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803B1 -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 Google Patents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803B1
KR101535803B1 KR1020130129435A KR20130129435A KR101535803B1 KR 101535803 B1 KR101535803 B1 KR 101535803B1 KR 1020130129435 A KR1020130129435 A KR 1020130129435A KR 20130129435 A KR20130129435 A KR 20130129435A KR 101535803 B1 KR101535803 B1 KR 10153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ice data
media gateway
handov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197A (ko
Inventor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8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개시한다. 즉, 단말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의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패킷망과 서킷망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에서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METHOD FOR VOICE CALL CONTINUITY, AND SERVER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를 지원하는 무선망 환경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현재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패킷망(예: LTE망)의 경우, 그 커버리지가 제한적인 관계로 해당 커버리지를 벗어나게 되면, 음성통화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단일 무선망에서 음성통화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기술인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SRVCC 기술은, 패킷망에서의 음성통화를 수행중인 단말이 서킷망(예: WCDMA)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음성통화가 끊기지 않도록 보장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헌데, 기존 SRVCC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하는 시점에, 발신단말과 착신단말 간에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 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음성통화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하는 시점에, 음성통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의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패킷망과 서킷망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에서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이, 상기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과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 모두에서, 상기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가, 상기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 상호 간에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전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를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에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가 상기 SDP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로부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의 동작 방법은, 패킷망에서 제2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이, 상기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과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 모두에서, 상기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이 상기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가, 상기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 상호 간에 전달하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전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1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를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에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제1단말과 상기 제2단말 모두가 상기 SDP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로부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의하면, 단말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의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패킷망과 서킷망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에서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음성통화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은,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이동교환국서버(300)에 요청하는 이동성관리엔터티(MME, Mobile Mobility Entity;200), 및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이동교환국서버(MSC Server, Mobile Switching Center Server;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우선,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은, 패킷망과 서킷망 모두에 걸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인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을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은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패킷망과 서킷망 모두에서 음성통화가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킷망의 경우, 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LTE(Long Term Evolution) 망이 이에 해당되며, 서킷망의 경우에는, 예컨대, WCDMA와 같은 3G 무선망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서의 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일종의 이동교환국을 일컫는다.
이러한,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의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면, 이동교환국서버(300)에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교환국서버(300)는 패킷망과 서킷망 간의 핸드오버를 처리하여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한 제1단말(100)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 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호 제어, 이동성 관리, 위치 등록 관리, 호 중계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국서버와, 통화로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따른 이동교환국서버(300)의 경우, 기본적으로 전술한 이동국서버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내장한 형태를 가짐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서버와,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일체화된 형태를 갖는 이동교환국서버(300)의 경우, 패킷기반이동교환국(eMSC, enhanced Mobile Switching Center)라고도 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이동한 경우에도, 서킷망으로 이동한 제1단말(100)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의 음성통화가 끊기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교환국서버(300)에서는 이동성관리엔터티(200)로부터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요청되면 음성통화를 위한 서킷망에서의 회선을 할당함과 동시에, 서킷망으로 핸드오버 한 제1단말(100)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의 음성통화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에 자신의 접속주소를 알려주게 된다.
이에, 이동교환국서버(300)의 접속주소를 확인한 제2단말(400)에서는,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이동교환국서버(300)를 거쳐 서킷망으로 핸드오버한 제1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헌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교환국서버(300)에서 자신의 접속주소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에만 알려주는 경우,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 이전에,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가 제1단말(100)에 전달되지 않아, 음성통화 중 묵음과 같은 음성통화의 품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제1단말(100)에서는,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 이전까지 기존의 패킷망 회선으로부터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나, 실질적으로 제2단말(400)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의 경우, 이동교환국서버(300)를 거쳐 제1단말(100)에 수신되어, 이에 제1단말(100)에서는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무시하여 음성통화 중 묵음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와 관련하여 이동교환국서버(300)의 접속주소를 인지한 제2단말(400)이 제1단말(100)이 패킷망에 위치한 경우에서와 같이 패킷망 회선으로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이동교환국서버(300)를 통해 음성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제1단말(100)에서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단말(400)에는 제1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함은 물론이다.
이는, 핸드오버가 완료되지 않은 제1단말(100)에서는, 핸드오버 이전과 마찬가지로 패킷망의 회선을 통해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데 반해, 이동교환국서버(300)의 접속주소를 인지한 제2단말(400)에서는, 패킷망의 회선이 아닌,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만을 정상적으로 수신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제1단말(100)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기 이전에, 제1단말(100)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로부터 음성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음성데이터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음성통화의 연속성을 완벽하게 보장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면, 이동교환국서버(300)에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게 된다.
이때,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 위치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기지국(e-NodeB)으로 전달된 셀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의 인접셀이 서킷망인 것을 인지함으로써,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의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이동성관리엔터티(200)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이 제1단말(100)이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목적 이동교환국(MSC, 도시안됨)으로의 핸드오버 진행을 요청함으로써, 목적 이동교환국으로 하여금, 자신이 속하는 RNS(Radio Network Subsystem)를 통해, 서킷망에서의 제1단말(100)의 음성통화를 위한 회선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함과 아울러,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기 위해 내장된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통해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 모두에 전달함으로써,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이 이동교환국서버(300)를 통해서 음성데이터가 전달됨을 사전에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인바이트메시지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는, 상기 인바이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200 OK)로서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전달함으로써, 이동교환국서버(300)로 하여금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간에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 대하여,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한 이후,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상호 간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로부터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1단말(100)에 전달함과 동시에,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가 시도되는 목적 이동교환국을 통해 제1단말(100)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패킷망과 서킷망 모두를 통해 제1단말(100)에 전달하는 것은,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없음을 고려하기 위해서다.
즉,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점에,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경우, 제1단말(100)에서는,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오로지 서킷망에 위치한 목적 이동교환국을 통해서만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제2단말(400)과 마찬가지인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2단말(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30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부(310), 및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모두에서, 패킷망과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어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확인부(310) 및 제어부(320)를 포함하는 이동교환국서버(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일부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게이트웨이(330)는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 간에 통화로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상호 간에 전달하게 된다.
우선, 확인부(310)는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310)는 이동성관리엔터티(200)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의 접속주소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로 하여금 세션 기술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통해 자신의 접속주소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 모두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에,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는, 상기 제1단말(100)이 상기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가 이동교환국서버(300)를 거쳐 전달됨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미디어게이트웨이(330)로부터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는, 상기 인바이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200 OK)로서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전달함으로써, 미디어게이트웨이(330)로 하여금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디어게이트웨이(330)와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 간에 전달되는 인바이트메시지와 응답메시지의 경우, 실질적으로 패킷망에서 SRVCC와 관련된, 세션 또는 호 정보를 관리하는 SRVCC-AS(Application Server; 도시안됨)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게이트웨이(33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간에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0)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로 하여금, 자신의 접속주소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 인지하도록 한 이후,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상호 간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미디어게이트웨이(330)에서는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로부터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1단말(100)에 전달함과 동시에,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가 시도되는 목적 이동교환국을 통해 제1단말(100)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패킷망과 서킷망 모두를 통해 제1단말(100)에 전달하는 것은,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없음을 고려하기 위해서다.
즉,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전달하는 시점에,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경우, 제1단말(100)에서는,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오로지 서킷망으로 밖에 수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1단말(100)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단말(400)로부터 전송된 음성데이터가 이동교환국서버(300)으로부터 전달됨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미디어게이트웨이(330)에서는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제2단말(400)과 마찬가지인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2단말(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제1단말(100)에서는 음성데이터를 이동교환국서버(300)를 통해서 전달해야 함을 사전에 인지하고 있음에 따라,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제2단말(400)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이동교환국서버(300)를 통해서만 전달함으로써, 제2단말(400)에서는, 제1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에 따르면,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이동교환국서버(300)에서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패킷망과 서킷망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단말(10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음성통화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품질 확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되면, 이동교환국서버(300)에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한다(S110).
이때, 이동성관리엔터티(200)는 패킷망에 위치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기지국(e-NodeB)으로 전달된 셀 정보를 기초로, 해당 기지국의 인접셀이 서킷망인 것을 인지함으로써,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의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이동성관리엔터티(200)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하게 한다(S120).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이 제1단말(100)이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목적 이동교환국(MSC, 도시안됨)으로의 핸드오버 진행을 요청함으로써, 목적 이동교환국으로 하여금, 자신이 속하는 RNS를 통해, 서킷망에서의 제1단말(100)의 음성통화를 위한 회선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처리함과 아울러,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30-S160).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세션 기술 프로토콜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통해 내장된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 모두에 전달함으로써,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이 이동교환국서버(300)를 통해서 음성데이터가 전달됨을 사전에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교환국서버(300)로부터 인바이트메시지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는, 상기 인바이트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200 OK)로서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전달함으로써, 이동교환국서버(300)로 하여금 자신들의 접속주소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 대하여,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확인하도록 한 이후, 제1단말(100)에 대한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제1단말(100) 또는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데이터를 상호 간에 전달한다(S170-S210).
이때, 이동교환국서버(300)는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로부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1단말(100)에 전달함과 동시에,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가 시도되는 목적 이동교환국을 통해 제1단말(100)에 동시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이동교환국서버(300)는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제2단말(400)과 마찬가지인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2단말(400)에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교환국서버(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확인부(310)는 이동성관리엔터티(200)로부터 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한다(S310).
그리고 나서, 제어부(320)는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이 확인되면,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의 접속주소를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모두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20)는 미디어게이트웨이(330)로 하여금 세션 기술 프로토콜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통해 자신의 접속주소를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과,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 모두에 전달하도록 한다(S320).
이에,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에서는, 상기 제1단말(100)이 상기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가 이동교환국서버(300)를 거쳐 전달됨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다음, 미디어게이트웨이(330)는 인바이트메시지(Invite)를 수신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로부터 응답메시지(200 OK)를 수신하여, 각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제1단말(100)과 제2단말(400) 각각의 접속주소를 확인한다(S330).
이후, 미디어게이트웨이(330)는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400)로부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 제2단말(4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1단말(100)에 전달함과 동시에,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제1단말(100)의 핸드오버가 시도되는 목적 이동교환국을 통해 제1단말(100)에 동시에 전달한다(S340-S360).
반면, 미디어게이트웨이(330)는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100)로부터 제2단말(400)과 마찬가지인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수신되는 경우에는 제1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패킷망에 적합한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 그대로 제2단말(400)에 전달하게 된다(S37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에 따르면, 패킷망에서 제2단말(400)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100)이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경우, 이동교환국서버(300)에서 제1단말(100)에 대한 서킷망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패킷망과 서킷망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단말(10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여 음성통화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따르면,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를 지원하는 무선망 환경에서, 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통화의 품질 저하를 방지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제1단말
200: 이동성관리엔터티
300: 이동교환국서버
310: 확인부 320: 제어부
330: 미디어게이트웨이
400: 제2단말

Claims (8)

  1. 패킷망에서 제2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이, 상기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핸드오버의 시도가 확인되면, 상기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가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 이전에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를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제2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인바이트메시지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 상호 간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전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
  4. 삭제
  5. 패킷망에서 제2단말과 음성통화중인 제1단말이, 상기 패킷망에서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것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의 시도가 확인되면, 상기 패킷망과 상기 서킷망 간의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 이전에 SDP 기반의 인바이트메시지를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제2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1단말 및 상기 제2단말이 상기 인바이트메시지로부터 확인되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의 접속주소를 기초로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 상기 핸드오버가 완료되는 시점까지 상기 음성통화와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를 통해 상호 간에 전달할 수 있게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에 남아있는 제2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에 적합한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전환된 음성데이터를 상기 서킷망을 통해 상기 제1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의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킷망으로 핸드오버를 시도하는 제1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음성데이터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기반의 음성데이터이며,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제1단말로부터 전송된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가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로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미디어게이트웨이가 상기 RTP 기반의 음성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을 통해서만 상기 제2단말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교환국서버의 동작 방법.
  8. 삭제
KR1020130129435A 2013-10-29 2013-10-29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1535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435A KR101535803B1 (ko) 2013-10-29 2013-10-29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435A KR101535803B1 (ko) 2013-10-29 2013-10-29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197A KR20150049197A (ko) 2015-05-08
KR101535803B1 true KR101535803B1 (ko) 2015-07-10

Family

ID=533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435A KR101535803B1 (ko) 2013-10-29 2013-10-29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8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27A1 (en) * 2009-10-06 2011-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nchoring and bi-casting media 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527A1 (en) * 2009-10-06 2011-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nchoring and bi-casting media data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R 23.856 V10.0.0(2010.09.) *
3GPP TR 23.856 V10.0.0(201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197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4657B1 (en) Originator mobile device assisted voice call technology selection
US9405685B2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during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US8576756B2 (en) Continuous cache service in cellular networks
RU2528429C2 (ru) Управление безопасностью радиоканалов сигнализаци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непрерывности речевого вызова с одним радиоинтерфейсом
US20070291694A1 (en) Seamless Multimedia Session Handoff Across Multiple Devices in a Mobile Networking Environment
US936993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2276B1 (en) Hybrid call continuit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749918B2 (en) Handover procedure for directly connecting a mobile terminal to a base station previous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via a relay terminal
US20150092749A1 (en) Handoff of a mobile station between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wireless domains
KR201600265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23826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seamless mobility across offload gateways
US9390053B2 (en) Cache device, cache control device, and methods for detecting handover
CN105792264A (zh) 故障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US108633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ing message related to a communication service of a client device
US85479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voice call continuity
CN103444229A (zh) 处理从cs接入网络到ps接入网络的呼叫转移
KR101535803B1 (ko) 음성통화 연속성 보장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서버
US200901164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istration of mobile station and generic access network controller
US9622206B1 (en) Registration with radio access network in response to registration with call server
CN104936269A (zh) 一种传输心跳消息的方法和装置
US103492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95126B2 (ja) 通信システム、呼接続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6078352A1 (zh) Ssd更新方法、移动交换中心、通信系统及相关存储介质
KR102086464B1 (ko) 통신 시스템, 통신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이종 네트워크간 핸드오버 방법
JP6291320B2 (ja) 通信システム、呼接続制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