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931B1 -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 Google Patents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931B1
KR101538931B1 KR1020140004144A KR20140004144A KR101538931B1 KR 101538931 B1 KR101538931 B1 KR 101538931B1 KR 1020140004144 A KR1020140004144 A KR 1020140004144A KR 20140004144 A KR20140004144 A KR 20140004144A KR 101538931 B1 KR101538931 B1 KR 101538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tray
hanger
cable
rob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4290A (en
Inventor
김정민
김동호
김동수
강성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93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4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2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fluid as pulling means, e.g. liquid, pressurised gas or suc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1)의 행거(10)에 장착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일정 간격 단위로 이송시키도록 행거(10)상에 장착되는 로봇유닛(20); 상기 행거(10)상에 로봇유닛(20)을 지지하는 장착부(25); 및 상기 장착부(25)에 연결되어 로봇유닛(20)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공압에 의해 방지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양공사 현장이나 해양관련 구조물의 케이블 트레이의 곡부 또는 행거간의 이격거리가 멀 경우에도 길이를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수월하게 설치나 분리가 가능하며 공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a pneumatic tool mounted on a hanger (10) of a cable tray (1); A robot unit (20) mounted on the hanger (10) so as to feed the cables at regular intervals; A mounting part (25) for supporting the robot unit (20) on the hanger (10); And a fixing part (40)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25) to prevent the robot unit (20)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by pneumatic pressure.
Therefore, 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hulls or the hangers of the cable tray of the marine construction site or the marine structure is long, it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length or adjusting the angle, 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detach quickly and easily without tools. So that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use of the above-

Figure R1020140004144
Figure R1020140004144

Description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본 발명은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선박 및 해양 공사현장에서 케이블의 포설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a pneumatic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a pneumatic machine that can easily implement cable installation in a large ship and a marine construction site.

케이블 포설에 있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전로(트레이)와 케이블 간의 마찰에 의한 저항으로 케이블 포설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점이다. 이러한 케이블은 그 종류 및 사이즈가 다양하며 다단의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내에 설치되어 선박에 고정된다.One of the reasons for the difficulty in cable installation is the resistance due to the friction between the cable and the tray, which requires a lot of labor for cable installation. These cables are of various types and sizes and are installed in a multi-stage cable tray and fixed to the ship.

근래 들어, 포설 작업은 배선 작업자에 의해 자동화 장비와 각종 포설용 장비를 이용하여 실시된다. 이때, 수동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화 장비는 마찰을 감소시켜 케이블의 이송을 원활하게 만들고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하는 역할을 하는 핵심 장비 중 하나이다.In recent years, the installation work is carried out by a wiring worker using automation equipment and various installation equipment. At this time, the automation equipment for minimizing the hydraulic power is one of the key equipment that reduces the friction and smoothes the transfer of the cable and as a result, it improves the productivity.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케이블 포설 장치는 트레이나 행거에 설치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볼트, 너트를 사용하여 볼팅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설치나 분리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공구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도 있다. 또한, 트레이간의 간격이 좁은 다단의 트레이나 트레이 상단에 케이블 포설 장치의 설치가 어려울 경우 자동화 장비가 필요한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설치를 생략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ble installation apparatus, the operator directly bolted the cable using a bolt or a nut in order to install or remove 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in a tray or a hanger. This method not only takes a long time to install or dismantle, but also inconveniences the operator to carry the tool directly. In addition, if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cable installation device at the upper end of a tray or a tray having a narrow interval between the tray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is omitted and the operation is delay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즉,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럼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 롤러들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지지 롤러들 상부에 안착 되는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드럼에 권취 포설된 케이블의 선출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보조 지지체가 지지체의 일 측 또는 양측에 마련되어 드럼에 권취 포설된 케이블을 3선 이상으로 동시에 선출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That is, in Patent Document 1, the supporting rollers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rum are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and the drum mounted on the supporting rollers is rotated. Thus, And the auxiliary supporting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body so that the cable wound around the drum is simultaneously elected by three or more lines.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된 한 쌍의 길이 방향 지지부 및 한 쌍의 길이 방향 지지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횡 방향으로 위치된 다수의 횡 방향 지지부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케이블 안내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cable tray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ngitudinal support portion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ateral support portions arranged laterally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pair of longitudinal support portions , A cable guiding apparatus provided to support a cab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97172호(2011.08.3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97172 (published on 31st August, 201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83753호(2012.07.26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083753 (published on July 26, 2012)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있어서는 지상에서의 케이블 권취 작업에는 효율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선박 등과 같은 작업장에서 사용하기 부적절하며,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등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cable when it is mounted on a hanger of a cable tray or the like.

또한, 많은 롤러의 사용과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각각의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필요하다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 and installation of many rollers is troublesome,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a power source is required to drive each roller.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베이스 부재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베이스 부재를 케이블 트레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마련하므로, 현장의 작업자가 각각의 안내장치를 트레이에 장착 후 고정하기 위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고, 작업의 완료 후에는 다시 볼트 및 너트를 해제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ble guiding apparatu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ase member to the cable tray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It is troublesome to fasten bolts and nuts and to release bolts and nuts again after completion of work.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포설 장치의 설치나 분리가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곡부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 범위가 넓은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by providing a cable installation device which can improve workability and can be installed in a curved portion of a cable tray, And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나 분리 시 공구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use of tools in installation or disassembly in cable tray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행거에 장착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일정 간격 단위로 이송시키도록 행거상에 장착되는 로봇유닛; 상기 행거상에 로봇유닛을 지지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어 로봇유닛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공압에 의해 방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installation using a pneumatic tool mounted on a hanger of a cable tray, A robot unit mounted on a hanger so as to transfer the cables at regular intervals; A moun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robot unit on the hanger; And a fixing unit connected to the mounting unit to prevent the robot unit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by pneumatic pressure.

상기 고정부는 장착부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일단에 연결되고 공압에 의해 수축하는 공압머슬과, 양측의 로프를 결속하도록 결합되는 비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rop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 pneumatic musc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and contracted by pneumatic pressure, and a bezel coupled to bind the ropes on both sides.

상기 장착부는 본체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장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body and both ends thereof,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to adjust the angle.

상기 장착부는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가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장공홈과 조임체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elongated hole and the tightening body so that the length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can vary.

상기 고정부는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공사 현장이나 해양 관련 구조물의 케이블 트레이의 곡부 또는 행거간의 이격거리가 멀 경우에도 길이를 조절하거나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공구가 없이도 신속하고 수월하게 설치나 분리가 가능하며 공구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r adjust the angle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s of the cable tray of the marine structure or the marine structure is long, It is possible to install and disassemble it and to minimize the use of the to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장착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1)의 행거(10)에 장착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관하여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포설 장치는 트레이(1) 또는 행거(10)에 장착되어, 포설 대상의 케이블을 파지한 상태로 일정 거리씩 이송시킨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1)에 포설되는 케이블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a pneumatic tool mounted on a hanger (10) of a cable tray (1). Generally, the cable installation device is mounted on the tray 1 or the hanger 10, and feeds the cables to be laid to the hanger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holding the cab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able installed in a cable tray 1,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을 일정 간격 단위로 이송시키도록 행거(10)에 장착되는 로봇유닛(20)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행거(10)는 케이블 트레이(1)의 사이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다. 상기 로봇유닛(20)은 공압 실린더(도시 생략)를 탑재한 본체(21) 상에 그리퍼(30)를 구비한다. 그리퍼(30)는 상기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공급하는 공압 공급부(도시 생략)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파지된 케이블을 일정 간격으로 당겨서 케이블을 이송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unit 20 is mounted on the hanger 10 so as to transfer the cables at regular intervals. The hanger (10)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side frame of the cable tray (1) at regular intervals. The robot unit 20 has a gripper 30 on a main body 21 on which a pneumatic cylinder (not shown) is mounted. The gripper 30 pulls cables hel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a pneumatic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neumatic pressure to the pneumatic cylinder to transport the cables at regular interval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행거(10)상에 로봇유닛(20)을 지지하는 장착부(2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장착부(25)는 로봇유닛(20)이 케이블 트레이(1)의 행거(10)에 긴밀하게 고정되어 케이블 포설력을 지탱하도록 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having a mounting portion 25 for supporting the robot unit 20 on a hanger. The mounting portion 25 allows the robot unit 20 to be tightly fixed to the hanger 10 of the cable tray 1 to support the cable mounting force.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25)는 본체(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장착부(26)와, 상기 제1 장착부(26)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장착부(27)를 더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장착부(25)는 본체(21)를 케이블 트레이(1)의 행거(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케이블 포설 작업의 특성상 장시간의 작업 시간과 지속적인 고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변형이나 파손의 우려가 크다. 장착부(25)는 제1 장착부(26)와 제 2장착부(27)를 연결하여 구성되며, 제1 장착부(26)와 제 2장착부(27)는 고강도의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를 기준으로 내측의 것을 제1 장착부(26), 외측의 것을 제 2장착부(27)라 칭한다.The mounting portion 25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26 coupled to both ends of the main body 21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26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27). The mounting portion 25 detachably couples the main body 21 to the hanger 10 of the cable tray 1.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installation work, a long working time and a continuous high load are applied, There is a great deal of concern. The mounting portion 25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are preferably made of a high strength metal material.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 is referred to as a first mounting portion 26, and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21 is referred to as a second mounting portion 27. [

또,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25)는 제1 장착부(26)와 제2 장착부(27)가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장공홈과 조임체(28)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장공홈은 제 2장착부(27)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조임체(28)는 장공홈을 통하여 제 1장착부(26)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임체(28)를 풀고 제 2장착부(27)를 당기거나 밀은 상태에서 조임체(28)를 조이면 길이변동이 가능하다. 상기 조임체(28)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조임과 풀림이 편리하도록 나비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portion 2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longated hole and the tightening body 28 so that the length can vary . The elongated slot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tightening body 28 is coupl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through the slot. As a result, the length can be changed by unfastening the tightening body 28 and tightening the fastening body 28 while pulling or pushing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It is preferable that the tightening body 28 is made of a butterfly bolt so that the worker can manually tighten and loosen the tightening body 28 manually.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장착부(25)에 연결되어 로봇유닛(20)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공압에 의해 방지하는 고정부(40)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로봇유닛(20)은 케이블을 파지한 그리퍼(30)의 전후방 이송운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장착부(25)의 흔들림이나 이탈의 여지가 있다. 고정부(40)를 구동하는 공압은 본체(21)에 공급되는 것을 사용하므로 전원을 배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unit 40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 25 to prevent the robot unit 20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by pneumatic pressure. Since the robot unit 20 causes the gripper 30 gripping the c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ounting portion 25 may swing or come off. Since the air pressure for driving the fixing part 40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21, the power source can be excluded.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40)는 장착부(25)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로프(41)와, 상기 로프(41)의 일단에 연결되고 공압에 의해 수축하는 공압머슬(43)과, 양측의 로프(41)를 결속하도록 결합되는 비너(4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로프(41)는 유연성을 지닌 고강도의 와이어로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압머슬(43)은 고무튜브를 고강성의 플라스틱 그물망이 감싸고 있는 구조로서 부드럽게 동작하며 제어가 쉽다. 공압머슬(43)에 공압을 인가하면 수축되고 공압을 해제하면 이완되는 작동이 수행된다. 물론, 공압머슬(43)은 지름에 비례하여 수축력을 가지므로 작업환경에 따라 적절한 지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비너(45)는 통상적으로 체결되는 후크, 고리 등에서 선택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40 includes a rope 4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portion 25, a pneumatic muscle 4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41 and contracted by pneumatic pressure, And a beaner (45) coupled to bind the ropes (41) on both sides. The rope 41 is preferably made of a high-strength wire rope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he pneumatic muscle 43 is a structure in which a rubber net is surrounded by a highly rigid plastic netting, which smoothly operates and is easy to control. When pneumat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pneumatic muscle 43, the action is contracted, and when the pneumatic pressure is released, the action is relaxed. Of course, since the pneumatic muscle 43 has a contractive force in proportion to the diameter,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diameter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e beaners 45 can be selected from hooks, rings, and the like that are typically fastened.

또한,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40)는 로프(4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50)를 더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기 길이조절부(50)는 장착부(25)에 결합된 로프(41)의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행거(10)간의 이격거리가 멀 거나 곡부에 로봇유닛(20)을 설치할 경우 양측에서 발생하는 길이 차이를 제거하여 균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길이조절부(50)는 로프(41)를 " N " 형태로 묶어서 고정이 가능한 클립 등의 클램핑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detailed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ion 40 further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ortion 5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41. The length adjuster 5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rope 41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25 so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hanger 10 is large or the robot unit 20 is installed in the curved portion, Eliminate the difference in length to ensure balanced support. The length adjuster 50 may use a clamping material such as a clip that can be fixed by tying the rope 41 in an "N" shape.

사용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의 이웃하는 행거(10) 사이에 로봇유닛(20)의 장착부(25)를 결합하거나 상치하고, 장착부(25)의 양측에 마련된 로프(41)를 행거(10)의 하부면을 지나도록 한 다음 비너(45)로 상호 결속한다. 만일, 케이블 트레이(1)의 곡부에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3(b)처럼 장착부(25)에 고정된 조임체(28)를 해제하여 제2 장착부(27)를 필요한 길이와 각도로 조절한 후에 조임체(28)를 조인다. 이어서 로프(41)를 당기고 비너(45)를 결속하는 과정은 동일하다.2, the mounting portion 25 of the robot unit 20 is joined or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hanger 10 of the tray 1, and the rope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25 (41) to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anger (10), and then bond them to each other with a bin (45). 3 (b), the fastening body 28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25 is released to adjust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7 to a required length and angle Tighten the tightening body 28 later. Then, the process of pulling the rope 41 and binding the bean 45 is the sam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1)의 직선부나 곡부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포설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a stable support state regardless of the straight portion or the curved portion of the cable tray 1, the convenience of the installation work is improved.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트레이 10: 행거
20: 로봇유닛 21: 본체
25: 장착부 26: 제1 장착부
27: 제2 장착부 28: 조임체
30: 그리퍼 40: 고정부
41: 로프 43: 공압머슬
45: 비너 50: 길이조절부
1: Tray 10: Hanger
20: robot unit 21:
25: mounting part 26: first mounting part
27: second mounting portion 28: tightening body
30: gripper 40:
41: Rope 43: Pneumatic Muscle
45: Beeper 50: Length adjuster

Claims (5)

케이블 트레이(1)의 행거(10)에 장착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에 있어서;
케이블을 일정 간격 단위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행거(10) 상에 장착되는 로봇유닛(20);
상기 행거(10) 상에 로봇유닛(20)을 지지하는 장착부(25); 및
상기 장착부(25)에 연결되어 상기 로봇유닛(20)의 이탈이나 흔들림을 공압에 의해 방지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40)는 장착부(25)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로프(41), 상기 로프(41)의 일단에 연결되고 공압에 의해 수축하는 공압머슬(43), 양측의 로프(41)를 결속하도록 결합되는 비너(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1. A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a pneumatic tool mounted on a hanger (10) of a cable tray (1), the tray clamp comprising:
A robot unit (20) mounted on the hanger (10) so as to feed the cable at regular intervals;
A mounting part (25) for supporting the robot unit (20) on the hanger (10); And
And a fixing part (40) connected to the mounting part (25) to prevent the robot unit (20)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by pneumatic pressure,
The fixing portion 40 includes a rope 4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portion 25, a pneumatic muscle 4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41 and contracted by pneumatic pressure, And a beaner (45) coupled to be coupled to the tray clamp.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25)는 본체(21)와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장착부(26)와, 상기 제1 장착부(26)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장착부(2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25 furth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26 coupled to the main body 21 at both ends thereof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27 connect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26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Features tray clamp for automatic wire laying using pneumatic too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25)는 제1 장착부(26)와 제2 장착부(27)가 길이변동이 가능하도록 장공홈과 조임체(28)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ttachment portion (25) is connected to the first attachment portion (26) and the second attachment portion (27) through a long hole groove and a tightening body (28) Clamp for tra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로프(41)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머슬을 사용한 자동 전선포설용 트레이 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art (40) further comprises a length adjusting part (50)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41).

KR1020140004144A 2014-01-13 2014-01-13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KR101538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44A KR101538931B1 (en) 2014-01-13 2014-01-13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44A KR101538931B1 (en) 2014-01-13 2014-01-13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290A KR20150084290A (en) 2015-07-22
KR101538931B1 true KR101538931B1 (en) 2015-07-23

Family

ID=5387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144A KR101538931B1 (en) 2014-01-13 2014-01-13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93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11B1 (en)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Fixing mechanism for processing distribution line that can be securely fixed to electric po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5609B (en) * 2019-03-12 2023-09-29 华中科技大学 Petrochemical hoisting system and hoisting method based on pneumatic artificial mus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291B1 (en) * 2009-11-16 2011-03-18 최경철 Cable traction device
KR20110004756U (en) * 2009-11-06 2011-05-13 허광학 Cable installing apparatus
KR20120055839A (en) * 2010-11-24 2012-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ble tray installation type cable pull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756U (en) * 2009-11-06 2011-05-13 허광학 Cable installing apparatus
KR101023291B1 (en) * 2009-11-16 2011-03-18 최경철 Cable traction device
KR20120055839A (en) * 2010-11-24 2012-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Cable tray installation type cable pull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11B1 (en) * 2020-09-15 2021-04-30 주식회사 대윤엔지니어링 Fixing mechanism for processing distribution line that can be securely fixed to electric po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290A (en)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6047B2 (en) Cable pulling apparatus for cable tray
KR101592964B1 (en) Method for hot line work of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CA3074779A1 (en) A tool,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 reinforcement bar structure
KR101538931B1 (en) Muscle pneumatic clamp with automatic wire laid Trays
JP5855523B2 (en) 4 conductor transmission line insulator device replacement method and replacement device used for the method
US7562550B2 (en) Cable bulb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ulbs in a cable bolt
KR102441614B1 (en) System for conveying metal sheet
US10132094B1 (en) Carpet pulling apparatus
US1017327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paring wire rope
JP2021534352A (en) Connected device
US20150267377A1 (en) Adjustable clamp and method of use
KR101451949B1 (en) Cable pulling apparatus with gripping structure
US10663087B2 (en) Power tool cable mount
US20080258003A1 (en) Fence Installation and Stretch Apparatus
KR20160045330A (en) Integrated electric wire tensioning device for electric supply
KR102076693B1 (en) Electric cable fee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651253B2 (en) Auger mounting method for pile driver and support jig for mounting and removing auger
KR101597569B1 (en) Cable installation robot for driving tray and controll method thereof
JP2016103870A (en) Wiring fitting exchange and extension tool for overhead ground wire
KR101707406B1 (en) Wiring device for pulling plural cables
KR101562820B1 (en) Control system of cable installation robot
KR20160001635U (en) Knuckle type gripper device for pulling electric cable
KR20150002789U (en) Gripper for cable
KR200487710Y1 (en) Electric cable guide apparatus using motor
JP2014066005A (en) Method of stretching wire rope in slope stabiliz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