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594B1 -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594B1
KR101531594B1 KR1020130114464A KR20130114464A KR101531594B1 KR 101531594 B1 KR101531594 B1 KR 101531594B1 KR 1020130114464 A KR1020130114464 A KR 1020130114464A KR 20130114464 A KR20130114464 A KR 20130114464A KR 101531594 B1 KR101531594 B1 KR 101531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illumination
pancake
illumin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413A (ko
Inventor
하영수
구정본
유남준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5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lluminate vessels' decks or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8Visual or acoustic land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2Refl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의 상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에 함몰 설치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케익부의 함몰된 곳에 위상각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조명램프를 가지며,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의 보호 및 광 투과를 위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FOR HELIDECK}
본 발명은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헬리데크에는 야간에 헬리콥터를 운영할 경우 착륙을 돕기 위해서 다양한 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리데크에는 헬리데크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페리미터 라이트(Perimeter light)와, 헬리콥터의 승하선을 위하여 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가 설치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H 마크(H mark)와 터치 다운/포지셔닝 마킹 써클(Touch down/positioning making circle)을 식별하기 위한 매립형 조명장치도 제안된 바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의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에 함몰 설치되는 매립형 조명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매립형 조명램프를 보호하면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매립형 조명램프의 상부에 배치되는 강화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는 매립되어 있는 조명램프가 단일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조명램프가 고장나게 되면 팬케익부의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지 못하기 때문에 헬리콥터의 야간 이착륙에 큰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고장난 조명램프는 즉시 신품으로 교환해야 하는데 조명램프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강화유리부를 먼저 팬케익부로부터 분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바, 이때 강화유리부는 다수개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 팬케익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강화유리부의 분해 조립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여 조명램프의 교환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특히 조명램프가 신속하게 교환되지 못하여 헬리콥터의 야간 이착륙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KR 10-119514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케익부에 매립 설치된 헬리데크용 조명램프가 고장난 경우 신속하게 다른 조명램프로 대체할 수 있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의 상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에 함몰 설치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케익부의 함몰된 곳에 위상각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조명램프를 가지며,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유닛; 및 상기 조명유닛의 보호 및 광 투과를 위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는 조명램프의 빛을 감지하는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는 상기 조명램프가 고장 나서 빛이 나오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고장나지 않은 다른 조명램프가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투과부 일측에는 상기 조명램프의 빛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센서에 제공하기 위한 반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램프들의 위상각은 "360/조명램프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각 조명램프와 독립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속구가 조명램프와 동일한 개수 및 위상각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이 삽입 설치되는 곳의 상부에는 어느 하나의 상기 가동접속구와 탄성 접촉되는 고정접속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팬케익부 상방을 조사하는 어느 하나의 조명램프가 고장나더라도 조명유닛을 간단하게 회전시켜 고장나지 않은 정상의 조명램프로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조명램프가 고장난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유닛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장나지 않은 정상의 조명램프로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구비된 헬리데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3은 도2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설명은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가 구비된 헬리데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10)의 상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100)가 팬케익부(10)의 상면에 함몰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100)는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하여 장소의 제공이 필요한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해양구조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100)는 팬케익부(10)의 상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팬케익부(10)의 상면에 함몰되게 설치되는데, 팬케익부(10)의 마크와 서클, 예컨대 H 마크(H Mark)와 터치 다운/포지셔닝 마킹 서클(Touch down/positioning marking circle)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100)는 팬케익부(10) 상면의 마크와 서클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위치에 매립될 수 있는데, 예컨대 마크와 서클 주위에 매립 설치됨으로써 마크와 서클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팬케익부(10)에는 헬리데크의 윤곽을 나타내기 위하여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페리미터 라이트(Perimeter light, 20)와, 헬리콥터의 승하선을 위하여 측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플러드 라이트(Flood light, 30)가 설치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100)는 조명유닛(110) 및 광투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유닛(110)은 팬케익부(1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곳(11)에 설치되어 팬케익부(10) 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헬리콥터 이착륙시 바퀴나 스키드(skid)에 의해 간섭되거나 그로 인한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명유닛(110)은 팬케익부(10)의 함몰된 곳(11)에 위상각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조명램프(111)를 가지며, 회전축(11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2에는 예시적으로 조명유닛(110)에 180도의 위상각을 갖는 조명램프(111)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조명램프(111)의 위상각 및 개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조명유닛(110)에는 120도의 위상각을 갖는 3개의 조명램프(111)가 마련될 수도 있고, 90도의 위상각을 갖는 4개의 조명램프(1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조명램프(111)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조명유닛(110)에 마련되는 각 조명램프(111)의 위상각은 "360/조명램프(111)의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조명유닛(110)의 회전축(112)은 팬케익부(10)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는바, 회전축(112)을 매개로 조명유닛(1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112)의 양단은 팬케익부(10) 측벽에 베어링(112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명유닛(110)의 각 조명램프(111)는 평상시 모두 점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팬케익부(10)의 상방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광투과부(120)를 마주보고 있는 조명램프(111)만 점등될 수 있다.
도3은 도2의 "A"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닛(110)의 회전축(112) 양단 중 적어도 일측 끝단에는 각 조명램프(111)와 독립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속구(113)가 조명램프(111)와 동일한 개수 및 위상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12)이 삽입 설치되는 곳, 예컨대 팬케익부(10) 측벽의 상부에는 어느 하나의 가동접속구(113)와 접촉되는 고정접속구(114)가 설치될 수 있는바, 상기 가동접속구(113)와 고정접속구(114)는 모두 탄성 변형 가능한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112)이 팬케익부(10) 측벽에 설치되면 고정접속구(114)에 어느 하나의 가동접속구(113)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고정접속구(11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그 가동접속구(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해당 조명램프(111)만 점등되는데, 고정접속구(114)가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명램프(111) 역시 상부에 위치한 조명램프(111) 즉, 광투과부(120)와 마주보는 조명램프(111)만 점등된다. 참고로, 전원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고정접속구(114)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접속구(114)와 어느 하나의 가동접속구(113)가 접촉될 때 해당 조명램프(111)가 점등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축(112)을 회전시키면 고정접속구(114)에 선접촉되었던 가동접속구(113)가 접촉 해제되면서 해당 조명램프(111)는 소등되고 다른 가동접속구(113)가 접촉되면서 그에 대응하는 다른 조명램프(111)가 점등될 수 있다.
만일, 점등되던 조명램프(111)가 고장난 경우 상기 조명유닛(110)을 회전시키면 선접촉되었던 가동접속구(113)는 접촉 해제되고 소정의 위상각을 갖는 다른 가동접속구(113)가 고정접속구(114)에 탄성 접촉되면서 고장나지 않은 정상의 조명램프(111)가 점등될 수 있는바,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조명램프(111)가 고장나더라도 단지 조명유닛(110)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정상적인 조명램프(111)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유닛(110)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유닛(110)의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조명램프(111)가 고장난 경우 팬케익부(10)의 하부에서 작업자가 조명유닛(110)을 회전시켜 정상인 조명램프(111)의 빛이 광투과부(120)를 통해 팬케익부(10) 상방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부(120)는 조명유닛(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명유닛(110)을 외부의 충격이나 수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조명램프(111)의 빛이 팬케익부(10) 상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광 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광투과부(120)는 팬케익부(10)에 착륙하는 헬리콥터의 충격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으로부터 조명유닛(11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팬케익부(10)에 함몰되어 있는 조명유닛(110)의 빛이 차단되지 않고 그대로 통과되어 팬케익부(10)의 상방을 비출 수 있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투과부(120)는 위의 요건을 만족한다면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 이외의 다른 물질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광투과부(120)는 팬케익부(10)의 상면보다 돌출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광투과부(120)는 팬케익부(10)의 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광투과부(120)가 팬케익부(10)의 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되면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이착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헬리콥터의 하중이 광투과부(120)에 집중되지 않고 팬케익부(10)와 하중을 분담할 수 있으므로 광투과부(12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수광센서(130)와, 제어부(140) 및 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부가 설명이 없는 부분은 앞의 내용을 따른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어느 하나의 조명램프(111)가 고장난 경우 고장상태를 즉시 감지하여 자동으로 조명유닛(110)을 회전시킴으로써 고장나지 않은 정상의 조명램프(111)를 통해 팬케익부(10) 상방을 조사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수광센서(130)는 광투과부(120)와 마주보는 조명램프(111)의 빛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수광센서(130)는 조명유닛(110) 주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광투과부(120) 근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조명램프(111)에서 나오는 빛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광센서(130)는 조명램프(111)에서 나오는 빛을 직접 수광할 수도 있으나 수광센서(130)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광투과부(120)의 일측에는 조명램프(111)의 빛을 반사를 통해 수광센서(130)에 제공하기 위한 반사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반사부(160)는 수광센서(130)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는 빛을 수광센서(130) 쪽으로 반사시켜 제공하는 것인바, 반사부(160)는 수광센서(130)에 도달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수광센서(130)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수광센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램프(111)에서 빛이 나오지 않는 경우를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수광센서(130)는 광투과부(120)와 마주보는 조명램프(111)의 빛을 수광하여 기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40)에 보내게 되는바, 제어부(140)는 수광센서(130)로부터 기설정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조명램프(111)에서 빛이 나오지 않는 고장 상태로 판단하고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구동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명유닛(110)의 회전축(112)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구동부(150)가 회전축(112)을 회전시킴에 따라 조명유닛(110)에서 고장나지 않은 정상의 조명램프(111)가 광투과부(120)와 마주보게 되고 이에 따라 정상의 조명램프(111)의 빛이 광투과부(120)를 향해 조사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5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가 현재 광투과부(120)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는 조명램프(111)가 고장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신호를 구동부(150)에 보내게 되면, 상기 구동부(150)는 조명유닛(110)의 회전축(112)을 기설정된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정상의 조명램프(111)가 광투과부(120)와 마주보도록 한다.
이때 고장난 조명램프(11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명유닛(110)의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하부에서 정상의 신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팬케익부 11 : 팬케익부의 함몰된 곳
100 :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110 : 조명유닛 111 : 조명램프
112 : 회전축 113 : 가동접속구
114 : 고정접속구 120 : 광투과부
130 : 수광센서 140 : 제어부
150 : 구동부 160 : 반사부

Claims (6)

  1.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팬케익부의 상방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에 함몰 설치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케익부의 함몰된 곳에 위상각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조명램프를 가지며,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유닛;
    상기 조명유닛의 보호 및 광 투과를 위하여 상기 조명유닛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투과부;
    상기 회전축에 상기 각 조명램프와 독립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조명램프와 동일한 개수 및 위상각으로 설치되는 가동접속구; 및
    상기 회전축이 삽입 설치되는 곳의 상부에 설치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가동접속구와 탄성 접촉되는 고정접속구;
    를 포함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는 상기 팬케익부의 상면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된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는 조명램프의 빛을 감지하는 수광센서;
    상기 수광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는 상기 조명램프가 고장 나서 빛이 나오지 않는 경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고장나지 않은 다른 조명램프가 상기 광투과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부 일측에는 상기 조명램프의 빛을 반사시켜 상기 수광센서에 제공하기 위한 반사부가 설치된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6. 삭제
KR1020130114464A 2013-09-26 2013-09-26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KR101531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64A KR101531594B1 (ko) 2013-09-26 2013-09-26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464A KR101531594B1 (ko) 2013-09-26 2013-09-26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13A KR20150034413A (ko) 2015-04-03
KR101531594B1 true KR101531594B1 (ko) 2015-06-25

Family

ID=53031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464A KR101531594B1 (ko) 2013-09-26 2013-09-26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733B1 (ko) * 2017-10-19 2019-03-27 조재강 제트스키 추진력을 이용한 위그선 이륙 보조추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47B1 (ko) * 2010-11-17 2012-10-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147B1 (ko) * 2010-11-17 2012-10-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413A (ko) 2015-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6938B2 (en) Light combined with a cable
US9745961B2 (en) Offshore wind farm illumination
US8931940B2 (en) Vehicle lamp module
KR101195147B1 (ko) 헬리데크
KR101531594B1 (ko)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KR102384816B1 (ko) 자이로센서를 적용한 야간착함유도시스템
CN105180055A (zh) 旋转式照明和/或信号指示模块
KR20200077906A (ko)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 램프유닛과 이를 이용한 헬리콥터 야간 착륙 유도장치
KR200446856Y1 (ko) 교통신호 시스템
US20150369439A1 (en) Rotary lighting and/or signaling module
KR101443435B1 (ko) 해상용 부표에 탑재되는 무선 신호 송출 기능을 갖춘 복합 등명기
KR102098907B1 (ko) 듀얼 램프 장치
KR20160113757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619305B1 (ko) 헬리데크용 광 반도체 조명장치
KR20150028633A (ko) 다각 광원을 갖는 매립형 헬리데크 조명장치
KR20130063861A (ko) 선박의 현등
KR101891166B1 (ko) 등명기용 전구교환 장치
KR20160047774A (ko) 헬리데크용 조명장치
KR102556076B1 (ko) 헬리콥터 착함 지원 시스템
KR101589130B1 (ko) 확장 플랫폼을 구비한 헬리데크
KR102338760B1 (ko) 태양광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등명기
KR100809518B1 (ko) 항만용 도등장치
KR101651631B1 (ko) 등명기 회전보조장치
KR101532750B1 (ko) 교행 차량용 접촉 한계지점 표지장치
US20210372586A1 (en) Lighting device, vehicle, and method of casting 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