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322B1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322B1
KR101535322B1 KR1020120125120A KR20120125120A KR101535322B1 KR 101535322 B1 KR101535322 B1 KR 101535322B1 KR 1020120125120 A KR1020120125120 A KR 1020120125120A KR 20120125120 A KR20120125120 A KR 20120125120A KR 101535322 B1 KR101535322 B1 KR 10153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swash plate
elastic member
sensing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816A (ko
Inventor
윤영섭
송세영
신정식
임권수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3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의 초기 기동시나, ON/OFF시와 같이 급격한 토크 변동을 유발할 때에도 실제의 토크와 근사한 토크 추정값을 얻을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축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시의 후단에 감지부가 구비되고, 감지부의 자속밀도 변화를 센서로 검출함으로써 사판의 경사각 즉, 압축기의 토크를 산출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토크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엔진 회전수 변동 감소 및 연비 개선이 가능한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여기서,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한편, 사판식 압축기로는 사판의 설치각도가 고정된 고정 용량형 타입과,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 이하, '압축기')에는 압축기(10)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20)이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 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21)가 형성되며, 이 센터 보어(21)에는 회전축(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센터 보어(21)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 보어(22)가 실린더 블럭(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70)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22)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며, 피스톤(7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보어(22) 내의 냉매가 압축된다.
실린더 블럭(20)의 전방에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전방하우징(30)은 실린더 블럭(20)과의 대향면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럭(2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
전방하우징(30)의 전방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풀리(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된다.
실린더 블럭(2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40)이 결합된다. 이때, 후방하우징(40)에는 실린더 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후방하우징(40)의 외주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토출실(41)이 형성되고, 토출실(41)의 반경방향 내측 즉, 후방하우징(40)의 중앙부에는 흡입실(42)이 형성된다.
이때, 실린더 블럭(20)과 후방하우징(4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50)가 개재되며, 토출실(41)은 밸브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토출구(51)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되고, 흡입실(42)은 밸브플레이트(50)의 흡입구(52)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된다.
또한, 회전축(60)에는 사판(61)이 설치되는데, 사판(6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슈(62)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70)과 연결되며, 사판(6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0)은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압축기(10)의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60)에 대한 사판(61)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토출실(41)과 크랭크실(31)을 연통하는 유로의 개도가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경우, 압축기의 압축부하 변동이 엔진부하 변동과 연결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토크 변동을 검출해서 이 검출토크 변동을 고려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이러한 압축기의 토크 변동을 검출하기 위해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03416(특허문헌 1)에 개시된 유량 검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유량 검출 장치는, 실린더 블럭(1)의 외측에 접합되는 플랜지 부재로서의 토출 플랜지(2)에 구비되며, 토출 플랜지(2)에 수용되고 상단에 자석(3a)이 구비되는 가동체(3)와, 가동체(3)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4)과, 토출 플랜지(2)의 표면에 고정되는 검출 센서로서의 자기 센서(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때, 고압실(6a)과 저압실(6b)의 압력차에 의해 가동체(3)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자석(3a)의 자속밀도 변화를 자기 센서(5)로 검출하여 냉매의 유량을 알게 되는데, 접속선(7a)을 통해 자기 센서(5)로부터 검출값을 전송받은 앰프(7)가 유량 데이터에 근거하여 압축기의 토출 용량을 산출하고, 압력조절밸브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엔진의 회전수를 최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량 검출 장치의 경우, 가동체의 설치를 위해 고압실과 저압실 사이에 별도의 교축부를 형성함에 따라 유량 저하의 문제점이 있고, 그 교축부가 고정 크기인 경우 저유량시 측정값의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303416(2007.11.22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조장치의 초기 기동시나, ON/OFF시와 같이 급격한 토크 변동을 유발할 때에도 실제의 토크와 근사한 토크 추정값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엔진의 회전수 변동 감소 및 연비 개선을 꾀할 수 있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중앙에 센터 보어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보어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럭; 상기 실린더 블럭의 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크랭크실이 형성되는 전방하우징; 상기 실린더 블럭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실과 토출실이 형성되는 후방하우징; 상기 센터 보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시; 상기 부시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와 함께 이동 가능한 감지부; 상기 전방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부시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부시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이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사판; 상기 사판의 테두리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사판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피스톤; 및 상기 후방하우징의 일측에 상기 감지부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는 상기 감지부의 자속밀도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부시의 중공 내, 또는 상기 부시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부시의 후단과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벽 사이 공간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시의 후단과 상기 감지부 사이에 제1탄성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감지부와 상기 후방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제2탄성부재가 개재된다.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부시의 후단에 설치되는 베어링의 레이스 일측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에 의하면, 실제의 토크와 큰 차이가 없는 토크 추정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엔진 토크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별도의 교축부 없이 후방하우징 내에 설치되므로, 냉매 토출 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유량 검출 장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부분 단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단면도로서, 도 3은 사판이 최대 경사각을 가질 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사판이 최소 경사각을 가질 때의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100, 이하 '압축기')는 크게 하우징(200)과, 회전축(400)과, 사판(500)과, 복수의 피스톤(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00)은, 압축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210)과 전방하우징(220) 및 후방하우징(2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린더 블럭(210)은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통체로서,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회전축(400)을 수용할 수 있는 센터 보어(211)와 함께, 센터 보어(2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복수의 피스톤(600)을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보어(2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하우징(220)과 후방하우징(230)은 전술한 실린더 블럭(210) 앞뒤의 개방단을 마감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통체로서, 전방하우징(220)은 실린더 블럭(210)을 향해 후단이 개방되어, 사판(500)의 회전 공간인 크랭크실(221)을 확보하면서 사판(500)의 경사 각도 조정을 위한 경사조정기구(222)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후방하우징(230)은 실린더 블럭(210)을 향해 전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입 행정시 실린더 블럭(210)의 실린더 보어(212)로 냉매를 공급하는 흡입실(231)과, 압축행정시 실린더 보어(212) 내의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2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실린더 블럭(210)과 후방하우징(230) 사이에 개재되는 밸브플레이트(240)에는 흡입구(241) 및 토출구(242)가 관통 형성되는데, 흡입구(241)는 실린더 보어(212)와 흡입실(231)을 연통시키며, 토출구(242)는 실린더 보어(212)와 토출실(232)을 연통시킨다.
한편, 회전축(400)은 엔진 등 외부 구동원(미도시)의 회전 구동력을 압축기(100)의 내부로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전방하우징(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400)의 일단에는 회전풀리(410)가 결합되며, 이 회전풀리(410)를 통해서 외부의 회전 구동력이 회전축(400)으로 전달되어, 회전축(4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400)의 전단부는 하우징(200)의 일측 즉, 전방하우징(220)의 중심부분을 관통하여 래디얼 베어링(2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회전축(400)의 후단부는 센터 보어(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부시(30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부시(300)에 의해 회전축(400)의 반경 방향 하중이 지지된다.
이때, 부시(30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사판(5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부시(300)는 회전축(400)에 대한 사판(500)의 경사각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회전축(4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사판(500)이 최대 경사각으로 변위할 때 부시(300)는 전방하우징(220) 방향으로 전진하고, 사판(500)이 최소 경사각으로 변위할 때에는 후방하우징(230) 방향으로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사판(500)은 회전축(400)의 회전 구동력을 피스톤(600)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수단으로서, 중앙부가 관통되어 회전축(400) 상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4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사판(5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복수의 슈(510)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이 슈(510)를 통해 복수의 피스톤(600)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지지된다.
또한, 사판(500)은 냉매 토출 용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400)에 대한 경사 각도가 가변되도록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회전축(400)에 대한 사판(500)의 경사가 90°인 경우, 피스톤(600)의 왕복 운동이 사라지므로 회전축(400)은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달리, 사판(500)이 회전축(400)에 대해 경사지게 되면, 피스톤(600)이 실린더 보어(212)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하며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사판(500)의 경사 각도 조절은 토출실(232)과 크랭크실(221)을 연통하는 유로(미도시)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후방하우징(2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복수의 피스톤(600)은 사판(500)에 의해 실린더 보어(212)의 내부를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수단으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500)의 가장자리 부분에 슈(510)를 통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판(500)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 블럭(210)의 실린더 보어(212) 내주면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흡입구(241)를 통해 실린더 보어(212) 내부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한다.
이때, 피스톤(600)에 의해 실린더 보어(212)에서 압축된 냉매는 후방하우징(230)의 토출실(232)로 토출된 후, 토출포트(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냉각시스템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0)는, 사판(500)의 경사각 변화에 따라 부시(300)가 이동하게 되므로, 부시(300)의 이동량을 감지함으로써 사판(500)의 경사각 즉, 압축기(100)의 토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시(300)의 후단에 감지부(310)가 구비되고, 후방하우징(230)의 일측에는 감지부(310)와 대향하도록 센서(233)가 설치된다. 이때, 센서(233)는 감지부(310)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감지부(3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센서(233)는 감지부(310)의 근접 또는 이격시 변화하는 자속밀도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는 감지부(310)가 부시(300)의 중공 내부 후단에 구비되고, 센서(233)가 후방하우징(230)의 외측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지부(310)가 부시(300)의 후면에 구비되거나, 센서(233)가 후방하우징(23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감지부(310)의 이동에 따라 센서(233)에서 측정되는 자속밀도의 변화값은, 압축기(100) 일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며, 제어부는 측정값에 근거하여 냉매의 토출량과 압축기(100)의 토크를 산출하고 압력조절밸브를 제어하는 한편, 엔진 제어수단(미도시)에 대하여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여 엔진 회전수가 최적으로 제어되게끔 한다.
제2실시예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의 부분 단면 개략도로서, 도 5는 사판이 최대 경사각을 가질 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사판이 최소 경사각을 가질 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0')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압축기(100)와 전체적으로 대동소이하며, 다만 감지부(310')가 부시(300)의 후방에 이격하여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축기(100')에서는 감지부(310')가 흡입실(231) 내에서 부시(300)의 후방에 이격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부시(300)의 후단과 감지부(310')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20)가 개재되고, 감지부(310')와 후방하우징(230)의 내벽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330)가 개재되어, 감지부(310')는 제1,제2탄성부재(320,33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때, 제1탄성부재(320)와 제2탄성부재(33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시(300)의 이동에 따라 감지부(310')가 센서(233)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탄성부재(320)의 탄성계수가 제2탄성부재(330)의 탄성계수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500)의 경사각이 최소일 때 부시(300)는 센서(233)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때 제2탄성부재(330)의 압축변형이 먼저 진행되어 감지부(310')가 센서(23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감지부(310')가 제1탄성부재(320)와 제2탄성부재(330)에 의해, 부시(300)의 후단에 이격하여 탄성 지지되면,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지부(310')의 이동거리가 줄어들고, 센서(233)의 출력이 커지게 되어 출력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부시(300)는 사판(500)의 경사각 변화에 따라 회전축(40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한편, 회전축(400)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므로, 부시(300)가 회전하는 동안 제1탄성부재(320)의 일단이 부시(300)의 후단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부시(300)의 후단에는 쓰러스트(thrust)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도 6에는 이러한 쓰러스트 수단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부시(300)의 후단에 베어링(340)이 구비되고, 제1탄성부재(320)의 일단이 베어링(340)의 레이스(341)에 지지됨으로써, 부시(300)의 회전력이 제1탄성부재(3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31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제1탄성부재(320)의 타단과 제2탄성부재(330)의 일단이 각각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삽입홈(311')이 형성되는데, 마찬가지로 레이스(341)의 후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제1탄성부재(320)의 일단이 삽입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330)의 타단 지지를 위해 후방하우징(230)의 내벽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제1탄성부재(320)의 이탈 방지를 위해, 레이스(341)의 후면에 제1탄성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관 형상의 제1가이드부(342)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감지부(310')와 제2탄성부재(330)의 이탈 방지 및 이동 방향 안내를 위해, 그 둘레를 감싸는 관 형상의 제2가이드부(234)가 후방하우징(230)의 내벽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센서(233)는 후방하우징(230)의 후면에 형성되는 센서장착부(235)의 장착홈(236)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100, 100' : 압축기 200 : 하우징
210 : 실린더 블럭 211 : 센터 보어
212 : 실린더 보어 220 : 전방하우징
221 : 크랭크실 230 : 후방하우징
231 : 흡입실 232 : 토출실
233 : 센서 300 : 부시
310, 310' : 감지부 320 : 제1탄성부재
330 : 제2탄성부재 340 : 베어링
341 : 레이스 400 : 회전축
410 : 회전풀리 500 : 사판
510 : 슈 600 : 피스톤

Claims (7)

  1. 중앙에 센터 보어(211)가 형성되고, 상기 센터 보어(2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의 실린더 보어(212)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럭(210);
    상기 실린더 블럭(210)의 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크랭크실(221)이 형성되는 전방하우징(220);
    상기 실린더 블럭(210)의 후방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실(231)과 토출실(232)이 형성되는 후방하우징(230);
    상기 센터 보어(2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시(300);
    상기 부시(300)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부시(300)와 함께 이동 가능한 감지부(310,310');
    상기 전방하우징(220)을 관통하여 상기 부시(300)의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부시(300)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400);
    상기 회전축(40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400)이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221)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사판(500);
    상기 사판(500)의 테두리 일측이 결합되어, 상기 사판(500)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피스톤(600); 및
    상기 후방하우징(230)의 일측에 상기 감지부(310,310')와 대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감지부(310,310')의 근접 또는 이격을 감지하는 센서(233)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310')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10,310')는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233)는 상기 감지부(310,310')의 자속밀도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310)는,
    상기 부시(300)의 중공 내, 또는 상기 부시(300)의 후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부시(300)의 후단과 상기 후방하우징(230)의 내벽 사이 공간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시(300)의 후단과 상기 감지부(310') 사이에 제1탄성부재(320)가 개재되고, 상기 감지부(310')와 상기 후방하우징(230)의 내벽 사이에 제2탄성부재(330)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320)의 일단이 상기 부시(300)의 후단에 설치되는 베어링(340)의 레이스(341) 일측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재(320)의 탄성계수가 상기 제2탄성부재(330)의 탄성계수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20120125120A 2012-11-07 2012-11-07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3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20A KR101535322B1 (ko) 2012-11-07 2012-11-07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20A KR101535322B1 (ko) 2012-11-07 2012-11-07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16A KR20140058816A (ko) 2014-05-15
KR101535322B1 true KR101535322B1 (ko) 2015-07-24

Family

ID=5088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120A KR101535322B1 (ko) 2012-11-07 2012-11-07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782A (ja) * 2001-08-08 2003-02-21 Sanden Corp 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9782A (ja) * 2001-08-08 2003-02-21 Sanden Corp 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16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50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35322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86725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510349B1 (ko) 가변 용량 컴프레서
KR101882672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77260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87725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20130121328A (ko) 사판식 압축기
KR20120040582A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984509B1 (ko) 압축기의 냉매 토출유량 계측장치
KR10186673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6397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20090148312A1 (en) Variable Capacity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N111749866B (zh) 活塞式压缩机
KR101866735B1 (ko) 사판식 압축기
US20040076527A1 (en) Clutchless variable displacement refrigerant compressor with mechanism for reducing displacement work at increased driven speed during non-operation of refrigerating system including the compressor
KR101877258B1 (ko) 사판식 압축기
KR20130109485A (ko) 사판식 압축기의 구동축 지지구조
CN110318969B (zh) 活塞式压缩机
KR20110098215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101915969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US20010043866A1 (en) Electric compressor
WO2020004166A1 (ja) 可変容量圧縮機
KR101877261B1 (ko)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1731648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