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977B1 -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977B1
KR101531977B1 KR1020107008321A KR20107008321A KR101531977B1 KR 101531977 B1 KR101531977 B1 KR 101531977B1 KR 1020107008321 A KR1020107008321 A KR 1020107008321A KR 20107008321 A KR20107008321 A KR 20107008321A KR 101531977 B1 KR101531977 B1 KR 10153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qi information
control channel
cqi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260A (ko
Inventor
요시히사 기시야마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072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35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 H04L2025/03375Passband transmission
    • H04L2025/03414Multi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77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2025/03802Signalling on the reverse channel
    • H04L2025/03808Transmission of equaliser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싱글캐리어 방식으로 제어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유저장치는, 시스템대역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광대역 제어정보 생성부;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 생성부; 및 광대역 제어정보를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채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데이터채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USER DEVICE, BASE ST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본 발명은,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LTE(Long Term Evolution)가 표준화단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검토되어 있다. 이 중에서,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캐리어 방식(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3GPP TR 25.814(V7.O.0), "Physical Layer Aspects for Evolved UTRA," June 2006 참조).
LT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통신채널의 구성 예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대역은 복수의 주파수블록으로 분할된다. 주파수블록은, 리소스블록이라고도 불리며, 대역을 할당할 때의 최소단위이다. 또, 시간영역은, 서브프레임이라고 불리는 송신단위로 분할되어 있다. 서브프레임은, 또한 2개의 슬롯으로 분할된다.
이 상향링크 통신채널에는,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상향링크 제어채널 A 및 B(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있다. 상향링크 공유채널에서는, 유저데이터가 전송된다. 상향링크 공유채널은 데이터채널이라고도 불린다. 상향링크 제어채널 A 및 B에서는, 적응변복조·부호화(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이용하기 위한 채널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수행할 때의 안테나의 가중을 나타내는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정보와 같은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1서브프레임 내의 2개의 슬롯간에 맵핑되는 위치가 다르다(주파수 홉핑이 수행된다(예를 들면, R1-070100, CDMA-Based Multiplexing Method for Multiple ACK/NACK and CQI in E-UTRA Uplink, January 2007 참조).
상기와 같이, 상향링크 제어채널에는, CQI 정보가 다중된다. CQI 정보에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채널품질을 나타내는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채널품질의 주파수 방향의 변동을 나타내는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있다.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는, 시스템대역이 복수의 주파수블록으로 분할되었을 때의 주파수블록마다의 채널품질정보를 나타내고, 기지국에서 주파수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 상향링크 채널에는, PMI 정보도 다중된다. PMI 정보에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PMI를 나타내는 시스템대역 PMI 정보와, 주파수 방향의 변동을 나타내는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가 있다.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는, 시스템대역이 복수의 주파수블록으로 분할되었을 때의 주파수블록마다의 PMI 정보를 나타내고, 기지국에서 주파수 선택 프리코딩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와 같은 CQI 정보나 PMI 정보는, 시스템대역을 주파수블록으로 분할하는 수가 커질수록(주파수 분해능이 세밀해질수록) 정보량이 커진다. 상향링크 제어채널에서는, 송신가능한 비트수가 한정되어 있으며, 유저마다 무선리소스가 주기적으로 주어진다. 따라서, 시스템대역 CQI 정보나 시스템대역 PMI 정보와 같은 제어정보뿐만 아니라,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나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와 같은 제어정보를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송신하려고 하면,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송신가능한 비트수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시스템대역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에 더하여 주파수 선택성의 제어정보를 송신할 때,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량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저장치는,
싱글캐리어 방식으로 제어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시스템대역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광대역 제어정보 생성부;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 생성부; 및
상기 광대역 제어정보를 제어채널 또는 데이터채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데이터채널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은,
싱글캐리어 방식으로 제어정보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무선리소스를 주기적으로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주기적으로 할당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채널로의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 요구부; 및
데이터채널로부터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분리하는 분리부;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정보 송신방법은,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에 대해서 싱글 캐리어 방식으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제어정보 송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무선리소스를 주기적으로 할당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주기적으로 할당한 무선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채널로의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할당된 무선리소스를 확인하여,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데이터채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데이터채널로부터 상기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대역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에 더하여 주파수 선택성의 제어정보를 송신할 때,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정보량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LTE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성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구성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QI 요구신호의 무선리소스 할당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의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도(그 1)이다.
도 5는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의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도(그 2)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QI 요구신호 포맷을 나타내는 도(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QI 요구신호 포맷을 나타내는 도(전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정보 송신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통신채널의 구성 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통신채널의 구성 예를 도 2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정보 중,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는 데이터채널로 송신된다. 광대역 제어정보(시스템대역 CQI 정보, 시스템대역 PMI 정보)는 제어채널로 송신된다.
이와 같이, 광대역 제어정보를 제어채널로 송신함으로써, 기지국이 제어채널을 수신할 수 있으면, 기본적인 동작은 가능하게 된다. 또,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는 주파수 분해능에 따라서 정보량이 변하나, 이와 같은 가변량의 정보를 데이터채널에 할당함으로써, 제어채널의 정보량이 증가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광대역 제어정보(시스템대역 CQI 정보, 시스템대역 PMI 정보)는, 주기적으로 제어채널로 송신하고,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요구신호에 따라서 데이터채널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채널로 송신되는 광대역 제어정보에는, 시스템대역 CQI 정보(제1 코드워드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 예를 들면 5비트), MIMO 전송을 수행할 때의 제2 코드워드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제1 코드워드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로부터의 상대값, 예를 들면 2∼3비트), 시스템대역 PMI 정보(예를 들면 2∼3비트)가 있다. 또, 데이터채널로 송신되는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에는,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제1 코드워드의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MIMO 전송을 수행할 때의 제2 코드워드의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제1 코드워드의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로부터의 상대값), 주파수 선택성 PMI 정보가 있다. 예를 들면, 단일 안테나 구성의 경우에는, 이들 정보 중, CQI 정보(시스템대역 CQI 정보 및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만이 제어정보로서 이용된다. MIMO 전송을 수행하나, 안테나간에 프리코딩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 중, 제1 코드워드의 CQI 정보와 제2 코드워드의 CQI 정보가 제어정보로서 이용된다. MIMO 전송을 수행하고, 안테나간에 프리코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정보 모두가 제어정보로서 이용된다. 주파수 선택성의 제어정보는, 스케줄링 요구용 제어정보를 더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대역의 제어정보(시스템대역 CQI 정보, 시스템 대역 PMI 정보 등)를 제어채널로 송신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CQI 정보, 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PMI 정보 등)를 제어채널로 송신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광대역 제어정보에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제어정보뿐만 아니라, 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제어정보도 포함된다. 또, 광대역 CQI 정보에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CQI 정보뿐만 아니라, 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CQI 정보도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광대역 PMI 정보에는, 시스템대역 전체의 PMI 정보뿐만 아니라, 시스템대역 전체의 일부의 PMI 정보도 포함된다.
<CQI 요구신호의 무선리소스 할당 예>
상기와 같이, 광대역 제어정보는 주기적으로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정보의 송신주기 및 제어정보로서 송신하는 정보는, 고 레이어의 시그널링(L3 시그널링)으로 각 유저장치에 통지된다.
또,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CQI 요구신호(또는 PMI 요구신호)에 따라서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에 데이터채널로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QI 요구신호(또는 PMI 요구신호)는, 하향링크 L1/L2 제어채널로 유저장치에 송신된다.
기지국으로부터의 CQI 요구신호(또는 PMI 요구신호)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허가(Scheduling grant)용 포맷에 요구 플래그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저장치에 나타내어도 좋고, 전용 포맷을 이용하여 유저장치에 나타내어도 좋다.
CQI 요구신호(또는 PMI 요구신호)로서 상향링크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저장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허가를 수신하여 복호하고, 요구신호의 유무를 확인한다.
CQI 요구신호로서 전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QI 요구신호가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을 미리 주기적으로 설정해도 좋다. 기지국은, 미리 주기적으로 할당된 서브프레임에서 CQI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CQI 정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 유저장치는, CQI 요구신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만을 수신해서 복호하여, 요구신호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QI 요구신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으로부터 유저장치에 미리 통지되어도 좋으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대역 제어정보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지어져도 좋다. 이 CQI 요구신호에는, UE ID가 부가된다. 즉, 유저장치간은 각각의 부호화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전용 포맷을 이용함으로써, 상향링크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에 요구 플래그를 포함시키는 것에 비하여, 비트수가 적은 간이한 포맷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CQI 요구신호가 전용 포맷으로 송신될 때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의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각각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해도 좋다. 기지국은, 시스템대역 CQI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미리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송신되도록, CQI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즉,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송신 타이밍에 의해, 기지국이 유저장치에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리소스가 결정된다. 기지국이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유저장치는 제어채널로 주기적으로 시스템대역 CQI 정보를 송신하나, 기지국이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면, 유저장치는,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CQI 요구신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을 미리 결정해도 좋다.
도 5는, CQI 요구신호가 전용 포맷으로 송신될 때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의 서브프레임과의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도록 각각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해도 좋다. 기지국은, 시스템대역 CQI 정보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은 미리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다른 서브프레임에서(혹은 일정의 오프셋을 갖게 한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송신되도록, CQI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즉, 시스템대역 CQI 정보의 송신 타이밍에 의해, 기지국이 유저장치에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리소스가 결정된다. 기지국이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경우, 유저장치는 제어채널로 주기적으로 시스템대역 CQI 정보를 송신하나, 기지국이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면, 유저장치는, 주기적으로 시스템대역 CQI 정보를 제어채널로 계속 송신하고, 시스템대역 CQI 정보와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은, CQI 요구신호가 할당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프레임을 미리 결정해도 좋다.
<CQI 요구신호 포맷>
상기와 같이, CQI 요구신호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에 요구 플래그를 포함시킴으로써 유저장치에 나타내어도 좋고, 전용 포맷을 이용하여 유저장치에 나타내어도 좋다.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의 CQI 요구신호 포맷을 도 6에 나타낸다.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에는, 스케줄링 허가 포맷, 상향링크 리소스블록 할당정보, UE ID, 트랜스포트 포맷 정보, 송신전력, 복조용 레퍼런스신호 포맷, TTI 홉핑 정보, 상향링크 안테나 선택 정보, 재송관련 정보가 있다.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을 이용하여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스케줄링 허가용 포맷에, 1비트의 CQI 지시정보를 포함시켜도 좋다. 이 CQI 지시정보는,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데이터채널(PUSCH)로 송신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유저장치는, 이 CQI 지시정보를 독취하고,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송신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전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의 CQI 요구신호 포맷을 도 7에 나타낸다. 전용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최소한의 정보만을 정의하면 되므로, 비트수가 적은 간이한 포맷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향링크 리소스블록 할당정보, UE ID, CQI 지시정보만을 정의하면 된다. 복조용 레퍼런스신호 포맷에 이용하는 3비트는 전용 포맷에 포함되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또, 상향링크 리소스블록 할당정보에 대해서도, CQI를 송신하는 정보량을 일정하게 해 둠으로써, 정보량을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저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저장치(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장치(10)는, CQI 측정부(101)와, 광대역 CQI 정보 생성부(103)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생성부(105)와, 다중제어부(107)를 갖는다.
CQI 측정부(101)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레퍼런스신호를 수신하고, CQI를 측정한다.
광대역 CQI 정보 생성부(103)는, CQI 측정부(101)에서 측정된 주파수블록마다의 CQI를 시스템대역 전체 또는 그 일부에서 평균화하여 광대역 CQI 정보를 생성한다. 이 광대역 CQI 정보를 생성하는 주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L3 시그널링으로 미리 통지된다.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생성부(105)는, 기지국으로부터의 L1/L2 시그널링으로 CQI 요구신호를 수신했을 때, 미리 결정된 주파수블록마다의 CQI 정보를 생성한다. L1/L2 시그널링으로 CQI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리소스는, 미리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할당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통지하는 서브프레임은, 광대역 CQI 정보를 통지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지어져도 좋다.
다중제어부(107)는, 유저데이터와 광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 및 제어채널에 다중한다. 예를 들면, 광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같은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유저데이터와 광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 다중한다. 또, 광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유저데이터와 주파수 선택성 CQI를 데이터채널에 다중하고, 광대역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 다중한다.
<기지국의 구성>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20)은, 다중판정부(201)와, 광대역 CQI 정보 복조부(203)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복조부(205)와, 스케줄러(207)와, 광대역 CQI 정보 리소스 할당부(209)를 갖는다.
광대역 CQI 정보 리소스 할당부(209)는, 유저장치가 광대역 CQI 정보를 송신하는 무선리소스를 주기적으로 할당한다. 이 광대역 CQI 정보의 송신주기는, L3 시그널링으로 유저장치에 통지된다.
다중판정부(201)는, 유저데이터와 광대역 CQI 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유저채널에 다중되어 있는지 판정하고, 각각의 정보를 분리한다. 또한, 다중판정부는 분리부에 상당한다.
광대역 CQI 정보 복조부(203)는, 유저채널 또는 제어채널에 다중되어 있는 광대역 CQI 정보를 복조한다.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 복조부(205)는, 유저채널에 다중되어 있는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복조한다.
스케줄러(207)는, 광대역 CQI 정보 및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 스케줄러(207)는,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유저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해서, CQI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CQI 요구신호는, 광대역 CQI 정보 리소스 할당부(209)에서 관리되고 있는 광대역 CQI 정보의 송신주기에 기초하여, 광대역 CQI 정보와 같은 또는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수신되도록 송신된다. 이 스케줄러는,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 요구부에 상당한다.
<제어정보 송신방법의 흐름도>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정보 송신방법의 흐름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기지국은 광대역 CQI 정보의 보고주기, CQI 보고내용(제1 코드워드의 시스템대역 CQI 정보를 송신하는지, 제1 및 제2 코드워드의 시스테대역 CQI 정보를 송신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결정하고, L3 시그널링으로 유저장치에 통지한다(S101). 유저장치는, 통지된 CQI 보고주기에 따라서 광대역 CQI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광대역 CQI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송신된다. CQI 보고주기에 따라서 CQI 요구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이 결정되므로, 해당하는 서브프레임을 수신하여, CQI 요구신호를 확인한다(S103). 이 단계 S103은, 단계 S101에서 통지된 주기로 반복된다.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가 필요해졌을 때, CQI 요구신호를 생성하고, L1/L2 시그널링으로 유저장치에 송신한다(S105). 유저장치는, CQI 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생성한다(S107). 이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된 데이터채널 상의 무선리소스에서 송신된다(S109). 광대역 CQI 정보를 같은 서브프레임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 광대역 CQI 정보도 데이터채널로 송신된다. 또한, 광대역 CQI 정보를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송신하는 경우에는, 광대역 CQI 정보는 상향링크 제어채널로 송신된다. 기지국은,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를 수신하고, 주파수 스케줄링에 이용한다.
또한, 도 3∼도 10 및 이들의 도에 대응하는 설명에서는, CQI 정보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으나, PMI 정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스템 전체 또는 그 일부의 광대역 제어정보에 더하여 주파수 선택성의 제어정보를 송신할 때, 상향링크 제어채널과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LTE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싱글캐리어 방식으로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어떠한 이동통신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광대역 제어정보 및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로서 CQI 정보 및 PMI 정보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광대역 제어정보와 주파수 선택성 제어정보로 분할할 수 있는 어떠한 제어정보에도 적용가능하다.
본 국제출원은 2007년 10월 1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2007-258110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2007-258110호의 전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10 유저장치
101 CQI(PMI) 측정부
103 광대역 CQI 정보(PMI 정보) 생성부
105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PMI 정보) 생성부
107 다중제어부
20 기지국
201 다중 판정부
203 광대역 CQI 정보(PMI 정보) 복조부
205 주파수 선택성 CQI 정보(PMI 정보) 복조부
207 스케줄러
209 광대역 CQI 정보(PMI 정보) 리소스 할당부

Claims (9)

  1.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는, 광대역의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광대역의 CQI 정보와,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주파수 선택성의 CQI 정보를 같은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광대역의 CQI 정보와 상기 주파수 선택성의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5. 유저장치;
    기지국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장치는,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신부는,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PMI 정보도 제어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진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은, 상기 제1 송신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광대역의 CQI 정보와,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주파수 선택성의 CQI 정보를 같은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경우에, 상기 광대역의 CQI 정보와 상기 주파수 선택성의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유저장치가,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
    유저장치가,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는, 유저장치로부터,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PMI 정보도 제어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는, 유저장치로부터,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진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은, 상기 제어채널에서 송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방법.
  9. 유저장치;
    기지국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장치는,
    시스템대역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 중, 양단측의 리소스 블록을 제어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그리고 제어채널을 위해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에 끼워진 리소스 블록을 데이터채널의 송신에 사용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제1 송신부;
    비주기적으로 송신해야 하는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상기 기지국장치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신부는,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CQI 정보를 제어채널에서 송신함과 동시에, 광대역 전체의 일부의 PMI 정보도 제어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시스템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블록으로 분할한 경우의 주파수 블록 단위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진 CQI 정보를 데이터채널에서 송신하고,
    상기 제2 송신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은, 상기 제1 송신부에 있어서 송신되는 CQI 정보의 정보량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KR1020107008321A 2007-10-01 2008-09-29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KR101531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8110 2007-10-01
JP2007258110A JP4659804B2 (ja) 2007-10-01 2007-10-01 ユーザ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PCT/JP2008/067680 WO2009044710A1 (ja) 2007-10-01 2008-09-29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制御情報送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260A KR20100072260A (ko) 2010-06-30
KR101531977B1 true KR101531977B1 (ko) 2015-06-29

Family

ID=4052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321A KR101531977B1 (ko) 2007-10-01 2008-09-29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705462B2 (ko)
EP (1) EP2187685B1 (ko)
JP (1) JP4659804B2 (ko)
KR (1) KR101531977B1 (ko)
CN (1) CN101878610B (ko)
AU (1) AU2008308186B2 (ko)
BR (1) BRPI0817635A2 (ko)
CA (1) CA2701246C (ko)
MX (1) MX2010003628A (ko)
PT (1) PT2187685T (ko)
RU (1) RU2481729C2 (ko)
WO (1) WO2009044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07B1 (ko) * 2008-01-02 2012-06-0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Lte에서 cqi 보고를 위한 구성
KR101476202B1 (ko) * 2008-01-08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기적/비주기적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CN107070622B (zh) 2009-06-02 2021-02-09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通信装置、通信方法和集成电路
JP5320170B2 (ja) * 2009-06-05 2013-10-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及び端末
JP5122529B2 (ja) * 2009-06-23 2013-0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端末装置、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282575A1 (en) 2009-08-04 2011-02-09 Panasonic Corporation Channel quality repor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20110103247A1 (en) * 2009-11-02 2011-05-05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atus reporting
KR101812167B1 (ko) * 2010-04-12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피드백 방법 및 장치
EP2566272A1 (en) * 2010-04-29 2013-03-06 Fujitsu Limited Method for feeding back precoding matrix information and mobile station thereof
US20120307870A1 (en) * 2011-06-03 2012-12-06 Renesas Mobil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US8965430B2 (en) 2011-06-30 2015-02-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quality reporting modes 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rs
WO2012149790A1 (zh) * 2011-09-30 2012-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睡眠小区的方法和系统
CN103209048B (zh) 2012-01-13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专用导频的解码方法和用户设备
WO2013124879A1 (ja) * 2012-02-20 2013-08-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03813422B (zh) * 2012-11-08 2017-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小型基站的控制方法、设备及系统
JP5542988B2 (ja) * 2013-04-17 2014-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999849B2 (ja) * 2014-04-21 2016-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WO2016117981A1 (ko) * 2015-01-23 2016-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92778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밀리미터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반송파 전송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696A (ja) * 2005-08-01 2007-02-15 Motorola Inc 複数のサブキャリアからなるチャネルにより通信可能な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92654C2 (ru) * 2002-08-13 2007-01-27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имвольное перемежение
US7283492B2 (en) * 2003-10-02 2007-10-1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xing control information onto a physical data channel
KR20050082333A (ko) * 2004-02-18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패킷 데이터의 재전송을 위해효율적으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17835B1 (ko) * 2005-01-0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246560B2 (en) *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JP4675167B2 (ja) * 2005-06-14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
JP2007166118A (ja) * 2005-12-12 2007-06-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チャネル品質伝送方法および端末
JP4642679B2 (ja) * 2006-03-14 2011-03-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1990942A1 (en) 2006-03-20 2008-1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ransmission device, and retransmission method
FI20065180A0 (fi) * 2006-03-20 2006-03-20 Nokia Corp Kanavan laadun osoittimen lähettäminen
JP4767056B2 (ja) 2006-03-24 2011-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プロテクタ
KR100809191B1 (ko) * 2006-06-20 2008-02-29 엘지노텔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채널품질상태표시값 전송 장치 및 방법
US7873010B2 (en) * 2007-03-07 2011-01-18 Motorola Mobility, Inc. Control signaling resource assign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724556B2 (en) * 2007-03-19 2014-05-13 Apple Inc. Uplink control channel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ng the allocation
US8547986B2 (en) * 2007-04-30 2013-10-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block-specific control signaling
US8412209B2 (en) * 2007-06-18 2013-04-02 Motorola Mobility Llc Use of the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in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3696A (ja) * 2005-08-01 2007-02-15 Motorola Inc 複数のサブキャリアからなるチャネルにより通信可能な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81729C2 (ru) 2013-05-10
CA2701246A1 (en) 2009-04-09
US8705462B2 (en) 2014-04-22
KR20100072260A (ko) 2010-06-30
EP2187685A4 (en) 2014-09-03
CN101878610A (zh) 2010-11-03
RU2010115844A (ru) 2011-11-10
JP2009089189A (ja) 2009-04-23
BRPI0817635A2 (pt) 2015-03-24
CA2701246C (en) 2016-07-12
AU2008308186B2 (en) 2013-09-05
WO2009044710A1 (ja) 2009-04-09
EP2187685A1 (en) 2010-05-19
CN101878610B (zh) 2014-07-09
PT2187685T (pt) 2017-04-26
JP4659804B2 (ja) 2011-03-30
MX2010003628A (es) 2010-04-21
EP2187685B1 (en) 2017-04-12
AU2008308186A1 (en) 2009-04-09
US20100260119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977B1 (ko) 유저장치, 기지국 및 제어정보 송신방법
JP4869997B2 (ja) チャネル品質情報報告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US8902775B2 (en) Including in the uplink grant an indication of specific amount of CQI to be reported
US8780850B2 (en) User equipment terminal, base station, and up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method
US11729770B2 (en) Configuring the transmission of periodic feedback information on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CN101675702B (zh) 基站装置和通信控制方法
US9713165B2 (en) Scheduling a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TWI376900B (ko)
EP2184877B1 (en)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162184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チャネル品質情報報告方法
CN114845406A (zh) 用于在上行链路中进行调度的方法和装置
EP221433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method
WO2008039034A2 (en) Methods for allocating resources to uplink control channel
US20100214937A1 (en) Rank Indicator Offset for Periodic CQI Reporting with Periodicity of One
TW201110632A (en)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49363B2 (ja) ユーザ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WO2017163418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80109579A (ko)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인식자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