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868B1 - 착용 타입 미니 보트 - Google Patents

착용 타입 미니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868B1
KR101536868B1 KR1020140069313A KR20140069313A KR101536868B1 KR 101536868 B1 KR101536868 B1 KR 101536868B1 KR 1020140069313 A KR1020140069313 A KR 1020140069313A KR 20140069313 A KR20140069313 A KR 20140069313A KR 101536868 B1 KR101536868 B1 KR 10153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in body
boat
boar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대
Original Assignee
정운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대 filed Critical 정운대
Priority to KR102014006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the user's head or neck, e.g. like a cap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하여 수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유수공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하여 본체와 직교되도록 체결되는 방향키; 반으로 절개된 도넛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방향키의 체결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보드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부돌기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착용 타입 미니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전과 레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접목시킨 것이며, 또한, 방향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헤엄치면서 보트의 방향 조정이 용이하고, 물의 유속에 저항을 적게 받고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 스스로 물속을 헤엄쳐 나아갈 수 있으며, 얼굴의 안면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물이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황에 맞게 튜브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GPS 칩을 구비함으로써 미니 보트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 타입 미니 보트{WEARING MINI BOAT}
본 발명은 미니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물속에서 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수영, 다이빙 등 물놀이를 하거나 윈드서핑, 수상스키, 래프팅 등과 같은 수상 레저 스포츠를 할 때에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수상 안전용품 중 하나이다. 또한, 강이나 호수, 바다를 운항하는 선박은 조난, 등의 사고를 대비하여 구명조끼와 구명정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명조끼는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부에 튜브를 설치하여 이곳에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 제품과,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발포수지로 이루어진 부력재를 설치한 부력재 설치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도 1a에는 일반적인 부력재 설치 제품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명조끼는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착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착용자의 몸에 잘 맞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구명조끼는 단지 착용자가 물 위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어서, 선박이 좌초되어 선체의 기울기가 급히 기울어지거나 침몰하는 위급 상황에서는 스스로 사고지점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탈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바다에서 조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넓은 지역에 걸쳐 수색 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조난자가 신속하게 발견되지 않아 결국에는 물에 빠진 조난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영보드는 수영을 하지 못하거나 미숙한 사람을 물 위에 뜨게 하여 수영을 배우는데 사용하거나, 장시간 동안 물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수영 보조구를 말하는데, 이러한 수영보드는 양손으로 잡고 발차기 동작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단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수영 자세가 불안하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선박 사고시 조난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동시에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도 즐길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요청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전과 레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접목시킨 착용 타입 미니 보트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헤엄치면서 보트의 방향 조정이 용이하고, 물의 유속에 저항을 적게 받고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 스스로 물속을 헤엄쳐 나아갈 수 있으며, 얼굴의 안면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물이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황에 맞게 튜브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착용 타입 미니 보트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GPS 칩을 구비함으로써, 미니 보트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발견할 수 있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유수공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하여 본체와 직교되도록 체결되는 방향키; 반으로 절개된 도넛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방향키의 체결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보드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부돌기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착용 타입 미니보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향키는 하부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방향키는 체결홈의 상측에 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편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체결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돌기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고정핀이 상기 방향키의 체결공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 양측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방향키와 본체를 고정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은 내부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GPS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착홀의 입구에 패킹이 개재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보드판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물살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보드판은 후방에 반원 형태의 착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착용홀의 주변에 착용홀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튜브는, 상부 전방에 "U"자 형태의 개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홈의 양측에 날개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양측의 날개의 선단에 벨트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날개는 내측면에 복수 개의 선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보드판은 상부 양측에 상기 튜브의 날개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공에 안전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선단에는 버클이 연결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튜브는, 하부 전방에 복수 개의 배수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과 배수홈의 사이에 부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과 부착돌기에는 부착홈이 상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전과 레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접목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헤엄치면서 보트의 방향 조정이 용이하고, 물의 유속에 저항을 적게 받고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 스스로 물속을 헤엄쳐 나아갈 수 있으며, 얼굴의 안면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물이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황에 맞게 튜브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GPS 칩을 구비함으로써, 미니 보트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발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부력재 설치 구명조끼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일반적인 수영보드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타입 미니 보트의 사시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일측면도. 도 2d는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키의 상부 방향 사시도, 도 3b는 방향키의 하부 방향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상부 방향 사시도, 도 4b는 본체의 하부 방향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상부 방향 사시도, 도 5b는 튜브의 하부 방향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타입 미니 보트를 착용한 성인의 사용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 타입 미니 보트를 착용한 유아의 사용 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용 타입 미니 보트(1)는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전과 레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접목시킨 착용 타입 미니 보트에 관한 것으로,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100), 본체(200) 및 튜브(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키(100)는 미니 보트(1)의 선수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물의 유속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하여 비교적 가는 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200)와 직교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방향키(100)의 전방은 마치 선박의 선수와 같이 하측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방향키(100)의 내측에는 유수공(110)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물이 쉽게 통과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이동하여 나아갈 때 물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향키(200)의 후방도 전방과 같은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향키(100)는 하부에 본체(200)를 지지하는 지지편(130)이 형성되고, 상기 방향키(100)와 본체(200)가 체결홈(120)을 통해 체결되었을 때 상기 지지편(130)이 하측에서 상기 본체(200)를 지지한다.
더불어, 상기 방향키(100)의 후방, 즉 상기 지지편(130)의 상측에는 체결홈(120)이 전방 측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0)의 상측에는 체결편(140)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홈(120)을 통해 체결된 본체(200) 부분을 상측에서 덮어 커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체결편의 후방면은 상기 방향키의 라운드진 후방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것으로 라운드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편(140)은 양측으로 연장된 체결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141)에는 체결공(142)이 형성되며, 고정핀(143)이 상기 체결공(142)을 관통하여 상기 방향키(100)와 본체(200)를 고정하여 체결한다.
게다가, 상기 체결편(140)은 내부에 빈 공간인 장착홀(14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144)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포함된 GPS 칩(145)이 장착되며, 상기 GPS 칩(145)은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전송함으로써, 미니 보트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추적하여 신속하게 발견하여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편(140)은 상기 장착홀(144)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커버(14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홀(144)의 입구에는 방수를 위한 패킹이 개재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0)는 반으로 절개된 도넛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드판(210)을 구비하고, 상기 보드판(210)은 후방에 반원 형태의 착용홀(211)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홀(211)을 통하여 상기 본체(200)를 착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착용홀(211)의 외측 주변에는 상기 착용홀(211)을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212)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 쪽으로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하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보드판(210)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물살돌기(213)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물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보드판(210) 상부의 물살돌기(213)는 하측에서 상측까지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보드판(210) 하부의 물살돌기(213)는 상측에서 하측까지 후방을 향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본체(200)를 몸에 착용하였을 때 물 위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고, 이동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스피드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물살돌기(213)가 착용자의 몸을 자극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드판(210)의 상부 전방에는 상기 방향키(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되어 연결되는 연결부(220)가 구비되되,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체결편(14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연결홈(221)이 하측으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221)의 양측에는 연결공(222)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43)이 상기 방향키(100)의 체결공(142)과 연결공(222)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방향키(100)와 본체(200)를 고정시켜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돌기(240)는 경사면(212)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판(23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돌기(240)를 통하여 상기 본체(200)와 튜브(3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내측판(230)에는 배수공(231)이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300)는 중앙에 튜브홈이 형성되고, 후방이 개구되어 개방홀(330)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200)의 상부돌기(24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튜브(300)의 상부 전방에는 "U"자 형태의 개방홈(310)이 형성되어 착용자가 물에서 누운 상태로 배영 영법을 구사시 착용자의 뒷머리 내지 목을 받쳐 바르고 편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착용자가 물의 저항을 덜 받고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홈(310)의 양측에 날개(320)가 후방 측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320)의 선단은 서로 만나지 않고 이격되게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날개(320)는 하부에 안착홈(321)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321)은 상기 보드판(2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지지턱(214) 상에 안착되어 상기 날개(320)가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날개(320)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선형홈(322)이 길게 형성되어 물이 보다 쉽게 후방으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이동 스피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측 날개(320)의 선단에는 벨트공(3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벨트공(323)에는 착용자의 몸을 감싸 안전하게 묶어주는 안전벨트(400)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벨트(400)의 선단에는 버클(410)이 연결되어 착용자의 몸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튜브(300)는 하부 전방에 복수 개의 배수홈(340)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로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흘러나가 배수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홈(340)과 배수홈(340)의 사이에는 부착돌기(350)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의 보드판(210)의 상부면과 긴밀히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홈(340)과 부착돌기(350)에는 각각 부착홈(360)이 상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본체(200)의 상부돌기(240)가 상기 부착홈(360)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200)와 튜브(300)가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미니 보트(1)의 착용 및 사용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 보트(1) 착용시 착용홀(211)에 목을 끼워 본체(200)가 목과 어깨 사이에 위치되게 하면 착용자는 양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영과 같은 수영 영법을 구사하여 헤엄쳐 나아갈 수 있고, 얼굴의 안면이 위로 향해 있기 때문에 물이 코나 입으로 들어가 호흡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유아의 경우에는 제품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도 6a와 같이 누운 자세로 배영과 같은 수영 영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유아가 보다 큰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홀(211)을 통해 유아의 머리와 어깨를 위로 통과시켜 착용하고, 양팔은 앞으로 뻗어 본체(200) 위에 걸쳐 지탱할 수 있어,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착용 타입 미니 보트(1)는 선박의 조난 사고 발생시 구조를 위한 구명동의로 사용할 수 있고, 물놀이 등 수상레저 활동시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안전과 레저를 하나의 제품으로 접목시킨 것이며, 또한, 방향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헤엄치면서 보트의 방향 조정이 용이하고, 물의 유속에 저항을 적게 받고 유입된 물이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착용자 스스로 물속을 헤엄쳐 나아갈 수 있으며, 얼굴의 안면이 위로 향하기 때문에 물이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황에 맞게 튜브를 탈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GPS 칩을 구비함으로써 미니 보트를 착용한 조난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미니 보트 100. 방향키
110. 유수공 120. 체결홈
130. 지지편 140. 체결편
141. 체결돌기 142. 체결공
143. 고정핀 144. 장착홀
145. GPS 칩 146. 커버
200. 본체 210. 보드판
211. 착용홀 212. 경사면
213. 물살돌기 214. 지지턱
220. 연결부 221. 연결홈
222. 연결공 230. 내측판
231. 배수공 240. 상부돌기
300. 튜브 310. 개방홈
320. 날개 321. 안착홈
322. 선형홈 323. 벨트공
330. 개방홀 340. 배수홈
350. 부착돌기 360. 부착홈
400. 안전벨트 410. 버클

Claims (11)

  1. 전방이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유수공이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에 형성된 체결홈을 통하여 본체와 직교되도록 체결되는 방향키;
    반으로 절개된 도넛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보드판과, 상기 보드판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방향키의 체결홈과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보드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상부돌기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튜브;를 포함하는 착용 타입 미니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는 하부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는 체결홈의 상측에 체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편은 양측으로 연장되어 체결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체결돌기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고정핀이 상기 방향키의 체결공과 상기 본체의 연결부 양측에 형성된 연결공을 관통 연결하여 상기 방향키와 본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내부에 장착홀이 형성되어 GPS 칩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장착홀의 입구에 패킹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물살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후방에 반원 형태의 착용홀이 형성되고, 상기 착용홀의 주변에 착용홀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내측에 평평한 내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판에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부 전방에 "U"자 형태의 개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홈의 양측에 날개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선단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양측의 날개의 선단에 벨트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내측면에 복수 개의 선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판은 상부 양측에 상기 튜브의 날개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공에 안전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선단에는 버클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하부 전방에 복수 개의 배수홈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홈과 배수홈의 사이에 부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홈과 부착돌기에는 부착홈이 상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타입 미니 보트.
KR1020140069313A 2014-06-09 2014-06-09 착용 타입 미니 보트 KR10153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13A KR101536868B1 (ko) 2014-06-09 2014-06-09 착용 타입 미니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313A KR101536868B1 (ko) 2014-06-09 2014-06-09 착용 타입 미니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868B1 true KR101536868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313A KR101536868B1 (ko) 2014-06-09 2014-06-09 착용 타입 미니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86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14B1 (ko) * 2013-06-14 2013-08-29 김종문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14B1 (ko) * 2013-06-14 2013-08-29 김종문 구명환이 탑재된 무선조종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1126B2 (en) Combination wetsuit and flo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US4919631A (en) Underwater diving system
US10286987B2 (en) Life jacket with visual awareness safety accessory
US20120149261A1 (en) Water Sport Flotation Garment
US5029551A (en) Safety device to increase the visibility of persons afloat in the water
US10562601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with passive loca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9022826B1 (en) Safety belt swim trainer
KR101536868B1 (ko) 착용 타입 미니 보트
US8246404B1 (en) Swim fin system
US9616980B2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US7033235B1 (en) Personal water equipment extending the hand, and devices designed to receive such equipment
US6786784B2 (en) Child's safety swimwear
US7887383B1 (en) Buyoant infant safety seat
US20070131227A1 (en) Aquatic headgear
US6527605B1 (en) Child locator buoy
KR20220138882A (ko) 추진력이 향상된 수중 부력 조끼
JP2011004835A (ja) 水中遊泳用補助装置
US20150250254A1 (en) Lifesaving device with protective helmet and oxygen supply
IE20190206A1 (en) A personal water safety device
IE20190206A2 (en) A personal water safety device
US20110092117A1 (en) Personal location indicating attachment assembly and personal flotation lifejacket constructed therewith
KR200283592Y1 (ko) 구명조끼
JP2006015924A (ja) カヤック用シュノーケル、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スプレーカバー
KR20120113020A (ko) 물 유입방지유니트가 결합된 스노클
AU2005100217A4 (en) A Vented Housing For The Dispersion Of A Shark Repell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