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313B1 -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313B1
KR101536313B1 KR1020130162028A KR20130162028A KR101536313B1 KR 101536313 B1 KR101536313 B1 KR 101536313B1 KR 1020130162028 A KR1020130162028 A KR 1020130162028A KR 20130162028 A KR20130162028 A KR 20130162028A KR 101536313 B1 KR101536313 B1 KR 10153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pair
punching members
cranks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347A (ko
Inventor
윤희필
Original Assignee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글로벌 (주) filed Critical 디에스글로벌 (주)
Priority to KR102013016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3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31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류를 천공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펀칭부재를 구비한 승강브라켓을 한 쌍의 크랭크에 연결하여 승강시켜 지류를 천공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저널; 상기 메인저널들 사이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크랭크; 상기 한 쌍의 크랭크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승강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에 결합되며, 복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PUNCHING APPARATUS USING CRANK SHAFT}
본 발명은 지류를 천공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펀칭부재를 구비한 승강브라켓을 한 쌍의 크랭크에 연결하여 승강시켜 지류를 천공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무기기의 발전에 따라, 복사된 지류들은 사무기기에 장착된 펀칭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천공되어 배출된다.
일본국 특개평 3-228598호는 천공을 위한 구멍을 만들도록 지류를 천공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a) 캠 샤프트와 소정의 간격으로 캠 샤프트에 고정되는 다수의 캠들을 포함하는 캠 조립체; (b) U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늘고 긴 지지부, U 자 형상의 지지부에 의하여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펀치들, 및 U 자 형상의 지지부의 내측을 향하여 펀치를 편향시키기 위하여, U 자 형상의 지지부의 내부면과 펀치의 스토퍼 사이에서 펀치의 주위에 배치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펀치 조립체; (c) 각각이 각 펀치와 정렬하는 다이 구멍들을 가지는 펀치 다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시트재 천공 장치는 펀치와 캠이 일대일 연결되도록 동수로 구성된다.
캠들 및 펀치들과 같은 구동수단이 상기 종래의 천공 장치에서와 동일한 수로 사용될 때, 매우 많은 수의 부품들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제1017614호를 출원한 바 있는데, 이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원(미도시)과, 크랭크샤프트(10)와, 가이더(30)와, 펀칭부재(40)와, 상부프레임(50)과, 하부프레임(60)을 포함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10)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저널(main journal,11)과, 상기 메인저널(11)에 편심되게 연결된 핀저널(pin journal,1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저널(11)은 크랭크샤프트(10)의 일단에 구비된 베어링 저널(20)을 통해 구동원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메인저널(11)들 사이에는 핀저널(12)이 편심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메인저널(11)들은 축중심(C1)이 일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핀저널(12)들의 축중심(C2)도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더(30)는 상기 핀저널(12)과 펀칭부재(4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가이더(30)는 상기 핀저널(12)을 감싸는 원통부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부의 하부에 펀칭부재(4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저널(12)의 외주면에 각각 가이더(30)가 구비되고, 가이더(30)의 하부에는 펀칭부재(40)가 구비되기 때문에 핀저널(12)과 가이더(30)와 펀칭부재(40)는 동수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프레임(50) 및 하부프레임(60)은 펀칭부재(40)가 관통하는 가이드홀과 펀칭홀이 형성되어 있고, 천공대상물인 지류(미도시)가 상기 상부프레임(50) 및 하부프레임(60) 사이로 공급된다. 따라서 가이드홀과 펀칭홀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펀칭장치는 복수의 메인저널과 핀저널을 편심되게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렵다. 또한 이러한 각 부품들이 사용 중에 공차가 생기기도 한다.
특히, 복수의 펀칭부재들이 위상차를 갖고 승강하도록 구성하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펀칭부재를 구비한 승강브라켓을 한 쌍의 크랭크에 연결하여 승강시켜 지류를 천공하는 펀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저널; 상기 메인저널들 사이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크랭크; 상기 한 쌍의 크랭크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승강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에 결합되며, 복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크랭크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승강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가 시간차를 갖고 상기 지류를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가 상기 지류를 순차적으로 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펀칭부재를 구비한 승강브라켓을 한 쌍의 크랭크에 연결하여 승강시킴으로써 지류를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 중 고장 발생율이 낮다.
특히, 펀칭부재의 길이를 달리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펀칭부재가 지류를 동시에 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차를 갖고 순차적으로 펀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펀칭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펀칭장치(100)는 구동원(미도시)과,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메인저널(110)과, 한 쌍의 크랭크(120)와,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와, 승강브라켓(140)과, 복수의 펀칭부재(150)와, 상부프레임(160)과, 하부프레임(1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원은 모터를 사용하며, 상기 메인저널(110)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소정 길이의 수평한 축이다.
상기 크랭크(120)는 상기 메인저널(110)에 편심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메인저널(1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크랭크(120)는 상기 메인저널(110)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상기 크랭크(120)는 상기 메인저널(1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로드(130)는 크랭크(120)의 회전운동을 승강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랭크(120)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120)가 회전하게 되면 커넥팅로드(130)는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 사이에는 승강브라켓(14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브라켓(14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에 각각 결합되어 커넥팅로드(130)의 승강운동으로 승강브라켓(140)도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140)은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가 중공된 직육면체이다. 상기 승강브라켓(140)의 내부에는 수직으로 4개의 펀칭부재(151~154)가 구비되는데, 펀칭부재(151~154)의 하부 끝단은 승강브라켓(140)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120)는 메인저널(110)과 편심된 크랭크샤프트(121)가 구비되는데, 커넥팅로드(1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21)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팅로드(130)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21)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승강브라켓(140)이 결합되는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크랭크샤프트(121)의 외주면을 상부와 하부에서 감싼 상태에서 체결되는 상부커플링(131)과 하부커플링(131)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커플링(13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133)가 결합부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크랭크(120)에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가 연결되어 있고,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 사이에 승강브라켓(140)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140)에는 하부에 끝단이 노출되는 4개의 펀칭부재(151~154)가 구비되는 구조이다.
한편, 복수의 펀청부재(151~154)가 동시에 지류를 천공하게 되면 큰 압력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부하를 낮추기 위해 지류를 복수의 펀칭부재가 동시(同時)에 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차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펀칭부재(151~154)의 길이를 달리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펀칭부재(151~154)가 시간차를 갖고 지류를 천공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 실시예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펀칭부재(151~154)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였다(151<154). 따라서 커넥팅로드(130)가 크랭크(120)에 의해 동시에 승강하더라도 도면상 가장 우측에 있는 제4펀칭부재(154)가 가장 먼저 상부프레임(160)과 하부프레임(170) 사이에 위치된 지류를 접하고 관통하여 천공하게 된다. 또한 이웃하는 제3펀칭부재(153), 제2펀칭부재(152), 제1펀칭부재(151)가 순차적으로 지류를 천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장 우측에 있는 제4펀칭부재(154)부터 제3펀칭부재(153), 제2펀칭부재(152) 순으로 천공하게 되고, 가장 좌측에 있는 제1펀칭부재(151)가 가장 늦게 지류를 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지류가 순차적으로 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구체적으로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의 연장부(133)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승강브라켓(140)이 수평하지 않고 정면에서 봤을 때 기울어지게 위치되게 되면 복수의 펀칭부재(151~154)가 지류에 접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된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구동원(110)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저널(1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크랭크(120)는 메인저널(110)에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크랭크(120)는 메인저널(110)을 중심으로 공전하게 된다. 이러한 크랭크(12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커넥팅로드(130)가 승강하게 되고, 이로인해 승강브라켓(140)이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승강브라켓(140)에 구비된 펀칭부재(150)도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승강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펀칭부재(150)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부프레임(160)과 하부프레임(160)에 위치된 지류를 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펀칭장치 110: 메인저널
120: 크랭크 121: 크랭크샤프트
130: 크랭크샤프트 131: 상부커플링
132: 하부커플링 133: 연장부
134: 결합부 140: 승강브라켓
150~154: 펀칭부재 160: 상부프레임
170: 하부프레임

Claims (6)

  1.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메인저널;
    상기 한 쌍의 메인저널들 사이에 편심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크랭크;
    상기 한 쌍의 크랭크에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의 회전운동을 승강운동으로 변환하는 한 쌍의 커넥팅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커넥팅로드에 결합되며, 복수의 펀칭부재가 구비되는 승강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크랭크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승강브라켓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가 시간차를 갖고 지류를 천공하며,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고,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가 상기 지류를 순차적으로 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펀칭부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펀칭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62028A 2013-12-24 2013-12-24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KR10153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28A KR101536313B1 (ko) 2013-12-24 2013-12-24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28A KR101536313B1 (ko) 2013-12-24 2013-12-24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47A KR20150074347A (ko) 2015-07-02
KR101536313B1 true KR101536313B1 (ko) 2015-07-14

Family

ID=5378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28A KR101536313B1 (ko) 2013-12-24 2013-12-24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3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999U (ja) * 1982-06-14 1983-12-20 カ−ル事務器株式会社 多孔パンチ
JP2000176895A (ja) * 1998-12-17 2000-06-27 Hitachi Metals Ltd シート材穿孔装置
JP2001062784A (ja) * 1999-08-27 2001-03-13 Ngk Insulators Ltd 脆性材料の穿孔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穿孔用金型
JP2013027910A (ja) * 2011-07-29 2013-02-07 Kurimoto Ltd 鍛造プレス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1999U (ja) * 1982-06-14 1983-12-20 カ−ル事務器株式会社 多孔パンチ
JP2000176895A (ja) * 1998-12-17 2000-06-27 Hitachi Metals Ltd シート材穿孔装置
JP2001062784A (ja) * 1999-08-27 2001-03-13 Ngk Insulators Ltd 脆性材料の穿孔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穿孔用金型
JP2013027910A (ja) * 2011-07-29 2013-02-07 Kurimoto Ltd 鍛造プレ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347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04002A (zh) 一种铝板平移打孔机构
CN110370726B (zh) 一种纸箱生产用压痕设备
KR101536313B1 (ko)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CN105236131B (zh) 一种提取装置
CN109746974B (zh) 一种电子产品电路板的双工位打孔设备
KR101518348B1 (ko) 크랭크를 이용한 펀칭장치
CN108781031A (zh) 导电体的插入装置和插入方法
KR101687244B1 (ko) 직선 및 회전 구동용 이중실린더
KR101404963B1 (ko)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KR101477653B1 (ko) 커넥팅로드의 길이가 상이한 펀칭장치
JP2007098546A (ja) 穿孔装置
KR101464560B1 (ko) 크랭크샤프트를 이용한 펀칭장치
KR20160051275A (ko) 앵글 펀칭장치
CN208150275U (zh) 一种新型震动输送带
CN208410056U (zh) 半自动扁带冲孔装置
KR20110083151A (ko) 교환 펀치를 구비한 금속 스트립 펀칭 장치
CN103481656A (zh) 一种模切烫金机动平台驱动装置
CN211276630U (zh) 一种电机定转子冲片打孔装置
KR20170076526A (ko) 프로파일 성형장치
CN108480948B (zh) 泵盖组装机的水封组装结构
CN206850205U (zh) 用于电连接片的组装机构
ES2756624T3 (es) Ensamblaje de punzones de tableros con bujes extractores
CN208841522U (zh) 一种橄榄切片装置
CN203641257U (zh) 一种用于电动床床板的铰链
CN207271899U (zh) 一种铝模板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