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483B1 -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483B1
KR101532483B1 KR1020130106286A KR20130106286A KR101532483B1 KR 101532483 B1 KR101532483 B1 KR 101532483B1 KR 1020130106286 A KR1020130106286 A KR 1020130106286A KR 20130106286 A KR20130106286 A KR 20130106286A KR 101532483 B1 KR101532483 B1 KR 10153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container
door
hand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623A (ko
Inventor
김형진
Original Assignee
김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진 filed Critical 김형진
Priority to KR102013010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4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22);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23);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23)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sealing type food pressing device with door and food storage container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 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을 보관 또는 저장하기 위하여 식품용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원통 또는 사각 통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의 밀폐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통상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의 경우 음식물의 보존을 위하여 냉장고 등에 보관하게 된다.
특히,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의 경우 냉장보관하더라도 저장식품의 내용물이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저장식품이 부패하거나 냉장고 등의 내부 건조 상태의 특성에서 오는 김치의 마름 현상과 같은 맛이 변질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공기에 대한 노출에 의한 저장식품의 부패 또는 변질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적절한 발효를 위하여 식품저장 용기용으로 식품 누름 장치가 하기 선행기술 문헌1 내지 문헌4와 같이 저장식품에 포함된 액체 내로 저장식품을 침지 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식품 누름 장치는 문헌1 내지 문헌3의 형태의 경우 용기 내 음식의 용이한 누름 또는 인출을 위하여 밀폐용기의 뚜껑과 연관된 복잡한 구조를 가져, 오히려 세척 등이 유지 관리가 불편하고 제품의 가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문헌1 내지 문헌4의 형태의 경우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시 식품저장용기의 뚜껑과 함께 또는 누름 장치를 분리하여야하므로 불편하고 분리시 김치 국물 등 저장음식의 액체가 흐르거나 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헌1의 형태의 경우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나 중앙의 하나의 손잡이 구조로 누름 장치의 누름시 불편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분리시 하나의 손잡이 구조의 특성상 분리에 과도한 힘이 들고, 분리 동작이 조절되지 않아 돌발적인 분리로 저장음식의 액체가 급격히 튀거나 잘못된 동작으로 용기를 전체적으로 넘어뜨려 내용물이 쏟아질 위험이 있어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하고 저장음식의 액체가 튀는 불편함이 없는 새로운 구조로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한 식품보관 용기용 식품 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9-0074994호 (공개일자 2009년07월08일,김치용기)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1-0034909호 (공개일자 2011년04월06일, 밀폐용기)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41835호 (공고일자 2013년03월11일, 가정용 발효식품저장용기) (문헌4) 대한민국 등록디자인공보 등록번호 30-0680447호 (공고일자 2013년02월13일,식품용기용 식품누름구)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사용상 편리하고 저장음식의 액체가 튀는 불편함이 없는 새로운 구조로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한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주면을 둘러싸 결합되며 식품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씰링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폐씰링부는
Figure 112013081094820-pat00001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 및 도어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도어부의 폐쇄시 상기 도어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고정 결합부가 성형된다.
나아가, 상기 도어부는 하방으로 중앙부가 돌출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의 개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사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손잡이부 및 제2 손잡이부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에 의하여 휘는 탄성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 및 도어부의 하나 이상에는 저장식품의 액체의 관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체관통구가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로 상부에 투입구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 상기 식품저장 용기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의 하부를 상부로부터 밀폐하며 내부의 저장식품을 식품액체 내부로 눌러 고정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는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세는, 상기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의 상면에는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 및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의 사용시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하며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시 저장음식의 액체가 튀는 불편함을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단순한 구조로 식품누름 장치의 식품누름 효과를 증대시키고 밀폐 성을 증가시켜 공기에 대한 노출에 의한 저장식품의 부패 또는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로 인하여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를 내구성이 강하면서도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저렴하게 식품누름 장치 및 식품저장 용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는 일반적으로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로, 일반적인 상부에 투입구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10)와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상부로부터 밀폐하며 내부의 저장식품을 식품액체 내부로 눌러 고정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식품저장 용기를 위한 뚜껑(미도시)가 추가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식품저장 용기(10)에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이 저장되며, 식품저장 용기 내 저장된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이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에 의하여 눌려져 발효식품 또는 저장식품의 식품액체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막아 저장식품의 부패 및 변질을 방지하고 발효효과 내지 절임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식품저장 용기는(10)은 통상 사각형 또는 원형 통 구조를 가지며,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주면이 작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식품의 인출 및 투입을 위하여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에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가 설치되어,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여 사용상 편리하며 저장식품의 추가 투입 또는 인출시 저장음식의 액체가 튀는 불편함을 줄이는 구조를 가지며,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는 식품저장 용기(10)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저장식품의 높이 및 식품액체의 수면 높이에 따라 식품저장 용기(10) 내에서의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의 상면에는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손잡이 와 타측 상면에 손잡이 2개의 손잡이를 대응되도록 설치하고,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를 2개의 손잡이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 등의 동작에 의하여 휘는 탄성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2개의 손잡이에 대한 적절한 비 대칭적 또는 대칭적 조작에 의하여 밀폐된 식품누름 장치의 식품저장 용기로부터 이탈 또는 내부 이동 편리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특징은 저장식품의 종류, 식품저장 용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적응적으로 변형되거나 필요한 부가 기능을 구현하는 형태의 하기의 실시예와 같이 구현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외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는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22),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23),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23)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1)의 외주면을 둘러싸 결합되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씰링부(25)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밀폐씰링부(25)는 별도의 구성으로 성형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부(21)에 결합하거나, 상기 프레임부(21)과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씰링부(25)는
Figure 112013081094820-pat00002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 등과 같이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결합되는 탄성 재질로 성형된다.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주면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원형 통 구조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10)와 연동하여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로 내려갈 수록 밀착력이 증가하도록 제작된다.
프레임부(21)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며,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성형되고, 상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도어부(22)의 고정 결합부(미도시)가 성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 등의 동작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휘거나 뒤틀리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어부(22)는 상기 고정 결합부(미도시)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프레림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프레임부(21)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형상 및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도어부(22)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22)와 프레임부(21)의 대응부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도어 고정부(미도시)가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도어부(22)는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중앙부가 돌출된 형상의 단면, 즉,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됨으로써, 도어부의 저장식품에 대한 가압시 중앙부를 통하여 도어부에 대한 저장식품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저장식품을 효율적으로 누르고 도어부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22)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22))의 개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사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성형 될 수도 있다.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프레임부(21)의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 등의 동작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휘거나 뒤틀리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프레임부(21)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2개의 손잡이에 대한 적절한 비 대칭적 또는 대칭적 조작에 의하여 밀폐된 식품누름 장치의 식품저장 용기로부터 이탈 또는 내부 이동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2개의 손잡이에 대한 비 대칭적 또는 대칭적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 2 및 도 3 나타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이 아닌 라운드 형태로 제작되며, 탄성과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식품액체의 비율이 적은 일반적인 배추 김치 등의 저장에 사용된다. 따라서, 충분한 밀폐성과 저장식품에 대한 가압 능력을 가지도록 상기 각 구성이 제작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의 외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이 식품액체의 비율이 많은 동치미, 물김치, 등의 저장에 사용된다. 이 경우 통상 저장식품은 식품액체의 수면에서 충분한 깊이에 침지하게 되며, 식품누름 장치는 식품액체의 수면 아래로 이동 및 위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식품누름 장치는 프레임부(21) 및 도어부(22)의 하나 이상에 저장식품의 액체의 관통이 가능한 다수의 액체관통구가 성형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는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22),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23),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23)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21)의 외주면을 둘러싸 결합되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밀폐하는 밀폐씰링부(25)가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밀폐씰링부(25)는 별도의 구성으로 성형 제작되어 상기 프레임부(21)에 결합하거나, 상기 프레임부(21)과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씰링부(25)는
Figure 112013081094820-pat00003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 등과 같이 용기의 내주면에 밀착결합되는 탄성 재질로 성형된다.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주면이 작아지는 구조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원형 통 구조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10)와 연동하여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로 내려갈 수록 밀착력이 증가하도록 제작된다.
프레임부(21)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며,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성형되고, 상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도어부(22)의 고정 결합부(미도시)가 성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프레임부(21)에는 저장식품의 액체의 관통이 가능한 다수의 액체관통구(미도시)가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 등의 동작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휘거나 뒤틀리는 탄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어부(22)는 상기 고정 결합부(미도시)에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거나 프레림부와 일체로 성형되어 프레임부(21)에 결합되고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형상 및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도어부(22)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22)와 프레임부(21)의 대응부분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도어 고정부(미도시)가 성형될 수 있다.
특히, 도어부(22)는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중앙부가 돌출된 형상의 단면, 즉,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됨으로써, 도어부의 저장식품에 대한 가압시 중앙부를 통하여 도어부에 대한 저장식품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저장식품을 효율적으로 누르고 도어부의 폐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22)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22))의 개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사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성형 될 수도 있다.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프레임부(21)의 상면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 등의 동작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휘거나 뒤틀리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 프레임부(21)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2개의 손잡이에 대한 적절한 비 대칭적 또는 대칭적 조작에 의하여 밀폐된 식품누름 장치의 식품저장 용기로부터 이탈 또는 내부 이동 편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의 2개의 손잡이에 대한 비 대칭적 또는 대칭적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 5 및 도 6 나타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이 아닌 라운드 형태로 제작되며, 탄성과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의 특별한 조합들이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구성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통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범위를 포함한다.
10 : 식품저장 용기 20 :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21 : 프레임부 22 : 도어부
23 : 제1 손잡이부 24 : 제2 손잡이부
25 : 밀폐 씰링부

Claims (10)

  1.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주면이 작아지는 통 구조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에 사용되는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에 있어서,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22);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23);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23)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24)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21)의 외주면을 둘러싸 결합되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밀폐하는
    Figure 112015003983665-pat00014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탄성 재질인 밀폐씰링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21)는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에 의하여 휘는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라운드 형태로 탄성과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도어부(22)는 하방으로 중앙부가 돌출된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1) 및 도어부(22)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도어부(22)의 폐쇄시 상기 도어부(22)를 상기 프레임부(21)에 고정하는 고정 결합부가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22)의 끝단에는 상기 도어부(22))의 개방시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이 사용되도록 돌출된 돌출부가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1) 및 도어부(22)의 하나 이상에는 저장식품의 액체의 관통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액체관통구가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9.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를 구비한 식품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부에 투입구를 가지는 식품저장 용기(10);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상부로부터 밀폐하며 내부의 저장식품을 식품액체 내부로 눌러 고정하는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식품저장 용기(10)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외주면이 작아지는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20)는 저장식품의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된 프레임부(21);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도어부(22);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 상면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부(23); 및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 상면에 상기 제1 손잡이부(23)에 대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손잡이부(24)를 포함하여,
    상기 프레임부(21)의 외주면을 둘러싸 결합되며 식품저장 용기(10)의 내측면에 하부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하여 상기 식품저장 용기(10)의 하부를 밀폐하는
    Figure 112015003983665-pat00015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탄성 재질인 밀폐씰링부(25)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21)는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잡아당김에 의하여 휘는 탄성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제1 손잡이부(23) 및 제2 손잡이부(24)는 라운드 형태로 탄성과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도어부는 하방으로 중앙부가 돌출된 역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저장용기.
  10. 삭제
KR1020130106286A 2013-09-04 2013-09-04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KR10153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286A KR101532483B1 (ko) 2013-09-04 2013-09-04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286A KR101532483B1 (ko) 2013-09-04 2013-09-04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23A KR20150027623A (ko) 2015-03-12
KR101532483B1 true KR101532483B1 (ko) 2015-06-29

Family

ID=5302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286A KR101532483B1 (ko) 2013-09-04 2013-09-04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4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786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음식물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110854A (ko) * 2011-03-30 2012-10-10 홍선표 밀폐용기
KR101239645B1 (ko) * 2012-12-20 2013-03-11 주식회사 이평에프앤씨 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KR200466582Y1 (ko) * 2012-12-12 2013-04-23 최영필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786A (ko) * 2010-01-15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용 음식물 보관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20110854A (ko) * 2011-03-30 2012-10-10 홍선표 밀폐용기
KR200466582Y1 (ko) * 2012-12-12 2013-04-23 최영필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239645B1 (ko) * 2012-12-20 2013-03-11 주식회사 이평에프앤씨 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23A (ko)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246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ith self opening hinged lid
US8256642B2 (en) Sippy cup assembly
US10214330B2 (en) Fluid container with axis straw
KR101673397B1 (ko) 돔 형태의 리필용기뚜껑을 구비한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551230B1 (ko) 기밀 봉상화장품 용기
US20150173540A1 (en) Reusable food container with re-sealable cap
CN106829173B (zh) 一种按压打开的盖子
JP2016011129A (ja) 逆止弁付き容器用キャップ
MX2012002212A (es) Tapa para contenedor dispensador de paquete blando de toallitas humedas.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101532483B1 (ko) 개폐 도어가 설치된 밀폐형 식품누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품저장 용기
KR200425701Y1 (ko) 원터치식 밀폐용기
KR20180113332A (ko) 식품의 신선도의 유지 기간 및 보관 기간을 향상시킨 밀폐 용기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CN103287698A (zh) 饮料用容器的栓体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170007389A (ko) 내용물 보관 시스템을 가지는 용기 캡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JP3224146U (ja) 調味料用容器
KR100622706B1 (ko) 용기의 덮개 및 수납통용 개폐장치
JP2018154372A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200460290Y1 (ko) 식품 용기의 마개
KR101269084B1 (ko) 오토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