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59B1 -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59B1
KR101537659B1 KR1020130103344A KR20130103344A KR101537659B1 KR 101537659 B1 KR101537659 B1 KR 101537659B1 KR 1020130103344 A KR1020130103344 A KR 1020130103344A KR 20130103344 A KR20130103344 A KR 20130103344A KR 101537659 B1 KR101537659 B1 KR 10153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thin
thin film
touch screen
touch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962A (ko
Inventor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오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05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24943A/ko
Application filed by 오영호 filed Critical 오영호
Publication of KR20140096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Capaci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신체(특히 손가락)나 전극팁을 구비한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이 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뿐 아니라,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대해서도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한 적층필름이되, 상면에 노출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향하여 배열된 제1도전성박막층; 및 상하면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LAMINATED FILM FOR TOUCH SCREEN, MOBILE DEVICE AND PROTECTIVE CA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신체(특히 손가락)나 전극팁을 구비한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이 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뿐 아니라,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층필름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와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특히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보호필름과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0-1093721호(등록일자 2011년12월07일)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 및 특허등록 제10-1191145호(등록일자 2012년10월09일)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용 터치 필름, 이를 적용한 터치스크린 및 휴대 단말기] 등이 있었다.
전자의 특허는 플라스틱 기재필름의 일면에 안티블록킹성 및 방오성을 구현하는 제 1 하드코팅층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기재필름의 이면에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하는 제 2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것으로, 안티블록킹성과 방오성이 우수하고 표면 경도가 높으며, 하드코팅 필름 이면의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보호용 양면 하드코팅 필름에 관한 것이다.
후자의 특허는 위치 인식을 위해 넓은 접촉면적을 요구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에서 좁은 면적의 접촉을 통해서도 접촉 위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용 터치 필름, 이를 적용한 터치스크린 및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특허는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을 보호하는 기능에 치중하거나(전자), 터치 감도를 높이는 기술(후자) 개발에 주안점을 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실제 시장에서 요구하는 긴요한 기술로는 겨울철 장갑을 낀 사용자나 직업상 등의 이류 장갑을 끼고 활동하는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터치 스크린을 조작하여 정보 입력 등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한 과제였으며,
이를 단순하게 거의 대부분 채용하는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 보호용 필름이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모바일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의 보호커버(주로 '플립 타입')의 투명 윈도우에 구현하는 경우 상품성 및 가격경쟁력까지 우수하여 새로운 시장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이와 같이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기술의 제시는 긴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의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여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본이 되는 적층필름이 베이스필름 하면에 제1도전성박막층, 구체적으로는 투명 제1도전성박막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을 도입하며, 비사용시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지 않도록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간극을 형성하는 서포트로 구성된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서포트가 부도체 소재로 구성되고, 특히 베젤 영역에 결합되며, 특히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하는 연속 서브 서포트를 구비한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범용성 있는 적용가능성을 확보하고자 연속 서브 서포트가 광폭 서포트 또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협폭 서포트로 구성된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간극 영역에 배열되고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 또는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를 더 구비한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서 적층필름이 평활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면에는 형상 유지력 보강층을 더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에 쉽게 적용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는 상하면에 부착층이 구비되어 있고, 특히 상기 상부 부착층은 접착층이고, 상기 하부 부착층은 점착층인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대량생산성에 적합하도록 상기 서포트가 투광성 미가공필름 상하면에 접착층과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고, 서포트 형상을 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이후 제1도전성박막층 또는 유지력 보강층 하면에 커팅된 서포트를 부착하여 제조된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흐름인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또는 높이)(터치센서의 감도 관련)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 터치스크린과 이격되는 제1도전성박막층의 간극을 표준화하기 어렵고, 터치스크린과 제1도전성박막층과의 이격거리가 너무 멀거나 너무 가까운 경우 터치 감각이 생소해짐은 물론 터치 입력 오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전자 플럭스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2도전성박막층을 더 도입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이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 이격 배열되고 불연속적이어서 제2공백영역을 가져 가압 터치에 의한 제1도전성박막층의 하강으로 터치스크린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플럭스가 제1도전성박막층의 하강 부위에 의하여 변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확실한 터치 입력을 위하여 제1도전성박막층에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과의 중첩부분이 비어 있는 제1공백영역을 도입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다 확실한 터치 감도 보장을 위하여 제1공백영역과 중첩되는 제2도전성박막층의 개별영역은 각 제1공백영역보다 크게 구성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부위에 따라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제2도전성박막층의 단위 크기 또는 단위 밀도가 증감되도록 구성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대해서도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한 적층필름이되,
상면에 노출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향하여 배열된 제1도전성박막층; 및
상하면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에서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부착된 탄성층으로, 비사용 시에는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하는 것을 차폐하고, 사용시에는 외력에 의하여 가압변형되어 얇아져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서포트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베젤 영역에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하는 연속 서브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속 서브 서포트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광폭 서포트 또는 상호 이격된 복수의 협폭 서포트이거나, 이 둘 모두이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간극 영역에 배열되고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간극 영역에 배열되는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의 하부에는 커버필름이 더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면에는 형상 유지력 보강층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필름 상면에는 하드코팅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는 상하면에 부착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부착층은 접착층이고, 상기 하부 부착층은 점착층이고,
상기 서포트는 투광성 미가공필름 상하면에 접착층과 점착층을 각각 형성하고, 서포트 형상을 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이용한 모바일기기는 상기 적층필름으로 구성된 터치스크린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이용한 보호케이스는 상기 적층필름으로 구성된 터치 윈도우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터치스크린의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또는 높이)(터치센서의 감도 관련)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점을 고려하여 플럭스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은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 이격 배열되고 불연속적이어서 제2공백영역을 갖는 제2도전성박막층이 더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은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과의 중첩부분이 비어 있는 제1공백영역을 갖고,
각 제1공백영역과 중첩되는 제2도전성박막층의 개별영역은 각 제1공백영역보다 크며,
터치스크린의 부위에 따라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제2도전성박막층의 단위 크기 또는 단위 밀도가 증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은 본이 되는 적층필름이 베이스필름 하면에 제1도전성박막층, 구체적으로는 투명 제1도전성박막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을 도입하며, 비사용 시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지 않도록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간극을 형성하는 서포트로 구성된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보호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여 특수한 전극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지 않아도 사용자 편의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또는 높이)(터치센서의 감도 관련)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점을 고려하여 플럭스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이 오류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이 본 적층필름에 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도전성박막층을 더 도입하고, 이 제2도전성박막층이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 이격 배열되고 불연속적이어서 제2공백영역을 가져 가압 터치에 의한 제1도전성박막층의 하강으로 터치스크린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플럭스가 제1도전성박막층의 하강 부위에 의하여 변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전자 플럭스의 세기를 조절하여 터치스크린과 제1도전성박막층의 간극을 표준화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감각을 일률화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전성박막층에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과의 중첩부분이 비어 있는 제1공백영역을 도입하고, 제1공백영역과 중첩되는 제2도전성박막층의 개별영역은 각 제1공백영역보다 크게 구성하고, 또 터치스크린의 부위에 따라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제2도전성박막층의 단위 크기 또는 단위 밀도가 증감되도록 구성하여 보다 확실하고 균일한 터치 감도 보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적용한 모바일기기의 분해사시도 및 도면대용 사진과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적용한 모바일기기의 분해사시도 및 분해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모바일기기에 적용하는 경우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원리를 설명한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투광성 터치 윈도우에 적용한 보호케이스에 대한 사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적용한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예에 대한 사진.
도 7의 [C] 및 [D]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을 적용한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의 제작 사진.
도 8 및 도 9는 변형 적층필름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변형 적층필름에 대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특히 적층필름의 각 층 두께)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F),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M) 및 보호케이스(P)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노출면 쪽을 상부로 정하고, 모바일기기(M)에 적층필름(F)이 부착되는 상황을 고려하여 제1도전성박막층(20)이 구비된 쪽을 하부로 정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F)과 관련하여
'부착'은 '접착'과 '점착'을 포괄하여 지칭하는 것이며,
'접합'은 접착과 동일하고 확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부재를 의미하며,
'점착층'은 통상의 실리콘계 점착제와 같이 부착 후 쉽게 분리가능하며 분리시에도 부착대상체(예: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잔류물이 남지 않는 부재를 의미한다.
나아가 '제1도전성박막층과 터치스크린에 각각 부착'된 서포트의 개념과 관련해서, 서포트가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에 '부착'된다라는 것을 단순 '접촉'(예: 주로 보호케이스의 터치 윈도우에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이 활용되는 경우) 또는 '점착'(예: 주로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직접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이 점착되는 경우) 개념, 그리고 '접착' 의미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F)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S)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대해서도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한 적층필름이되,
상면에 노출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향하여 배열된 제1도전성박막층(20); 및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는 커버필름(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측 또는 상기 커버필름측, 또는 이 둘 모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20)은 테두리부분이 터치스크린과 접촉(커버필름(50)를 통하여)하고(도 2의 개략적인 결합단면도 참조) ,
도 2의 중간 일점 쇄선 원내 개략적인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부분은 만곡되어 있어 이격공간(Fs)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2의 하부 일점 쇄선 원내 개략적인 변형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 구비된 커버필름(50)측에 상기 서포트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은 상기 서포트와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별도로 베이스필름을 참조부호로 지시하지 않고, 제1도전성박막층(20)이 구비된 복합필름(FL)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하부 일점 쇄선 원내 개략적인 변형 단면도에서 서포트(35)와 제1도전성박막층(20), 즉 복합필름(FL)의 이격을 통한 이격공간(Fs)의 형성은 복합필름 측부의 절곡부(20a)를 통하여 구현된다.
복합필름과 커버필름의 부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의 형성 방식 및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격공간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구현예(도면 대용) 사진 바로 아래, 중간 일점 쇄선 원내 개략적인 단면도에서 참조부호 '31m'은 접착수단으로, 이 접착수단을 통한 복합필름(FL)이 휘어진 상태로 커버필름(50)에 부착되어 이격공간(Fs)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층필름(F)은 사용자의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베이스필름(10), 베이스필름 하부의 제1도전성박막층(20), 그리고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의 서포트(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필름(10)은 통상 PET 소재가 사용되나, 기타 PP나 다양한 합성수지 소재의 필름이 활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필름은 강화유리 박판(가요성)을 활용할 수 도 있는 것이어서,
결국 본 발명에서베이스필름통상의 합성수지 소재 박판(또는 시트)이나 실리콘 박판과 같은 '연질' '베이스부재' 뿐 아니라, 가요성 강화유리 박판과 같은 '경질' '베이스부재'를 포괄하는 개념의 부재이다.
도 4의 분해 단면도와 같이, 상기 베이스필름(10) 상부에는 내마모성을 제공하는 공지의 하드코팅층(11)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20)(또는 '박막 전극층')은 베이스필름(10)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S)을 향하여 배열되는데,
제1도전성박막층, 구체적으로는 투명 제1도전성박막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활용할 수 있고,
공지의 제품, 특히 양산품을 시장에서 구입하여 베이스필름과 합지하거나, [하드코팅층(11)-베이스필름(10)]이 적층된 양산품을 구입하여 제1도전성박막층만을 공지의 방식으로 도입하거나,
또는 [하드코팅층(11)-베이스필름(10)-제1도전성박막층(20)] 완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필름(10) 하면과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20) 사이에는 도 4(도 4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 분해 단면도의 변형예(적층된 층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역시)와 같이 통상 접합층(21)이 도입되는데, 이 접합층(21)은 공지의 'OCA'방식으로 접합되거나, UV 경화 접합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면에는 형상 유지력 보강층(40)이 더 구비되어 있어, 비사용 시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지지 않도록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본질적으로는 모바일기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하는 것을 차폐상태를 유지하며, 장시간(1만회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3만회 이상,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만회 이상 사용 보장)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지력 보강층(40)은 PET 필름을 활용하거나 기타 다양한 합성수지 필름을 부착하거나, 코팅 방식을 도입될 수 있다.
필름을 활용한 유지력 보강층(40) 도입시 이 보강층 위에는 도 4와 같이, 역시 접합층(23)이 도입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도 4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 분해 단면도의 변형예와 같이, 단순히 유지력 보강층을 생략한 적층필름(F)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서포트(30)는 상하면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20)과 상기 터치스크린(S)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터치스크린의 센싱을 차폐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차폐력은 도 3 내지 도 5의 기본 적층필름(F)이나 도 7에 도시된 변형 적층필름(F1)(F2)와 같이,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부에 구비된 간극(20S)에 의하여 제공되거나,
도 9의 다른 변형 적층필름(F3)과 같이, 탄성층(30m)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간극(20S) 또는 탄성층(30m)에 의한 차폐기능은 본질적으로 모바일기기 등의 터치스크린에 도입되는 정전용량형 센서의 감도가 제1도전성박막층(20)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 제공 기능에 있다.
이와 같이 서포트(30)는 모바일기기(M) 비사용시 제1도전성박막층(20)이 모바일기기(M)의 터치스크린(S)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핵심기능을 한다.
이러한 서포트(30)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또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극(20S) 제공형 서포트(30)는 상기 터치스크린(S)의 베젤(M1)(도 3 참조) 영역에 부착(또는 접촉)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서포트(30)에서 터치스크린(S)의 베젤(M1) 영역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하는 연속 서브 서포트(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포트(30)의 두께(보다 본질적으로는 제1도전성박막층(20)과 터치스크린(S)의 이격거리)는 20~200㎛, 바람직하기로는 30~15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0~100㎛, 더 바람직하기로는 30~70㎛, 보다 더 바람직하기로는 40~60㎛인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연속 서브 서포트는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확보하고자
도 3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 좌측 변형예와 같이 하나의 광폭 서포트(31A) 또는
도 3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 우측 변형예와 같이 상호 이격된 복수의 협폭 서포트(31B)이거나, 이 둘 모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후 도매상 또는 소매상에 제공되는 완제품은 사용될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 크기와 모양대로 절단된 것이거나, 소비자(최종 소비자 또는 중간 제조업자)가 구매 후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절단 후에도 광폭 서포트(31A) 또는 협폭 서포트(31B)가 잔류하여 연속 서브 서포트는 존재하게 되어
여전히 터치스크린(S)의 베젤(M1) 영역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극(20S)을 외부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의 [C] 및 [D]를 참고하면, 연속 서브 서포트(31)를 구비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P)에 적용하여 제작하는 사진을 볼 수 있다.
도 7의 [C]는 먼저 터치 윈도우(P1)에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을 적용하고, 서포트(30; 도 5 참조)를 통하여 플립(flip) 타입커버를 제조하여,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부재(성형부품)를 이용하여 상기 보호케이스의 결합부재(P2)를 고정하고, 터치 윈도우(P1)에 적층필름(F)과 서포트(30; 도 5 참조)를 적용하여 플립(flip) 타입 커버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몰드부재는 다양한 모바일기기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재(P2)를 생산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한 몰드부재, 또는 지그를 이용한 성형 방법을 도입하여 제조 단가를 낮춰 제품의 시장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연속 서브 서포트(31; 도 3 참조)와 적층필름(F)를 적용한 플립(flip) 타입 커버 또는 지갑형 보호케이스를 제작하여 정전용량형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장갑을 낀 손이나 일반 볼펜과 같은 부도체(B)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서브 서포트는 도 7의 [C] 및 [D]와 같이, 모바일기기(M)를 수용하는 후면결합부재(P2)에 터치 윈도우(P1)를 연결하기 위한 테두리부재(천연 또는 인조가죽, 기타 다양한 합성수지 박판(또는 시트), 기타 유리나 세리믹 소재 사용가능)가 기능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3과 같이, 상기 서포트(30)는 상기 간극(20S; 도 4 참조) 영역에 배열되고 상호 교차하는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33)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고,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33)는 사각형 마름모형 등 다양한 형상의 터치 입력부(Ft)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 3 상부의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와 같이,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간극 영역에 배열되는 도트(dot)타입 서브 서포트(35)일 수 있고,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35)는 원형, 부적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33)의 폭이나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35)의 직경은 1mm 내외인 것이 바람직하다(도트타입 서브 서포트(35)가 비원형인 경우에는 1mm 내외의 원형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35)를 면적으로 환산한 것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4에 좌측 일점 쇄선 원 내에 연속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30)(33)는 상하면에 부착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상부 부착층은 접착층(37A)이고, 상기 하부 부착층은 점착층(37B)이어서
제1도전성박막층(20) 또는 형상 유지력 보강층(40)에 부착되는 경우의 확고성을 보장하고(접착층(37A)의 경우),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S)에 부착되는 경우 밀착력 보장과 분리사 터치스크린의 오염 방지 기능(점착층(37B)의 경우)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포트의 제조는 일례로 도2의 상부 좌측 일점 쇄선 원 내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미가공필름(30p) 상하면에 접착층(37a)과 점착층(37b)을 각각 형성하고,
원하는 서포트 형상을 커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며,
커팅을 위한 커터(FC)를 프레스 기계나 통상적으로 인쇄 분야나 박스 제조업, 기타 분야(예: 종이 퍼즐 제조업)에서 활용되는 톰슨가공(톰슨(Tomson)가공 : 인쇄, 합지가공이 끝나면 박스형태에 따라 목형을 제작하여 박스 등을 찍어내는 과정)에 활용되는 장치일 수 있다.
그 외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35)나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33)는 다양한 양면 테이프 활용, UV 경화 성형, 실리콘 성형, 인쇄기법 등에 활용되는 스크린 인쇄, 부식(ETCHING), 증착 등에 활용되는 마스킹 기법 등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의 원리는 모바일기기(M), 특히 휴대폰에 적용하는 경우 도 5의 도면과 같다.
즉 터치스크린(본질적으로는 모바일기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하는 것을 차폐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간극(20S) 거리가 보장된 상태, 즉 비사용 상태에서
장갑을 낀 손가락이나 통상의 비전도성 필기구를 사용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나, 맨손 또는 도전성 필기구(전극팁을 구비한 스타일러스펜 등)를 사용한 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경우
적층필름(F)이 변형되면서 간극(20S) 거리가 좁아지고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 등의 터치스크린에 도입되는 정전용량형 센서는 제1도전성박막층(20)을 감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정보 입력을 하거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6의 도면 대용 사진과 같이, 터치 윈도우(P1)와 모바일기기(M)를 수용하는 후면결합부재(P2)를 갖는 통상의 완충 또는 오염 방지용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P)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터치 윈도우(P1)에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을 적용하고, 서포트(30)를 통하여 플립(flip) 타입 커버(또는 지갑형 커버)의 터치 윈도우(P1)를 닫은 상태에서 비사용 시에는 제1도전성박막층(20)이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 시 맨손가락이나 전극팁을 구비한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정보입력 및 조작, 즉 '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은 물론,
장갑을 낀 손이나 통상의 볼펜과 같은 부도체 팁을 사용하여도 터치스크린에 대하여 정보입력이나 조작, 즉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 및 조작'까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의 [A]를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의 터치스크린(S)을 부도체(B)로 직접 접촉 시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B]를 참고하면, 터치 윈도우(P1)에 본 발명의 적층필름(F)을 적용하고, 서포트(30; 도 5 참조)를 통하여 플립(flip) 타입 커버의 터치 윈도우(P1)을 닫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제1도전성박막층(20; 도 5 참조)이 접촉되어 부도체(B)로도 인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나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그 외 연속 서브 서포트 포함 가능)의 하면에 별도로 커버필름(50)이 도입된 적층필름(F1)이 제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적층필름(F1)을 모바일기기(M) 등의 터치스크린(S)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도 6과 같이 보호케이스(P)의 터치윈도우(P1)에 적용하는 경우와 같이
단순히 서포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수십 ㎛단위의 박형 서포트여도 오염이 발생되거나 미관상 문제 또는 기능성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 발생 방지 필요성을 충족하면서도
간극(20S)을 유지하여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터치스크린의 센싱 차폐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적층필름(F1)에서 간극(20S)에는 통상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나 필요에 따라 헬륨가스나 기타 다양한 가스가 충진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커버필름(50)은 '제1도전성박막층과 터치스크린에 각각 부착되어 제1도전성박막층과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기능을 보조하는 것으로 이 또한 '서포트'에 속하는 부재이다.
나아가 서포트(30)와 커버필름(50)의 부착은 '점착제' 보다는 '접착제'를 활용한 방식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9에는 서포트(30)의 일종으로 탄성층(30m)이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부에 구비된 변형 적층필름(F3)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 적층필름(F3)의 탄성층(30m)은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을 코팅 성형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의 탄성(러버 또는 실리콘, 기타 엘라스토머) 필름을 접합한 것일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수십 ㎛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층(30m)은 사용시에는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하는 것을 차폐하고,
사용 시에는 외력에 의하여 가압변형되어 얇아져 박부(薄部)(39)를 형성하게 되어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에는 또 다른 변형예에 해당하는 적층필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흐름인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또는 높이)(터치센서의 감도 관련)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나아가 한 기기에서도 부위마다 다른 점을 고려하여(베젤영역과 그 내부부위, 기기의 설계에 따라 특정 부위의 전자 플럭스 세기를 더 크게(높게) 설정한 것 등)
터치스크린 기기마다 또는 한 터치스크린 기기에서 부위 마다 전자 플럭스의 세기가 다르더라도
이에 대한 제1도전성박막층과 터치스크린의 이격거리를 균일하게 하여
양산성 및 품질 균일성 확보, 불량률 최소화, 사용자의 터치 감각(서포트(30)로 인한 간극에 기인한 쿠션감) 균일화를 확보하고자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부에 별도의 제2도전성박막층(60)을 도입한 적층필름(F2)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제2도전성박막층(60)은 제1도전성박막층(20)과 이격되어 있으며, 이 간극은 서포트(30) 또는 도 2의 중간 일점 쇄선 원 내에서 내측 부분은 만곡되어 있어 이격공간(Fs)을 보장하는 복합필름 측부의 절곡부(20a), 또는 이 둘 모두에 의하여 보장될 있다.
이렇게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60)은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부에 이격 배열되고 불연속적이어서 제2공백영역(60e)을 가져 가압 터치에 의한 제1도전성박막층(20)의 하강으로 터치스크린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플럭스가 제1도전성박막층(20)의 하강 부위에 의하여 변화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양산 판매되는 스마트폰의 터치센서와 같이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정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이 닿으면 액정 위를 흐르던 전자 플럭스(flux)가 접촉 지점으로 끌려와서 인식이 가능한 것인데,
만약 제2도전성박막층이 연속적이어서 터치스크린 전면을 덮고 있다면 이미 전자가 분산되어 표면으로 끌려 와 있으므로 터치스크린 조작을 위하여 상부의 제1도전성박막층을 가압하여 변형하여도 추가적인 전자의 움직임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터치 입력 및 조작이 불가능해진다.
필요에 따라서는 터치스크린에서 전자 플럭스가 약한 부분(베젠 영역 부위)의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금속성분이 포함된 잉크로 인쇄하는 방식 등을 통하여 도전성 플럭스 강화층을 형성하여 전자 플러스의 세기(높이)를 인위적으로 높이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고, 이 도전성 플럭스 강화층 역시 제2도전성박막층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 10의 하부 첫 번째 좌우 일점 쇄선 원내에 제1 및 제2 도전성박막층(20)(60)을 도시한 바와 같이,
확실한 터치 입력을 위하여 제1도전성박막층(20)에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과의 중첩부분이 비어 있는 제1공백영역(20e)을 도입할 수 있다.
이 제1공백영역(20e)이 없는 경우 터치를 위한 제1도전성박막층(20)의 가압으로 그 아래 간극(20S, 도 5 참조)이 수축되면서 제1도전성박막층(20)과 제2도전성박막층(20)이 중첩되는 경우, 구체적으로 투명 도전성박막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 전극이 상호 중첩되므로 전자 플럭스 흐름의 이상 상황을 발생시켜 터치 감도에 영향을 미치고 조작 오류를 일으키거나, 설계 또는 의도한 터치 감도에 맞는 조작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나아가 보다 확실한 터치 감도 보장을 위하여 제1공백영역(20e)과 중첩되는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영역(60r)은 각 제1공백영역(20r)보다 크게 구성하여,
제1도전성박막층(20)의 가압 각도에 따라 정확하게 수직 압축이 되지 않아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영역(60r)은 각 제1공백영역(20r)이 정확하게 중첩되지 않거나 ,
제1 및 제2 도전성박막층(20)(60)을 도입한 모바일 기기 등의 터치스크린 부착 위치에 따른 오차나
제1 및 제2 도전성박막층(20)(60)을 도입하여 모바일 기기 등을 위한 보호케이스의 보호커버(주로 '플립 타입')의 투명 윈도우를 구성하는 경우 역시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영역(60r)은 각 제1공백영역(20r)이 평면에서 관찰했을 때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모두 터치 입력 조작을 위한 제1도전성박막층(20)의 가압시 개별 제1공백영역(20r)은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영역(60r)과 정확히 중첩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 상대적으로 크고 작은 제2도전성박막층(60)과 제1공백영역(20r)의 도입으로
어떠한 터치 입력 조작을 위한 제1도전성박막층(20)의 가압시에도 제1도전성박막층(20)의 제1공백영역(20e)이 제2공백영역(60e)과 중첩되어 터치 실패 또는 오류를 일으키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이상적으로는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 영역(60r)은 개별 제1공백영역(20r)과 면적 및 형상이 같거나, 면적이 더 커야 한다.
제2도전성박막층(60)의 개별 영역(60r)은 제1도전성박막층(20)의 개별 제1공백영역(20r) 형상은 각각 상응하거나, 다를 수 있고, 원형, 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도트 타입 형상, 격자 타입과 같은 불연속적인 기타 형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 상기 제2도전성박막층(60)은 도 8과 같은 커버필름(50) 상에 도입되어 이 커버필름이 터치스크린에 부착되거나, 직접 터치스크린에 형성될 수 있고,
보호케이스의 보호커버(주로 '플립 타입')의 투명 윈도우에 도입하는 경우, 별도의 하부 커버필름에 도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하나의 개별 기기의 터치스크린의 부위에 따라 전자 플럭스(flux)의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제2도전성박막층의 단위 크기 또는 단위 밀도가 증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투명(또는 투광성) 제1도전성박막층,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화되어 있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또는 투광성) 전극을 이용한, 불연속적인 제2도전성박막층은 기본적으로 터치스크린의 전자 플럭스의 세기(또는 높이)를 낮추기 위한 용도인데,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의 터치스크린 중간 영역의 강한 전자 플럭스를 낮추기 위하여
도 10의 하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와 같이, 상하 부위의 작은 제2도전성박막층(60s) 도입에 비하여 중간 부위에 상대적으로 큰 제2도전성박막층(60b)를 형성하거나,
도 10의 하부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와 같이, 상하 부위의 저밀도 제2도전성박막층(60ℓ) 도입에 비하여 중간 부위에 상대적으로 고밀도의 제2도전성박막층(60h)를 형성하는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배열, 구성,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적층필름,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모바일기기 S: 터치스크린
P: 보호케이스 10: 베이스필름
20: 제1도전성박막층 30: 서포트
31: 연속 서브 서포트 33: 크로스타입 서브 서포트
35: 도트타입 서브 서포트 40: 유지력보강층
50: 커버필름 30m: 탄성층(변형 서포트)

Claims (4)

  1.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대해서도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한 적층필름이되,
    상면에 노출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향하여 배열된 제1도전성박막층; 및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은 테두리부분이 터치스크린과 접촉하고,
    내측 부분은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는 커버필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는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측 또는 상기 커버필름측, 또는 이 둘 모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3.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에 비정전용량형 터치방식에 대해서도 입력 및 조작이 가능한 적층필름이되,
    상면에 노출되는 베이스필름;
    상기 베이스필름 하면에 결합되고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향하여 배열된 제1도전성박막층; 및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격시켜 터치스크린의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에 대한 센싱을 차폐하는 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는 커버필름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 하부에 구비된 커버필름측에 상기 서포트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은 상기 서포트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 상부에는 하드코팅층이 구비되고,
    베이스필름 하부에 구비된 제1도전성박막층(20) 하면에는 형상 유지력 보강층(40)이 합지되어 복합필름을 구성하고,
    상기 서포트는 부도체 소재로 이루어지고,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의 베젤 영역에 부착되는 부분은 상기 제1도전성박막층과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간극을 외부와 차단하는 연속 서브 서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KR1020130103344A 2013-01-29 2013-08-29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KR101537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072 2013-01-29
KR1020130010072 2013-01-29
KR1020130010571A KR20130024943A (ko) 2013-01-29 2013-01-30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KR1020130010571 2013-01-30
KR1020130033017 2013-03-27
KR20130033017 2013-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62A KR20140096962A (ko) 2014-08-06
KR101537659B1 true KR101537659B1 (ko) 2015-07-22

Family

ID=5174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344A KR101537659B1 (ko) 2013-01-29 2013-08-29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63Y1 (ko) 2015-08-28 2016-11-09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170011954A (ko)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180127879A (ko) 2017-05-22 2018-11-30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20190067062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지티코리아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20200138936A (ko) 2019-06-03 2020-12-11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140B1 (ko) * 2015-04-28 2017-03-24 김윤경 터치스크린용 2way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835A (ko) * 2009-08-28 2011-03-08 이미지랩(주) 혼합식 멀티 터치 패널
JP2012018478A (ja) * 2010-07-06 2012-01-26 Shin Etsu Polymer Co Ltd 外付けキーパッ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835A (ko) * 2009-08-28 2011-03-08 이미지랩(주) 혼합식 멀티 터치 패널
JP2012018478A (ja) * 2010-07-06 2012-01-26 Shin Etsu Polymer Co Ltd 外付けキーパッ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954A (ko) 2015-07-24 2017-02-02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0481663Y1 (ko) 2015-08-28 2016-11-09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20180127879A (ko) 2017-05-22 2018-11-30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20190067062A (ko)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지티코리아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KR20200138936A (ko) 2019-06-03 2020-12-11 이영수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962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59B1 (ko)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KR101002580B1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방법
TWI545492B (zh)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KR101574321B1 (ko) 비정전용량형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용 적층필름,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및 보호케이스
KR100945381B1 (ko) 모바일기기 표시창용 아이콘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기기 표시창 및 모바일기기
US20110261026A1 (en) Stylus for cellular phone
CN205015877U (zh) 触摸显示装置
KR101530520B1 (ko) 휴대기기 보호커버 및 그 제작방법
KR20130007768A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방법
JP2018112854A (ja) 静電容量式センサ装置
CN104679314B (zh) 触控显示装置的制作方法
TW201403417A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JP6476210B2 (ja) マルチタッチ用タッチモジュール
KR101720140B1 (ko) 터치스크린용 2way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KR101525432B1 (ko)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 및 그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모바일 기기
KR101725769B1 (ko) 플럭스 강화를 위한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용 전도성패널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KR101721336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보호필름
KR102070588B1 (ko) 비전도성 물체로 터치입력이 가능한 스마트기기용 보호필름
CN106557212A (zh) 触摸显示装置
KR100962977B1 (ko) 정전식 스타일러스
TWI645321B (zh) 觸控板
TWM508719U (zh) 具有指紋識別功能的觸控面板
KR20100012993A (ko) Fpc 도출부에 채운 충진재로 외곽 형상 가공을 보강하는터치스크린 제조 방법
KR101807238B1 (ko) 입력정확성을 제공하는 정전용량형 터치스크린용 보호필름
JP7019005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