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93B1 -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93B1
KR101536593B1 KR1020140101233A KR20140101233A KR101536593B1 KR 101536593 B1 KR101536593 B1 KR 101536593B1 KR 1020140101233 A KR1020140101233 A KR 1020140101233A KR 20140101233 A KR20140101233 A KR 20140101233A KR 101536593 B1 KR101536593 B1 KR 10153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us bar
cooling unit
terminal
heating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수
Original Assignee
디아이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케이(주) filed Critical 디아이케이(주)
Priority to KR102014010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단부에 연결된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와 연결된 히팅코일과, 상기 부스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히팅코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 및 일 측에 상기 복합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인버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히팅코일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 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Heater fastening device for high-frequency induction heatter}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전가열 또는 유도가열을 통하여 강한 고주파의 전자기장에 피 가열물을 가열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가열이란 강한 고주파의 전자기장에 물체를 놓고 가열하는 방식으로 라디오 히터(radio heater)라고도 한다.
그리고 고주파 가열방식에는 유전가열(誘電加熱)과 유도가열(誘導加熱) 방식이 있다.
여기서 유전가열은 고주파 전기장 속에 절연물(絶緣物)을 놓으면 절연물의 유전체 손실 때문에 피가열체 자체가 발열하는 원리이고, 유도가열은 고주파 자기장 속에 전기적 양도체(良導體)를 놓으면 양도체에 생기는 맴돌이전류의 손실이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손실 때문에 스스로 발열하는 원리에 의한다.
이러한 유전가열 방식은 목재의 건조나 접착(接着), 고무의 가황(加黃), 합성수지의 성형 ㅇ가공, 비닐막의 접착(고주파 접착), 섬유류의 건조, 농어산물의 가공 ㅇ살충 ㅇ살균, 식품의 조리(전자 레인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대체로 고주파로 되면 될수록 발열량이 증가하지만, 피가열체가 커지면 골고루 가열되지 않으므로, 사용 주파수는 피가열체에 따라 수 MHz에서 수 GHz까지를 사용한다. 고주파를 가하는 전극에는 평판전극(平板電極), 격자상전극 (格子狀電極), 동축전극(同軸電極)이 있으며, 주파수가 높아지면 공동공진기상 (空胴共振器狀)으로 한 것도 있다. 이 가열방법의 특징은 열전도율이 낮은 절연물이 피가열체일 경우라도 피가열체 자체의 발열로 효율이 좋다는 것과 필요한 곳을 선택해서 가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유도가열 방식은 금속합금의 용융, 담금질, 풀림, 용접, 경납땜, 단조 등이나, 반도체 공업에서 게르마늄이나 실리콘의 용융정제 단결정 제조 등에 이용된다. 사용 주파수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맴돌이전류가 양도체의 표면에만 흐르고 내부로 침입하지 않게 되므로, 용해할 때는 비교적 낮은 주파를 사용하고, 금속의 표면 담금질 등 표면만을 가열할 때는 비교적 높은 주파를 사용한다. 이 가열방법의 특징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을 국부적으로 가열 또는 용해할 수 있다는 것, 진공 속에서 순도가 높은 금속용해가 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주파 가열장치에는 가열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히팅코일의 형상이나 목적에 따른 종류별로 히팅코일을 가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이런 히팅코일을 연결하는 단자부분의 탈착이 번거롭거나, 또는 결합된 상태에서 탈거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공급하는 인버터 본체와 히팅코일 간의 연결을 보강하고, 용도와 목적에 따라서 용이하게 히팅코일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단부에 연결된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와 연결된 히팅코일과, 상기 부스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히팅코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 및 일 측에 상기 복합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인버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히팅코일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 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스바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단자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부재 저면과 상기 단자부재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연결구를 분할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케이블은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가 서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연결구 또는 절연판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구 내부로 상기 단자부재가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재의 저면과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유로 상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는 상기 냉각유닛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재 저면과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재를 가압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냉각유닛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가압판과, 상기 냉각유닛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홈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변환부재와, 상기 변환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변환부재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가압판을 왕복 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부스바와 연결된 복수개의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영역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상기 부스바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는,
첫째, 냉각유닛과 복합 케이블 사이에 복합 케이블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둘째, 이러한 결합력을 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히팅볼트의 가열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히팅코일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면서도 히팅코일이 설정온도 범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의 인버터 본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인버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결합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인버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결합부를 측방향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결합구에 전원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의 냉각유닛을 측방향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냉각유닛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연결구에 복합 케이블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는 인버터 본체(110)와, 냉각유닛(210)과, 상기 인버터 본체(110)와 냉각유닛(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 케이블(120)과, 상기 냉각유닛(210)으로부터 연결되어 유도가열을 제공하고 자체 냉각되는 복합 케이블(220) 및 상기 복합 케이블(220)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히팅볼트(2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본체(110)로부터 적정 전압과 전류로 전원이 인가되면, 이 전원이 상기 전원 케이블(120)을 통하여 상기 냉각유닛(210)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210)에 연결된 상기 복합 케이블(220) 내부에서 히팅코일(미도시)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냉각 파이프(미도시)를 통하여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복합 케이블(2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기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인버터 본체(110)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인버터 본체(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이 구비된다. 파워 서플라이 유닛은 유도가열에 적합한 전류와 전압을 공급하고 또한 적정 주파수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복합 케이블을 통하여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볼트는 단시간에 신장될 수 있고, 이에 따른 분해조립 또는 정비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100)의 인버터 본체(11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인버터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결합부(130)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인버터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결합부(130)를 측방향에서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결합구(111)에 전원 케이블(120)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100)는 인버터 본체(110)와, 상기 인버터 본체(110)로부터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20)과, 상기 인버터 본체(110)와 전원 케이블(120)을 체결시키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인버터 본체(110)에는 일 측에 결합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111)는 상기 인버터 본체(110)의 일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111)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130)가 배치된다.
상기 전원 케이블(120)은 일 단부에 상기 결합부(130)와 체결되는 부스바(121)가 마련되어 상기 결합부(130) 상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파워 서플라이 유닛에서 발생된 고주파 신호를 냉각유닛(도 7 참조, 21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부스바(12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단자부재(122)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부재(122) 저면과 상기 단자부재(122)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결합구(111)의 내부 저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된 돌기(123)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 상기 돌기(123)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부재(122)의 선단 저면에 상기 돌기(123)가 돌출되고, 상기 결합구(111)의 저면 내측 모서리 부분에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부재(122)가 상기 결합구(111)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123)가 결합홈(112)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면서 탈거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돌기(123)가 결합홈(11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단자부재(122)를 가압하고, 이로써 상기 부스바(121)와 결합부(130)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전원 케이블(120)은 상기 부스바(121)가 한 쌍의 단자부재(122)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부재(122)를 서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체결부재(125)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125)는 상기 단자부재(122)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재(122) 간에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구(111)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결합구(111) 내부로 상기 단자부재(122)가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반한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125)는 비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부재(12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0)는 가압판(131)과, 변환부재(132)와, 회전부재(133)를 포함하여, 상기 부스바(121)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지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결합구(111)에 인접한 내주면에 가이드홈(2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6)을 따라서 상기 가압판(131)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가압판(131) 역시 상기 단자부재(122)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비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재(132)는 상기 가이드홈(136)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13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33)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부재(132)로부터 회전운동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33)의 상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고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134)이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200)의 냉각유닛(210)을 측방향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냉각유닛(210)의 내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연결구(211)에 복합 케이블(220)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200)는 일 단부에 연결된 부스바(221)와, 상기 부스바(221)와 연결된 히팅코일(225)과, 상기 부스바(221)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히팅코일(225)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각 파이프(226)를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220) 및 일 측에 상기 복합 케이블(22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211)가 형성되고, 인버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히팅코일(225)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 파이프(226)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21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유닛(210)에는 일 측에 연결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11)는 상기 냉각유닛(210)의 일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11) 내부에는 결합유닛(230)이 배치된다.
상기 복합 케이블(220)은 일 단부에 상기 결합유닛(230)과 체결되는 부스바(221)가 마련되어 상기 결합유닛(230) 상에서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복합 케이블(220)을 통하여 전달된 고주파 전류를 히팅볼트(도 1 참조, 2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 케이블(220)은 상기 히팅코일(225)을 감싸도록 배치된 냉각 파이프(226)를 통하여 상기 히팅코일(225)을 냉각시키는 기능도 수반한다.
상기 부스바(22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단자부재(222)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부재(222) 저면과 상기 단자부재(222)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연결구(211)의 내부 저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된 돌기(223)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 상기 돌기(223)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부재(222)의 선단 저면에 상기 돌기(223)가 돌출되고, 상기 연결구(211)의 저면 내측 모서리 부분에 결합홈(2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부재(222)가 상기 연결구(211)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223)가 결합홈(212)에 밀착하도록 결합되면서 탈거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유닛(230)은 상기 돌기가 결합홈(212)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단자부재(222)를 가압하고, 이로써 상기 부스바(221)와 결합유닛(230)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케이블(220)은 상기 부스바(221)가 한 쌍의 단자부재(222)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자부재(222)를 서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체결부재(228)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228)는 상기 단자부재(222)의 상측 또는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부재(222) 간에 간격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구(211) 외측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구(211) 내부로 상기 단자부재(222)가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반한다.
물론 상기 체결부재(228)는 비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부재(222)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230)은 가압판(231)과, 변환부재(232)와, 회전부재(233)를 포함하여, 상기 부스바(221)가 선택적으로 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유닛(230)은 상기 연결구(211)에 인접한 내주면에 가이드홈(23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36)을 따라서 상기 가압판(231)이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다.
물론 상기 가압판(231) 역시 상기 단자부재(222)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비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재(232)는 상기 가이드홈(236)의 상부에 고정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233)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233)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와 치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변환부재(232)로부터 회전운동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33)의 상측 단부에는 작업자가 파지하고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핸들(234)이 배치된다.
상기 냉각유닛(210)은 상기 히팅코일(225)에 저전류를 전송하여 도통 손실을 감소함과 동시에 효율을 향상시키는 전류변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히팅코일(225)에 적정 전류를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 파이프(226)를 통하여 냉각수를 공급하며, 내부에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영역(215)이 마련된다.
상기 냉각유닛(210)의 일 측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장공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홈(23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36)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판(231)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236)의 형상에 대응하여 왕복운동이 안내 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닛(210) 내부에는 상기 연결구(211)를 분할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222)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판(21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재(222)의 저면과 상기 연결구(211)의 내부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유로(217) 상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2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210)은 상기 부스바(221)와 연결된 복수개의 냉각영역(215)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영역(215)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상기 부스바(221)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냉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110 : 인버터 본체 120 : 전원 케이블
130 : 결합부 210 : 냉각유닛
220 : 복합 케이블 230 : 결합유닛
240 : 히팅볼트

Claims (8)

  1. 일 단부에 연결된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와 연결된 히팅코일과, 상기 부스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히팅코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냉각 파이프를 포함하는 복합 케이블 및
    일 측에 상기 복합 케이블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인버터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히팅코일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냉각 파이프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바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단자부재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단자부재 저면과 상기 단자부재의 저면에 접촉하는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 중 어느 한 면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 면에 상기 돌기에 대응하여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파인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연결구를 분할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합 케이블은,
    상기 한 쌍의 단자부재가 서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연결구 또는 절연판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구 내부로 상기 단자부재가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재의 저면과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유로 상에는 누수를 방지하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부재 저면과 상기 연결구의 내부 저면이 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부재를 가압하는 결합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냉각유닛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서 왕복 운동하는 가압판과,
    상기 냉각유닛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홈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변환부재와,
    상기 변환부재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변환부재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가압판을 왕복 운동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부스바와 연결된 복수개의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영역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상기 부스바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KR1020140101233A 2014-08-06 2014-08-06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KR10153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33A KR101536593B1 (ko) 2014-08-06 2014-08-06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233A KR101536593B1 (ko) 2014-08-06 2014-08-06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93B1 true KR101536593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233A KR101536593B1 (ko) 2014-08-06 2014-08-06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98B1 (ko) 2017-08-10 2017-10-30 (주) 유안산전 단봉 소재 가열용 고주파 유도가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4Y2 (ja) * 1988-12-27 1995-01-18 株式会社明電舎 誘導加熱装置
JPH099475A (ja) * 1995-06-26 1997-01-10 Meidensha Corp 誘導加熱装置
JPH10230371A (ja) * 1997-02-19 1998-09-02 Jiemitsukusu Kk 高周波誘導加熱式圧接装置
KR20110035070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 피드스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54Y2 (ja) * 1988-12-27 1995-01-18 株式会社明電舎 誘導加熱装置
JPH099475A (ja) * 1995-06-26 1997-01-10 Meidensha Corp 誘導加熱装置
JPH10230371A (ja) * 1997-02-19 1998-09-02 Jiemitsukusu Kk 高周波誘導加熱式圧接装置
KR20110035070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포스코 피드스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98B1 (ko) 2017-08-10 2017-10-30 (주) 유안산전 단봉 소재 가열용 고주파 유도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9669B2 (ja) 装置の予熱を可能にする誘導加熱を用いて材料を成形する装置
JP2012505777A5 (ko)
KR101536593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히터 체결장치
KR101175324B1 (ko) 플라즈마 발생용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
KR101521093B1 (ko) 고주파 유도 가열장치용 출력 케이블 체결장치
KR20180045175A (ko) 고주파 유전가열 접착기
JP2001237226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CN208227369U (zh) 控制微波输出的系统及微波炉
CN203861033U (zh) 食品加工设备的内胆组件和豆浆机
CN216672647U (zh) 一种大功率充电器陶瓷铲盒散热结构
EP2405543B1 (en) Switchgear comprising a slidable circuit-breaker, a transforme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between the two
TWI625212B (zh) 具加熱裝置的模具
JP5594627B2 (ja) 熱処理ヘッド
CN210298122U (zh) 一种便于切换的电磁感应加热炉
CN104797022B (zh) 热敏陶瓷发热器组合件及其发热器和安装支架
KR101680019B1 (ko) 전기커넥터 조립체
CN102378420A (zh) 油扩散泵加热器
KR101996301B1 (ko) 유도가열 시스템용 수냉식 후렉시블 동축케이블
CN216289416U (zh) 一种隔绝电缆绝缘对内芯加热的装置
WO2015120754A1 (zh) 具加热装置的模具
CN206185354U (zh) 铜母线电加热装置
CN102995106B (zh) 区熔炉加热装置的电极
KR200358006Y1 (ko) T자형 용접가공을 위한 고주파 유도가열 용접장치
KR100759952B1 (ko) 히터부가 분리가능한 정전척
KR101791598B1 (ko) 단봉 소재 가열용 고주파 유도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