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835B1 -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835B1
KR101534835B1 KR1020130008297A KR20130008297A KR101534835B1 KR 101534835 B1 KR101534835 B1 KR 101534835B1 KR 1020130008297 A KR1020130008297 A KR 1020130008297A KR 20130008297 A KR20130008297 A KR 20130008297A KR 101534835 B1 KR101534835 B1 KR 10153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main frame
solar cell
stretchabl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231A (ko
Inventor
최유심
최영미
김정숙
안성진
임종목
Original Assignee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이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지스타
안성진
임종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스이티 주식회사, 주식회사 지스타, 안성진, 임종목 filed Critical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8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8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30/0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30/20Arrangements for moving or orienting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for linear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025/01Special support components; Methods of use
    • F24S2025/012Foldable support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신축부와, 신축부를 신축시키는 구동부와, 신축부에 설치되며,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신축부가 신장 시에는 균일하게 태양광이 입사되도록 상호 분산되게 배열되고, 신축부가 접혀질 시에는 상호 적층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는 분산되게 배열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이동이나 재설치시 상호 적층되게 배열시키므로 부피가 감소하므로 이동이나 재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Foldable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상호 분산되게 배열하거나 상호 적층되게 배열할 수 있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크게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태양열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의 열에 의해 가열된 물 등을 이용하여 온수공급 및 난방을 하는 방법이며, 태양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태양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각종 기계 및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태양광 발전이라고 한다.
태양광 발전에서 가장 주요한 부분인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은 발전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태양의 직사광선이 항상 태양광 모듈의 전면에 수직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동력 또는 기기 조작을 통해 태양의 위치를 추적해 가는 추적식, 계절 또는 월별로 상하로 위치가 변화되는 반고정식, 태양과의 고도에 관계없이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식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태양광발전장치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이 프레임에 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설치 후에는 이동이나 재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이 상호 분산되게 배열되어 있으나 이동이나 재설치 시에는 태양전지패널들을 상호 적층되게 배열할 수 있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를 신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신축부에 설치되며,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신축부가 신장 시에는 균일하게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도록 상호 분산되게 배열되고, 상기 신축부가 접혀질 시에는 상호 적층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신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호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진 랭크부재들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상호 핀결합된 한 쌍의 팬터그래프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양단이 상기 팬터그래프들의 상호 대향되는 제1링크들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링크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단부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팬터크래프들을 신축시키는 신축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가 마련된 연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삽입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이 인입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되게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은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삽입부재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메인도르래와, 상기 삽입부재들의 하단에 설치된 제1서브도르래와, 상기 삽입부재들의 상단에 설치된 제2서브도르래가 마련된 도르래부와,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최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재들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서브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도르래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는 상기 메인프레임이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태양의 일주운동을 따라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회전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설치된 제1치합부재와, 상기 제1치합부재에 치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치합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치합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다수의 광량감지센서와, 상기 광량감지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상기 태양광의 광량정보를 토대로 상기 광량감지센서들 중 최대 광량이 측정된 위치로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는 분산되게 배열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이동이나 재설치시 상호 적층되게 배열시키므로 부피가 감소하므로 이동이나 재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 신축부(300), 구동부(400) 및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신축부(300), 구동부(400) 및 태양전지패널들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틸소재 및 소정의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용 바퀴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신축부(3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다. 신축부(300)는 한 쌍의 팬터그래프(310)를 구비한다.
상기 팬터그래프(310)는 상호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링크(321,322)로 이루어진 링크부재(320)들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호 핀결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태양전지패널은 양단이 팬터그래프(310)들의 상호 대향되는 제1링크(321)들에 각각 고정되되, 팬터그래프(310)의 신축시 태양광이 균일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교호적으로 제1링크(321)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지되진 않았지만, 한 쌍의 팬터그래들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대향되는 각 링크의 회동 중심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봉을 구비할 수도 있다.
구동부(400)는 상호 교차된 제1 및 제2링크(321,322)의 단부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팬터그래프(310)를 상하방향으로 신축시키는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가장 인접된 제1링크(321)의 단부에 고정된 신축부재(410)를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가장 인접된 제2링크(322)의 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다.
신축부재(410)는 제1링크(321)의 단부를 제2링크(322)의 단부에 인접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조절나사(411), 레크기어(412) 및 위치고정부재(413)를 구비한다.
조절나사(411)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가장 인접한 제1링크(32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나사(411)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제1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레크기어(412)는 조절나사(411)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형성된다. 레크기어(412)는 제1 및 제2링크(321,322)의 단부를 잇는 가상의 연장선과 나란한 방향을 연장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조절나사(411)에 치합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기어이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고정부재(413)는 레크기어(412)에 대한 조절나사(41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다이얼부재(416), 조절판(417) 및 고정핀(418)을 구비한다.
다이얼부재(416)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상기 조절나사(4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조절나사(411)의 회전축에 체결되며, 제1링크(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다이얼부재(416)의 외주면에는 작업자가 파지시 미끄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판(417)은 다이얼부재(416)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면에 고정되며, 레크기어(41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조절판(417)은 다이얼부재(416)에 대향되는 상면에는 상기 고정핀(418)이 삽입될 수 있도록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다수의 삽입홀(419)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418)은 삽입홀(419)들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다이얼부재(416)를 간섭하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삽입홀(419)에 삽입되는 인입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홀(419)들 중 고정핀(418)이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제2링크(322)의 단부에 대한 제1링크(321) 단부의 이격거리가 결정되고, 상기 이격거리에 의해 펜터그래프의 신축길이 및 제1링크(321)의 경사각도가 결정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조절판(417)은 각 삽입홀(419)들에 인접된 상면에는 고정핀(418)이 각 삽입홀(419)에 설치시 제1링크(321)의 경사각이 인쇄되어 있다. 작업자는 인쇄되어 있는 경사각에 의해 원하는 각도만큼 태양전지패널이 고정된 제1링크(321)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신축부재(410)가 조절나사(411) 및 레크기어(412)로 이루어진 것을 설명하였으나, 구동부(40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1링크(321)의 단부를 제2링크(322)의 단부에 인접시키거나 이격시킬 수 있도록 제1링크(321)의 단부에 설치된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나 잭스크류일 수도 있다. 또한, 신축부재(4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가장 인접한 제2링크(322)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링크(321)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는 신축부재(410)는 팬터그래프(310)들 중 하나의 제1링크(321) 단부에 설치되고, 팬터그래프(310)들 중 다른 하나의 제1링크(321) 단부는 레크기어(4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신축부재(410)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팬터그래프(310)들의 제1링크(321)들의 단부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태양전지패널은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태양전지가 결합되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태양전지패널은 양단기 각각 팬터그래프(310)들의 상호 대향되는 제1링크(321)에 고정된다. 이때, 태양전지패널들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이 제1링크(32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전지패널들을 상호 분산되게 배열시킬 경우, 작업자는 다이얼부재(416)를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가장 인접한 제1링크(321)의 단부를 제2링크(322)의 단부에 인접시킨다. 제1 및 제2링크(321,322)의 단부가 상호 인접되면 팬터그래프(31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상방으로 신장되고, 제1링크(321)에 고정된 태양전지패널들은 상호 분산되게 배열된다.
태양전지패널들을 상ㅎ 적층되게 배열시킬 경우, 작업자는 다이얼부재(416)를 회전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00)로부터 가장 인접한 제1링크(321)의 단부를 제2링크(322)의 단부로부터 이격시킨다. 제1 및 제2링크(321,322)의 단부가 상호 이격되면 팬터그래프(31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인접되게 축소되고, 제1링크(321)에 고정된 태양전지패널들은 상호 적층되게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00)는 분산되게 배열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이동이나 재설치시 상호 적층되게 배열시키므로 부피가 감소하므로 이동이나 재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부(350) 및 구동부(45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축부(3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351) 및 연장유닛(352)을 구비한다.
메인프레임(351)은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면에 고정되고, 사각단면으로 형성되되,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메인프레임(351)은 연장유닛(352)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면에 인입홈(354)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홈(354)은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프레임(351)의 전면에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태양전지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연장유닛(352)은 메인프레임(351)의 인입홈(354)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방향을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351)의 인입홈(354)에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다수의 삽입부재(355)를 구비한다.
삽입부재(355)는 사각단면을 갖고,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삽입부재(355)는 내부에 또 다른 삽입부재(3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단면의 중공이 형성된다. 삽입부재(355)의 전면에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태양전지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재(355)들은 용이하게 상호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재(355)는 외측의 삽입부재(355)에 대해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삽입부재(355)가 상호 삽입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삽입부재(355)의 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 이상의 삽입부재(355)가 상호 삽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450)는 연장유닛(352)의 길이르 조정할 수 있도록 삽입부재(355)들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서, 도르래부(451), 와이어(452) 및 권취부(453)를 구비한다.
도르래부(451)는 메인프레임(351)의 상단에 설치된 메인도르래와, 삽입부재(355)들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제1서브도르래(455)들과, 삽입부재(355)들의 상단에 각각 설치된 제2서브도르래(456)들을 구비한다.
와이어(452)는 일단이 메인프레임(351)의 최내측에 삽입된 삽입부재(355)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재(355)들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서브도르래(455,456)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타단부는 메인도르래를 경유하여 권취부(453)에 설치된다. 즉, 와이어(452)는 메인프레임(351)에 설치된 메인도르래를 권회하게 설치되며, 메인도르래를 권회된 와어는 메인프레임(351) 내에 삽입된 삽입부재(355)의 제1서브도르래(455)에 권회되게 설치된다. 제1서브도르래(455)에 권회되게 설치된 와이어(452)는 삽입부재(355)의 상단에 설치된 제2서브도르래(456)에 권회되게 설치되며, 제2서브도르래(456)에 설치된 와이어(452)는 내측에 삽입된 또 다른 삽입부재(355)의 제1서브도르래(455) 및 제2서브도르래(456)에 각각 권회되게 설치된다. 와이어(452)는 내측에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된 삽입부재(355)들의 각 제1 및 제2서브도르래(455,456)에 권회되게 설치되고, 일단은 최내측에 삽입된 삽입부재(355)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권취부(453)는 메인프레임(35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와이어(452)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권취되는 권취드럼(457)과, 상기 권취드럼(457)을 회전시키는 권취회전부를 구비한다.
권취회전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권취드럼(457)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프레임(351)에 설치된 권취모터와, 권취모터의 회전축에 체결된 구동스프로킷과, 권취드럼(457)의 회전축에 설치된 피동스프로킷과, 구동스프로킷 및 피동스프로킷을 연결하여 권취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권취회전부는 전력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권취모터를 구비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권취회전부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권취드럼(45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핸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450)는 구동부(450)에 의해 신축되는 슬라이딩되는 삽입부재(355)들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351)과 삽입부재(355) 사이 또는 삽입부재(355)들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46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61)들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355)들은 상하방향을 따라 이탈하는 일없이 승하강된다.
연장유닛(352)을 상방으로 신장시킬 경우, 권취모터를 작동시켜 권취드럼(457)을 회전시키므로 와이어(452)를 권취시킨다. 이때, 와이어(452)의 일단은 메인프레임(351)의 최내측에 삽입되게 설치된 삽입부재(355)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권취드럼(457)의 회전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다.
와이어(452)는 삽입부재(355)들에 설치된 제1 및 제2서브도르래(455,456)들을 순차적으로 권회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팽팽하게 당겨진 와이어(452)에 의해 삽입부재(355)들은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한편, 연장유닛(352)의 길이를 축소시킬 경우, 와이어(452)가 풀리는 방향으로 권취드럼(457)이 회전되도록 권취모터를 작동시킨다. 권취드럼(457)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452)가 권취드럼(457)으로부터 풀려 느슨해지고, 삽입부재(355)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축부(37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신축부(370)는 삽입부재(355)에 태양전지패널(500)이 인입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361)이 형성된다. 설치공간(361)은 삽입부재(355)의 전면에 형성되며, 삽입부재(355)의 내측으로 소정깊이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설치공간(361)은 내측에 설치된 태양전지패널(500)로 태양광이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설치공간(361) 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패널(500)들은 하단이 상단에 대해 삽입부재(35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메인프레임(351)의 전방면에는 메인프레임(351)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패널(500)을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받침부재(362)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부재(362)들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의 메인프레임(351)에 각각 설치되며, 하단이 상단보다 메인프레임에 대해 멀어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362)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패널(500)은 하단이 상단보다 메인프레임(35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패널(500)들은 메인프레임(351) 및 삽입부재(355)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태양광의 입사효율이 보다 더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30)는 메인프레임(351)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플레임(351)을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구비한다. 메인프레임(351)은 후방 하단부에 제1브라켓(131)이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131)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설치된 제2브라켓(13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회동부는 일단이 메인프레임(351)의 후방측 베이스 플레이트(200)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메인프레임(351)의 후방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135)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13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양단이 신축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51)을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대해 회동시킨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실린더(135)는 복수개가 메인프레임(351)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회동부에 의해 메인프레임(351)은 회동되어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전지패널(500)의 경사도를 변경시키므로 발전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5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150)는 회전부(600) 및 트랙킹부(700)를 구비한다.
회전부(60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되어 태양의 일주운동을 따라 태양전지패널이 회전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지지플레이트(610), 메인레일(620), 제1치합부재(630), 제2치합부재(640) 및 회전모터(650)를 구비한다.
지지플레이트(61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태양전지패널이 마련된 신축부(3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레일(620)은 지지플레이트(6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동서방향으로 호형의 궤적을 형성할 수 있게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메인레일(620)에 대향되는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메인레일(620)을 따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일(620)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레일바퀴(6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치합부재(630)는 메인레일(6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다라 폐회로를 이루며 고정설치된다. 제1치합부재(630)는 메인레일(620)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치합부재(630)가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어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대형화하고, 이에 대응되게 큰 반경의 메인레일(620)이 요구되더라도 메인레일(62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용접고정시키므로 제작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제2치합부재(640)는 구속브라켓(641)에 의해 제1치합부재(630)에 인접된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치합부재(630)에 치합될 수 있게 스프로킷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치합부재(640)는 회전축이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속브라켓(64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된다.
회전모터(650)는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설치되어 전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동력전달부(651)를 통해 상기 회전력을 제2치합부재(640)로 공급한다. 동력전달부(651)는 회전모터(650)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652)과, 제2치합부재(640)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스프로킷(653)과, 제1스프로킷(652) 및 제2스프로킷(653)을 상호 연결하여 회전모터(65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체인(654)을 구비한다.
트랙킹부(700)는 태양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부(60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광량감지센서(701)와 제어부(702)를 구비한다.
광량감지센서(701)들은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설치되되, 메인레일(6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입삽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한다.
제어부(702)는 광량감지센서(701)들로부터 측정된 태양광의 광량정보를 토대로 광량감지센서(701)들 중 최대 광량이 측정된 위치로 태양전지패널이 향하도록 회전모터(650)를 제어한다. 트랙킹부(700)는 최대 광량이 감지되는 위치로 태양전지패널이 향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므로 태양전지패널에 대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200: 베이스 플레이트
300: 신축부
310: 팬터그래프
320: 링크부재
321: 제1링크
322: 제2링크
400: 구동부
411: 조절나사
412: 레크기어
413: 위치고정부재

Claims (10)

  1. 삭제
  2.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를 신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신축부에 설치되며,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신축부가 신장 시에는 균일하게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도록 상호 분산되게 배열되고, 상기 신축부가 접혀질 시에는 상호 적층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호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링크로 이루어진 랭크부재들이 상하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상호 핀결합된 한 쌍의 팬터그래프를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은 양단이 상기 팬터그래프들의 상호 대향되는 제1링크들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링크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및 제2링크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의 단부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팬터크래프들을 신축시키는 신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4.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를 신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신축부에 설치되며, 입사된 태양광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신축부가 신장 시에는 균일하게 상기 태양광이 입사되도록 상호 분산되게 배열되고, 상기 신축부가 접혀질 시에는 상호 적층되도록 설치된 다수의 태양전지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되,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상호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재가 마련된 연장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면 또는 상기 삽입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외주면에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이 인입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되게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패널들은 상단에 대해 하단이 상기 삽입부재 또는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설치된 메인도르래와, 상기 삽입부재들의 하단에 설치된 제1서브도르래와, 상기 삽입부재들의 상단에 설치된 제2서브도르래가 마련된 도르래부와;
    일단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최내측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삽입부재들에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및 제2서브도르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고, 타단부는 상기 메인도르래를 경유하도록 설치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 발전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태양의 일주운동을 따라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회전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가이드할 수 있게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형성된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설치된 제1치합부재와;
    상기 제1치합부재에 치합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치합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치합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형의 곡선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다수의 광량감지센서와;
    상기 광량감지센서들로부터 측정된 상기 태양광의 광량정보를 토대로 상기 광량감지센서들 중 최대 광량이 측정된 위치로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향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KR1020130008297A 2013-01-24 2013-01-24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KR101534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97A KR101534835B1 (ko) 2013-01-24 2013-01-24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97A KR101534835B1 (ko) 2013-01-24 2013-01-24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31A KR20140116231A (ko) 2014-10-02
KR101534835B1 true KR101534835B1 (ko) 2015-07-23

Family

ID=51990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297A KR101534835B1 (ko) 2013-01-24 2013-01-24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83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737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간편 설치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20190095725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베란다 난간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체
KR20190095727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접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95726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접이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20210019838A (ko) 2019-08-13 2021-02-23 김현철 자동 이동형 태양광 발전 모듈
KR20230075881A (ko) 2021-11-23 2023-05-31 유진곤 지주에 적용 가능한 접이식 태양전지 충전시스템
KR20230089162A (ko) 2021-12-13 2023-06-20 유진곤 지주에 설치되는 나선형 태양 전지 충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25B1 (ko) * 2018-08-14 2020-10-23 주식회사 에스와이테크 태양광 추종형 발전장치
CN108809242A (zh) * 2018-08-24 2018-11-13 深圳市火王燃器具有限公司 一种折叠式光伏电站
KR101954904B1 (ko) * 2018-10-15 2019-03-06 남종규 복층의 태양광 설치 구조
CN109296241A (zh) * 2018-11-09 2019-02-01 安徽优步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车位地锁
CN113193827A (zh) * 2021-04-15 2021-07-30 泰州億达彩印包装有限公司 一种可收折的光伏太阳能电池板自洁结构
ES1278081Y (es) * 2021-07-14 2021-12-21 Polar Dev S L Sistema compacto portátil para una instalación sol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75Y1 (ko) * 2005-03-24 2005-06-30 (주)서진클린엔세프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KR20100032646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건물의 외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07270A (ko) * 2009-07-16 2011-01-24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이동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17619B1 (ko) * 2010-11-22 2012-03-07 이건희 다층 태양전지 어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175Y1 (ko) * 2005-03-24 2005-06-30 (주)서진클린엔세프티 이동식 테이블 리프트
KR20100032646A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도시환경이엔지 건물의 외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20110007270A (ko) * 2009-07-16 2011-01-24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이동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17619B1 (ko) * 2010-11-22 2012-03-07 이건희 다층 태양전지 어레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737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간편 설치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20190095725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베란다 난간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체
KR20190095727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접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20190095726A (ko) 2018-02-07 2019-08-16 크린빌(주) 접이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20210019838A (ko) 2019-08-13 2021-02-23 김현철 자동 이동형 태양광 발전 모듈
KR20230075881A (ko) 2021-11-23 2023-05-31 유진곤 지주에 적용 가능한 접이식 태양전지 충전시스템
KR20230089162A (ko) 2021-12-13 2023-06-20 유진곤 지주에 설치되는 나선형 태양 전지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31A (ko)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835B1 (ko) 접이식 태양광발전장치
CN106100550A (zh) 一种便携式太阳能电池板充电装置
AU2011304095B2 (en) Cable installation for pivoting a support structure for photovoltaic modules or comparable devices
KR101634304B1 (ko) 각도 조정형 자동 추적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80073529A (ko) 접이식 태양광 발전장치
CN206559286U (zh) 一种光伏发电装置
KR101326719B1 (ko) 태양광모듈의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CN207171468U (zh) 一种电缆盘具全自动生产系统
KR10135822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101616974B1 (ko) 태양광 집광장치
CN213484797U (zh) 一种用于大型光伏电站的可调支架
CN107769707A (zh) 一种便于拆卸安装的太阳能电池板支架
KR101688493B1 (ko) 태양광 발전 구조물
CN211930594U (zh) 一种光伏组件el检测装置
KR101661712B1 (ko) 태양에너지 이용장치의 태양 위치추적장치
CN209375546U (zh) 一种光伏发电支架
KR20210019838A (ko) 자동 이동형 태양광 발전 모듈
KR20100132396A (ko) 1축 회전식 대형 태양광 발전기
CN207869044U (zh) 一种用于太阳能组件随动安装支架的传动机构
KR101199024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202583886U (zh) 太阳能追踪装置
KR101351530B1 (ko) 집광 장치
CN218124633U (zh) 一种光伏发电板组件
CN216387859U (zh) 一种塔式光伏跟踪发电系统
CN215452852U (zh) 一种新能源发电用高强度太阳能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