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90B1 -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790B1
KR101537790B1 KR1020150039162A KR20150039162A KR101537790B1 KR 101537790 B1 KR101537790 B1 KR 101537790B1 KR 1020150039162 A KR1020150039162 A KR 1020150039162A KR 20150039162 A KR20150039162 A KR 20150039162A KR 101537790 B1 KR101537790 B1 KR 10153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put
unit
sound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배
박구택
김태영
Original Assignee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790B1/ko
Priority to PCT/KR2015/005632 priority patent/WO201615310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향출력부;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며, 음향입출력장치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접지단, 전원 입력단이 마련되는 접속부; 상기 음향출력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및 음향입출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입출력장치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인식하고, 상기 소음의 상쇄음을 생성하는 능동소음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능동소음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입력단이 접속부에 마련됨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고, 음향입출력장치 내부에 적재되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착용 시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접속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입출력단의 배치위치가, 표준 3극 및 4극 접속단자의 접촉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전원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표준 3극 및 4극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말기에 본 발명의 오디오입출력장치를 연결시키더라도, 오디오입출력장치를 통한 음향의 입력 및 음성의 출력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높은 호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ACTIVE NOISE CANCELLATION SOUND INPUT/OUTPUT DEVICE}
본 발명은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기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스마트기기는 이전의 단문메시지, 통화와 같은 단순화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에 그치지 않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화, 음악, TV 시청 등 다양한 컨텐츠를 감상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근래의 스마트기기 사용자들은 이어셋, 헤드셋 등의 오디오입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시끄러운 주위환경에서도 컨텐츠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주위의 소음이 과하게 발생할 경우 내용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볼륨을 높여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높은 볼륨의 청취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사용자에게 난청이 유발될 수 있으며, 높은 볼륨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은 주위 사람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2-0042218(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서 오디오입출력장치 내부에 능동소음제어(Active noise Canceling) 유닛이 주위의 소음을 입력받아, 역위상의 주파수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흘려보냄으로써, 주위의 소음이 상쇄되어 낮은 볼륨을 유지해도 명확한 청취가 가능해지는 기술을 제시한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수단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며, 별도의 배터리가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오디오입출력장치의 크기가 증가하여 휴대가 불편하고, 오디오입출력장치 내부에 배터리가 적재됨으로써 장치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여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전원공급수단 없이도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억제가 가능한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향출력부;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며, 음향입출력장치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접지단, 전원 입력단이 마련되는 접속부; 상기 음향출력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및 음향입출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입출력장치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인식하고, 상기 소음의 상쇄음을 생성하는 능동소음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전원 입력단을 통해 공급받으며, 상기 접속부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접지단, 전원 입력단은 상호 독립적인 접촉영역을 가지고, 각 접촉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어지는 순서대로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전원 입력단, 접지단, 음성신호 출력단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및 접지단은 표준 4극 접속단자 내부의 복수의 접촉핀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입력단은 표준 4극 접속단자 내부의 복수의 접촉핀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입력단은 상기 접속부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이 가지는 접촉영역의 시작지점으로부터 6.8mm ~ 9.0mm 사이에 위치하는 접촉영역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입출력 및 상기 능동소음제어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조작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외부소음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소음입력부분; 상기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좌, 우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음향신호입력부분; 및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음향신호입력부분 및 소음입력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소음입력부분으로부터 입력받은 외부소음에 역위상을 가지는 좌, 우 상쇄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좌,우 상쇄음과 상기 음향신호입력부분을 통해 입력된 좌, 우 음향신호와 더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에 전달하는 능동소음제어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능동소음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입력단이 접속부에 마련됨에 따라, 단말기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다.
둘째, 음향입출력장치 내부에 적재되는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착용 시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접속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입출력단의 배치위치가, 표준 3극 및 4극 접속단자의 접촉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전원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표준 3극 및 4극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말기에 본 발명 음향입출력장치를 연결시키더라도, 음향입출력장치를 통한 음향의 입력 및 음성의 출력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이어폰 사용에 따른 높은 호환성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에서 접속부에 배치된 복수의 입출력단의 배치 위치와 각 입출력단의 접촉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의 접속부와 표준 4극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의 접속부와 표준 3극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의 구성 >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은 음향출력부(110), 접속부(130), 회로부(140), 능동소음제어부(150) 및 조작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거나,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헤드셋 또는 이어셋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출력부(110)는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향출력부(110)는 단말기(200)의 접속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좌, 우 음향신호를 개별적으로 출력하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음향출력부(110)는 좌 음향신호와 우 음향신호를 각각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로 마련될 수 있다.
음성입력부(120)는 음성을 입력받아 생성한 음성신호를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음성입력부(12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후술할 접속부(130)의 음성신호 출력단(135)을 통해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 있다.
접속부(130)는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어, 단말기(200)와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부(130)는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음성신호 출력단(135), 접지단(134), 전원 입력단(133)으로 마련되는 5개의 접촉단이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마련된 복수의 접촉핀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은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좌 음향신호를 입력받고,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은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우 음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5개의 접촉단은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순서에 따라,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전원 입력단(133), 접지단(134), 음성신호 출력단(135)순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접촉단과 인접한 접촉단의 사이마다 절연부분(136)이 배치되어, 각 접촉단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분리시켜줄 수 있다.
또한, 전원 입력단(133)은 단말기(200)의 전원공급부(210)와 연결되어, 후술할 능동소음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30)는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부분의 전체 길이가 14.0mm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30)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의 폭(W₁)은 4.8mm,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의 폭(W₂)은 1.5mm, 전원 입력단(133)의 폭(W₃)은 1.2mm, 접지단(134)의 폭(W₄)은 2.0mm, 음성신호 출력단(135)의 폭(W)은 2.5mm로 마련되며,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과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및 접지단(134)과 음성신호 출력단(135)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분(136)의 폭(w₁, w₄)은 0.7mm,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과 전원 입력단(133) 및 전원 입력단(133)과 접지단(134) 사이에 위치한 절연부분(136)의 폭(w₂, w₃)은 0.3mm로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속부(130)는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어지는 순서대로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은 0 ~ 4.8mm,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은 5.5 ~ 7.0mm, 전원 입력단(133)은 7.3 ~ 8.5mm, 접지단(134)은 8.8 ~ 10.8mm, 음성신호 출력단(135)은 11.5 ~ 14.0mm의 구간에 독립적인 접촉영역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4.8 ~ 5.5mm, 7.0 ~ 7.3mm, 8.5 ~ 8.8mm 및 10.8 ~ 11.5mm의 구간에는 각각 절연부분(136)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단(133) 접촉영역의 배치위치는 실시하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이 가지는 접촉영역의 시작지점으로부터 6.8mm ~ 9.0mm 사이에 접촉영역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의 접속부와 표준 4극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의 접속부와 표준 3극 접속단자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접속부(130)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음성신호 출력단(135) 및 접지단(134)의 각 접촉영역은 5극으로 마련되는 접속단자의 복수의 접촉핀 뿐만 아니라, 4극 접속단자(300)의 각 접촉핀 (310, 320, 330, 340)및 3극 접속단자(400)의 각 접촉핀(410, 420, 430, 440, 450)과 접촉되는 영역을 공유함으로써,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가 접속단자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3극 및 4극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말기와 연결될 때에도, 해당 단말기를 통한 좌,우 음향신호 출력과 음성신호 입력 및 제어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되며, 도3 내지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만약, 접속부(130)가 표준 4극 접속단자(300)에 접속되는 경우, 좌 음향신호 출력 핀(310), 우 음향신호 출력 핀(320), 접지 핀(330), 음성신호 입력 핀(340)은 각각 접속부(130)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접지단(134), 음성신호 출력단(135)의 각 접촉영역과 접촉되되, 전원 입력단(133)의 접촉영역에는 접촉되지 않아, 좌 음향신호 출력 핀(310), 우 음향신호 출력 핀(320), 접지 핀(330), 음성신호 입력 핀(340)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 신호가 능동소음제어부(1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4극 음향입출력장치와 같이 음향출력부(110)를 통한 좌,우 음향신호 출력과 음성입력부(120) 및 조작제어부(160)를 통한 음성신호 및 명령신호 입력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접속부(130)가 표준 3극 접속단자(400)에 접속되는 경우, 좌 음향신호 출력 핀(410), 우 음향신호 출력 핀(420), 접지 핀(430)이 각각 접속부(130)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및 접지단(133)의 각 접촉영역에만 접촉되어, 종래의 3극 음향입출력장치와 같이 좌, 우 음향신호가 음향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접속부(130)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131), 제2 음향신호 입력단(132), 전원 입력단(133), 접지단(134), 음성신호 출력단(135)의 접촉영역이, 4극 접속단자(300)의 각 접촉핀 (310, 320, 330, 340)및 3극 접속단자(400)의 각 접촉핀(410, 420, 430, 440, 450)과 접촉되는 영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다소 상이한 위치에 접촉핀을 가지는 3극 및 4극 접속 단자의 경우에도, 각 접촉핀의 배열순서만 동일하다면, 표준 4극 접속단자(300) 및 표준 3극 접속단자(400)와 마찬가지로 호환될 수 있다.
회로부(140)은 음향출력부(100) 및 접속부(130), 그리고 후술할 능동소음제어부(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200)와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회로부(140)은 각 구성과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말기(200)로부터 접속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좌, 우 음향신호와 전원을 능동소음제어부(150)에 전달하며, 조작제어부(150)에서 발생하는 음성신호와 제어신호를 접속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
능동소음제어부(150)은 회로부(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인식하고, 소음의 상쇄음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음향신호입력부분(151), 소음입력부분(152), 능동소음제어부분(153)을 포함할 수 있다.
소음입력부분(151)은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의 좌, 우측의 외부소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소음입력부분(151)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거나 귀 속 및 귀 외부에 삽입되어 음향을 출력하는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의 구조적 특성상, 좌, 우 음향신호가 분리되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110)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사용자의 귀를 통해 전달되어지는 사용자의 좌, 우측에서 발생하는 주변소음과 동일한 소음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소음입력부분(151)은 입력된 주변 소리를 입력받는 복수의 마이크(Microphone)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생성한 전기신호는 능동소음제어부분(153)에 전송될 수 있다.
음향신호입력부분(152)은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접속부(130) 및 접속부(130)와 연결되는 회로부(140)을 경유하여 단말기(200)로부터 발생한 좌, 우 음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능동소음제어부분(153)은 소음입력부분(151)에서 입력된 외부소음에 역위상을 가지는 상쇄음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능동소음제어부분(153)은 소음입력부분(151)으로부터 입력받은 좌, 우측 상쇄음을 개별적으로 생성하고, 음향신호입력부분(152)에서 입력된 좌, 우 음향신호와 더해져, 좌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음향출력부(110)에는 좌 음향신호와 좌측 상쇄음을 전송하고 우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음향출력부(110)에는 우 음향신호와 우측 상쇄음을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능동소음제어부분(153)이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를 착용중인 사용자의 좌, 우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 해당 소음을 상쇄시키는 음을 각각 좌 음향신호와 우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향출력부(110)에 나누어 출력시킴으로써, 착용자의 귀를 기준으로 발생하는 좌, 우측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능동소음제어부분(153)은 회로부(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쇄음 생성에 필요한 전원을,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는 접속부(130)의 전원 입력단(133)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조작제어부(160)는 접속부(130)의 음성신호 출력단(135)을 통해 단말기(200)와 연결되며,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전송하고, 음성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조작제어부(160)는 단말기(200)의 음향입출력 및 접속부(130)의 전원 입력단(133)을 통한 능동소음제어부(150)의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조작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스위치가 배치되는 컨트롤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말기(200)의 동작에 따른 고유의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각 제어신호를 전송한 단말기(200)의 볼륨조절/곡 변경, 재생/통화 등의 제어가 가능해지며, 단말기(200)에 능동소음제어부(150)의 전원공급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할 경우, 단말기(200)는 접속부(130)의 전원 입력단(133)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100)의 접속부(130)를 단말기(200)의 접속단자에 삽입하고, 조작부분(151)의 조작을 통해 능동소음제어부(150)의 전원공급에 따른 제어신호를 단말기(200)에 전송하게 되면, 단말기(200)로부터 접속부(130)의 전원 입력단(133)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능동소음제어부(150)이 구동되어진다.
여기서, 소음입력부분(151)은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입력받아, 능동소음제어부분(153)에 전송하고, 능동소음제어부분은 소음입력부분(151)에서 전송된 좌, 우측 소음에 각각 대응되는 상쇄음을 생성하여, 음향신호입력부분(152)을 통해 입력된 좌 음향신호와 좌측 상쇄음, 우 음향신호와 우측 상쇄음을 각각 좌, 우측 음향출력부(110)에 나누어 전송함으로써, 주변소음이 상쇄된 음향이 출력되어질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능동소음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입력단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능동소음제어 기능을 구동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휴대가 용이하고, 단말기 내부의 전원을 이용함에 따라 별도의 전원 공급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음향입출력장치 내부에 적재되는 전원공급수단에서 발생하는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어, 착용 시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접속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입출력단의 배치위치가, 표준 3극 및 4극 접속단자 내부의 복수의 접촉핀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됨에 따라, 전원공급이 이뤄지지 않는 표준 3극 및 4극의 접속단자를 가지는 단말기에 음향입출력장치를 연결시키더라도, 음향입출력장치를 통한 음향출력 및 음성입력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단말기의 접속단자의 종류와 상관없이 높은 호환성을 갖춘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110 : 음향출력부
120 : 음성입력부
130 : 접속부
131 : 제1 음향신호 입력단
132 : 제2 음향신호 입력단
133 : 전원 입력단
134 : 접지단
135 : 음성신호 출력단
136 : 절연부분
140 : 회로부
150 : 능동소음제어부
151 : 소음입력부분
152 : 음향신호입력부분
153: 능동소음제어부분
160 : 조작제어부
200 : 단말기
210 : 전원공급부
300 : 4극 접속단자
310 : 좌 음향신호 출력 핀
320 : 우 음향신호 출력 핀
330 : 접지 핀
340 : 음성신호 입력 핀
400 : 3극 접속단자
410 : 좌 음향신호 출력 핀
420 : 우 음향신호 출력 핀
430 : 접지 핀

Claims (4)

  1.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음성입력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음향출력부;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며, 음향입출력장치와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접지단, 전원 입력단이 마련되는 접속부;
    상기 음향출력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 및 음향입출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입출력장치의 주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인식하고, 상기 소음의 상쇄음을 생성하는 능동소음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접속부의 전원 입력단을 통해 공급받으며,
    상기 접속부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접지단, 전원 입력단은 상호 독립적인 접촉영역을 가지고, 각 접촉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접속단자에 삽입되어지는 순서대로 제1 음향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전원 입력단, 접지단, 음성신호 출력단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음향 신호 입력단, 제2 음향신호 입력단, 음성신호 출력단 및 접지단은 표준 4극 접속단자 내부의 복수의 접촉핀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입력단은 표준 4극 접속단자 내부의 복수의 접촉핀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입력단은 상기 접속부의 제1 음향신호 입력단이 가지는 접촉영역의 시작지점으로부터 6.8mm ~ 9.0mm 사이에 위치하는 접촉영역을 가지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연결되고, 상기 단말기의 오디오입출력 및 상기 능동소음제어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조작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소음제어부는,
    상기 음향출력부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좌측 및 우측 외부소음을 입력받는 적어도 둘 이상의 소음입력부분;
    상기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좌, 우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음향신호입력부분; 및
    상기 회로부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음향신호입력부분 및 소음입력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소음입력부분으로부터 입력받은 외부소음에 역위상을 가지는 좌, 우 상쇄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좌,우 상쇄음과 상기 음향신호입력부분을 통해 입력된 좌, 우 음향신호와 더하여 상기 음향출력부에 전달하는 능동소음제어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KR1020150039162A 2015-03-20 2015-03-20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KR10153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62A KR101537790B1 (ko) 2015-03-20 2015-03-20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PCT/KR2015/005632 WO2016153107A1 (ko) 2015-03-20 2015-06-05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162A KR101537790B1 (ko) 2015-03-20 2015-03-20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790B1 true KR101537790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162A KR101537790B1 (ko) 2015-03-20 2015-03-20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7790B1 (ko)
WO (1) WO20161531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429B1 (ko) * 2017-11-02 2019-03-07 이진표 안전사고 예방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헤드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58B1 (ko) * 2006-11-30 2008-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부 장치의 통합 접속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8067147A (ja) * 2006-09-08 2008-03-21 Sony Corp プラグ、音声入出力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
KR20120122017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73173B1 (ko) * 2014-08-11 2014-12-17 영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4803A (ja) * 2007-05-25 2008-12-04 Kenwood Corp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20090103484A (ko) * 2008-03-28 2009-10-01 에스텍 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 셋
CN103260105B (zh) * 2013-05-08 2015-10-28 安百特半导体有限公司 一种利用电子设备的电源向anc耳机供电的方法及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67147A (ja) * 2006-09-08 2008-03-21 Sony Corp プラグ、音声入出力装置及びノイズキャンセルシステム
KR100796158B1 (ko) * 2006-11-30 2008-01-2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부 장치의 통합 접속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122017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이와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473173B1 (ko) * 2014-08-11 2014-12-17 영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ANC(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429B1 (ko) * 2017-11-02 2019-03-07 이진표 안전사고 예방 및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헤드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3107A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5497B2 (en) Earhole-wearable sound collection devic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ound collection method
US20170345408A1 (en)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Device with Hearing Aid Features
JP5944342B2 (ja) ボイスコイルチャンネル及び個別増幅テレコイルチャンネルをもつオーディオ装置
US8379872B2 (en) Talk-through listening device channel switching
CN104754436B (zh) 一种主动降噪方法以及降噪耳机
US20100284525A1 (en) Transfer of multiple microphone signals to an audio host device
US20090147982A1 (en) Headphone set and headphone cable
US20180302712A1 (en) Dual-radio gaming headset
US10827253B2 (en) Earphone having separate microphones for binaural recordings and for telephoning
JP2009141698A (ja) ヘッドセット
US20190347062A1 (en) Sound Enhancement Adapter
JP5209828B1 (ja) イヤホン
KR101045965B1 (ko) 스피커의 차등신호를 이용한 이어마이크폰의 에코현상 제거기술
KR101537790B1 (ko) 능동소음제어 음향입출력장치
JP5213584B2 (ja) 通話システム
KR101634234B1 (ko) 5극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말기
CN111372155B (zh) 一种战术耳机控制方法及战术耳机
KR101616452B1 (ko) 능동소음제어 오디오입출력장치
KR20160111744A (ko) 개별 적응 방식의 통화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통화 방법
KR101109748B1 (ko) 마이크로폰
KR101557793B1 (ko) 청진기 착탈이 가능한 이어셋
KR101616454B1 (ko) 능동소음제어 오디오입출력장치
JP2007228344A (ja) 送受話装置
KR20160033490A (ko) 4극 오디오 플러그-잭 커넥터 방식 액세서리 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CN215187290U (zh) Anc耳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