이 상기 우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는 때밀이 타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결합봉 및 상기 우측 결합봉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결합봉 및 상기 우측 결합봉 각각은 전단이 상기 파지부와 고정결합되고 후방으로 뻗는 결합봉 전방부와,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와 고정결합되는 결합봉 후방부와, 상기 결합봉 후방부의 전단과 고정결합되고 전면부에 상기 결합봉 전방부가 관통 가능하도록 통공이 형성된 속이 빈 고무볼 케이스와, 상기 결합봉 전방부의 후단과 맞닿도록 상기 고무볼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결합봉 전방부의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고무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파지부는 좌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1 고정봉 및 좌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1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파지부는 우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2 고정봉 및 우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2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때밀이 타올의 좌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상기 좌측 제1 고정봉에 끼우고 상기 우측 제1 고정봉을 지나는 상기 때밀이 타올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1 고정봉과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 사이에 끼우며, 상기 때밀이 타올의 우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2 고정봉에 끼우고 상기 좌측 제2 고정봉을 지나는 상기 때밀이 타올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2 고정봉과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 및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에는 다수 개의 마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파지부에는 겹쳐진 상기 때밀이 타올과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를 한꺼번에 물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좌측 집게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파지부에는 겹쳐진 상기 때밀이 타올과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를 한꺼번에 물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우측 집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고정도르래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도르래에 걸쳐져서 상기 고정도르래를 기준으로 할 때 한쪽 부분은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며 하단에 무게추가 결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의 앞에서 상하 운동하고, 다른 한쪽 부분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로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신축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조절수단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축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승강부와 결합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이음부와 나사결합하여 상기 이음부를 관통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다수 개의 너트구멍이 형성된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너트구멍들 중 하나와 결합하여 상호 고정하거나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너트구멍과 분리한 다음 상기 이음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조절나사를 이전 것과 다른 상기 너트구멍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 조절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회전축의 지지판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고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됨으로써 누르면 상기 고정 구멍에서 빠져나와 상기 하우징부를 회전할 수 있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에 의하면 한쪽 판만 거동이 가능한 쟁애인이 쉽게 사용 가능하며, 때를 미는 부분에 때밀이 타올을 장착하여 개인 위생에 관한 문제가 해결되고, 때밀이 타올을 장착하는 부분에는 특수 고무와 뼈대 및 완충 수단이 장착되어 사람이 닦는 것과 같은 느낌을 최대한 살리고 인체의 굴곡을 반영한 효과적인 때밀이가 가능하며, 기구의 높낮이와 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편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의 결합봉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의 파지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의 회전조절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애인 목욕장치는 지주프레임(100), 승강부(200), 승강조절수단, 연결부재(400), 지지부(500), 방향조절수단, 하우징부(700), 회전조절수단, 구동부(900), 슬라이드부(1000), 좌측 및 우측 결합봉(1100a, 1100b), 좌측 및 우측 파지부(1200a, 1200b) 및 때밀이타올(1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길게 세워진 부분과 수직하게 세워진 부분의 하단부로부터 앞쪽으로 길게 뻗으면서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앞쪽으로 뻗는 부분은 지주프레임(100)이 보다 안정되게 서있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주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좌측과 우측 양쪽에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패인 홈인 한 쌍의 가이드레일(110)이 구비된다.
승강부(200)는 좌측과 우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좌측 승강부는 좌측 가이드레일(110)에 끼워져서 좌측 가이드레일(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 승강부(200)는 우측 가이드레일(110)에 끼워져서 우측 가이드레일(110)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2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승강부(200) 전면부에 접촉하는 가이드레일(110) 턱에 의해서 앞쪽으로 이탈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승강조절수단은 좌측 가이드레일(110)과 우측 가이드레일(110)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며, 하단이 승강부(200)의 상단과 결합하는 와이어(320)와, 가이드레일(110) 상단부에 설치되는 풀리와, 가이드레일(110) 상단부에 설치되어 풀리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모터(310)로 구성된다. 모터(310)는 사용자가 누르기 쉬운 곳에 구비된 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운동을 하고, 모터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풀리가 돌면서 와이어(320)를 감아서 와이어(320)가 승강부(200)를 끌어올리게 되고 모터(310)가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풀리가 반대로 돌면서 와이어(320)가 풀려서 승강부(200)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승강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재(400)는 후단부가 승강부(200)와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길게 뻗는 막대 형태의 부재로서 좌우 승강부(200)마다 하나씩 결합되어 한 쌍이 구비된다. 연결부재(400)는 하나의 막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방향으로 뻗는 부분과 사선 방향으로 뻗는 부분 두 부분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져서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0)의 전방부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원형인 원판 형태의 조절판(620)이 구비되고, 조절판(620)의 중심부에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뻗는 좌우 수평축(410)이 고정되며 좌우 수평축(410)이 연결부재(400)의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다. 조절판(620)의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너트 구멍(621)이 형성된다.
지지부(50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뻗는 부분인 이음부(510)와 이음부(510)의 전단에 결합되어 전면에서 바라볼 때 원형인 원판 형태의 지지판(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음부(510)는 연결부재(400)마다 하나씩 연결되어 한 쌍이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이음부(510)는 가운데 부분에 연결부재(4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하나의 연결부재(400)의 좌측면과 우측면 모두에 밀착되어 있고, 이음부(510)의 전방부가 좌우 수평축(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음부(510) 중에서 조절판(620)의 너트 구멍(621)과 마주볼 수 있는 부분에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이 구멍에는 조절 나사(610)가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다. 조절 나사(610)를 조이면 조절 나사(610)가 이음부(510)의 구멍을 관통하여 조절판(620)의 너트 구멍(621)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음부(510)와 연결부재(400)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준다. 조절 나사(610)를 풀어서 조절 나사(610)가 너트 구멍(621)에서 완전히 빠지면 지지부(500)를 연결부재(400)에 대해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지지부(500)를 좌우 수평축(410)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다음 조절나사(610)를 원래 결합되어 있던 너트 구멍(621)과 다른 너트 구멍(621)과 나사 결합시키면 지지부(500)가 연결부재(400)와 이루는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지지판(520)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재(400)의 후방부와 이음부(510)의 후방부를 서로 고정시키거나 잡아당기거나 누르면 이음부(510)로부터 빠져나와서 지지부(5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핀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절나사(610)를 너트 구멍(621)에서 빠지게 할 때 지지부(500)와 지지부(500)의 앞쪽에 달려있는 부품들이 무거워서 지지부(500)를 포함하는 부분이 순식간에 아래쪽으로 돌아버리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지지판(520)의 상단부에는 로프(130)의 한쪽 끝이 결합되고 이 로프(130)는 비스듬하게 뒤쪽 상방으로 뻗어서 지주프레임(100)의 상단부의 좌우 중간에 설치된 고정도르래(120)에 걸쳐지며 고정도르래(120)를 지난 다음 수직 하방으로 늘어뜨려지며 이 늘어뜨려진 로프(130) 부분의 하단에 무게추(14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무게추(140)가 로프(130)를 통하여 지지판(520)의 상단을 위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절 나사(610)를 너트 구멍(621)에서 분리하더라도 지지판(520)을 포함하는 지지부(500)가 급격하게 아래쪽으로 회전하지 않고 서서히 회전됨으로써 사용상의 안전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원판 형태의 지지판(520)의 중심에는 회전축(521)이 결합되고 지지판(520)의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고정구멍(522)이 형성된다.
하우징부(700)는 회전축(521)과 결합하여 지지판(520)의 바로 앞에서 회전축(5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회전조절수단(800)에 의해 하우징부(700)는 평소에는 고정되어 있고 회전할 필요가 있을 ?만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조절수단(800)은 하우징부(700)의 상단 우측 끝에 고정 결합되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됨으로써 지렛대와 같이 구성된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한쪽이 들리면서 회전조절수단을 잡아당겨서 지지판(520)의 고정구멍(522)에서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하우징부(700)를 회전축(5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버튼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구멍(522)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부(700)가 지지판(520)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회전조절수단(800)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공통된 사항은 스프링에 작용에 의해 버튼을 누르거나 당겨서 외부 힘을 가하면 회전조절수단(800)이 고정구멍(522)에서 빠져나와 하우징부(7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되고 가한 외부 힘을 제거하면 회전조절수단(800)이 다시 고정구멍(522)에 삽입됨으로써 하우징부(700)가 지지판(520)에 고정되어 회전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는 것이다.
하우징부(7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관통공(710)이 형성된다.
하우징부(700)에는 구동부(900)인 리니어모터가 고정 설치된다. 구동부는 하우징부(7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왕복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910)인 모터와, 동력부(910)와 결합되어 관통공(810)을 통과해 하우징부(700) 보다 앞쪽에 있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돌출되고 동력부(910)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부(9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송부(920)의 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슬라이드부(1000)가 고정 결합되어 이송부(920)의 직선 왕복에 따라 슬라이드부(1000)도 좌우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슬라이드부(10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식으로 구성되는데, 슬라이드부(1000)의 뒤편에 있는 볼트를 조이면 슬라이드부의 길이가 고정되고, 볼트를 풀면 슬라이드부(1000)의 일부를 이송부(920)와 결합된 슬라이드부(1000)의 다른 일부로부터 빼내거나 집어넣어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막대 형태의 물체의 길이 조절은 다양한 구성을 취할 수 있으며 볼트 등을 이용해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 내용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측 결합봉(1100a)은 후단이 슬라이드부(1000)의 전면부의 좌측 끝부분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고 우측 결합봉(1100b)은 후단이 슬라이드부(1000)의 전면부의 우측 끝부분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다.
도 4는 좌측 및 우측 결합봉(1100a, 1100b)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좌측 결합봉(1100a)은 전단이 좌측 파지부(1200a)와 고정결합되고 후방으로 뻗는 결합봉 전방부(1110a)와, 후단이 슬라이드부(1000)와 고정결합되는 결합봉 후방부(1120a)와, 결합봉 후방부(1120a)의 전단과 고정결합되고 전면부에 결합봉 전방부(1110a)가 관통 가능하도록 통공이 형성된 속이 빈 고무볼 케이스(1130a)와, 결합봉 전방부(1110a)의 후단과 맞닿도록 고무볼 케이스(1130a) 내부에 수납되어 결합봉 전방부(1110a)의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고무볼(1140a)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좌측 파지부(1200a)에 뒤로 밀리는 힘이 가해질 때 고무볼(1140a)이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좌측 파지부(1200a)가 부드럽게 뒤로 밀렸다가 뒤로 밀리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좌측 파지부(1200a)와 앞쪽으로 이동하여 원상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우측 결합봉(1100b)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결합봉(1100a, 1100b)이 탄성적으로 움직이기 ?문에 좌측 및 우측 파지부(1200a, 1200b)에 고정된 때밀이타올(1300)이 신체와 밀착되어 움직일 때 신체의 굴곡을 반영하여 좌측 및 우측 파지부(1200a, 1200b)가 부드럽게 앞뒤로 약간씩 움직이면서 작동할 수 있다.
좌측 결합봉(1100a)의 전단에는 좌측 파지부(1200a)가 결합되고, 우측 결합봉(1100b)의 전단에는 우측 파지부(1200b)가 결합된다. 좌측 파지부(1200a)는 좌측 파지 전면부(1210a)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과 결합하여 좌측 파지 전면부(1210a)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1 고정봉(1231a) 및 좌측 파지 전면부(1210a)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과 결합하여 좌측 파지 전면부(1210a)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1 고정봉(1232a)을 포함하고, 우측 파지부(1200b)는 우측 파지 전면부(1210b)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과 결합하여 우측 파지 전면부(1210b)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2 고정봉(1231b) 및 우측 파지 전면부(1210b)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과 결합하여 우측 파지 전면부(1210b)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2 고정봉(1232b)을 포함하고, 때밀이 타올(1300)의 좌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좌측 제1 고정봉(1231a)에 끼우고 우측 제1 고정봉(1232a)을 지나는 때밀이 타올(1300)의 부분을 우측 제1 고정봉(1232a)과 좌측 파지 전면부(1210a) 사이에 끼우며, 때밀이 타올(1300)의 우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우측 제2 고정봉(1232b)에 끼우고 좌측 제2 고정봉(1231b)을 지나는 때밀이 타올(1300)의 부분을 우측 제2 고정봉(1232b)과 우측 파지 전면부(1210b)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된다.
때밀이 타올(1300)의 후면과 접하는 파지부(1200a, 1200b)의 전면에는 때밀이 타올(13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 개의 마찰돌기(1211a, 1211b)가 구비된다.
또한, 때밀이 타올(1300)이 파지부(1200a, 1200b)에서 빠지거나 위아래로 흔들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지부(1200a, 1200b) 및 때밀이 타올(1300)을 한꺼번에 감싸서 붙잡는 집게(1220a, 1220b)를 좌측 파지부(1200a)와 우측 파지부(1200b)에 하나씩 설치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집게(1220a, 1220b)는 두 개의 부분의 하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고 한쪽 부분의 상단부에 구비된 고리를 다른쪽 부분의 상단부에 구비된 돌출부에 걸어서 고정시키거나 고리를 돌출부에서 빼내에서 집게가 벌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때밀이 타올(1300)을 교체한 다음 고정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지주프레임 110: 가이드레일
120: 고정도르래 130: 로프
140: 무게추 200: 승강부
310: 모터 320: 와이어
400: 연결부재 410: 좌우 수평축
500: 지지부 510: 이음부
520: 지지판 521: 회전축
522: 고정구멍 610: 조절나사
620: 조절판 621: 너트구멍
700: 하우징부 710: 관통공
800: 회전조절수단 910: 동력부
920: 이송부 1000: 슬라이드부
1100a: 좌측 결합봉 1110a: 결합봉 전방부
1120a: 결합봉 후방부 1130a: 고무볼 케이스
1140a: 고무볼 1200a: 좌측 파지부
1210a: 좌측 파지 전면부 1211a: 마찰돌기
1220a: 좌측 집게부 1231a: 좌측 제1고정봉
1232a: 우측 제1고정봉 1200b: 우측 파지부
1220b: 우측 집게부 1231b: 좌측 제2고정봉
1232b: 우측 제2고정봉 1300: 때밀이 타올

Claims (12)

  1. 하단이 바닥면에 닿아서 상방으로 길게 세워지고 전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지주프레임;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승강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승강 조절수단;
    후단부가 상기 승강부와 고정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부에 구비된 좌우 방향으로 뻗은 좌우수평축과 결합하여 상기 좌우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음부와, 상기 이음부의 전단부와 고정결합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를 회전 운동시켜서 상기 지지판이 향하는 면을 바꾸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방향 조절수단;
    상기 지지판의 전면부에 구비된 전후 방향으로 뻗은 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지지판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뚫린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 조절수단;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고정되는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와 연결되고 전방으로 뻗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동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이송부의 전단부와 결합하여 좌우 방향으로 뻗고 상기 이송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이송부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운동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의 좌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좌측 결합봉;
    상기 슬라이드부의 우측단의 전면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뻗는 우측 결합봉;
    상기 좌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좌측 파지부;
    상기 우측 결합봉의 전단부와 결합하는 때밀이타올 우측 파지부; 및
    좌측단이 상기 좌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고 우측단이 상기 우측 파지부에 의해 파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뻗는 때밀이 타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리니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결합봉 및 상기 우측 결합봉은 전후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움직이는 완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결합봉 및 상기 우측 결합봉 각각은 전단이 상기 파지부와 고정결합되고 후방으로 뻗는 결합봉 전방부와, 후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와 고정결합되는 결합봉 후방부와, 상기 결합봉 후방부의 전단과 고정결합되고 전면부에 상기 결합봉 전방부가 관통 가능하도록 통공이 형성된 속이 빈 고무볼 케이스와, 상기 결합봉 전방부의 후단과 맞닿도록 상기 고무볼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결합봉 전방부의 이동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고무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파지부는 전면이 평평한 좌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1 고정봉 및 좌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1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파지부는 전면이 평평한 우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좌측단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뻗는 좌측 제2 고정봉 및 우측 파지 전면부의 하단부의 우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와 간격을 두고 상방으로 뻗는 우측 제2 고정봉을 포함하고,
    상기 때밀이 타올의 좌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상기 좌측 제1 고정봉에 끼우고 상기 우측 제1 고정봉을 지나는 상기 때밀이 타올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1 고정봉과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 사이에 끼우며,
    상기 때밀이 타올의 우측단에 구비된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2 고정봉에 끼우고 상기 좌측 제2 고정봉을 지나는 상기 때밀이 타올의 부분을 상기 우측 제2 고정봉과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 사이에 끼우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 및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에는 다수 개의 마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파지부에는 겹쳐진 상기 때밀이 타올과 상기 좌측 파지 전면부를 한꺼번에 물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좌측 집게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파지부에는 겹쳐진 상기 때밀이 타올과 상기 우측 파지 전면부를 한꺼번에 물어서 고정시킬 수 있는 우측 집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고정도르래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도르래에 걸쳐져서 상기 고정도르래를 기준으로 할 때 한쪽 부분은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지며 하단에 무게추가 결합되어 상기 지주프레임의 앞에서 상하 운동하고, 다른 한쪽 부분은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판과 결합되는 로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신축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프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조절수단은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축회전에 따라 상하 운동하고 상기 승강부와 결합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절수단은 상기 이음부와 나사결합하면서 상기 이음부를 관통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전방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과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회전축의 둘레부에 다수 개의 너트구멍이 형성된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너트구멍들 중 하나와 결합하여 상호 고정하거나 상기 조절나사를 상기 너트구멍과 분리한 다음 상기 이음부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다음 상기 조절나사를 이전 것과 다른 상기 너트구멍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동일 거리만큼 떨어진 상기 회전축의 지지판에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고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됨으로써 누르면 상기 고정 구멍에서 빠져나와 상기 하우징부를 회전할 수 있고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가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목욕장치.
KR1020140026365A 2014-03-06 2014-03-06 장애인 목욕장치 KR101538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65A KR101538962B1 (ko) 2014-03-06 2014-03-06 장애인 목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365A KR101538962B1 (ko) 2014-03-06 2014-03-06 장애인 목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962B1 true KR101538962B1 (ko) 2015-07-28

Family

ID=5387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365A KR101538962B1 (ko) 2014-03-06 2014-03-06 장애인 목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9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788A (ko) * 1987-01-31 1988-09-13 윤만조 자동 때밀이기
KR200240518Y1 (ko) * 2001-05-12 2001-10-29 고명화 탄력봉을 이용한 수직왕복형 자동때밀이기
KR100426972B1 (ko) * 2001-03-12 2004-04-13 석점영 자동때밀이 겸 샤워기
KR101248315B1 (ko) *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8788A (ko) * 1987-01-31 1988-09-13 윤만조 자동 때밀이기
KR100426972B1 (ko) * 2001-03-12 2004-04-13 석점영 자동때밀이 겸 샤워기
KR200240518Y1 (ko) * 2001-05-12 2001-10-29 고명화 탄력봉을 이용한 수직왕복형 자동때밀이기
KR101248315B1 (ko) * 2012-07-13 2013-03-27 나은호 안마기 겸용 자동 때밀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68931A1 (en) Indoor Walker
CN209984863U (zh) 一种骨科康复护理用活动器
RU2014138863A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медицинская кровать
KR100960094B1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EP2703569B1 (en) Height adjustment assembly for use in bathing supplies
US20090001689A1 (en) Wheel chair handle
US7434882B1 (en) Combination ergonomic chair and seat pivoting mechanism
CN104958166A (zh) 一种四肢协同运动康复训练器
CN105966901B (zh) 一种台式饮水机助力装置
US7901336B2 (en) Lower leg and foot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1538962B1 (ko) 장애인 목욕장치
US9700109B2 (en) Mobility device
AU2015383978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aising a lying person
US9962302B2 (en) Manual stair climbing wheel chair
CN205515432U (zh) 一种残疾人使用的站立架
KR200422843Y1 (ko) 연동식 스트레치 휘트니스 기구
KR101581290B1 (ko) 이중 지렛대를 이용한 기립 보조 의자
KR101528511B1 (ko) 휠체어 펜싱 경기 장치
JP2016135426A (ja) 腰椎牽引機
CN108244917B (zh) 一种婴幼儿睡觉防踢被装置
CN205766093U (zh) 用于低矮狭小空间取物装置的手动夹持器
CN103284852A (zh) 座椅式护理床
JP5244203B2 (ja) 卓上用リハビリテーション器具
EP3409863A1 (en) Stair assistance device
CN211747824U (zh) 一种辅助手部残疾人饮食餐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