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001B1 - Concrete Pile - Google Patents
Concrete P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001B1 KR101538001B1 KR1020150009113A KR20150009113A KR101538001B1 KR 101538001 B1 KR101538001 B1 KR 101538001B1 KR 1020150009113 A KR1020150009113 A KR 1020150009113A KR 20150009113 A KR20150009113 A KR 20150009113A KR 101538001 B1 KR101538001 B1 KR 101538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er
- present
- file
- shaped partition
- concrete p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보강공사에 사용되며 연약지반의 깊이에 따라 두 개의 파일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 strength concrete pile used for reinforcing a soft pile and capable of effectively connecting two piles according to the depth of a soft pile.
연약지반의 지층이 두터운 지역의 보강공사에는 콘크리트 파일을 2개 내지 3개를 연결해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건설현장에서 파일 양단의 강철재 원판을 서로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with thick layers of soft ground, two or three concrete piles must be connected. Up to now, it was the method of connecting steel plates at both ends of the pile at the construction site.
그러나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하는 것은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용접인력을 투입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매우 낮다. 이러한 이유에서 파일을 용접하지 않고 현장에서 나사식으로 결합하는 여러 가지 방식이 안출되어왔다. However,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on the spot welding and the welding workforce must be supplied, which is very economical.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many ways of screwing together files in the field without welding.
그중 하나가 실용신안등록 제470424호로서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 하 파일을 각각 나사로 결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는 연결구의 목적과 기능이 상, 하위 파일을 볼트로 체결할 때 필요한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수단이다. 또한 2개의 상, 하원판을 사용하므로 재료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파일을 연결구로 나사결합해도 연결부위에는 시멘트모르타르가 전혀 투입되지 않는 공간이므로 연결 상태가 매우 취약하다. One of them i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70424,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files are connected by screws using a connecting port. In this case, the purpose and function of the connector are the means to maintain the interval required when tightening the lower files with the bolts. In addition, because of the use of two upper and lower discs, not only the material cost is high but also the connection state is very weak because the space is not filled with cement mortar at the connection part even if two files are screwed into the connection hole.
한편, 발명특허 제870859호는 연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보강테에 수 개의 수밀박스를 설치하여 수밀박스 외부에는 시멘트모르타르를 충전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얇은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강테에 기계적으로 수밀박스 크기의 사각구멍을 절삭하려면 보강테의 형상이 변형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하면 충분한 두께의 철판이 아니면 절삭작업이 불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nvention patent No. 870859 has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watertight boxes are installed in a reinforced frame without using connectors, and the cement mortar is filled in the outside of the watertight box. However, when cutting a square hole of a watertight box size mechanically in a reinforcement frame made of a thin steel plate, the shape of the reinforcement frame is inevitably deformed.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to cut without a steel plate of sufficient thickness.
설사 원가부담을 무릅쓰고 보강테를 두꺼운 철판으로 제작한다 해도 사각구멍을 하나하나 절삭하고 여러 개의 수밀박스를 일일이 용접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을 요하므로 이 발명은 이론상으로만 가능할 뿐 실현가능성은 물론 경제성이 없는 구조이다.Even if the reinforcement frame is made of a thick steel plate even if the cost burden is taken, it takes much time and manpower to cut each square hole and weld several watertight boxes one by one. Therefore, There is no economical structure.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 연결부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도를 최대한 높여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콘크리트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crete pile which is easy to fabricate a pile connecting portion and has a maximum strength so that deformation does not occur.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개의 구성요소로 거푸집 구조를 형성하여 연결부위의 절반에 모르타르가 충전되게 함으로써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하려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연결부위에 투입되는 재료의 비중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state by forming mortar with three components and filling the mortar at half of the connection part.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weight of the material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thereby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working efficiency.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공지의 콘크리트 파일이 상위파일 하단에 결합되는 연결부는 상, 하부원판과 그 사이에 꽃모양 파티션(14)이 개재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은 하부원판(11)과 꽃모양 파티션(14)은 동일하나 상부원판 대신에 거푸집역할을 하는 꽃모양 마감판(15)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본 발명은 상위파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 하부원판과, 그 사이에 개재되는 꽃모양 파티션, 보강테(16)로 구성된 콘크리트 파일에 있어서, 상기 꽃모양 파티션(14) 상부에 결합되며 꽃모양 파티션의 형상과 부합하도록 중앙부가 절삭된 원판형의 꽃모양 마감판(15)을 조립하여 내측 공간에는 시멘트모르타르가 충전되고 외측 공간에는 결합볼트(17)가 체결되게 한 구성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ile comprising upper and lower discs coupled to a lower end of an upper file and a flower-shaped parti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reinforcing frame (16) Like
꽃모양 마감판(15)과 꽃모양 파티션(14), 하부원판(11)은 동일한 두께의 철판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조립되어 거푸집 구조를 형성한다. The flower
하부원판(11)에는 결합나사공(12)과 강선체결공(13)이 교호로 천공된다. The lower
상위파일(20) 조인트캡(10)의 결합나사공(12)은 결합볼트(17)에 의하여 하위파일(30)의 결합나사공(22)과 체결된다.
본 발명은 하부원판, 꽃모양 파티션, 꽃모양 마감판의 3가지 구성요소로 거푸집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서 공정이 극히 간단하고 제작하는데 있어서 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강도가 현저히 높아서 파일을 연결했을 때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부원판은 생략되고 하부원판만으로 기능이 완성되므로 재료비가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formwork with the three components of the lower disc, flower-shaped partition, and flower-shaped finish, so that the process is extremely simple and the cost and time for manufacturing can be minimized. Also, since the strength of the joint is remarkably high, it is hardly deformed when the files are connected. In addition, since the upper plate is omitted and the function is completed by only the lower plate,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reduced.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하부 조인트캡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하부 조인트캡의 저면도
도4(A)는 도3의 A-A선 단면도
(B)는 도3의 B-B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joint cap,
3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joint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4 (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본 발명은 도1에서 보여주듯이 하위파일(30)에는 강선결합공을 겸한 결합나사공(22)만 형성되고 상위파일(20)은 결합나사공(12)과 강선체결공(13)이 교호로 형성된 하부원판(11), 꽃모양 파티션(14), 꽃모양 마감판(15), 보강테(16)가 차례로 결합되어 조인트캡(10)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위 파일(20)과 하위 파일(30)은 수 개의 결합볼트(17)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1, the
본 발명의 하부 조인트캡(10)은 상위파일(20)을 성형할 때 일체로 성형되는데, 거푸집 역할을 하면서 꽃모양 파티션의 형상과 부합하도록 중앙부가 절삭된 원판형의 꽃모양 마감판(15)은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룬다. 왜냐하면 꽃모양 마감판(15)은 하부원판(11)과 꽃모양 파티션(14)과 더불어 거푸집 구조를 형성하여 시멘트 모르타르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기 때문이다. The
상위파일(20)의 하부원판(11)에는 결합나사공(12)과 강선체결공(13)이 각각 교호로 천공되어 있는 반면, 하위파일(30)에는 강선체결공의 역할을 겸한 결합나사공(22)만 형성되어 있다. 상위파일(20)의 하부원판(11)에는 결합나사공(12)과 강선체결공(13)이 따로 형성한 것은 본 발명이 일반적인 콘크리트 파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거푸집의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생겨난 필연적인 구성이다. The upper and
꽃모양 파티션(14)은 돌출부와 함몰부가 교호로 형성되어 완만한 요철형을 이루고 있는데, 외부에서 볼 때 돌출부에는 강선(18)이 통과하고 모르타르가 충전되는 반면, 함몰부에는 하부원판(11)의 결합나사공(12)이 자리하여 결합볼트(17)에 의하여 상, 하위 파일(20)(30)이 서로 연결된다. In the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원판(11)과 꽃모양 파티션(14) 그리고 꽃모양 마감판(15)은 파일의 단면공간을 양분하는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바, 외측 공간은 결합나사공(12)이 자리하고 내측 공간은 강선(18)이 통과하고 또한 모르타르가 충전된다. As shown in FIG. 2, the lower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파일금형 전체를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내부에 시멘트모르타르를 투입한 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하여 거푸집의 안쪽 공간은 모르타르가 온전히 충전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ment mortar is injected into the mold while the entire file mold is laid horizontally by centrifugal force, and the mortar is fully charg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old by the centrifugal force.
도4는 꽃모양 파티션(14)에 의하여 구분된 연결부 공간의 단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4(A)는 결합볼트(17)에 의하여 상위 파일(20)과 하위 파일(30)이 연결된 위치의 단면도이고 도4(B)는 모르타르가 온전히 충전되고 강선(18)이 매립된 위치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두 가지 단면구조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연결부는 절반이 모르타르로 충전된 상태가 되어 파일의 결합강도가 크게 높아지게 된다.4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connection space separated by the flower-
본 발명에서 조인트캡(10)의 하부원판(11)은 강선(18)을 지지해야 하므로 12mm의 두꺼운 철판을 사용한다. 하지만 꽃모양 파티션(14)과 꽃모양 마감판(15)은 거푸집 역할만 하므로 4mm의 두께면 충분하며 보강테((16)의 두께는 1.6mm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콘크리트 파일이 상,하부 원판 2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위파일(20)과 하위파일(30)의 강선은 일직선상에 있는 것이 아니다. 즉, 도4(A)에서 상위 파일에는 강선이 없으나 하위 파일(30)에는 강선(18)이 없는데 반하여 도4(B)에서 상위파일(20)에는 강선(18)이 있으나 하위파일(30)에는 강선이 없다. As shown in FIG. 4, the strands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위파일(20)과 하위파일(30)의 강선이 일직선상에 있지 않는 것은 본 발명에서 꽃모양 마감판(15)을 채택하여 거푸집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 하위 파일의 강선이 수직 상으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는 파일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The reason why the steel wires of the
10: 조인트캡 11: 하부원판 12,22: 결합나사공
13: 강선 체결공 14: 꽃모양 파티션 15: 꽃모양 마감판
16: 보강테 17: 결합볼트 18: 강선
20: 상위파일 30: 하위파일 10: joint cap 11:
13: Steel wire fastening ball 14: Flower shaped partition 15: Flower shaped finish plate
16: reinforcement frame 17: coupling bolt 18: steel wire
20: parent file 30: child file
Claims (3)
A concrete file comprising an upper and lower original plate join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file and a flower shaped partition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ncrete file being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ower shaped partition (14) Shaped flower finishing plate 15 to fill the inner space with cement mortar and the lower circular plate 11 to have a joint or a hole 12 and a steel wire fastening hole 13 drilled alternately A concrete file characterized by.
The concrete pi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er finish panel (15), the floral partitions (14) and the lower disk (11) are assembled to form a mol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0153 | 2014-02-21 | ||
KR20140020153 | 2014-02-2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8001B1 true KR101538001B1 (en) | 2015-07-23 |
Family
ID=5387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9113A KR101538001B1 (en) | 2014-02-21 | 2015-01-20 | Concrete P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800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0545A (en)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780Y1 (en) * | 2005-10-20 | 2006-01-24 | 김인수 | Prefabricated cap for iron reinforced rod of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
KR100870859B1 (en) * | 2008-03-26 | 2008-11-27 | 이호경 | The coupling structure of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
KR20120111490A (en) * | 2011-04-01 | 2012-10-10 |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 A joint for the pile extension and pile extens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470424Y1 (en) * | 2013-04-10 | 2013-12-16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Connecting Apparatus of PHC Piles |
-
2015
- 2015-01-20 KR KR1020150009113A patent/KR10153800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6780Y1 (en) * | 2005-10-20 | 2006-01-24 | 김인수 | Prefabricated cap for iron reinforced rod of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
KR100870859B1 (en) * | 2008-03-26 | 2008-11-27 | 이호경 | The coupling structure of pretent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s |
KR20120111490A (en) * | 2011-04-01 | 2012-10-10 | 대림씨엔에스 주식회사 | A joint for the pile extension and pile extension method using the same |
KR200470424Y1 (en) * | 2013-04-10 | 2013-12-16 | (주)스마텍엔지니어링 | Connecting Apparatus of PHC Pile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0545A (en)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
KR102255423B1 (en) * | 2017-11-03 | 2021-05-24 | 주식회사 제일산기평동 |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615B1 (en) | Bas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lumn and beam | |
KR101985676B1 (en) |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3d printer | |
JP2013159929A (en) |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and raised block for use in the same | |
WO2012136174A2 (en) |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 |
CN205046669U (en) | Assemble integral concrete frame structure system and structure system is cut to frame that constitutes thereof | |
KR101538001B1 (en) | Concrete Pile | |
KR101431749B1 (en) |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 |
KR10107228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JP5394554B1 (en) | Precast concrete foundation and building foundation | |
KR101294909B1 (en) | Joint structure of building module | |
KR101612637B1 (en) | Hollow PC column for saving construction period, SRC column with the hollow PC, joint structure of SRC and 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rame of buildings | |
KR101736594B1 (en) | Connecting sturcture between column and beam | |
WO2014076716A1 (en) | A wall system of parallelepiped precast building panel | |
KR101820090B1 (en) | Structures walls for interi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16313B1 (en) | Based on top file assembly of the soft ground an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3211449U (en) | Concrete panel assembly | |
CN207048038U (en) | The double steel bar connecting structure system of precast shear wall | |
JP3129129U (en) | Foundation structure for house building. | |
KR102261341B1 (en) | Assembly type block | |
CN202416572U (en) | Longitudinal reinforcement compound connector for constructional column | |
KR101320697B1 (en) | Concrete mold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mold using concrete mold connector | |
KR20130068527A (en) | Top pile having connecting piece | |
KR101289374B1 (en) | Joint for structure | |
KR101395914B1 (en) | Concrete pile with an extended head | |
KR20170129038A (en) | Base structure for connection of column and bea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