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120B1 -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120B1
KR101535120B1 KR1020140083633A KR20140083633A KR101535120B1 KR 101535120 B1 KR101535120 B1 KR 101535120B1 KR 1020140083633 A KR1020140083633 A KR 1020140083633A KR 20140083633 A KR20140083633 A KR 20140083633A KR 101535120 B1 KR101535120 B1 KR 101535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discharge roller
shaft
dischar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화
Original Assignee
선하통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하통상 (주) filed Critical 선하통상 (주)
Priority to KR102014008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 A47K10/427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의 티슈를 수납한 다음 사용할 때마다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슈함에서 보다 용이하게 티슈를 하나 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낱장형 티슈가 삽입 적층되고, 내벽면 양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서 양측에 돌출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이 상기 제1 축홀에 관통 고정되는 배출로울러가 장착되며, 하부의 내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로울러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출로울러 돌출홈이 형성된 후 전방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격판과, 정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기 격판의 전방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티슈배출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티슈배출홀에 대응하는 정면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제2 티슈배출홀과, 상기 하부몸체에 상단에 올려지는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넬과, 상기 지지판넬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배출로울러의 축이 하부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후 장착되어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하강할 때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로울러 회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The tissue case}
본 발명은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각의 티슈를 수납한 다음 사용할 때마다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티슈함에서 보다 용이하게 티슈를 하나 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에서는 음식이 나오기 전 손을 닦을 수 있도록 물티슈를 제공하고 음식을 먹는 도중이나 먹은 후 사용할 수 있도록 티슈를 구비하고 있다.
이중 티슈의 경우 테이블 위에 비치되어 사용자가 꺼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가장 일반적인 것은 티슈함이라고 불리는 직육면체의 박스에 티슈를 넣고 이를 상부의 홀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티슈함의 경우 내부의 스프링에 의하여 티슈가 상부로 올라가도록 하고 있으며 티슈의 경우 절단이 접혀 정사각형을 이루는데 접히는 사이로 다른 하나의 접힐 부분이 삽입되는 방식 즉 지그재그로 상호 맞물러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티슈를 뽑을 때 다른 하나의 절반이 딸려 올라오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티슈가 가득 담겼을 경우에는 티슈 상호간의 누르는 압력이 너무 강하여 잘 인출되지 않으며 한 장이 아닌 여러 개가 딸려나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티슈가 조금 남았을 경우에는 내부의 스프링에 의하여 티슈가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여 상부의 뚜껑을 열고 티슈를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는 티슈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티슈로 품질면에서 상당히 떨어지는 편이었다.
반면에 고급 음식점에서는 전술한 티슈보다 고급의 티슈가 가로와 세로로 두 번 접혀 있는 티슈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티슈의 경우 상호 맞물려 접히는 방식이 아닌 개별적으로 접힌 후 적층되는 것(;본원에서는 이를 낱장형 티슈라 칭하겠다.)으로 보통 이를 대각선으로 접은 후 티슈꽂이에 꼽아 놓고 필요할 때 꺼내 쓰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많은 수의 티슈를 꽂아놓지 못하며 한두 개를 빼서 사용하면 모양이 흐트러져 다시 이를 정리하고 보충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48022-0000호 (1999년03월12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36394-0000호 (2001년06월19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84040-0000호 (2005년05월03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0132329호 (2009년12월3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낱장으로 적층되는 비교적 고급의 티슈를 수납하고 간단한 동작으로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티슈가 안정적으로 한 장씩 인출될 수 있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낱장형 티슈가 삽입 적층되고, 내벽면 양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축홀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서 양측에 돌출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이 상기 제1 축홀에 관통 고정되는 배출로울러가 장착되며, 하부의 내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로울러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출로울러 돌출홈이 형성된 후 전방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격판과, 정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기 격판의 전방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티슈배출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티슈배출홀에 대응하는 정면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제2 티슈배출홀과, 상기 하부몸체에 상단에 올려지는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넬과, 상기 지지판넬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상부몸체와;
상기 배출로울러의 축이 하부몸체의 외부로 돌출된 후 장착되어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몸체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하강할 때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로울러 회전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몸체의 제1 축홀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양측 외벽면에는 제1 축홀을 중심으로 전방과 전방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함몰되는 회전부재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 가이드홈의 상단에서 하부몸체의 상단까지 수직 상부로 길게 함몰 연장되는 가압돌기 진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울러는 회전중심을 관통하고 내경면에 제1 키홈을 구비하는 제2 축홀이 형성되며;
상기 축은 상기 제2 축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키홈에 삽입되어 동일 회전하도록 하는 키와, 일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플렌지부와, 타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고정홈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일측에 제2 키홈을 구비하는 제3 축홀을 구비하여 상기 축에 삽입된 후 상기 플렌지부 및 고정링과 하부몸체의 회전부재 가이드홈의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후 전방 끝단이 개구되어 가압돌기 진입홈을 따라 하강하여 회전부재 가이드홈에 진입하는 가압돌기가 삽입되는 가압돌기 가이드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로울러의 외경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엠보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로울러의 외경면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고무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고무는 외경과 내경의 중간 지점에서 낱장형 티슈(1)를 제1 티슈배출홀 방향으로 일기 위하여 배출로울러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후 법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티슈 가압편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수 개에서 수십 개가 형성되며, 상기 티슈 가압편의 외경면이 상기 탄성고무의 외경보다 오목하게 축소되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티슈 가압편의 내경과 밀착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되는 회피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몸체의 상면을 하부로 누르면 상부몸체가 하강하면서 하부몸체에 장착된 배출로울러를 회전하도록 하여 배출로울러와 밀착된 티슈가 배출되도록 하여 낱장형 티슈도 용이하게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로울러가 회전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밀착한 티슈를 용이하게 밀어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동에 따른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낱장형 티슈(1)가 삽입 적층되고, 내벽면 양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축홀(21)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서 양측에 돌출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22)이 상기 제1 축홀(21)에 관통 고정되는 배출로울러(23)가 장착되며, 하부의 내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로울러(23)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출로울러 돌출홈(24)이 형성된 후 전방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격판(25)과, 정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기 격판(25)의 전방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티슈배출홀(26)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2)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티슈배출홀(26)에 대응하는 정면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제2 티슈배출홀(31)과, 상기 하부몸체(2)에 상단에 올려지는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넬(32)과, 상기 지지판넬(32)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33)을 구비하는 상부몸체(3)와;
상기 배출로울러(23)의 축(22)이 하부몸체(2)의 외부로 돌출된 후 장착되어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회전부재(41)와, 상기 상부몸체(3)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몸체(3)가 하강할 때 상기 회전부재(41)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로울러 회전수단(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기존의 티슈 배출장치의 경우 낱장형이 아닌 지그재그로 겹쳐 맞물린 형식의 티슈를 상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구조나 낱장형 티슈(1)를 단순 적층 또는 끼워넣은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낱장형 티슈(1)를 안전함 몸체에 수납하고 사용할 경우에만 꺼내어 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외관이 깔끔하고 관리자에게도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조로 낱장형 티슈(1)가 정면 하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티슈배출홀(26, 31)을 통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한 격판(25)의 위로 낱장형 티슈(1)가 적층 수납되어 있을 때 상부몸체(3)를 누르면 배출로울러(23)가 하단에 위치한 낱장형 티슈(1)의 저면과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 티슈배출홀(26, 31) 방향으로 밀도록 하여 낱장형 티슈(1)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배출로울러 회전수단(4)을 포함하는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는 상기 하부몸체(2)의 제1 축홀(21)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양측 외벽면에는 제1 축홀(21)을 중심으로 전방과 전방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함몰되는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의 상단에서 하부몸체(2)의 상단까지 수직 상부로 길게 함몰 연장되는 가압돌기 진입홈(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울러(23)는 회전중심을 관통하고 내경면에 제1 키홈(231)을 구비하는 제2 축홀(232)이 형성되며;
상기 축(22)은 상기 제2 축홀(232)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키홈(231)에 삽입되어 동일 회전하도록 하는 키(221)와, 일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플렌지부(222)와, 타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고정홈(223)와, 상기 고정홈(22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22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41)는 일측에 제2 키홈(411)을 구비하는 제3 축홀(412)을 구비하여 상기 축(22)에 삽입된 후 상기 플렌지부(222) 및 고정링(224)과 하부몸체(12)의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의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후 전방 끝단이 개구되어 가압돌기 진입홈(28)을 따라 하강하여 회전부재 가이드홈(27)에 진입하는 가압돌기(42)가 삽입되는 가압돌기 가이드홈(41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배출로울러(23)와 축(22)을 일체형이 아닌 분리 조립형으로 형성한 것은 돌출된 축(22)에 의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기에 분리형으로 하되 동일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키(221)를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축홀(21)에는 제3 키홀(11)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나 이는 키(221)를 구비한 축(22)의 삽입을 위한 용도이며,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축(22)에 형성되는 키(221)는 제1 축홀(21)을 지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본원의 작동은 상부몸체(3)를 누르면 가압돌기(42)가 가입돌기 진입홈(28)을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부재(41)의 가압돌기 가이드홈(413)에 진입하고 다욱 하강하면 회전부재(41)가 회전하면서 연동하는 배출로울러(23)가 낱장형 티슈(1)를 제1 티슈배출홀(26)의 방향으로 밀어 낱장형 티슈(1)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후 가압력을 해제하면 압축코일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부몸체(3)는 상승 복귀하고 배출로울러(23)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낱장형 티슈(1)는 후방으로의 이동 여유공간이 없으며 적층되는 자중 이외에는 별도의 누르는 압력이 없기에 배출로울러(23)는 공회전을 하면서 복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렌지부(222)와 고정링(224)이 형성된 부분은 하부몸체(2)의 양측면보다 돌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상부몸체(3)가 하강하면서 그 경로상에 플렌지 가이드홈(34)을 형성하여 상부몸체(3)의 승하강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상기 배출로울러(4)의 외경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엠보돌기(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엠보돌기(43)는 명칭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로울러(4)의 외면에[ 형성되는 엠보돌기(43)는 하나가 아닌 조밀하게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낱장형 티슈(1)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낱장형 티슈(1)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로울러(4)의 외경면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고무(44)가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엠보돌기(43)의 경우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고무(44)는 별도 제작 후 조립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탄성고무(44)는 외경과 내경의 중간 지점에서 낱장형 티슈(1)를 제1 티슈배출홀(26) 방향으로 일기 위하여 배출로울러(4)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후 법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티슈 가압편(441)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수 개에서 수십 개가 형성되며, 상기 티슈 가압편(441)의 외경면이 상기 탄성고무(44)의 외경보다 오목하게 축소되는 오목부(442)를 구비하고, 상기 티슈 가압편(441)의 내경과 밀착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되는 회피홈(44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배출로울러(23)가 낱장형 티슈(1)를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이에 따른 작동은 상기 티슈 가압편(441)의 끝단은 배출로울러(23)가 회전하여 낱장형 티슈(1)를 배출할 경우에는 저항에 의하여 살짝 들린 상태가 되어 미끄러지지 않고 티슈를 밀수 있도록 하며,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저항에 의하여 티슈 가압편(441)의 끝단은 회피홈(443)으로 들어가면서 저항이 줄어들고 또한 외경면의 오목부(442)에서의 접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동일한 외경을 가진 형상과 비교하면 접촉면적이 적어 낱장형 티슈(1)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낱장형 티슈
2 : 하부몸체
21 : 제1 축홀
211 : 제3 키홈
22 : 축
221 : 키 222 : 플렌지부
223 : 고정홈 224 : 고정링
23 : 배출로울러
231 : 제1 키홈 232 : 제2 축홀
24 : 배출로울러 돌출홈 25 : 격판
26 : 제1 티슈배출홀 27 : 회전부재 가이드홈
28 : 가압돌기 진입홈
3 : 상부몸체
31 : 제2 티슈배출홀 32 : 지지판넬
33 : 압축코일스프링 34 : 플렌지 가이드홈
4 : 배출로울러 회전수단
41 : 회전부재
411 : 제2 키홈 412 : 제3 축홀
413 : 가압돌기 가이드홈
42 : 가압돌기
43 : 엠보돌기
44 : 탄성고무
441 : 티슈 가압편 442 : 오목부
443 : 회피홈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형으로 이루어져 낱장형 티슈(1)가 삽입 적층되고, 내벽면 양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축홀(21)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서 양측에 돌출되어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22)이 상기 제1 축홀(21)에 관통 고정되는 배출로울러(23)가 장착되며, 하부의 내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출로울러(23)의 상부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출로울러 돌출홈(24)이 형성된 후 전방 끝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는 격판(25)과, 정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상기 격판(25)의 전방 상면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 티슈배출홀(26)을 구비하는 하부몸체(2)와;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2)가 삽입되고, 상기 제1 티슈배출홀(26)에 대응하는 정면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는 제2 티슈배출홀(31)과, 상기 하부몸체(2)에 상단에 올려지는 사각판 형상의 지지판넬(32)과, 상기 지지판넬(32)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내측 상단에 고정되는 압축코일스프링(33)을 구비하는 상부몸체(3)와;
    상기 배출로울러(23)의 축(22)이 하부몸체(2)의 외부로 돌출된 후 장착되어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회전부재(41)와, 상기 상부몸체(3)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몸체(3)가 하강할 때 상기 회전부재(41)를 회전시키는 가압돌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로울러 회전수단(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2)의 제1 축홀(21)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양측 외벽면에는 제1 축홀(21)을 중심으로 전방과 전방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부채꼴 형상으로 확장되어 함몰되는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의 상단에서 하부몸체(2)의 상단까지 수직 상부로 길게 함몰 연장되는 가압돌기 진입홈(28)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로울러(23)는 회전중심을 관통하고 내경면에 제1 키홈(231)을 구비하는 제2 축홀(232)이 형성되며;
    상기 축(22)은 상기 제2 축홀(232)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키홈(231)에 삽입되어 동일 회전하도록 하는 키(221)와, 일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플렌지부(222)와, 타측 끝단에 외경이 단턱지게 축소되었다가 확장되는 고정홈(223)와, 상기 고정홈(223)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링(224)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재(41)는 일측에 제2 키홈(411)을 구비하는 제3 축홀(412)을 구비하여 상기 축(22)에 삽입된 후 상기 플렌지부(222) 및 고정링(224)과 하부몸체(12)의 회전부재 가이드홈(27)의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후 전방 끝단이 개구되어 가압돌기 진입홈(28)을 따라 하강하여 회전부재 가이드홈(27)에 진입하는 가압돌기(42)가 삽입되는 가압돌기 가이드홈(41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울러(4)의 외경면에는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구형의 엠보돌기(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울러(4)의 외경면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탄성고무(4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44)는 외경과 내경의 중간 지점에서 낱장형 티슈(1)를 제1 티슈배출홀(26) 방향으로 일기 위하여 배출로울러(4)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후 법선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티슈 가압편(441)이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으로 수 개에서 수십 개가 형성되며, 상기 티슈 가압편(441)의 외경면이 상기 탄성고무(44)의 외경보다 오목하게 축소되는 오목부(442)를 구비하고, 상기 티슈 가압편(441)의 내경과 밀착하는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되는 회피홈(443)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KR1020140083633A 2014-07-04 2014-07-04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KR101535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633A KR101535120B1 (ko) 2014-07-04 2014-07-04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633A KR101535120B1 (ko) 2014-07-04 2014-07-04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120B1 true KR101535120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633A KR101535120B1 (ko) 2014-07-04 2014-07-04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1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2476C1 (ru) * 2017-04-18 2020-09-17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Диспенсер для выдач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бумажных изделий
WO2023043969A1 (en) * 2021-09-20 2023-03-23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ing apparatus
KR102531511B1 (ko) * 2021-11-12 2023-05-11 주식회사 록서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CN116351752A (zh) * 2023-04-12 2023-06-30 曲靖阳光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人工擦拭硅棒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671A (ko) * 2010-06-23 2010-08-16 오화영 물티슈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671A (ko) * 2010-06-23 2010-08-16 오화영 물티슈 공급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2476C1 (ru) * 2017-04-18 2020-09-17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Диспенсер для выдачи гигиенических бумажных изделий
US11253113B2 (en) 2017-04-18 2022-02-2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ispenser for dispensing sheet products
WO2023043969A1 (en) * 2021-09-20 2023-03-23 Colgate-Palmolive Company Dispensing apparatus
KR102531511B1 (ko) * 2021-11-12 2023-05-11 주식회사 록서 휴지인출기능을 갖는 비데
CN116351752A (zh) * 2023-04-12 2023-06-30 曲靖阳光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人工擦拭硅棒系统
CN116351752B (zh) * 2023-04-12 2024-04-09 曲靖阳光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辅助人工擦拭硅棒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120B1 (ko) 낱장형 티슈 배출장치
US3425595A (en) Container for small paper napkins
US8631968B2 (en) Tissue advancement device for tissue boxes
WO2014203398A1 (ja) ワイプディスペンサ
AU2013407360B2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20120032565A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tissue paper and method for dispensing tissue paper
JP2015168460A (ja) ワイプ容器保持体及びワイプディスペンサ
CN112641359A (zh) 用于交错折叠的餐巾的分配器
JPH0790873B2 (ja) ナプキン小出し器
JP2013034803A (ja) ペーパタオルホルダ
AU2013407361B2 (en) Dispenser for a stack of napkins
JP5352172B2 (ja)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EP2583603A1 (en) Portable sheet product dispenser
US20160159593A1 (en) System for singly dispensing fibrous filters from bulk
KR101832210B1 (ko) 티슈 상자 보관케이스
JP6639884B2 (ja) ロールシート収納体
KR102405869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젓가락 보관함
KR20130000970U (ko) 종이컵 인출기
EP2674084B1 (en) Paper towel dispenser
US20030111481A1 (en) Cartrid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0485899Y1 (ko) 갑티슈 세트
JP6666187B2 (ja) 衛生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及び衛生薄葉紙ディスペンサーに用いる案内体
JP3096188U (ja) キッチンペーパーホルダー
US20110217580A1 (en) Sanitary dispenser
JP5848055B2 (ja) 卓上型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