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050B1 - Fruit Package - Google Patents

Fruit Pack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050B1
KR101533050B1 KR1020130042168A KR20130042168A KR101533050B1 KR 101533050 B1 KR101533050 B1 KR 101533050B1 KR 1020130042168 A KR1020130042168 A KR 1020130042168A KR 20130042168 A KR20130042168 A KR 20130042168A KR 101533050 B1 KR101533050 B1 KR 101533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main body
packing
present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1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4541A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오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비트 filed Critical (주)오비트
Priority to KR102013004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050B1/en
Publication of KR20140124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0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65D8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the contents being located between two membranes stretched between opposed side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좌에 팬캡이 결합함으로써 포장이 간단하고 쉬워 과일 포장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 포장시 난좌와 팬캡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 과일 포장의 편의성 향상과 포장비 절감의 기능을 갖는 과일 포장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pack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fruit packer which is simple and easy to pack because it is combined with a pan cap on a soleplate to improve workability of the fruit pac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pouch having a func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fruit.

Description

과일 포장구{Fruit Package}Fruit Package {Fruit Package}

본 발명은 과일 포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좌에 팬캡이 결합함으로써 포장이 간단하고 쉬워 과일 포장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과일 포장시 난좌와 팬캡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 과일 포장의 편의성 향상과 포장비 절감의 기능을 갖는 과일 포장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packer,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fruit packer which is simple and easy to pack because it is combined with a pan cap on a soleplate to improve workability of the fruit pac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pouch having a func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fruit.

종래 과일 등을 낱개로 포장하기 위한 개별형 과일 포장커버(팬캡)으로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Conventionally,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has been proposed a separate type of fruit packing cover (pan cap) for individually wrapping fruits and the lik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별형 과일 포장커버(팬캡)는 발포가교폴리에틸렌 수지의 재질로서, 대략 밀짚 모자 형상을 취하는 포장커버 본체(1) 하단 외주연에 코스모스 꽃잎 형상으로 다수개의 밀착편(12)이 형성되며, 포장커버본체(1) 중앙으로 융기된 밀착면(13)이 형성되어 구성되되, 밀착면(13) 상단 중앙에 일정한 크기로 관통되는 통기구멍(11)이 형성되어 통풍기능과 함께 통기구멍(11)을 통해 과일의 신선도 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individual-type fruit packing cover (pan cap) is made of a foamed crosslinked polyethylene resin, and has a plurality of close-contact pieces (for example, And a ventilation hole 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close contact surface 13 so as to penetrate the ventilation hole 11 to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freshness state of the fruit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

이러한 개별형 과일 포장커버(팬캡)는 도 2와 같이 과일 선별기기내에서 크기별로 분리된 과일이 포장커버 본체(1) 중앙, 통기구멍(11)이 형성된 밀착면(13) 상부에서 낙하하게 되면 밀착면(13)은 과일 자체하중에 의해 압축되며 포장커버(1) 재질의 특성상 반탄력이 작용하여 포장커버 본체(1)는 밀짚모자 또는 만개한 코스모스 형상에서 피어나기 전의 꽃 봉오리 형상으로 오므려져 수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fruits separated by size in the fruit separator fall from the center of the package cover body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13 where the vent holes 11 are formed, The surface 13 is compressed by the fruit self-load,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ckaging cover 1, the anti-tarnishing force acts so that the packaging cover main body 1 shrinks in the shape of a bud before it emerges from a straw hat or a full- .

종래의 과일 포장커버(팬캡)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과일의 윗부분은 그대로 노출이 되는 구조이므로, 과일의 보호정도, 특히 과일의 윗부분에 대한 보호정도가 다소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fruit packing cover (pan cap)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fruit is exposed as it is,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protection of the fruit, particularly the protec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fruit, is somewhat insufficient.

한편, 통상적으로 과일이 산지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공급되기까지는 수확단계 후 출하되어 도매상이나 소매상 등의 유통단계를 거쳐, 산지에서 수확된 과일은 골판지 등으로 제작된 포장상자에 다수 개를 수납하여 포장한 후에 출하된다.
On the other hand, fruit is usually shipped after the harvesting step until the fruit is supplied to the general consumers from the mountain area, and the fruits are harvested through the distribution stages such as wholesalers and retailers, and the fruit harvested from the mountain is packed in a packing box made of corrugated paper, It is shipped later.

이때, 포장상자에 과일을 곧바로 담게 되면,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이동하는 도중에 과일끼리 부딪히거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과일이 손상되는 등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진 특허문헌2에 제시된 과일용 난좌를 사용하여 과일을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is case, if the fruit is immediately contained in the packaging box, the fruit is damaged due to collision between fruits during transportation for distribution or storage, or fruit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etc. Therefore, It is common to pack fruit using a flatbed of fruit.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과일용 난좌의 경우,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과일이 난좌에서 이탈되며, 다른 과일과 부딪히면서 과일에 상처가 발생하여, 상품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adle for fruits shown in Fig. 3, the fruit is separated from the ladle in the process of moving for distribution or storage, and the fruits are scratched by bumping into other fruits, resulting in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the merchantability.

또한, 복수 층으로 과일을 포장상자에 쌓을 경우에는 과일용 난좌에 의해 과일 윗부분에 상처가 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 fruit is packed in a box with a plurality of lay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pper part of the fruit is scratched due to the overflow of the fruit.

전술한 특허문헌1과 특허문헌2의 종래의 과일 포장커버(팬캡)과 난좌는 그 역할이 각각 구분된다.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fruit packing cover (fan cap) and the overturned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Patent Documents 1 and 2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즉 과일 포장커버(팬캡)의 경우는 과일의 보호라는 역할을 하며, 난좌는 유통이나 보관을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과일 상자 안에서 과일의 고정이라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case of the fruit packing cover (pan cap) plays a role of protection of the fruit, and the stride plays the role of the fixation of the fruit in the fruit box during the movement for distribution or storage.

이와 같이, 과일의 유통과정에서 종래의 과일 포장커버(팬캡)과 난좌를 사용하는 것은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비용 증가라는 불필요한 비용을 추가로 지불해야 문제점이 제기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fruit packing cover (pan cap) and the overturning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fruits is a problem that the consumer pays extra cost for the increase of the packaging cost.

또한,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고령화 등으로 농촌 일손을 구하기 어려운 실정에서 과일을 과일 포장커버(팬캡)로 씌운 후, 다시 난좌에 과일을 담는다는 것은 생산비의 증가라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producers, it is difficult to obtain farmers' hands due to aging and the like, and after putting the fruits in a pan cover with a fruit cover and then putting the fruits in the rush, the problem is rai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일 난좌와 팬캡 기능을 결합한 포장구가 특허문헌3(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3888호)에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ackage having a combination of a fruit pan left and a pan cap function has bee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3888).

이에 의해 과일 포장작업의 신속함 및 포장비용의 절감이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us, the effect of speeding up the packaging of fruit and reducing the packaging cost can be achieved.

그러나, 특허문헌3에 의한 포장구의 경우, (1) 지지판(14)을 아래로 접어야 되므로, 포장작업 시간이 길어지며, (2) 종이 재질이므로 포장 단계에서 과일의 표면에 상처가 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3) 또한 상자에 여러 층으로 과일을 쌓을 경우, 위에 위치한 포장구에 의해 아래에 포장된 과일의 윗 부분이 눌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ackaging peg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1) the supporting plate 14 has to be folded downward, the packaging operation time is lengthened, (2) the paper is made of paper, There are disadvantages. (3) Also, when the fruit is stacked in a box with several lay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pper part of the fruit packed below is pressed by the packing sphere located abov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9047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5904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7103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4710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388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3888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과일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능과 과일의 포장 기능을 동시에 가질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간단한 과일 포장 작업이 가능한 팬캡과 난좌를 갖는 포장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uch having a pan cap and a stepping streak capable of fast and simple fruit packing work as well as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shake of the fruit and a packing function of the fruit It has its purpose.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는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upport having a crest and a crest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산과 상기 골의 갯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uit packing p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crests and the number of the crests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are the same.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더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uit packing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ruit packing sach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mountains and valleys are formed along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는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1지지부;A fruit pa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ody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 first support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body and having an obtuse and a valle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2본체; 상기 제2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2지지부; 상기 제1본체 또는 상기 제2본체를 연결하는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body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and having an apex and a valle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And a sheet connecting the first main body or the second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fruit pa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1) 과일 유통과정에서 과일용 포장커버(팬캡)과 난좌를 별도로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과일 포장구만 사용하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1)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fruits, since only a single fruit package is used instead of using a separate pan cover and pan cover for fruit, the cost of packaging can be reduc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umer.

(2) 생산자의 입장에서 과일을 일일이 과일 포장커버(팬캡)로 씌운 후, 다시 난좌에 과일을 담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2)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oducer,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since the fruit is covered with the fruit packing cover (pan cap).

(3) 과일의 윗부분과 아래부분을 동시에 보호하는 방식이므로, 과일이 노출되는 부분이 대폭 감소하므로, 과일 유통과정에서 과일에 대한 보호성이 매우 우수하다.(3) Since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fruit are simultaneously protected, the portion of the fruit exposed is greatly reduced, and thus the protection against the fruit is excellent in the fruit distribution process.

(4) 과일용 포장커버(팬캡)과 난좌가 서로 상하로 맞물리므로, 과일 포장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다.(4) Since the cover for the fruit (pan cap) and the stool are engaged vertically,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fruit packing process.

(5) 싱글 또는 소가족을 주 대상으로 하는 개별 포장뿐만 아니라, 과일 선물 상자에 적합한 상자 포장에도 그 적용이 쉽다.(5) It is easy to apply to box packaging suitable for fruit gift boxes as well as individual packaging mainly for single or small famili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6a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6b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a와 도7b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를 개별 포장방식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를 상자 포장방식에 적용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fruit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fruit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sectional view of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fruit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uit packing compar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ndividual packing method.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packing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 box packaging method.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ruit packing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과일 포장구(10)의 단면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uit packing 10 of FIG.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전체적으로는 왕관과 비슷한 형상을 가지나, 후술하는 홈(110)은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막혀 있다.First,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crown as a whole, but the groove 110 described later is blocked without forming a hole.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홈(110)을 갖는 본체(100)가 포함된다.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groove 110 in which an opening 12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

상기 본체(100)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외형을 이룬다.The main body 10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본체(100)의 상단에서 본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135)과 골(140)을 갖는 지지부(130)가 형성된다.The fruit packing compartmen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upport 130 having 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본체(100)는 상면에 형성된 개구(120)와 개구(120)가 형성된 상면 아래 부분에 홈(110)을 가지는데, 홈(110)의 크기는 본체(100)가 포장에 사용되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The main body 100 has an opening 120 formed in an upper surface and a groove 110 formed in an upper portion below the opening 120. The size of the groove 110 is determined by the type of fruit . ≪ / RTI >

지지부(130)는 과일의 옆면을 충분히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며, 지지부(130)의 크기는 포장에 사용되는 과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fruit sufficiently, and the size of the support 130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kind of fruit used in the packaging.

지지부(130)에는 산(135)과 골(140)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re continuously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130.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는 지지부(130)에 6개의 산(135)과 6개의 골(140)이 형성되어 있으나, 산(135)과 골(140)의 갯수는 포장에 사용되는 과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x mountains 135 and six troughs 140 are formed on the support 130, but the mountain 135 and the trough 140 The number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fruit used in the packaging.

그러나,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서 상기 지지부(130)에 형성되는 산(135)과 골(140)의 갯수는 동일하게 형성한다. However, the number of the mountains 135 and the valleys 140 formed on the support 130 in one fruit pouring opening 10 is the same.

지지부(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산(135)과 골(14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산(135)과 하나의 골(140)에 대하여 그 형상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Since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mountains 135 and the valleys 140 formed on the support 130 are the same, the shape of one peak 135 and one valley 14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산(135)은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를 정면에 봤을 때, 대체로 삼각형상을 갖는다.The acid 135 has a generally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산(135)은 인접하는 다른 산(135)과의 사이에 골(140)이 위치한다.The valley (140) is located between the mountain (135) and another adjacent mountain (135).

산(135)의 정상으로부터 골을 향할수록 산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30)가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As the thickness of the acid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135 toward the valley, the support portion 130 can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또한, 산(135)의 정상으로부터 골을 향할수록 산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대체로 원형을 갖는 과일이 홈(110)의 윤곽에 맞춰 수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mountain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mountain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135 toward the valley, the fruit having a generally circular shape can be accommodated in conformity with the contour of the groove 110.

산의 정상(137)에는 라운드가 형성된다.A round is formed at the top 137 of the acid.

라운드를 산의 정상(137)에 형성함으로써, 과일 포장작업 과정에서 산(135)이 뭉게지거나 뭉뚝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By forming the round at the top 137 of the mounta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untain 135 from becoming crushed or clogged during the process of fruit packing.

여기까지는 산(135)의 대략적인 형상이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를 정면에 봤을 때 삼각형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산(135)의 형상은 서로 맞물릴 수 있다는 조건을 충족한다면 삼각형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Although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mountain 135 has been described based on a triangle when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shape of the mountain 135 may satisfy the condition that the shapes of the mountain 135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not limited to a triangular shape.

즉, 산(135)의 대략적인 형상이 사각형 형상을 가질 경우도 있으며, 이때 골(140)의 형상도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That is,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mountain 135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rough 140 also has a roughly rectangular shape.

또한, 산(135)의 대략적인 형상이 웨이브(파도)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을 가질 경우도 있으며, 이때 골(140)의 형상도 대응되는 즉, 웨이브(파도)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mountain 135 may have a wave (wave) shape or an arc shape.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trough 140 also corresponds to a wave (wave) shape or an arc shape.

지지부(130)는 본체(100)의 상단에서 본체(100)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위치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130 is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t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

본체(100)의 측면, 즉 내측면(104)과 외측면(108)에도 각각 산과 골이 형성된다.Mountains and valleys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inner side surface 104 and the outer side surface 108,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체의 내측면(104)에 각각 산과 골을 형성함은 본체(100)가 포장하는 과일(2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함과 동시에 과일 포장구(10)가 외부충격과 과일 자체의 무게에 대한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In order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ruit 20 packed by the main body 100 an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ruit packing 10 from the external impact and the weight of the fruit itself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본체의 내측면(104)의 산과 골은 본체의 내측면(104)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The crests and valleys of the inner surface 104 of the body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104 of the body.

또한, 본체의 외측면(108)에 각각 산과 골을 형성함으로써, 스티로폼 또는 그와 유사한 재질을 갖는 과일 포장구(10)에 외부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손상을 덜 받게 될 뿐만 아니라, 과일(20) 자체의 무게에 의해 과일포장구(10)의 형상이 변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crests and valleys on the outer surface 108 of the main body,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fruit packing 10 having the styrofoam or a similar material, it is not only less damaged, So that the shape of the fruit pouring opening 10 can be minimized.

본체의 외측면(108)의 산(145)과 골(150)은 본체의 외측면(108)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The ridge 145 and ridges 150 of the outer surface 108 of the body ar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108 of the body.

지지부(130)의 하단은 본체(100)의 바닥과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30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본체(100)의 바닥은 본체의 외측면(108)의 바깥 방향을 향해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protrude slightly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108 of the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를 뒤집어 볼 경우, 대체적인 형상이 링 모양인 홈(160)이 형성된다.When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upside down, a ring-shaped groove 160 having a general shape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10)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 단면은 도 6을 참고한다.In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Fig.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10)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 지지부(130)는 본체의 바닥면(170)보다 더 길게 형성한다.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130 is formed longer tha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즉, 과일 포장시 홈(110)에 수용되는 과일(20)의 밑 부분이 본체의 바닥면(170)에 닿게 된다. That is, when the fruit is packed, the bottom portion of the fruit 20 received in the groove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만약 본체의 바닥면(170)이 지지부(130)보다 더 아래로 길게 형성될 경우에는 과일(20)을 홈(110)에 수용할 때, 과일(20)의 밑 부분이 상자(5)의 바닥과의 접촉이 발생하게 되어, 과일(20)의 밑 부분이 상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Whe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upport portion 130 and the fruit 20 is received in the groove 110,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ottom portion of the fruit 20 is broken.

이와 같이 과일(20)의 밑 부분이 상하게 될 경우,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Thus, when the bottom of the fruit 20 is broken, the value of the product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는 지지부(130)가 본체의 바닥면(170)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과일(20)을 과일 포장구(10)에 포장하였을 때, 과일(20) 자체의 무게에 의해 과일 포장구(10)가 아래로 쳐지게 되는 경우에도 과일(20)의 밑 부분이 상자(5)의 바닥과는 이격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130 is longer tha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so that when the fruit 20 is packed in the fruit packing 10, The bottom of the fruit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box 5 even when the fruit pouring opening 10 is caused to fall down due to the weight of the fruit 20 itself.

따라서, 과일(20)의 밑 부분이 상하게 되어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uit 20 is broken and the value of the produc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체의 바닥면(170)은 본체의 내측면(104) 또는 외측면(108)보다 얇게 형성시킨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body is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inner surface 104 or the outer surface 108 of the body.

본체의 바닥면(170)을 본체의 내측면(104) 또는 외측면(108)보다 얇게 형성시킴으로써, 과일(20) 자체의 무게가 작용하여 본체의 바닥면(170)과의 접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일(20)의 밑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body to be thinner than the inner side surface 104 or the outer side surface 108 of the main body, the weight of the fruit 20 itself can be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portion of the fruit 20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10)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본체의 바닥면(170)에는 돌출부(180)가 더 포함된다.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body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180. [

돌출부(180)는 본체의 바닥면(170)으로부터 개구(120)를 향해 돌출된다.The protrusion 180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body toward the opening 120.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10)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돌출부(180)는 본체의 바닥면(170)을 위에서 봤을 때 6개의 돌출부(180)가 서로 인접하며 원을 그리며 위치하게 된다.In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ruit p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s 180 are positioned in a circle with six protrusions 180 adjacent to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돌출부(180)는 홈(110)에 수용되는 과일의 크기에 따라 그 갯수와 크기를 달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number of protrusions 18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uit contained in the grooves 110.

돌출부(180)는 본 발명에 의한 과일포장구의 홈(110)에 과일(20)을 수용할 때 과일(20)의 밑 부분과 본체의 바닥면(170)과의 접촉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과일(20)의 밑 부분에 공기 통로 역할을 하여,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The protrusions 180 reduce the contact impact between the bottom portion of the fruit 20 and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when the fruit 20 is received in the grooves 110 of the fruit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n air passage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0, and freshness can be maintained.

본체의 바닥면(170)에는 돌출부(180) 대신 통기공(185)이 형성될 수 있다.
A vent hole 185 may b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instead of the protrusion 180.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10)는 두 개의 과일 포장구(10)를 서로 상하로 맞물릴 수 있다.The fruit packing material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t the two fruit packing materials 10 up and down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두 개의 과일 포장구(10)를 서로 상하로 맞물리는 실시예에 대해 도 7a와 도 7b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two fruit pods 10 are vertically engaged with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산(135)은 과일(20)을 중심으로 과일(20)의 위에 놓여지는 다른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골(140)에 위치하도록 엇갈리게 배치한다.The mountain 135 of the support formed in one fruit pod 10 is positioned in the valley 140 of the support formed in the other fruit pod 10 placed on top of the fruit 20 about the fruit 20 Staggered.

이때,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산(135)의 갯수와 과일(20)의 위에 놓여지는 다른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골(140)의 갯수는 같아야 서로 맞물릴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mountains 135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one fruit packing opening 10 and the number of the support opening portions 140 formed in the other fruit packing opening 10 placed on the fruit 20 must be the same It can be bitte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10)는 두 개의 과일 포장구(10)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과일(20)의 전체 부분을 보호하며 포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us, the fruit packing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ntire portion of the fruit 20 can be protected and packaged by placing the two fruit pods 10 up and down.

이와 같이 두 개의 과일 포장구(10)를 서로 상하로 맞물리는 포장 방식은 싱글족 또는 소가족을 위한 개별 과일 포장에 적합하다.The wrapping method, in which the two fruit pods 10 are intertwined with each other, is suitable for individual fruits packaging for single or small families.

포장 대상의 과일(20)이 작은 경우에는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산(135)이 다른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골(140)과 밀착될 수도 있다.When the fruit 20 to be packaged is small, the mountain 135 of the support formed in one fruit pod 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rough 140 of the support formed in the other fruit pod 10 .

만약 포장 대상의 과일(20)이 클 경우에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산(135)과 다른 하나의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골(140)은 약간 이격될 수 있다.
If the fruit 20 to be packaged is large, as shown in FIG. 7B, the mountain 135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one fruit packing opening 10 and the opening of the support portion formed in the other fruit packing opening 10 Lt; RTI ID = 0.0 > 140 < / RTI >

이하에서는 상자(5)에 복수 개의 과일(20)을 포장할 때 적합한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제4실시예에 대해 도 8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fourth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uitable for packaging a plurality of fruits 20 in the box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상면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홈(110)을 갖는 제1본체(11)를 포함한다.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1 having a groove 110 in which an opening 120 is formed.

제1본체(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1본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135)과 골(140)을 갖는 제1지지부(131)가 형성된다.
A first support part 131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11 and having 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상면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홈(110)을 갖는 제2본체(12)를 포함한다.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ody 12 having a groove 110 in which an opening 120 is formed.

상기 제2본체(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2본체(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135)과 골(140)을 갖는 제2지지부(132)가 형성된다.
A second support part 13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2 and has 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 [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는 제1본체(11)를 연결하는 시트(200)가 포함된다.The fruit packin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et 200 connecting the first body 11.

시트(200)에는 제1본체(11)가 복수 개가 연결된다.
A plurality of first main bodies 11 are connected to the seat 200.

즉, 시트(200)에 복수 개의 제1본체(11)가 연결되며, 하나의 제1본체(11)는 인접하는 다른 제1본체(11)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That is, a plurality of first bodies 11 are connected to the seat 200, and one first body 11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nother adjacent first body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와 같이 시트(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본체(11)에 복수 개의 과일(20)을 포장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ruits 20 are packed in a plurality of first main bodies 11 formed on a sheet 200.

마찬가지로 시트(200)에는 제2본체(12)가 복수 개가 연결되며, 다만 제2본체(12)와 제1본체(11)가 서로 맞물리기 위해서는 제2본체(12)의 산(135)과 골(140)은 제1본체(11)의 골(140)과 산(135)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A plurality of second main bodies 12 are connected to the seat 200. In order for the second main body 12 and the first main body 11 to engage with each other, (140)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valleys (140) of the first main body (11) and the mountain (135).

하나의 시트(200)에 복수 개의 과일(20)을 포장하는 작업이 끝났을 경우, 다른 하나의 시트(200)를 복수 개의 과일(20)이 수용된 시트(200) 위에 위치시킨 후 덮는다.When the operation of wrapping the plurality of fruits 20 on one sheet 200 is completed, the other sheet 200 is placed on the sheet 200 containing the plurality of fruits 20 and then covered.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200)에 결합된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산(135)은 과일을 중심으로 위에 놓여지는 다른 과일 포장구(10)에 형성된 지지부의 골(140)에 위치하게 되므로, 서로 맞물리는 동작을 통해 복수 개의 과일(20)을 상자에 넣는 포장작업이 쉽게 완료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ntain 135 of the support formed in the fruit packing 10 coupled to the sheet 200 is placed in the trough 140 of the support formed in the other fruit packing 10 placed on the fruit So that the packaging operation for putting the plurality of fruits 20 into the box is easily completed through the interlocking operation.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과일 포장구(10)의 제4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시트(200) 사이에는 한 층의 과일(20)만 위치하였으나, 여러 층의 과일의 포장도 전술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8, only one layer of fruit 20 is located between a pair of sheets 200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

특히 종래기술(특허문헌 3 참조)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10)의 제4실시예는 여러 층의 과일을 쌓더라도 과일 포장구(10)에 의해 아래에 위치한 과일의 윗부분이 눌리게 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unlike the prior art (see Patent Document 3),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ruit packing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ven if a plurality of layers of fruit are piled up, It is advantageous not to los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에 의한 과일 포장구는 과일 유통과정에서 과일용 포장커버(팬캡)과 난좌를 별도로 모두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과일 포장구만 사용하므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포장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자동화 포장이 가능하다.The fruit packing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one fruit packing area instead of using a separate pan cover and a pan cover in the process of fruit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packaging cost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umer, Packing is possible.

5 : 상자 10 : 과일 포장구
20 : 과일 100 : 본체
104 : 본체의 내측면 108 : 본체의 외측면
110 : 홈 120 : 개구
130 : 지지부 135 : 산
137 : 산의 정상 140 : 골
145 : 본체의 외측면의 산 150 : 본체의 외측면의 골
160 : 홈 170 : 본체의 바닥면
180 : 돌출부 185 : 통기공
200 : 시트
5: Box 10: Fruit Packing Section
20: Fruit 100: Body
104: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8: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groove 120: opening
130: Support 135: Mountain
137: Top of the mountain 140: Goal
145: Acros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50:
160: groove 170: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80: protrusion 185:
200: sheet

Claims (7)

상면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홈(110)을 갖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135)과 골(140)을 갖는 지지부(130);
상기 본체의 바닥면(170)에는 돌출부(180)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170)을 위에서 봤을 때 6개의 상기 돌출부(180)가 서로 인접하며 원을 그리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The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groove 110 in which an opening 120 is formed and 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support portion 130 having a support portion 130;
Wherein a protrusion 180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and six protrusions 18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is viewed from above. Packing compartment
상면에 개구(120)가 형성되는 홈(110)을 갖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본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135)과 골(140)을 갖는 지지부(130);
상기 본체의 바닥면(170)에는 통기공(185)이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170)을 위에서 봤을 때 6개의 상기 통기공(185)이 서로 인접하며 원을 그리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The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100 having a groove 110 in which an opening 120 is formed and a mountain 135 and a valley 140 ar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 support portion 130 having a support portion 130;
A vent hole 185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When the bottom surface 170 of the main body is viewed from above, the six vent holes 185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positioned in a circle. Fruit pack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산과 상기 골의 갯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he crests and the number of the crests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보다 더 길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long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산과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mountain and a valley are forme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1본체(11);
상기 제1본체(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1지지부(131);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2본체(12);
상기 제2본체(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2지지부(132);
복수 개의 상기 제1본체(11)가 연결되며, 하나의 제1본체(11)는 인접하는 다른 제1본체(11)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시트(200);
상기 제2본체(12)가 복수 개가 연결되는 시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본체(11) 또는 상기 제2본체(12)의 바닥면에는 통기공(18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11) 또는 상기 제2본체(12)의 바닥면을 위에서 봤을 때 6개의 상기 통기공(185)이 서로 인접하며 원을 그리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A first body (11)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support part 131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main body 11 and having an apex and a valle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 second body (12)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support part 13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2 and having an apex and a valle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
A plurality of the first bodies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11 includes a sheet 20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nother adjacent first body 11;
And a seat (200) to which a plurality of the second bodies (12) are connected,
A vent hole 185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 or the second main body 12.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 or the second main body 12 is viewed from ab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x vent holes (185)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 a circle.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1본체(11);
상기 제1본체(1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1지지부(131);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홈을 갖는 제2본체(12);
상기 제2본체(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12)의 원주방향을 따라 산과 골을 갖는 제2지지부(132);
복수 개의 상기 제1본체(11)가 연결되며, 하나의 제1본체(11)는 인접하는 다른 제1본체(11)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시트(200);
상기 제2본체(12)가 복수 개가 연결되는 시트(200);
상기 제1본체(11) 또는 상기 제2본체(12)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8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본체(11) 또는 상기 제2본체(12)의 바닥면을 위에서 봤을 때 6개의 상기 돌출부(180)가 서로 인접하며 원을 그리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구
A first body (11)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first support part 131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main body 11 and having an apex and a valle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 second body (12) having a groov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support part 13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2 and having an apex and a valle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
A plurality of the first bodies 1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body 11 includes a sheet 20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nother adjacent first body 11;
A sheet 200 to which a plurality of the second bodies 12 are connected;
A protrusion 180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 or the second main body 12.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 or the second main body 12 is viewed from above, Wherein the protrusions (18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 a circle.
KR1020130042168A 2013-04-17 2013-04-17 Fruit Package KR1015330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168A KR101533050B1 (en) 2013-04-17 2013-04-17 Fruit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168A KR101533050B1 (en) 2013-04-17 2013-04-17 Fruit Pack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41A KR20140124541A (en) 2014-10-27
KR101533050B1 true KR101533050B1 (en) 2015-07-01

Family

ID=5199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168A KR101533050B1 (en) 2013-04-17 2013-04-17 Fruit Pack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0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8868A (en) * 1998-11-30 2000-06-20 Ikeguchi Kogyo:Kk Article holding tool
JP3181309B2 (en) * 1990-05-18 2001-07-03 ハーマン、ミ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lectrified wall panel system
KR20130040695A (en) * 2011-10-14 2013-04-24 가실영농조합법인 Package for protecting fr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309B2 (en) * 1990-05-18 2001-07-03 ハーマン、ミラ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lectrified wall panel system
JP2000168868A (en) * 1998-11-30 2000-06-20 Ikeguchi Kogyo:Kk Article holding tool
KR20130040695A (en) * 2011-10-14 2013-04-24 가실영농조합법인 Package for protecting fr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541A (en)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4515B1 (en) Corrugated board packing box
CN203903103U (en) Multifunctional fruit tray
KR101533050B1 (en) Fruit Package
KR200439346Y1 (en) Air mat for fruit packing case
KR20060089589A (en) A grape box packed by hanging grapes and the way to make a tail with a bunch of grapes
KR101134298B1 (en) The resin tray for fruit packaging
KR200437918Y1 (en) Cover for fruit packing
JP4804086B2 (en) Corrugated cardboard packaging body and packag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EP2074037A1 (en) Product container including surface with bumps
KR100897789B1 (en) Fruit and vegetables protector
JP5684002B2 (en) Cold storage container
KR101570521B1 (en) Fruits package and manufaturing method thereof
KR101411945B1 (en) pancap
KR102039182B1 (en) Inner Case Of Container for Packaging Fruits
IES86515B2 (en) Sales container
JP2003012075A (en) Pack for fruit and package using the same
KR101623442B1 (en) Packaging box of fruit with a pressurized member
KR200461027Y1 (en) Strawberry packing box of polystyrene foam
KR200477601Y1 (en) Packagin for grapes
JP3202071U (en) Packaging material
JPS5855188Y2 (en) Package for long potatoes
JPS63623Y2 (en)
JP6885570B2 (en) Packaging container
JP4804085B2 (en) Corrugated cardboard packaging body and packag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GB2462153A (en) Fresh produce pack comprising tray and outer perforated w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