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213B1 -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213B1
KR101538213B1 KR1020130071067A KR20130071067A KR101538213B1 KR 101538213 B1 KR101538213 B1 KR 101538213B1 KR 1020130071067 A KR1020130071067 A KR 1020130071067A KR 20130071067 A KR20130071067 A KR 20130071067A KR 101538213 B1 KR101538213 B1 KR 10153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nufacturing
holes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558A (ko
Inventor
한상언
한용구
Original Assignee
한상언
한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언, 한용구 filed Critical 한상언
Priority to KR102013007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21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14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 B21K1/16Making machine elements fittings parts of pipe or hose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10)(10′) 상에 통공과 통형부(16)(16a)(16b)(16c)를 지닌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형의 금속판재(S)를 전처리금형(20)에 투입하여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로 형성하고, 제1차 가공물(S-1) 상에 관통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을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의 하부에 하부환봉(38)이 삽설된 상태로 고정하고, 상부통공(11a)(11b)의 방향으로부터 제1 가공금형(30)을 가압하여 삼각부(13)와 통형부(16)가 개재되는 제2차 가공물(S-2)를 형성하는 제1차 금형단계; 및 상기 타원형 단면의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를 제2차 가공금형(40)으로 가압하여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 양측에 오목홈(14)이 형성되면서 가압력에 의해 상부통공(11a)(11b)이 밀려 돌출되는 몸체(10)를 형성하는 제2차 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의 채묘대(採苗臺)와 건조대 및 난간대 등의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제조해 냄과 아울러 주요 부재의 연결부분을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 압착가공을 위주로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및 조립성 등을 크게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Combined with a variety of combinations possible aspect angle connector for pip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은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복, 굴, 토마토 등의 각종 농수산물에 사용되는 채묘대(採苗臺) 및 건조대, 그리고 각종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제조해 냄과 아울러 주요 부재의 연결부분을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 압착가공을 위주로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및 조립성 등을 크게 향상시킨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물에 사용되는 채묘대 및 명태 등을 말리는 건조대는 물론, 난간대, 보행대, 지지재 등의 각종 건축물에는 종횡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종횡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도 다양한 실정이지만 아직까지는 제조 및 조립상의 불편점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중 아래의 실시 사례에서 이러한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즉, 각종 수산물과 농산물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 중 수산물용 채묘대(採苗臺)에 관하여 적시하여 보면, 해초, 우렁쉥이, 굴 등을 양식함에 있어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지닌 채묘대가 사용되고 있지만 양식장의 해수와 파랑에 견디는 제반 물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금속 재질의 채묘대가 가장 선호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특허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0928호를 들 수 있으며, 도 1은 이러한 종래 채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0928호의 선행특허 내용을 보면, 「다수의 로프를 걸어 둔 상태로 양식하는 채묘대에 있어서: 걸이대; 상기 걸이대 상에 고정되는 상부연결관; 상기 상부연결관을 개재하여 걸이대의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하부연결관; 및 상기 하부연결관을 개재하여 상부지지대 사이를 결속하도록 연결되는 하부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내부식성 개선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하면서 간단한 구조를 기반으로 설치와 보수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채묘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연결관은 상부지지대와 하부지지대를 서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를 형성하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복잡할 뿐 아니라 조립의 깐깐함마저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높은 생산성을 기대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 다른 파이프용 연결구의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1939호를 살펴보면, 「원기둥으로 형성되는 본체부(11)와, 이 본체부(11)의 일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파여져 모재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만곡면(12)과, 상기 본체부(11)의 타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이 일체로 돌출되는 끼움부(13)와, 이 끼움부(13) 끝단부의 중심에서 상기 만곡면(12) 방향으로 파여지는 홈(14)과, 상기 본체부(11) 및 끼움부(13)의 중심부에 뚫려지는 관통구멍(1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1939의 파이프 연결구는 건물의 연결통로나 옥내/외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인데다가 한정된 각도만으로 파이프를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연결의 다양성이 부족하고 제조공정이 까다로워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 아니라 원가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부담이 커지는 폐단이 발생한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00928호 “굴 양식용 채묘대”(공개일자 : 2010. 10. 6.)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1939호 “파이프 연결구”(공개일자 : 2003. 04. 23.)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의 채묘대(採苗臺)와 건조대, 그리고 각종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제조해 냄과 아울러 주요 부재의 연결부분을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 압착가공을 위주로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및 조립성 등을 크게 향상시킨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 상에 통공과 통형부를 지닌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형의 금속판재를 전처리금형에 투입하여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로 형성하고, 제1차 가공물 상에 관통된 상부통공과 하부통공을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의 하부에 하부환봉이 삽설된 상태로 상부통공의 방향으로부터 제1 가공금형을 가압하여 삼각부와 통형부가 개재되는 제2차 가공물을 형성하되, 통형부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을 지닌 다이와, 제2차 가공물의 상부통공에 삽설하기 위한 수평상부환봉과 통형부 사이의 영역인 삼각부를 압착하면서 하부통공에 압입하는 돌부를 형성하게 밀편을 구비하는 제1차 금형단계; 및 상기 타원형 단면 또는 원형 단면의 제2차 가공물 상부를 제2차 가공금형으로 가압하여 상부통공이 돌출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제2차 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은 원형의 금속판재를 전처리금형에 투입하여 넓은 원추형 또는 원형의 제3차 가공물로 형성하고, 제3차 가공물 상에 하부통공과 돌부를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원추형으로 형성된 제3차 가공물의 하부통공 방향에서 별도의 가공금형으로 가압하여 다수 개의 통형부를 형성하면서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구조의 제3차 가공물로 형성하는 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의 채묘대(採苗臺)와 건조대, 그리고 각종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제조해 냄과 아울러 주요 부재의 연결부분을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 압착가공을 위주로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및 조립성 등을 크게 향상시킨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1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2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연결구의 구성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의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의 제1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연결구의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1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제2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몸체(10) 상에 통공과 통형부(16)를 지닌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양식용 채묘대(1)에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구 부분을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여타 분야의 금속재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종의 채묘대(採苗臺) 건조대 및 지지대, 그리고 난간대와 보행대 등과 같이 각종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지만 양식용 채묘대(1)를 일례로 선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10)의 통공과 통형부(16)는 수평부재(17)와 사선수직부재(18)를 결합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몸체(10) 상에 각각의 통형부(16)가 이루는 각도는 10∼90° 내외로 형성할 수 있으나, 채묘대의 크기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처리단계는 원형의 금속판재(S)를 전처리금형(20)에 투입하여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로 형성하고, 제1차 가공물(S-1) 상에 관통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차 가공물(S-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판재(S)를 통하여 형성하게 되는 바, 전처리금형(20)에 투입하여 원추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처리금형(20)은 원추형 또는 원형 등의 단면을 지닌 상하(또는 좌우) 한 벌의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재단된 금속재질의 판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을 형성하는데, 채묘대(1)의 경우 상부통공(11)은 진원을 유지하여 수평부재(17)가 통과하는 부분이고, 하부통공(12)은 통형부(16)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일종의 리벳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은 상술한 전처리금형(20)을 통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를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로 구성한 다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 상에 먼저 적합한 위치에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을 형성한 다음, 전처리금형(20)을 통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를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상황에 맞게끔 다양하게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차 금형단계는 상기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의 하부에 하부환봉(38)이 삽설된 상태로 고정하고, 상부통공(11a)(11b)의 방향으로부터 제1 가공금형(30)을 가압하여 삼각부(13)와 통형부(16)가 개재되는 제2차 가공물(S-2)를 형성한다. 상술한 전처리단계에서 형성된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을 수용 안착하여 하부에 통형부(16)가 구비된 제2차 가공물(S-2)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다이(32a)(32b)를 통하여 형성하게 되는 바, 이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차 금형단계의 제1 가공금형(30)은 요홈(33)을 지닌 다이(32a)(32b)와, 제2차 가공물(S-2)의 통형부(16)를 형성하기 위한 수평상부환봉(36)과, 통형부(16) 사이의 영역을 압착하면서 하부통공(12) 상에 압입하는 돌부(15)를 형성하게 밀편(3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이(32a)(32b)는 통형부(16)가 구비된 제2차 가공물(S-2)로 형성하기 위한 요홈(33)을 각각 구비하여 제2차 가공물(S-2)의 형성 시 서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요홈(33)의 중간부분에는 소성 변형 중에 상부통공(11a)(11b)을 고정하면서 치수를 유지하기 위한 수평상부환봉(36)도 설치된다. 수평상부환봉(36)은 다이(32a)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부통공(11a)(11b)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평상부환봉(36)이 고정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2차 가공물(S-2)의 통형부(16) 사이에는 삼각형 영역부가 형성되는 바, 이는 상호 압착되는 부분으로서 다이(32a)(32b)의 삼각부분(34)을 통하여 서로 압착하여 제2차 가공물(S-2) 상에 삼각부(13)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다이(31b)에 형성된 밀편(35)은 삼각부(13)를 통해 반대방향의 하부통공(12)으로 압입되어 돌부(15)를 형성하게 되고, 돌부(15)는 재차 다이(32a)의 삼각부분(34)을 통하여 리벳팅하게 된다.
그리고 이외에 제2차 가공물(S-2)의 통형부(16)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2개의 하부환봉(38)을 구비하여 제2차 가공물(S-2)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제1차 금형단계에서 다이(32a)(32b)의 요홈(33)의 세부적 형태는 반원의 구조로 예시되고 있으나 이보다 더 작은 1/4원 또는 그 이하의 구조로 축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차 금형단계를 통하여 채묘대용 연결구의 전체적인 형태는 대체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 양측에는 다이(32a)(32b)의 요홈(33)을 통하여 압착 형성된 원형의 평점부(14a)가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차 금형단계는 상기 타원형 또는 원형 단면의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를 제2차 가공금형(40)으로 가압하여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 양측에 오목홈(14)이 형성되면서 가압력에 의해 상부통공(11a)(11b)이 밀려 돌출되는 몸체(10)를 형성한다. 상술한 제1차 금형단계에서 형성된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를 가압하는 제2차 가공금형(40)을 통하여 상부통공(11a)(11b)이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이는 제1 가공금형(30)을 통해 형성된 제1차 가공물(S-1)을 채묘대(1)의 연결구로서 사용하고, 상부통공(11a)(11b)의 형성만으로는 수평부재(17)와의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할 수는 있지만 결합면적이 좁아 지지력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제2차 가공금형(40) 단계를 통해 상부통공(11a)(11b)을 돌출시켜 고정 면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하부방향에 설치된 하부대(42)에 제2차 가공물(S-2)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에 제2차 가공금형(40)의 가압홈(41)이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부에서부터 발생된 가압력은 하부대(42)를 통해 저지됨으로써 그 가압력은 하부가 아닌 측면으로 변동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을 통하여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는 평행되게 형성되면서 상부통공(11a)(11b)은 외부방향으로 밀려나 돌출하게 됨으로 채묘대(1)의 연결구인 몸체(10)가 완성하게 된다.
이때, 제2차 가공물(S-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통공(11a)(11b)은 외부방향으로 밀려나 돌출 형성하면서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원형의 평점부(14a)를 함께 가압하여 오목홈(14)으로 변형하게 된다. 이러한 오목홈(14)의 면적은 제2차 가공금형(40)의 가압을 통해 상부통공(11a)(11b)이 외부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제2차 가공금형(40)에 형성된 가압홈(41)의 내부에는 절단부(41a)가 형성되어 제2차 가공물(S-2)를 가압 시 몸체(10)의 상부에 관통구멍(10a)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관통구멍(10a)은 완성된 몸체(10)의 상부통공(11a)(11b)에 수용되는 수평부재(17)가 용접 또는 볼트체결 등에 의해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관통구멍(10a)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 가능하다. 덧붙여 관통구멍(1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부재(17)를 몸체(10) 상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이지만, 밀려서 돌출 형성되는 상부통공(11a)(11b)을 통해 수평부재(17)를 고정 가능함으로 추가적인 고정력을 얻기 위해 관통구멍(10a)을 형성하는 것이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즉, 돌출된 상부통공(11a)(11b)을 통하여 수평부재(17)와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게 되는 바,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는 용접도 가능하지만 용접뿐만 아니라 금속판재(S)의 두께를 어느 정도 유지하여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방식을 채택하여도 무방하다.
결국 본 발명은 전처리금형(20), 제1 가공금형(30), 제2차 가공금형단계(40)을 사용한 소성가공에 의하여 마무리되며 제조 시 상당한 용접공정을 배제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조립의 완성도도 크게 높일 수 있다. 더구나 프레스 압축가공공정에 의하여 품질 안정성은 물론, 조직의 치밀도가 증대하여 내구성도 크게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연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때, 전술한 제조방법을 통하여 전처리단계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통공(12)이 구비되는 제1차 가공물(S-1)을 형성한 뒤, 제1차 금형단계의 제1 가공금형(30)을 통해 삼각부(13) 및 통형부(16)가 구비되는 제2차 가공물(S-2)을 형성하며, 제2차 가공물(S-2)를 제2차 금형단계의 제2차 가공금형(40)을 통해 평점부(14a)를 함께 가압하여 오목홈(14)을 형성하면서 상부통공(11a)(11b)이 돌출되는 몸체(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몸체(10)에는 수평부재(17)와 사선수직부재(18)를 결합하여 하나의 채묘대(1)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선수직부재(18)를 몸체(10)와 결합시킬 경우 용접공(41)의 용접을 통해 고정 부착할 수도 있고, 볼트 체결로도 고정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의 전처리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의 제1차 금형단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연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전술한 도 2~5의 제조방법과 도 6~8의 또 다른 제조방법 차이는 도 6~8의 경우에는 도 4a 및 도 4b의 제2차 가공금형(40) 과정을 생략하고 도 6의 금형단계에서 형성된 제3차 가공물(S-3)을 도 8의 예시에서 보는 바처럼 완성시킨 뒤 바로 사선수직부재(18)와 중심수직부재(19)를 몸체(10′)에 결합하여 하나의 채묘대(1′)를 완성할 수 있다는 점인데 상술한다.
도 6a 및 도 6b의 또 다른 제조방법에 따른 전처리단계는 원형의 금속판재(S)를 하부가 넓은 전처리금형(20a)에 투입하여 넓은 원추형의 제3차 가공물(S-3)로 형성하고, 제3차 가공물(S-3) 상에 하부통공(12)과 돌부(15)를 여러 개 형성한다. 이러한 제3차 가공물(S-3)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판재(S)를 통하여 형성하게 되는 바, 전처리금형(20a)에 투입하여 넓은 원추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전처리금형(20a)은 원추형 단면을 지닌 상하 한 벌의 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10′)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재단된 금속재질의 판재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전처리단계에서 하부통공(12)과 돌부(15)를 형성하는데, 채묘대(1′)의 경우 하부통공(12)과 돌부(15)는 통형부(16a)(16b)(16c)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것처럼 일종의 리벳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하부통공(12)은 상술한 전처리금형(20a)을 통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를 넓은 원추형의 제3차 가공물(S-3)로 구성한 다음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 상에 먼저 적합한 위치에 하부통공(12)과 돌부(15)를 형성한 다음, 전처리금형(20a)을 통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의 금속판재(S)를 원추형의 제3차 가공물(S-3)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것은 상황에 맞게끔 다양하게 설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7의 또 다른 제조방법에 따른 금형단계는 상기 원추형 또는 타원형의 제3차 가공물(S-3)을 제2 가공금형(31)에 넣은 뒤 그 하부에 3개(또는 그 이상)의 하부환봉(38)을 삽설시켜 고정하고, 양측 다이(32a′)(32b′)를 맞물리게 압착시킴과 동시에 수직상부환봉(37) 방향으로부터 제2 가공금형(31)을 동시 가압하여 다수 개의 삼각부(13a)(13b)와 통형부(16a)(16b)(16c)가 생성되는 제3차 가공물(S-3)을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 생성된 연결구의 구성도이다.
즉, 도 6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전처리단계로 하부통공(12)과 돌부(15)가 구비되는 제3차 가공물(S-3)을 형성한 뒤, 금형단계의 제2 가공금형(31)을 통해 다수 개의 삼각부(13a)(13b)와 통형부(16a)(16b)(16c)가 구비되는 제3차 가공물(S-3)을 형성하는데, 이 때 중심수직부재(19)는 부호 16b의 통형부를 관통하며, 양측 사선수직부재(18)는 나머지 통형부(16a)(16c)에 삽설되어 하나의 채묘대(1′)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부(16a)(16b)(16c)의 일 측에 형성된 용접공(41)을 통해 몸체(10′)와 사선수직부재(18) 및 중심수직부재(19)를 고정 부착할 수도 있고, 볼트 체결로도 고정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양식용 채묘대(1)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농산물용 채묘대 및 명태와 오징어 등을 말리는 각종 건조대, 그리고 난간대, 보행대, 지지대 등의 각종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로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의 채묘대(採苗臺)와 건조대 및 건축용 등지에 사용되고 있는 종(縱)과 횡(橫)의 파이프를 다양한 각도로 조합하고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구를 제조해 냄과 아울러 주요 부재의 연결부분을 형성함에 있어 프레스 압착가공을 위주로 하여 내구성과 생산성 및 조립성 등을 크게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1′: 채묘대 10, 10′: 몸체
10a: 관통구멍 11a, 11b; 상부통공
12: 하부통공 13, 13a, 13b: 삼각부
14: 오목홈 14a: 평점부
15: 돌부 16, 16a, 16b, 16c: 통형부
17: 수평부재 18: 사선수직부재
19: 중심수직부재 20, 20a: 전처리금형
30: 제1 가공금형 31: 제2 가공금형
32a, 32a′, 32b, 32b′: 다이 33: 요홈
35: 밀편 36: 수평상부환봉
37: 수직상부환봉 38: 하부환봉
40: 제2차 가공금형 41: 용접공
S: 원형의 금속판재 S-1, S-1‘: 제1차 가공물
S-2: 제2차 가공물 S-3: 제3차 가공물

Claims (5)

  1. 몸체(10)(10′) 상에 통공과 통형부(16)를 지닌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형의 금속판재(S)를 전처리금형(20)에 투입하여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로 형성하고, 제1차 가공물(S-1)의 상부에 관통된 상부통공(11a)(11b)과 하부에 하부통공(12)을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원추형의 제1차 가공물(S-1)의 하부에 하부환봉(38)이 삽설된 상태로 상부통공(11a)(11b)의 방향으로부터 제1 가공금형(30)을 가압하여 삼각부(13)와 통형부(16)가 개재되는 제2차 가공물(S-2)을 형성하되, 통형부(16)를 형성하기 위한 요홈(33)을 지닌 다이(32a)(32b)와,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통공(11a)(11b)에 삽설하기 위한 수평상부환봉(36)과 통형부(16) 사이의 영역인 삼각부(13)를 압착하면서 하부통공(12)에 압입하는 돌부(15)를 형성하게 밀편(35)을 통해 형성하는 제1차 금형단계; 및
    상기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를 제2차 가공금형(40)으로 가압하여 제2차 가공물(S-2)의 상부 양측에 오목홈(14)이 형성되면서 가압력에 의해 상부통공(11a)(11b)이 밀려 돌출되는 몸체(10)를 형성하는 제2차 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몸체(10)(10′) 상에 통공과 통형부(16a)(16b)(16c)를 지닌 연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형의 금속판재(S)를 전처리금형(20a)에 투입하여 원추형의 제3차 가공물(S-3)로 형성하고, 제3차 가공물(S-3) 상에 하부통공(12)과 돌부(15)를 형성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제3차 가공물(S-3)을 제2 가공금형(31)에 넣은 뒤 그 하부에 다수 개의 하부환봉(38)을 삽설시켜 고정하고, 양측 다이(32a′)(32b′)를 맞물리게 압착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수직상부환봉(37) 방향으로부터 제2 가공금형(31)을 동시 가압하여 다수 개의 삼각부(13a)(13b)와 통형부(16a)(16b)(16c)를 형성하는 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30071067A 2013-06-20 2013-06-20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KR10153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67A KR101538213B1 (ko) 2013-06-20 2013-06-20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67A KR101538213B1 (ko) 2013-06-20 2013-06-20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58A KR20140147558A (ko) 2014-12-30
KR101538213B1 true KR101538213B1 (ko) 2015-07-23

Family

ID=5267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067A KR101538213B1 (ko) 2013-06-20 2013-06-20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3Y2 (ja) * 1990-12-24 1995-01-25 株式会社オスガーマシン パイプ端末加工装置
KR20020096175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대호기공 이음관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00928A (ko) *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KR101029220B1 (ko) * 2010-10-06 2011-04-14 주식회사 신일 업셋터 장비내에서 길이가 긴 요크샤프트의 요크부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는 단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3Y2 (ja) * 1990-12-24 1995-01-25 株式会社オスガーマシン パイプ端末加工装置
KR20020096175A (ko) *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대호기공 이음관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00928A (ko) * 2008-06-26 2010-01-06 김용원 굴 양식용 채묘대
KR101029220B1 (ko) * 2010-10-06 2011-04-14 주식회사 신일 업셋터 장비내에서 길이가 긴 요크샤프트의 요크부를 한번에 성형할 수 있는 단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558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744B2 (en) Clamp for interconnecting orthogonally oriented pipes
US20160051044A1 (en) Shelving brace
KR101396229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장치
KR101538213B1 (ko)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CN110005060A (zh) 木结构钢榫连接件
CN203050082U (zh) 一种斜楔式紧固管件连接装置
CN205935630U (zh) 一种脚手架用轮扣式连接装置
KR200473592Y1 (ko) 화이트보드 스탠드
CN110253205A (zh) 树形结构管子焊接防变形装置及定位方法
CN205822471U (zh) 木桁架节点‑檩条组合连接件
RU2015139544A (ru) Фланцевый зажим для балок, соединение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балки с фланцевым зажимом для балок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соедин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й балки
CN104358406A (zh) 脚手架安装结构
CN216041691U (zh) 一种用于钢结构网架的球节点高强度螺栓
CN209892580U (zh) 隐藏式快速卡接结构
CN204059909U (zh) 带避让结构的水平桁架
CN204252518U (zh) 脚手架安装结构
CN104631813A (zh) 一种无铆钉铆接钢踏板及其加工方法
KR20140147572A (ko) 다양한 각도조합과 결합이 가능한 종횡 파이프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연결구
CN211052977U (zh) 一种焊接夹紧工装
JP5348972B2 (ja) 仮設足場用筋交
JP5856602B2 (ja) 骨格用自在継ぎ手
CN204492028U (zh) 一种建筑用金属支架连接构件
CN203863287U (zh) 一种锅筒中心架结构
CN212763101U (zh) 一种工艺品加工用柔性夹具
CN211370955U (zh) 一种汽车钣金件用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