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34B1 -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 Google Patents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734B1
KR101537734B1 KR1020130154341A KR20130154341A KR101537734B1 KR 101537734 B1 KR101537734 B1 KR 101537734B1 KR 1020130154341 A KR1020130154341 A KR 1020130154341A KR 20130154341 A KR20130154341 A KR 20130154341A KR 101537734 B1 KR101537734 B1 KR 10153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concept
fitness
index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574A (ko
Inventor
박성빈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형준호
노종련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4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7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8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체력측정을 통한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분위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체력측정을 통한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에 있어서, 측정항목에 대한 체력요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단계(s100); 측정 항목에 대한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 상기 측정항목으로부터 유효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 상기 추출된 유효데이터 대한 체력요인별 백분위수 분석단계(s400);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범위 지정단계(s500);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산출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Physical fitness age evaluating method in network system and Physical fitness age evaluating device}
본 발명은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백분위수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체력측정을 통한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질병 예방 및 노화의 방지, 일상생활 능력의 향상을 비롯하여 체력 향상 및 유지를 위해 정기적인 체력 측정을 통해 개인의 신체능력 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건강과 관련한 체력은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그리고 신체구성이 해당된다. 건강관련 체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건강관련 기관 혹은 센터, 병원 등을 통해 건강관련 체력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신체적 위험도를 진단하거나 운동처방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건강관련 체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국내의 경우 국민체력실태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측정되고 그 결과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체력측정의 결과를 일반인들이 손쉽게 활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최근 센서기반의 IT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PAPS를 비롯하여 체력측정과 관련한 측정시스템이 도입되고 있고 측정 결과를 토대로 건강관련 신체적 기능, 즉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체력 평가는 하나의 지표가 아닌 체력요인별 혹은 측정항목별로 구분하여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반인과 같이 체력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 없이 한눈에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특히 성인의 경우 청소년 체력장 제도와 같은 일원화된 지표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 적합한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hysical Fitness Age, PFA)은 다양한 건강관련 체력요인들에 대한 상태를 일원화되고 정량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평가지표이다. 왜냐하면 연령의 경우, 신체적 노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체적 기능의 수준이 낮고, 연령이 낮을수록 신체적 기능의 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역연령과의 직관적인 비교를 통해 쉽게 자신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건강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이러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추정하기 위한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첫 번째는 백분위수 분석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는 측정된 데이터의 산포와 백분위수 현황을 고려한 방법으로 연령과 상관관계가 높은 인자로부터 산포를 고려한 상대적 기준 혹은 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청소년 대상의 체력장 점수 등급 기준, 국민실태조사(2011)에서 제안하는 체력등급과 같이 평가 기준치 연구 등에 활용되었다.
두 번째는 주성분 분석 및 회귀분석을 적용한 연구이다. 국내의 경우, 선행 연구에서는 성인 및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을 통해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에 필요한 요인들을 추출하고 주성분점수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식을 개발된 바 있다. 또한 비만연령 추정, 활동체력평가지표 개발, 활동체력에 대한 인자 구조 추정, 초등학생 대상 건강도 평가를 위한 체력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외의 경우 성인 및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추정식 개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해 체력 요인들을 이용한 평가지표에 대한 개발을 위해 주성분분석을 주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동향이 남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혹은 비만, 중년여성, 고령자와 같이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신체 건강한 성인남녀에 대해 많은 연령층에 대한 수렴이 가능한 모집단으로부터 평가지표를 추정한 연구는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다.
공개번호 제10-2012-0057281호는 체력나이 산출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공개번호 제10-2012-0057281호의 실시예에 따른 체력나이 산출장치는, 사용자의 배근력, 높이뛰기 측정값, 윗몸 일으키기 횟수, 악력, 신장, 좌전굴 측정값, 최대산소섭취량, 반응시간, 몸무게, 눈감고 외발서기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력나이를 산출하는 산출부; 와 상기 산출된 사용자 의 체력나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인남녀로부터 측정한 건강관련 체력요인에 대한 일반적 특징을 분석하고 백분위수 분석을 이용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통계학적으로 높은 신뢰도로 추정함으로써 건강관련 체력을 종합적이며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에 측정항목에 대한 체력요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단계(s1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 항목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s2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항목으로부터 유효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추출된 유효데이터 대한 체력요인별 백분위수를 분석하는 단계(s4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범위를 지정하는 단계(s500); 및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추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상기 백분위수가 1.00-0.01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백분위수에 대하여 연령을 치환하여 대응시키는 연령 치환단계(s610); 및 측정항목에 대한 각각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로 선정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선정단계(s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는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을 포함하고,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 이후에, 측정된 항목에 대하여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는, 20M 왕복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제자리 높이뛰기, 제자리 멀리뛰기, 악력, 좌전굴, 눈감고 외발서기의 측정항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에 이어서,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는, 각 측정항목과 연령의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有意確率)(p value)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는, 망대(望大), 망소(望小) 및 망목(望目) 특성 데이터 선정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요인별 백분위수 분석단계(s400)는, 측정된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배열하고 이를 100등분하여 데이터집합을 형성시키는 단계(s410);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따른 백분위수 순위(x%th) 부여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평가지수 범위 지정단계(s500)는, 성별차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연령범위를 최저연령-최고연령으로 설정하며, 가장 우수한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최저연령, 가장 낮은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최고연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저연령은 18-22세이고, 상기 최고연령은 60-75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에서, 양의 상관관계 조건하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1)....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백분위수)]를 적용하며, 음의 상관관계의 조건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2)....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1-백분위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역연령(CA),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및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추정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방법의 검증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는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중앙처리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산출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전술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모듈을 갖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성인남녀로부터 측정한 건강관련 체력요인에 대한 일반적 특징을 분석하고 백분위수 분석을 이용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통계학적으로 높은 신뢰도로 추정함으로써 건강관련 체력을 종합적이며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한다. 또한 스포츠 인체생리학적 모델의 구성요소인 체력요인을 중심으로하여 기초체력평가 및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유의미한 2차 데이터를 도출하고, 웹기반의 통합관리 체계 및 서비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력측정을 통한 산출방법의 순서도.
도 2는 역련령(CA)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의 차이를 산출한 표.
도 3a는 남자의 역련령(CA) 대비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의 산포도의 실시예로서 X축은 역연령(CA)이며, Y축은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이다.
도 3b는 여자의 역련령(CA) 대비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의 산포도의 실시예로서 X축은 역연령(CA)이며, Y축은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백분위수 순위(x%th),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과 역연령간(CA)의 차이를 디스플레이한 일 실시예의 예시도.
도 5a는 남자의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의 차이에 대한 정규성 검정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이며 Y축은 백분율이다.
도 5b는 남자의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의 차이에 대한 정규성 검정의 실시예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이며 Y축은 백분율이다.
도 6은 분석절차를 동일 특성을 가지는 다른 모집단에게 적용하여 유의성을 분석한 교차타당도 분석의 실시예를 나타낸 표.
도 7은 주성분 분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에 있어서,
측정항목에 대한 체력요인 데이터베이스(DB) 구축단계(s100);
측정 항목에 대한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
상기 측정항목으로부터 유효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
상기 추출된 유효데이터 대한 체력요인별 백분위수 분석단계(s400);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범위 지정단계(s500);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는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 이후에
측정된 항목에 대하여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단계(s210)는 20M왕복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제자리 높이뛰기, 제자리 멀리뛰기, 악력, 좌전굴, 눈감고 외발서기 등의 측정항목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단계(s210)는 기초체력평가 항목에 대해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검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0m 왕복달리기, 윗몸일으키기, 복부지방량, 제자리높이뛰기, 제자리 멀리뛰기 항목에서 20대 이후 기능저하가 일어나며, 30대 이후에는 악력, 50대 이후에는 좌전굴이 점진적으로 감소 후 극격히 감소한다.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단계(s210)에 이어서,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는 각 측정항목과 연령의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有意確率)(p vlaue)을 계산하여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함을 검증하게 된다. 건강관련 체력요인 별로 최소 1개 이상 대응되도록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연령과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는 망대(望大), 망소(望小) 및 망목(望目) 특성 데이터 선정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대특성은 데이터의 특성이 수치가 클수록 수준이 높아 체력이 우수함을 의미하는 측정항목(예 : 제자리멀리뛰기, 제자리높이뛰기)이며, 망소특성은 데이터의 특성이 수치가 작을수록 수준이 높아 체력이 우수함을 의미하는 측정항목(예 : 눈감고외발서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백분위수 분석을 기초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산출하기 때문에 망소, 망대 특성이 아닌 적절한 수준을 유지해야 체력이 우수함을 의미하는 망목 측정항목(예 : BMI)은 분석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체력요인별 백분위수 분석단계(s400)는
측정된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배열하고 이를 100등분하여 데이터집합을 형성시키는 단계(s410);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따른 백분위수 순위(x%th) 부여단계(s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분위수 순위(x%th)는 데이터에 대한 순위를 알기 위한 값으로 예를 들어 500명 중 상위 1%에 해당하는 값은 99%th 로 표기, 중간은 50%th, 하위 1%에 해당하는 값은 1%th로 표기한다. 백분위수 DB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표를 참조한다.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범위 지정단계(s500)는
성별차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연령범위를 최저연령-최고연령 설정하며, 가장 우수한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최저연령, 가장 낮은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최고연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최저연령은 18-22세이고, 상기 최고연령은 60-75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상기 백분위수가 1.00-0.01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백분위수에 대하여 연령을 치환하여 대응시키는 연령 치환단계(s610), 측정항목에 대한 각각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으로 선정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선정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에서, 양의 상관관계의 조건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1)....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백분위수)
상기 식 1)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700)에서, 음의 상관관계의 조건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2)....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1-백분위수)
상기 식 2)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역연령(CA),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및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연령(CA)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차이를 산출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표와, 도 3a 및 3b에 도시된 산포도를 참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남녀 모집단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는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20대의 경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가 10세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점차 그 차이가 감소한다. 40대부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과 역연령간의 차이가 미비하며 이후 역연령이 높게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백분위수 순위(x%th),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과 역연령간(CA)의 차이 등은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추정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방법의 검증단계(s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방법의 검증단계(s700)는 추정방법에 대한 유의성의 검증을 위하여 역연령(CA)와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차이에 대한 정규성을 검정할 수 있으며, 상기 검정의 판정기준은 도 8의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p값(p-value) > 0.100인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서의 실시예에서는 남녀 모집단 모두 p-value > 0.100로 나타났다.
다른 검증방법으로서 도 9의 표와 같이, 동일특성을 가지는 다른 모집단과의 t-테스트를 이용한 교차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분석하며, 상기 교차분석의 판정기준은 p값(p-value) > 0.05 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의 남녀 모집단 모두 p-value > 0.05 로 그룹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방법의 검증단계(s700)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의 추정결과와, 상기 측정 항목에 대한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S)의 결과를 비교하는 주성분 분석(PCS) 비교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역연령과의 비교 결과 실시예에서, 도 6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남녀 모집단 0.6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백분위수 결과 및 주성분 분석 결과간 비교의 경우 0.920 이상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에 나아가,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는 상기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구현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과 중앙처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입력장치, 전원장치 등을 포함하는 데스크탑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중앙처리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산출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상술한 바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모듈을 갖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관리서버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의 데이터를 보다 광범위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서버 관리자로 하여금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판단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관리서버를 적용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를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로 구성시킬 경우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Claims (15)

  1.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에 측정항목에 대한 체력요인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단계(s1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 항목에 대한 기초통계량을 산출하는 단계(s2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항목으로부터 유효데이터를 추출하는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추출된 유효데이터 대한 체력요인별 백분위수를 분석하는 단계(s400);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상기 측정항목에 대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범위를 지정하는 단계(s500); 및
    체력평가지수 산출 모듈이 데이터 특성에 따른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에 의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추정하는 단계(s600);
    를 포함하며,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상기 백분위수가 1.00-0.01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백분위수에 대하여 연령을 치환하여 대응시키는 연령 치환단계(s610); 및
    측정항목에 대한 각각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로 선정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선정단계(s6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는 평균 및 표준편차의 산출을 포함하고,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상기 기초통계량 산출단계(s200) 이후에, 측정된 항목에 대하여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는, 20M 왕복달리기, 윗몸일으키기,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제자리 높이뛰기, 제자리 멀리뛰기, 악력, 좌전굴, 눈감고 외발서기의 측정항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상기 연령대별 데이터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단계(s210)에 이어서,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령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상관분석단계(s220)는, 각 측정항목과 연령의 상관계수 및 유의확률(有意確率)(p value)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데이터 추출단계(s300)는, 망대(望大), 망소(望小) 및 망목(望目) 특성 데이터 선정단계(s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요인별 백분위수 분석단계(s400)는,
    측정된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배열하고 이를 100등분하여 데이터집합을 형성시키는 단계(s410);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에 따른 백분위수 순위(x%th) 부여단계(s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범위 지정단계(s500)는, 성별차를 고려하지 아니하고 연령범위를 최저연령-최고연령으로 설정하며, 가장 우수한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최저연령, 가장 낮은 피측정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최고연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연령은 18-22세이고, 상기 최고연령은 60-75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에서,
    양의 상관관계 조건하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1)....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백분위수)

    상기 식 1)을 적용하며,
    음의 상관관계의 조건하 상기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식은,

    식 2)....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 65-45*(1-백분위수)

    상기 식 2)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추정단계(s600)는, 역연령(CA),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PFA) 및 역연령과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에 대한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s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은, 추정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추정방법의 검증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측정을 통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11.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는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중앙처리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13. 측정된 항목을 기반으로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에 있어서,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산출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을 적용하여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모듈을 갖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배터리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장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mobi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 시스템.
  15. 삭제
KR1020130154341A 2013-12-12 2013-12-12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KR101537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41A KR101537734B1 (ko) 2013-12-12 2013-12-12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341A KR101537734B1 (ko) 2013-12-12 2013-12-12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74A KR20150068574A (ko) 2015-06-22
KR101537734B1 true KR101537734B1 (ko) 2015-07-20

Family

ID=5351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341A KR101537734B1 (ko) 2013-12-12 2013-12-12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7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474A (ja) * 1994-05-30 1995-12-05 Casio Comput Co Ltd 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3474A (ja) * 1994-05-30 1995-12-05 Casio Comput Co Ltd 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574A (ko) 201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stin et al. A comparison of statistical modeling strategies for analyzing length of stay after CABG surgery
US9891095B2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 person with a personalized advice with regard to his/her weight
King et al. A repeated measures concordance correlation coefficient
Ewald et al. Pedometer counts superior to physical activity scale for identifying health markers in older adults
KR20180064952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강정보 예측 장치 및 방법
CN103412918A (zh) 一种基于服务质量和声誉的服务信任度评估方法
CN110464303B (zh) 睡眠质量评估方法及装置
CN106682768A (zh) 一种答题分数的预测方法、系统、终端及服务器
WO20100265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health related data of patients
Chen et al. A multiple imputation approach to the analysis of interval-censored failure time data with the additive hazards model
CN110911018A (zh) 基于云计算的人体健康数据采集系统及健康监控方法
Tomaz et al. Cardiovascular fitness is associated with bias between self-reported and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CN107146160A (zh) 投保客户健康状况分析方法及服务器
CN110477920A (zh) 基于跑步机坡度和速度的次极量心肺耐力测试方法和装置
Birrell et al. Estimating trends in incidence, time-to-diagnosis and undiagnosed prevalence using a CD4-based Bayesian back-calculation
CN112768074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重疾风险预测方法及系统
JP2003067489A (ja) 検査結果データ出力システム
CN103338703A (zh) 时差综合症症状的估计装置、估计系统、估计方法及程序
KR101537734B1 (ko) 체력측정을 통한 네트워크 기반의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방법 및 노화의 개념을 반영한 체력평가지수 산출장치
Aktekin et al. Bayesian analysis of abandonment in call center operations
JP2010207272A (ja) 生体情報の評価システム及び評価方法
CN207070264U (zh) 一种心率耳机
JP2013239192A (ja) 生体情報の評価システム及び評価方法
KR101274431B1 (ko) 설문 정보를 이용한 건강 상태 판단 장치 및 방법, 건강 분류 함수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CN115565653A (zh) 一种健康体检动态排队推荐方法、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