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18B1 -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 Google Patents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18B1
KR101538118B1 KR1020130045185A KR20130045185A KR101538118B1 KR 101538118 B1 KR101538118 B1 KR 101538118B1 KR 1020130045185 A KR1020130045185 A KR 1020130045185A KR 20130045185 A KR20130045185 A KR 20130045185A KR 101538118 B1 KR101538118 B1 KR 101538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voice
response
impaired person
over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917A (ko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한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윤 filed Critical 한상윤
Priority to KR102013004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18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언어장애 극복장치는 몸체와, 몸체에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접근 거리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와, 언어 장애자의 입력된 음성 또는 녹음된 음성과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몸체에는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비추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반사체가 설치된다.
언어장애 극복방법은 언어 장애자가 제1설정 구역에 접근하여 벗어날 때까지 1차로 음성방송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1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와, 언어 장애자가 더 근접한 제2설정 구역에 접근 시에 2차로 음성 방송을 출력하는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와,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의 음성방송에 대해 언어 장애자가 응답 시에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켜 주의를 환기시키는 주의 환기 단계와, 주의 환기 단계에서 질의와 응답을 계속하면서 반응 응답속도의 향상에 따라 음성방송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키고 단어량을 증가시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키는 반응 응답속도 증가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신호와 현재 언어 발달 능력(언어 극복)을 단계별로 비교하고, 비교한 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며, 언어 장애자가 방송된 음성에 대한 소리 응답시에 언어 장애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키므로써, 설정구역에 접근한 언어 장애자가 음성방송에 반응하면서 반복적으로 음성을 주입하여 흥미와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언어 장애자들이 습관적으로 사용하여 정상적 언어 구상 능력을 향상하여 언어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Apparatus for language disorder therapy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구역에 접근한 장애자가 음성방송에 반응하면서 반복적으로 음성을 주입하여 스스로 언어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언어 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말을 더듬는 등의 발달성 언어장애는 두뇌의 발달(특히, 언어중추 부위)이 미성숙해서 뚜렷한 구조적인 병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또래의 타 아동들에 비하여 언어발달이 늦은 경우이다. 적절한 대화소통 기술(pragmatic skill)은 아동의 환경에서 언어적인 자극이 충분해야 정상적으로 발달한다. 유전적인 요인도 일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발달성 언어장애는 혼합형 수용-표현 언어장애와, 표현성 언어장애가 있다.
혼합형 수용-표현 언어장애는 또래의 정상 아동에 비하여 수용언어나 표현 언어 수준이 모두 떨어지는 경우이다. 만 3세 이전의 아동이 혼합형 수용-표현 언어장애가 있을 때, 수용 언어가 떨어짐으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사회성이나 인지기능의 발달이 뒤떨어져서 마치 자폐아와 유사하게 보여 흔히 혼동이 되기도 한다. 자폐증이 아니라 혼합형 수용-표현 언어장애(mixed receptive-expressive disorder)로 진단된 경우에는 늦어도 만 36개월경에는 체계적인 언어치료를 받아야 하며, 사회성의 결핍이 동반되므로 치료 초기에는 사회성 발달 훈련을 같이 받는 것이 좋다. 또한, 놀이방이나 유치원에서 정상 아동들과 어울리는 것이 장애 아동에게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유형의 언어장애가 있는 아동은 공격적인 행동이나 떼쓰는 모습이 심하므로 부모교육을 통하여 적절한 행동 수정요법을 시행해야 한다.
표현성 언어장애(expressive language disorder)는 수용언어나 사회성은 정상범주에 속할 정도로 양호하지만, 표현언어의 수준이 또래에 비하여 떨어지는 경우이다. 흔히 말하는 "단순히 말이 늦다고 간주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장애가 있을 때는 특별한 치료없이, 유치원에 보내면서 언어발달을 기다린다.
혼합형 수용-표현 언어장애의 경우는, 초기부터 적극적인 언어치료나 사회성 발달 훈련이 필요하므로, 소아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철저한 교육과 치료에 대한 조언을 들어야 한다.
종래 발달성 언어장애 치료 및 교육방법은 접근성의 부족, 대기시간의 증가로 인한 치료시기의 지연, 전문가와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치료결과에 대한 즉각적 피드백이 어려우며, 전문적인 평가 및 조언이 부족하였다.
또한,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에 대한 언어교육이 필요하지만 대부분 전문기관의 방문을 통해서만 가능한 상황이고, 매년 장애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이에 비례하여 복지시설 및 치료/교육기관이 현저히 부족하고, 이와 같이 부족한 치료/교육 기관으로 인해 치료/교육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우려되며, 치료/교육 대기시간의 증가로 인해 치료/교육 시기가 지연되거나 치료/교육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등록번호 제10-1133822호에서는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솔루션을 통해 시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함으로써 접근성 및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지만, 가정에서 유아들에게 흥미를 유발시켜 반복적 습관적으로 사용하거나 스스로 언어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언어장애 극복 장치로서 실효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구역에 접근한 장애자가 음성방송에 반응하면서 반복적으로 음성을 주입하여 흥미와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언어 장애자들이 습관적으로 사용하여 정상적 언어 구상 능력을 향상하여 언어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언어장애 극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는 몸체와, 몸체에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접근 거리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부와, 언어 장애자의 입력된 음성 또는 녹음된 음성과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몸체에는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비추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반사체가 설치된다.
음성 출력부의 음성에 반응하는 언어 장애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주의 환기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은 몸체와 센서와 제어부와 음성 입력부와 저장부와 음성 출력부와 주의 환기부를 포함하는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으로서, 언어 장애자가 몸체에 접근하는 구역을 다수 단계로 설정하는 한편 언어 극복 단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언어 장애자가 제1설정 구역에 접근하여 벗어날 때까지 1차로 음성방송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1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와, 언어 장애자가 더 근접한 제2설정 구역에 접근 시에 2차로 음성 방송을 출력하는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와,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의 음성방송에 대해 언어 장애자가 응답 시에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켜 주의를 환기시키는 주의 환기 단계와, 주의 환기 단계에서 질의와 응답을 계속하면서 반응 응답속도의 향상에 따라 음성방송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키고 단어량을 증가시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키는 반응 응답속도 증가 단계를 포함한다.
주의 환기 단계는 2차 음성방송에 대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반응 응답의 소리값과 설정된 언어 극복 단계의 소리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소리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비교된 소리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음성방송에 따라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키는 한편 질의 음성 방송을 계속하여 주의를 환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 방법에 의하면,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신호와 현재 언어 발달 능력(언어 극복)을 단계별로 비교하고, 비교한 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며, 언어 장애자가 방송된 음성에 대한 소리 응답시에 언어 장애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키므로써, 설정구역에 접근한 언어 장애자가 음성방송에 반응하면서 반복적으로 음성을 주입하여 흥미와 주의를 환기시키므로 일반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언어 장애자들이 습관적으로 사용하여 정상적 언어 구상 능력을 향상하여 언어장애를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치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입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100)는 몸체(110)와 조작부(120)와 센서(130)와 제어부(140)와 음성 입력부(150)와 저장부(160)와 음성 출력부(170)와 반사체(180)와 주의 환기부(19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제어부(140)와 저장부(160)가 내장되는 케이스이며, 그 표면에 접하여 조작부(120)와 센서(130)와 음성 입력부(150)와 음성 출력부(170)가 설치된다.
조작부(120)는 언어 장애자 또는 지도자가 언어 장애 극복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 또는 다이얼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리모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센서(130)는 몸체(110)에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접근 거리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감지하는 센서로서,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의 상측이나 반사체(180) 하측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센서(130)는 하나의 센서가 언어 장애자를 접근 거리에 따라 복수의 단계로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130)의 감지에 따라 작동하여 언어장애 극복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조작부(120)와 센서(130)와 음성 입력부(150)의 입력신호를 받아 저장부(160)에 저장하거나, 입력신호와 저장데이터를 음성 출력부(170)와 주의 환기부(190)를 통해 출력하며,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된 제어회로이다.
음성 입력부(150)는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로서, 언어 장애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저장부(160)는 언어 장애자의 입력된 음성 또는 녹음된 음성과 데이터 및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_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_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_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70)는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이다.
반사체(180)는 몸체(110)에 접근하는 언어 장애자를 비추어 주의를 환기시키는 부분으로서, 몸체(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거울 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0)에 커버나 도어식으로 열고 닫으며 접히게 구성될 수 있다.
주의 환기부(190)는 음성 출력부(170)에서 출력되는 음성에 반응하는 언어 장애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부분으로서, 조명 표시부(191)나 캐릭터 표시부(192) 등으로 이루어진다. 반사체(180)도 주의 환기부(19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조명 표시부(191)는 반사체(180)의 상측에 설치되며 LED 등의 발광소자 등에 의한 조명장치로 이루어진다. 캐릭터 표시부(192)는 몸체(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캐릭터 입술 모양의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주의 환기부(190)는 몸체(110)와 반사체(180)에 결합되거나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100)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치 극복장치(100)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언어장애 극복장치(100)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으로서, 설정단계(S10)와 1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20)와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30)와 주의 환기 단계(S40)와 반응 응답속도 증가 단계(S50)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설정 단계(S10)는 언어 장애자가 몸체(110)에 접근하는 구역을 다수 단계로 설정하는 한편 언어 극복(치료) 단계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1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20)는 언어 장애자가 제1설정 구역(접근 구역)에 접근하여 벗어날 때까지 1차로 음성방송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단계로서, 설정된 구역 내에 언어 장애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언어 장애자가 설정된 구역 내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설정 단계(S10)에서 설정된 구역 단계와 비교하는 단계(S22)와, 언어 장애자가 접근한 영역이 설정된 구역 단계와 일치하면 1차로 녹음된 음성방송을 출력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1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20)에서는 동물소리, 자연소리 등을 짧은 소리로 출력한다.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30)는 언어 장애자가 몸체(110)에 더 근접한 제2설정 구역(최단 근접 구역)에 접근 시에 2차로 음성 방송을 출력하는 단계로서, 언어 장애자가 설정된 구역에서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와, 언어 장애자가 제2설정 구역(최단 근접 구역)으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와, 언어 장애자가 제2설정 구역 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2차로 음성방송을 출력하는 단계(S33)를 포함한다.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30)에서는 음악 또는 일반 대화 등을 출력한다.
주의 환기 단계(S40)는 2차 음성방송 출력 단계(S30)의 음성방송에 대해 언어 장애자가 응답 시에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켜 주의를 환기시키는 단계로서, 2차 음성방송에 대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1)와, 상기 반응 응답의 소리값과 설정된 언어 극복(치료) 단계의 소리값을 비교하는 단계(S42)와, 상기 비교된 소리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는 단계(S43)와, 출력된 음성방송에 따라 주의 환기부(190)를 작동시키는 한편 질의 음성 방송을 계속하여 주의를 환기하는 단계(S44)를 포함한다. 주의 환기 단계(S40)에서는 조명 표시부(191)를 통해 LED 조명의 반짝임을 나타내거나 캐릭터 표시부(192)를 통해 캐릭터 입술모양의 움직임 등을 나타낸다. 이때, 언어 장애자는 캐릭터 표시부(192)에 표시되는 캐릭터의 입술모양 등을 보면서 흉내를 내게 된다.
반응 응답속도 증가단계(S50)는 주의 환기 단계(S40)에서 질의와 응답을 계속하면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로서, 질의에 대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1)와, 반응 응답속도의 향상에 따라 음성방송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키고 단어량을 증가시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S5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언어장애 극복장치(100)와 도 4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의 각 단계를 연속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언어장애 극복장치(100)의 조작부(120)를 통해 언어 장애자의 접근 거리에 따른 접근 구역을 제1설정 구역(접근 구역)과 제2설정 구역(최단 근접 구역)으로 2단계로 설정함과 동시에 세분화된 언어 극복 단계(언어 발달 능력을 치료 단계로 분류한 단계)를 설정하고(S10), 언어 장애 극복장치(100)의 동작 스위치(조작부)를 작동시킨다.
언어 장애자가 몸체(110)에 접근하면 센서(130)에 의해 접근 거리가 감지되어 설정된 구역 내에 언어 장애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1), 설정 구역 내에 들어왔다고 판단되면 설정 단계(S10)에서 설정된 설정 구역(접근 구역)과 비교하고(S22), 장애자가 접근한 영역이 설정된 제1 설정 구역과 일치하면 녹음된 음성방송(자연소리, 동물소리)을 1차로 음성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S23). 언어 장애자가 설정 구역 내에 들어오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언어장애 극복장치(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 언어 장애자가 설정된 구역에서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 설정 구역에서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언어장애 극복장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언어 장애자가 설정구역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언어 장애자가 제2설정 구역(최단 근접 구역)으로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언어 장애자가 제2설정 구역 내로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2차로 음성방송(음악, 일반대화)을 출력한다(S33). 언어 장애자가 제2 설정 구역으로 접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1 단계로 리턴한다.
다음에, 2차 음성방송에 대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음성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반응 응답의 소리값과 설정된 언어 극복(치료) 단계의 소리값을 비교하고(S42), 비교된 소리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며(S43), 출력된 음성방송에 따라 조명 표시부(191)를 통해 LED 조명의 반짝임을 나타내거나 캐릭터 표시부(192)를 통해 캐릭터 입술모양의 움직임을 나타내어 언어 장애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한편 질의 음성 방송을 계속하여 주의를 환기한다(S44).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1 단계로 리턴한다.
다음에, 질의에 대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1).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반응 응답속도의 향상에 따라 음성방송의 출력 속도를 증가시키고 단어량을 증가시켜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킨다(S52).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31 단계로 리턴한다.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속도를 증가시킨 후(S52)에는 설정 구역 내에 언어 장애자가 있는지 계속 판단한다(S60). 설정 구역 내에 언어 장애가가 있다고 판단되면 S31단계로 리턴하고, 설정 구역 내에 언어 장애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종료하거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언어장애 극복장치 110 : 몸체
120 : 조작부 130 : 센서
140 : 제어부 150 : 음성 입력부
160 : 저장부 170 ; 음성 출력부
180 : 반사체 190 : 주의 환기부
191 : 조명 표시부 192 : 캐릭터 표시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센서와 제어부와 음성 입력부와 저장부와 음성 출력부와 주의 환기부를 포함하는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으로서,
    언어 장애자가 상기 언어장애 극복장치에 접근하는 구역을 제1설정구역 및 제2설정구역으로 구획하는 설정단계;
    상기 언어 장애자가 상기 제1설정구역에 위치 시, 동물소리 또는 자연의 소리 중 하나에 대한 단음을 출력하는 1차 음성방송 출력단계;
    상기 언어 장애자가 상기 제2설정구역에 진입 시, 음악 또는 일반 회화에 대한 음성을 출력하는 2차 음성방송 출력단계;
    상기 2차 음성방송 출력단계의 음성방송에 대해 상기 언어 장애자가 응답 시, 상기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키는 주의 환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의 환기단계는,
    상기 2차 음성방송 출력단계의 음성방송에 대한 답변이 나올때까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주의 환기 단계는 상기 2차 음성방송에 대한 상기 언어 장애자의 반응 응답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반응 응답의 소리값과 설정된 상기 언어 극복 단계의 소리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소리값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비교된 소리값에 상응하는 음성방송을 출력하는 단계와,
    출력된 상기 음성방송에 따라 상기 주의 환기부를 작동시키는 한편 질의 음성 방송을 계속하여 주의를 환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장애 극복장치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KR1020130045185A 2013-04-24 2013-04-24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KR101538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85A KR101538118B1 (ko) 2013-04-24 2013-04-24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85A KR101538118B1 (ko) 2013-04-24 2013-04-24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17A KR20140126917A (ko) 2014-11-03
KR101538118B1 true KR101538118B1 (ko) 2015-07-22

Family

ID=5245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185A KR101538118B1 (ko) 2013-04-24 2013-04-24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973A (ko)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인터포름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과 AI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중도· 중복장애 아동의 뇌· 인지 발달과정과 의사소통 교육에 필요한 언어학습 시스템 디바이스 및 실전 체험형 언어와 상황 학습 MR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50A1 (ko) * 2015-04-29 2016-11-03 (주)코어테크놀로지 중복장애인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비주얼 학습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956A (ko) * 2000-06-28 2002-01-16 박규진 골도청각을 이용한 농아용 언어학습장치 및언어학습방법과 저장매체
KR20030081279A (ko) * 2003-09-26 2003-10-17 박흥서 목소리 또는 음성 녹음 및 자동 재생 장치
KR20080040958A (ko) * 2006-11-06 2008-05-09 임하철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시스템
JP2009538441A (ja) * 2006-05-22 2009-1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構音障害の話者をトレーニング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956A (ko) * 2000-06-28 2002-01-16 박규진 골도청각을 이용한 농아용 언어학습장치 및언어학습방법과 저장매체
KR20030081279A (ko) * 2003-09-26 2003-10-17 박흥서 목소리 또는 음성 녹음 및 자동 재생 장치
JP2009538441A (ja) * 2006-05-22 2009-11-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構音障害の話者をトレーニング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80040958A (ko) * 2006-11-06 2008-05-09 임하철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8973A (ko)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인터포름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과 AI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한 중도· 중복장애 아동의 뇌· 인지 발달과정과 의사소통 교육에 필요한 언어학습 시스템 디바이스 및 실전 체험형 언어와 상황 학습 MR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17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dda et al. Language, cognition, and deafness
US10224060B2 (en) Interactive home-appliance system, server device, interactive home appliance, method for allowing home-appliance system to interact, and nonvolatile computer-readable data recording medium encoded with program for allowing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US8175884B1 (en) Environmental condition detector with validated personalized verbal messages
Chéreau et al. Reading spoken words: Orthographic effects in auditory priming
US11576597B2 (en) Sleepiness estimating device and wakefulness inducing device
Liu et al. Monolingual and bilingual infants’ ability to use non-native tone for word learning deteriorates by the second year after birth
KR101538118B1 (ko) 언어장애 극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장애 극복방법
US20200390659A1 (en) Utilization of infant activated audio player
Andringa et al. Core effect and soundscape assessment: Fore-and background soundscape design for quality of life
KR20180052952A (ko) 음성인식기반 의사소통훈련 서비스장치 및 시스템
Dever Violence as lingua franca: Keri Hulme's the bone people
US11445704B1 (en) Sound button device
Robbins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cochlear implants
Hashiya et al. Auditory–visual intermodel matching by a chimpanzee (Pan troglodytes)
Rhoades et al. Strategies for listening, talking, and thinking in auditory-verbal therapy
Wong et 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auditory sensitivity and speech perception: An examination of pitch and lexical tone perception in 4-to 6-year-old children
Gibbons et al. One tool in the toolkit is not enough: Making the case for using multisensory approaches in aural 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reduced hearing
Rychtarikova How do blind people perceive sound and soundscape
Schery et al. Developing auditory learning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US202400716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mproved cognitive function training app
CN103386926B (zh) 一种公交车求助让座警示系统
Voisin Designing virtual soundscapes for Alzheimer's disease care
Costanzo et al. Talkitt: toward a new instrumen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Neilson Noise Is a Drug and New York Is Full of Addicts
KR100952476B1 (ko) 천정부착형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감성 자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