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057B1 -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057B1
KR101535057B1 KR1020080138694A KR20080138694A KR101535057B1 KR 101535057 B1 KR101535057 B1 KR 101535057B1 KR 1020080138694 A KR1020080138694 A KR 1020080138694A KR 20080138694 A KR20080138694 A KR 20080138694A KR 101535057 B1 KR101535057 B1 KR 10153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s
data
manag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0073A (ko
Inventor
김종원
배창혁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80138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0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협업 시스템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수신 응답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들중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를 재분할한 부분 데이터를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의 디스플레이들로 각각 전송하라고 명령을 주는 디스플레이 매니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한 공간 또는 원격지에 디스플레이가 여러 위치에 분산 또는 격자형태로 모여서 존재할 경우 이들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게 구성하고, 네트워크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공간 상에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Figure R1020080138694
협업 공간, 템플릿

Description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collaboration environment}
본 발명은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성능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진보된 멀티미디어 기술에 힘입어 전통적인 영상 회의 개념은 점차 진보된 협업 환경(ACE: Advanced Collaboration Environment, 이하 ‘ACE’라고도 칭함)으로 확장되고 있다.
협업 환경은 적합한 사람들간에 적절한 데이터를 적절한 시간에 공유하면서 공통의 작업을 수행하고 문제를 풀며, 공통 관심사에 대한 것을 토론할 수 있는 원격 협업 환경을 의미한다. 현재 ACE를 지향하는 초기 시제품들이 연구소와 대기업 등을 중심으로 다자간 미팅, 다자간 세미나, 다자간 강의 그리고 원격 공동작업 및 원격 훈련등에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으로는 대형 PDP, LCD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방법,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여러 개의 LCD 모니터를 이용하여 격자형으로 배치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하나의 공간 또는 원격지에 이들 디스플레이가 분산되어 여러 개가 배치되어 있을 경우 하나의 제어장치에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새로운 디스플레이가 추가되거나 현재 사용 중에 있는 디스플레이가 제거되었을 경우 동적으로 새롭게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원격지와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없는 한계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확장이 용이하고 콘텐츠의 공유가 용이하도록 한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수신 응답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들중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제외하고 상디 데이터를 재분할한 부분 데이터를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의 디스플레이들로 각각 전송하라고 명령을 주는 매니저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표시할 데이터를 전송하는 브리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하거나 유니캐스트 주소로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동기화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를 파싱(parsing)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파싱부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을 설정하는 그룹 결정부와, 디스플레이 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데이터의 표시가 발생하면 어떤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자원 관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연관된 디스플레이들의 위치, 해당도 및 그룹 여부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브리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주기적으로 패킷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패킷이 전송되어 오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부분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들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수신 응답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들중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제외하는 단계와, 상디 데이터를 재분할한 부분 데이터를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의 디스플레이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데이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멀티캐스트 주소로 전송하거나 유니캐스트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한 공간 또는 원격지에 디스플레이가 여러 위치에 분산 또는 격자형태로 모여서 존재할 경우 이들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게 구성하고, 네트워크 멀티캐스트가 지원되지 않는 공간 상에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다자간 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자간 협업 시스템은 협업 세션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인 ACE(Advanced Collaboration Environment) 노드(100,110)들간에 네트워킹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 들을 공유한다.
예컨대, ACE 노드(100)의 사용자는 오디오, 비디오, 3D 그래픽 및 차트 등을 네트워크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공유하고 문서와 작업 내용을 공유함으 로써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ACE 노드(110)의 사용자 들과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다.
그리고, ACE 노드(100)의 오디오, 비디오 등과 같은 미디어 서비스들은 실시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획득한 후 미디어 스트림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ACE 노드(110)들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멀티캐스트를 통해 모든 ACE 노드(100)들의 사용자들에게 고화질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ACE 노드(100)에서 근접촬영(close-up)된 사용자의 모습과 전체적인 배경을 원격지의 다른 ACE 노드(110)의 사용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ACE 노드(100)의 디스플레이 서비스는 H.261, DV(Digital Video), HDV (High-definition DV)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포맷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프로젝터, LCD 모니터 및/또는 격자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특히 격자형 디스플레이를 위한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능력은 원격 ACE 노드(110)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고해상도 영상 및 이미지를 지원함으로써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또한, ACE 노드(100,110)들의 포인팅 서비스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인터랙티브(interactive) 격자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특정 위치를 포인트하거나 영상/이미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 추적 서비스는 사용자 위치를 추적하고, 손 동작 추적 서비스(hand motion tracking service)는 3D 모델을 조작(예를 들면, 가상 객체를 잡고 이를 격자형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ACE 노드들간에 공유)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를 지원한다.
특히 협업 환경에서 하나의 ACE 노드에서의 협업 환경을 협업 공간이라고 한다. 협업 공간은 사람, 여러 종류의 컴퓨터 머신, 다양한 콘텐츠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세하게는 협업 참가자, 공용/개인용 디스플레이, 오디오/비디오 머신, 인터랙션 디바이스, 제어 머신 그리고 다양한 콘텐츠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인터랙션을 가정해 보면 컴퓨터 머신 앞에서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협업 공간의 공용 디스플레이 상의 콘텐츠 파일을 올리거나 또는 내리는 기능, 또는 해당 콘텐츠 파일을 협업 공간의 다른 디스플레이로 이동시키는 기능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ACE 노드(100, 110) 내에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 102, 103)가 존재한다. 그리고, 각 ACE 노도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별 모니터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다수의 모니터를 이용한 격자형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협업 환경에서, 사용자는 로컬 미팅공간에서 또는 원격지 미팅 공간간에 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보여지고 있는 콘텐츠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도 있고 또한 다른 사용자와 공유도 할 수 있다. 콘텐츠를 공유할 때 콘텐츠 소스로부터 브리지 장치(104)로 콘텐츠(비디오, 이미지등)가 전송되면 브리지 장치(104)는 콘텐츠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101, 102, 103)으로 전송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원격지로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멀티캐스트(경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멀티캐스트 방법,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방법 사용) 솔루션을 제공한다.
도 2는 브리지 장치(104)가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리지 장치(104)는 단계 151에서 콘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예컨대, 도 1에서 미디어 데이터 소스(13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브리지 장치(104)는 단계 152에서 목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CE 노드(100)에는 그 협업 공간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가 존재한다.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사전에 협의된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브리지 장치(104)로 주기적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멀티캐스트 지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사전 협의된 멀티캐스트 주소에 접속하여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는 지를 판단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약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패킷이 전송되어 오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동일한 ACE 노드(100,110)에 존재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멀티캐스트 모 드의 지원 여부 만을 판단하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동일한 공간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를 알 수 있다.
브리지 장치(104)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츠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단계 152에서 이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한다.
브리지 장치(104)는 목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면 단계 153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전송한다. 그리고, 브리지 장치(104)는 목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네트워크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으면 단계 154에서 여러 개의 전송 콘텐츠를 복제하여 복제 콘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브리지 장치(104)는 단계 155에서 복제된 콘텐츠를 유니캐스트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츠를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도 1의 브리지 장치(104)가 나타나 있는데, 이 브리지 장치(104)로부터 콘텐츠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210), 디스플레이 장치(220,230), 디스플레이 매니저(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는 미디어 데이터 소스(130)로부터 미디터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데이터는 HDV(High-definition _video), DV(Digital video), 이미지, 그래픽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브리지 장치(104)를 통해 다른 ACE 노드로부터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210)은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SMOD)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210)은 STP(SMOD Transport Protocol)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STP 라이브러리는 디스플레이(SMOD)에 표시하기 위해서 추가되어야 하는 소스 레벨의 라이브러리이다. 도 3에서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210)은 여러 종류의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미디어 데이터 종류에 따라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210)은 디스플레이 장치(220,230)에 표시하도록 처리된 데이터를 STP 스트림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20,230)에 전송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220,230)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22,232)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222,232)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224,23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22,2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 LCD 모니터 또는 격자형 디스플레이 등이 될 수 있다. 콘트롤러(224,234)는 디스플레이 매니저(30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동기를 제어한다. 즉, 디스플레이(222,232)에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경우, ACE 노드에 포함된 모든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동기화 메시지에 따라 표시를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콘트롤러(224,234)는 디스플레이 매니저(30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22,232)의 동기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매니저(300)는 하나의 ACE 노드에 존재하는 모든 디스플레 이(222,232)를 관리한다. 디스플레이 매니저(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매니저(300)는 메시지 파싱부(310), 그룹 결정부(320), 자원 관리부(330), 디스플레이 관리부(340) 및 DM(Display Management) 관리부(340)를 포함한다.
외부에서 각 디스플레이를 컨트롤(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콘텐츠의 이동, 크기 조절 등)을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매니저(300)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메시지 파싱부(310)는 그 메시지를 받아서 파싱(parsing)한 후 관련된 디스플레이 콘트롤러(232,234)에게 전달한다.
그룹 결정부(320)는 하나의 ACE 노드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묶어서 그룹을 설정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가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그룹 결정부(320)는 DM 유저 인터페이스(350) 또는 웹 유저 인터페이스(36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디스플레이들을 하나의 타일드 디스플레이(Tiled Display)로 관리한다. 즉,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각각의 디스플레이들이 미디어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할 때 각 디스플레이들의 디스플레이 시간을 동기화시켜 각각의 디스플레이들이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자원 관리부(330)는 하나의 ACE 노드에 존재하는 여 러 개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의 자원(CPU, 메모리)등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새로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때 어느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관리부(340)는 하나의 ACE 노드에 존재하는 모든 디스플레이의 정보(위치, 해상도, 그룹 등)을 관리한다.
DM (Display Manager) 유저 인터페이스(350)는 디스플레이 그룹을 사용자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의 현재 사용중인 리소스 상황을 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DM 유저 인터페이스(350)를 통해 하나의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그룹에 대해 특정 디스플레이를 삭제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다자간 협업 환경에서는 이기종의 디스플레이들 여러 개가 묶여 마치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가 묶여서 하나의 타일드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가 용이하게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를 삭제되거나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그룹1은 24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6x4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 그룹을 4x4와 2x4의 두 개의 그룹으로 사용 중에 분리해도 현재 동작에 아무 문제 없이 분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타일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매니저(300)의 동작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단계 410에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데이터의 표시 요청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데이터의 표시 요청이 있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단계 420에서 콘텐츠를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들이 하나의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콘텐츠, 즉 데이터를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표시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예를 들면, RGB 및/또는 YUV 형태의 로우 데이터(raw data)로 변환하고 이를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에 속한 디스플레이들의 위치에 기초하여 부분 콘텐츠로 분할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단계 440에서 부분 콘텐츠, 즉 부분 데이터를 전송한 모든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콘텐츠 수신 응답을 수신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소정 시간 내에 콘텐츠 수신 응답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콘텐츠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를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삭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콘텐츠 수신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여러 번 부분 콘텐츠를 전송하고 콘텐츠 수신 응답을 소정 횟수 수신하지 않으면 해당 디스플레이를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삭제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디스플레이가 삭제됨에 따라 표시될 콘텐츠를 다시 분할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1(222)은 타일드 디스플레이로서, 복수의 디스플레이들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1(222)은 20개의 디스플레이들 이용한 5x4 타일드 디스플레이이다. 예컨대, 이들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가 제외된다면,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콘텐츠를 표시하기 때문에, 하나의 콘텐츠가 표시된 화면에서 일부분이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에서 콘텐츠 수신 응답 디스플레이를 전송하는 않은 디스플레이를 제외하고 화면을 표시할 디스플레이들에 맞춰서 컨텐츠를 재분할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단계 470에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에 속한 디스플레이들에게 부분 컨텐츠를 전송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자간 협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브리지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매니저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0: 미디어 데이터 소스
210: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220: 디스플레이 장치
300: 디스플레이 매니저

Claims (9)

  1.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들에게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수신 응답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들중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제외하고 상기 데이터를 재분할한 부분 데이터를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의 디스플레이들로 각각 전송하라고 명령을 주는 디스플레이 매니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멀티 캐스트 주소 또는 유니캐스트 주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브리지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브리지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주기적으로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패킷이 전송되어 오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와 연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동기화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메시지를 파싱(parsing)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파싱부와,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을 설정하는 그룹 결정부와,
    디스플레이 자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데이터의 표시가 발생하면 어떤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것인 지를 결정하는 자원 관리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연관된 디스플레이들의 위치, 해당도 및 그룹 여부를 관리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타일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에 데이터를 표시할 때 상기 데이터를 소정 크기의 부분 데이터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부분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들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들로부터 수신 응답을 수신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들중 수신 응답을 전송하지 않은 디스플레이가 있다면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으로부터 제외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를 재분할한 부분 데이터를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그룹의 디스플레이들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캐스트 모드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여 멀티캐스트 주소 또는 유니캐스트 주소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주기적으로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매니저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패킷이 전송되어 오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접속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삭제
KR1020080138694A 2008-12-31 2008-12-31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153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694A KR101535057B1 (ko) 2008-12-31 2008-12-31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694A KR101535057B1 (ko) 2008-12-31 2008-12-31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073A KR20100080073A (ko) 2010-07-08
KR101535057B1 true KR101535057B1 (ko) 2015-07-08

Family

ID=4264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694A KR101535057B1 (ko) 2008-12-31 2008-12-31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09B1 (ko) * 2011-11-03 2013-12-03 광주과학기술원 영상 재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56B1 (ko) * 2007-01-10 2008-06-13 광주과학기술원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056B1 (ko) * 2007-01-10 2008-06-13 광주과학기술원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배창혁 외 1명, '네트워크 타일드 디스플레이의 동기화된 미디어 가시화를 위한 자원할당', HCI 2009 학술대회 *
배창혁 외 2명, '지능형 협업환경에서 서비스 발견을 위한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적용 방법', HCI 2008 학술대회 *
한상우 외 5명, '지능형 협업 환경 프레임워크 구현',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제14권 제1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073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5419A1 (en) Intelligent display with smart video streams
Childers et al. Access grid: Immersive group-to-group collaborative visualization
AU2016213760B2 (en) Media negoti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ulti-stream conference
TWI513318B (zh) 資源共享方法
US20050114528A1 (en) System, server,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US10320865B2 (en) Graphical indicator of presence, identity, and action for media sharing on a display
JP2016511603A (ja) マルチユーザ制御及び共有ディスプレイに対するメディアストリーミ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141397B (zh) 单播到组播切换方法
JP535999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535431B2 (ja) 会議システム、共有表示装置に対する表示方法および切換装置
CN104811752A (zh) 同一局域网内的多屏同步方法及播放系统
CN113542660A (zh) 一种实现会议多画面高清显示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Han et al. Design of multi-party meeting system for interactive collaboration
JP4292998B2 (ja) 同期制御方法、コミュニケーション同期制御装置および双方向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CN112752058B (zh) 调整视频流的属性的方法和装置
KR101535057B1 (ko) 다자간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837056B1 (ko) 협업 환경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방법
Kimball et al. Low bandwidth desktop and video streaming for collaborative tiled display environments
KR101877034B1 (ko) 멀티비전 가상화 시스템 및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
CN102122207B (zh) 远程管理系统
JP6396342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用のワイヤレスドッキングシステム
TWI407363B (zh) 多分割畫面之集中顯示系統與方法
CN110134472B (zh) 一种用户界面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10091845A (ja) 画像表示装置
KR100866244B1 (ko) 다자간 협업 시스템 및 다자간 협업 시스템의 구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