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37B1 -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37B1
KR101536237B1 KR1020140009780A KR20140009780A KR101536237B1 KR 101536237 B1 KR101536237 B1 KR 101536237B1 KR 1020140009780 A KR1020140009780 A KR 1020140009780A KR 20140009780 A KR20140009780 A KR 20140009780A KR 101536237 B1 KR101536237 B1 KR 10153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uide member
coupled
shaf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0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는, 호형의 지그홈을 갖는 지그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1기대 및 제2기대;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일측에 각기 형성된 제1레일 및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에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지그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필름을 간단 용이하면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curved surface touch screen panel surface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으로 휘어지는 플렉시블 터치스크린 패널에 보호 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이란 키보드와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장치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을 영상표시장치에 장착한 후 사용자가 손 또는 터치 펜(touch pen)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접촉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내용이 입력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근래에는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는 곡면형상의 터치스크린 패널이 개발된 바 있다.
국내특허출원 10-2009-0030869호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이 개시된 바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란 두루마리 형태로 말 수 있는(Rollable)형태이거나 또는 종이처럼 접거나 구부릴 수 있으며(Curved, Bendable) 외곽 디자인이 자유로운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기판이 유연성(Flexibility)을 갖고 있어서 깨지지 않는 튼튼한 디스플레이로, 또 어떤 경우 플라스틱처럼 얇고 가벼운 기판을 사용하여 가볍고 얇은 (Thin & Light) 디스플레이로 이해될 수 있다.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면을 보호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필름을 부착하여야 하나 휘어진 곡면에 대한 필름 부착 작업이 정확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기포가 생기게 되어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필름을 간단 용이하면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형의 지그홈을 갖는 지그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1기대 및 제2기대;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일측에 각기 형성된 제1레일 및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에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지그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는 승강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링의 외주면에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이 각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원통형상이되 외주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편평부;상기 편평부의 양측에 체결부재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체결부재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가 지그홈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대에 형성되어 드럼의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를 감지하는 하강센서와 상승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필름을 간단 용이하면서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는,
호형의 지그홈(122)을 갖는 지그(120)가 형성된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된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
상기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를 타고 승강되는 드럼(300);
상기 드럼(300)을 승강작동시키는 승강모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그(120)는 받침대(10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로 장착된다. 그리고 지그홈(122)의 곡률은 대상물인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곡률과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곡률에 적합하도록 지그(120)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의 전면에는 수직되게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에는 제1가이드부재(220) 및 제2가이드부재(220')가 결합되어 상하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가이드부재(220) 및 제2가이드부재(220')는 제1레일(210) 및 제2레일(210')의 외측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드럼(300)은 제1가이드부재(220) 및 제2가이드부재(220')에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400) 및 제2브라켓(400')에 양측이 결합되는 샤프트(5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통체이다.
드럼(300)은 상기 지그(120)의 지그홈(122)에 인입 및 인출되어야 하므로 지그홈(122)의 위치에 수직되게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여 상기 드럼(300)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600)가 구비된다. 드럼회전모터(600)는 드럼(300)을 한바퀴 회전시키거나 또는 정해진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드럼회전모터(600)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300)이 회전하면서 필름이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에 가압되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의 상부에 승강모터(400)가 장착된다.
상기 승강모터(400)의 축에 연결되어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스크류축(410)과, 상기 스크류축(410)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는 승강링(420)이 구비된다.
승강링(420)의 외주면에 상기 제1브라켓(400) 및 제2브라켓(400')이 각기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모터(400)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축(41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크류축(410)에 나사결합된 승강링(420)이 상승 또는 하강 작동하게 된다.
상기 드럼(300)은, 원통형상이되 외주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편평부(310); 상기 편평부(310)의 양측에 체결부재(320)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체결부재(320)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울러(330)는 지그홈(12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0)을 필름 접착에 적합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기대(200) 및 제2기대(200')에는 드럼(300)의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를 각기 감지할 수 있도록 하강센서(S1)와 상승센서(S2)가 구비된다.
드럼(300)이 하강하면 지그홈(122)에 인입된 상태이며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의 두께만큼만 이격되도록 간극이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받침대(100)의 전방에는 조작 스위치(SW)가 구비된다. 조작 스위치(SW)는 하강버튼, 비상정지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름(F)이 가접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을 지그(120)의 지그홈(122)에 안착시킨다.
또는 필름(F)은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을 지그홈(122)에 안착한 후 별도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후 조작 스위치(SW)를 조작하여 온 작동시키면, 승강모터(400)가 회전되고, 스크류축(410)이 회전되므로 승강링(420)이 나사산을 따라 하강되며, 이에 결합된 제1가이드부재(220) 및 제2가이드부재(220') 및 브라켓(400,400')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400,400')에 결합된 드럼(300)이 하강하여 상기 필름(F)이 가접된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P)에 근접하게 된다.
이후 드럼회전모터(600)가 구동되어 드럼(300)이 회전하므로 로울러(330)가 필름(F)의 표면을 눌러 가압하면서 롤링작동하게 된다.
이때 드럼(300)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필름(F)의 부착이 보다 용이하면서 견고하게 실시될 수 있다.
로울러(330)의 롤링작동이 필름(F)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수행됨으로써 들뜸이 방지되고, 기포가 생성되지 않아 양질의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받침대 120 : 지그
122 : 지그홈 200,200' : 기대
300 : 드럼 310 : 편평부
320 : 체결부재 330 : 로울러
400 : 승강모터 410 : 스크류축
420 : 승강링 500 ; 샤프트
600 : 드럼회전모터 P : 패널
F : 필름 SW : 조작스위치

Claims (4)

  1. 호형의 지그홈을 갖는 지그가 형성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부 양측에 형성된 제1기대 및 제2기대;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일측에 각기 형성된 제1레일 및 제2레일;
    상기 제1레일 및 제2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에 각기 형성된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지그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드럼;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발휘하여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모터;
    상기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제1기대 및 제2기대의 내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에 나사결합되는 승강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링의 외주면에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이 각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원통형상이되 외주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편평부;
    상기 편평부의 양측에 체결부재가 각기 형성되고, 양측 체결부재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울러;를 포함하고,
    상기 로울러가 지그홈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구름작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에 형성되어 드럼의 하강 위치와 상승 위치를 감지하는 하강센서와 상승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20140009780A 2014-01-27 2014-01-27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153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780A KR101536237B1 (ko) 2014-01-27 2014-01-27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780A KR101536237B1 (ko) 2014-01-27 2014-01-27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37B1 true KR101536237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780A KR101536237B1 (ko) 2014-01-27 2014-01-27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12B1 (ko) * 2016-07-18 2018-03-27 안성룡 곡면형 패널에 플렉서블 소재 부착방법
KR102039051B1 (ko) 2018-11-02 2019-11-01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KR102113197B1 (ko) 2018-12-13 2020-05-20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KR102113195B1 (ko) 2018-12-13 2020-05-20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97B1 (ko) * 2013-02-05 2013-05-03 에스맥 (주)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297B1 (ko) * 2013-02-05 2013-05-03 에스맥 (주)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12B1 (ko) * 2016-07-18 2018-03-27 안성룡 곡면형 패널에 플렉서블 소재 부착방법
KR102039051B1 (ko) 2018-11-02 2019-11-01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KR102113197B1 (ko) 2018-12-13 2020-05-20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KR102113195B1 (ko) 2018-12-13 2020-05-20 문경원 패널 접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37B1 (ko) 곡면형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ATE524110T1 (de) Röntgenbildgebungsgerät
JP6001787B2 (ja) ディスプレーパネルの検査装置
CN105716649B (zh) 一键式检测仪
KR10161807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EP2241255A3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Imaging Apparatus
EP1860538A3 (en)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thereon
EP1645945A3 (e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s used in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EP2778884A3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u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R2919494B1 (fr) Dispositif de massage.
EP2466442A3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2426574A3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control method
FR2913076B1 (fr) Dispositif de serrage a bras de manoeuvre escamotable et appareils en comportant application
EP4138373A4 (en) ROTATION MECHANISM, SUPPOR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3135888A3 (de) Detektoranordnung zum aufnehmen von röntgenbildern eines abzubildenden objekts
JP2015118701A5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17129394A5 (ko)
WO2013027339A3 (en) Project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11038896A (ja) タイヤ外観検査用補助装置
JP2017536899A5 (ko)
CN208420566U (zh) 一种柔性屏幕的自动弯曲测量装置
KR101974813B1 (ko) 곡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KR100944625B1 (ko) 자연 채광 및 인공조명의 글레어 측정 방법 및 시스템
EP2492574A3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djustable mounting module
KR20150105887A (ko) 곡면형 터치 스크린 패널의 라미네이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