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82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82B1
KR101529882B1 KR1020130079670A KR20130079670A KR101529882B1 KR 101529882 B1 KR101529882 B1 KR 101529882B1 KR 1020130079670 A KR1020130079670 A KR 1020130079670A KR 20130079670 A KR20130079670 A KR 20130079670A KR 101529882 B1 KR101529882 B1 KR 101529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body case
emitting unit
le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202A (ko
Inventor
박기주
유원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30079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8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21V21/0965Magnetic devi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4Pend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이나 고리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천장이나 벽면에 탈부착함으로써 이동이 편리하고 실내 조명과 후레쉬로 사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저장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내장하고 일측에 상기 발광부가 탑재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구비되는 내부 캡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캡을 감싸고 상기 내부 캡의 관통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을 갖는 외부 캡과, 상기 외부 캡에 구성된 관통홀과 일정한 간격을 갖고 상기 외부 캡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볼트 체결홀과, 상기 볼트 체결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볼트와, 상기 본체 케이스 일측에 탑재된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illumination lamp}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간편하고 탈부착이 용이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광고물 또는 간판 등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명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필라멘트 전구, 형광등, 네온사인 또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LED의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력소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LED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이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LED 소자는 p형과 n형의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가 개발되어 천연색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옥외용 대형 전광판이나, 교통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가전제품, 네온대체 간판, 의료장비, 경고 및 유도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LED 조명장치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약 10% 내지 15%정도의 낮은 전력소모와 50,000 시간 이상의 반영구적인 수명,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짐으로 인해 조명기구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상용 전원인 DC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고, 지진이나 정전 등으로 인한 전원 차단시 조명 기능을 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지진이나 정전과 같은 비상 상황을 대비하여 비상용 후레쉬를 따로 구비하여 보관해야하기 때문에 비상 상황시 후레쉬를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공개번호 10-2012-0047623(2012. 05. 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석이나 고리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천장이나 벽면에 탈부착함으로써 이동이 편리하고 실내 조명과 후레쉬로 사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저장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내장하고 일측에 상기 발광부가 탑재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구비되는 내부 캡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캡을 감싸고 상기 내부 캡의 관통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을 갖는 외부 캡과, 상기 외부 캡에 구성된 관통홀과 일정한 간격을 갖고 상기 외부 캡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볼트 체결홀과, 상기 볼트 체결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볼트와, 상기 본체 케이스 일측에 탑재된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자석이나 고리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천장이나 벽면에 탈부착함으로써 이동이 편리하고 실내 조명과 후레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의 외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에서 제 1, 제 2 발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 기판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에서 확산커버와 볼록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가 천장과 벽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의 외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LED 조명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에서 제 1, 제 2 발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 기판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 DC 전용 LED 조명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AC 전용 LED 조명장치의 경우에는 전원 공급부를 외부의 소켓에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10), 스위칭부(120), 충전부(130), 제 1, 제 2 발광부(140, 150), 본체 케이스(160), 내부 캡(170), 외부 캡(180), 확산커버(190), 충전 표시부(200), 볼트 체결홀(210) 및 고정 볼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인 아답터 형식의 잭이 삽입되어 DC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에너지 저장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는 태양광이나 수력과 같은 발전장치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컨버터(도시되지 않음)에서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은 상기 제 1 발광부(140)를 점등시킴과 더불어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이 수행되는데,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이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충전부(130)에 동시 공급되어 점등과 충전을 진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이 상기 제 1 발광부(140)만을 점등시키고, 상기 제 1 발광부(140)가 점등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부(130)에 공급되어 충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DC 전원 잭으로서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내부 캡(170) 및 외부 캡(180)에 형성된 관통홀(171, 182)과 대응되게 구성되어 DC 잭이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DC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의 ON 또는 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즉, 평상시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통해 상기 제 1 발광부(140)를 ON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OFF한다.
반대로 야간 외출시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OFF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만을 ON하여 사용한다.
한편, 야간 외출시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 1 발광부(140)만을 ON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발광부(140)의 밝기가 상기 제 2 발광부(150)보다 떨어지고 직진성이 나빠 제 2 발광부(15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제 2 발광부(150)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100)는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된 철판(도 6a 및 도 6b의 230)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용도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다. 즉, 사용자가 공부를 하기 위해 스탠드 역할을 하도록 벽면에 부착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천장에 부착하여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야간 외출시에는 탈착하여 후레쉬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는 실내 조명 또는 후레쉬로 사용할 때 정전과 같은 비상시 상기 충전부(130)를 통해 상기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3 단계로 이루어지면서 아래의 기능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OFF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ON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OFF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OFF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ON하는 제 3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면에 구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총 3단계로 동작 즉, 중간 부분에 위치할 경우에는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모두 OFF 상태가 되고, 위로 올렸을 경우에는 제 2 발광부(150)가 ON되고, 아래로 내렸을 경우에는 제 1 발광부(140)가 ON된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1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실내 조명에 사용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야간 외출시 후레쉬 조명으로 사용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동시에 발광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구성하는 LED 소자에 의해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개별적으로 ON/OFF하여 구동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의 방열 능력이 우수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를 동시에 ON시키어 밝은 조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가 동시에 ON되지 않고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가 선택적으로 ON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제 2 발광부(150)를 동시에 ON시킬 경우에는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의 소비가 크고 발광시 발생된 발열 온도에 의해 LED 소자들의 수명을 단출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에 DC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 1 발광부(140)에 공급하여 발광한다.
한편, 상기 LED 조명장치(100)는 DC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5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제 1 발광부(140)에 공급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이때 5초의 시간은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지진과 같은 비상 상황시 같은 전력 공급이 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부(130)에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제 1 발광부(140)에 공급하여 실내 조명을 실시함과 더불어 천장이나 벽면에서 분리하여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와 연결되어 DC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공급되는 DC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역할을 하며, 비상 또는 야간 외출 시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 15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전부(130)는 과충전 및 과방전의 발생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에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DC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에 공급하여 발광하도록 한다.
상기 충전부(130)는 리튬 이온전지를 이용하며, 상기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12V의 전압과 2000mA의 전류를 공급받으며, 충전이 완료되는 시간은 약 3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시간은 약 6시간이다.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DC 전원 또는 상기 충전부(130)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실내 조명에 사용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상기 충전부(130)로부터 충전된 전원을 공급받아 야간 외출시 휴대용 후레쉬 구동에 따라 점등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LED 소자가 원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상기 제 1 발광부(140)를 구성하는 LED 소자들의 중심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발광부(150)는 구성하는 LED 소자는 상기 제 1 발광부(140)를 구성하는 LED 소자의 밝기보다 밝은 LED 소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발광부(140)를 구성하는 LED 소자는 약 0.4W를 사용하고 있지만, 상기 제 2 발광부(150)를 구성하는 LED 소자는 3W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발광부(140)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LED 소자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구성되는 제 1 발광부(140)의 LED 소자들 사이에 다수의 LED 소자로 이루어진 제 2 발광부(15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는 상기 충전부(130)를 내장하고 상기 제 1, 제 2 발광부(140,150)를 탑재하고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표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의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가 발광할 때 발생된 열을 보다 원활하게 자연 냉각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 케이스(160)를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성하고 표면을 요철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냉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캡(170)은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충전부(130)의 일단과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충전부(130)의 일단은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으로 돌출되면서 그 표면에 일방향으로 표면에 스크류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크류와 내부 캡(170)이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내부 캡(170)이 스크류 체결되도록 일방향으로 스크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에 삽입되어 내장되면서 상기 스크류가 형성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에 상기 내부 캡(170)을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 충전부(13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타측에서 내부로 상기 충전부(130)를 삽입했을 때 상기 충전부(130)의 좁은 폭을 지닌 부분만 돌출되고 나머지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내부에 걸려서 안착된다.
한편, 상기 내부 캡(170)이 결합되는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에 소정깊이로 삽입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131)에 상기 전원 공급부(110)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캡(170)이 상기 충전부(13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외부 캡(180)은 상기 본체 케이스(160)와 분리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원 공급부(110)가 상기 충전부(130)에 결합했을 때 상기 내부 캡(170)을 덮어 야간 외출시 사용자의 손에 잡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외부 캡(180)은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를 천장이나 벽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야간 외출시 후레쉬로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할 때 상기 내부 캡(170)을 감싸기 위해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단에 슬라이딩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슬라이딩홈(161)과 단턱(162)이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61)을 따라 상기 외부 캡(180)의 내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부(181)가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단턱(162)까지 밀어서 체결된다.
상기 외부 캡(180)의 배면에는 상기 전원 연결부(110)의 관통홀(111)과 대응되게 관통홀(182)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182)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볼트 체결홀(210)이 상기 내부 캡(170)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산커버(190)는 상기 본체 케이스(160) 타단에 탑재된 제 1 발광부(140)가 발광했을 때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여 실내 조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확산커버(190)는 투명 재질 또는 불투명 재질의 이루어지는데,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발광부(140)의 발광시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케이스(16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확산커버(190)는 빛의 확산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확산커버(190)는 불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소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발광부(140)의 발광시 다양한 색상을 발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확산커버(190)의 중앙 부분에 렌즈 형태를 갖는 볼록부(191)를 구성하여 상기 제 2 발광부(150)가 발광했을 때 발광된 빛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야간 외출시 보다 먼 거리까지 비추게 한다.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면에는 상기 충전부(130)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충전 표시부(2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 표시부(200)는 상기 스위칭부(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부(120)가 충전하고 있을 때는 적색등이 표시되고 충전이 완료되면 녹색등이 들어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캡(180)의 볼트 체결홀(2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 볼트(220)가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 볼트(220)는 자석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철판(23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 볼트(220)를 상기 볼트 체결홀(210)에 체결한 상태에서 LED 조명장치(100)를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걸어지도록 손목 걸이를 장착하거나 실내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천장에 매달 경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고리(240)가 탈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를 평상시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된 철판(230)에 고정 볼트(220)를 통해 부착하여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를 통해 DC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발광부(140)만을 ON시켜 사용하고,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는 상기 충전부(130)에 저장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야간 외출시 후레쉬로 사용할 경우에 천장이나 벽면으로부터 LED 조명장치(100)를 분리하여 상기 본체 케이스(160)에 외부 캡(180)을 덮어서 상기 제 2 발광부(150)만을 ON시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확산커버(19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볼록부(191)를 통해 제 2 발광부(150)에서 발광된 빛에 직진성을 부여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볼록부(191)는 부가적인 수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 1 발광부(140) 또는 제 2 발광부(150)를 선택적으로 ON 또는 OFF할 뿐만 아니라 광터보 기능을 부여하여 상기 제 1 발광부(140)와 제 2 발광부(150)를 동시에 ON시켜 밝게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볼트(220)는 상기 전원 공급부(110)가 상기 충전부(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110)까지 연장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 볼트(220)는 볼트 형태로 제작되어 헤드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넓게 제작되어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된 철판(230)과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LED 조명장치(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충전부(130)를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에서 삽입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 케이스(160)의 타측에서 상기 충전부(130)를 삽입하여 상기 내부 캡(170)과 결합되는 부분을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충전부(130)를 본체 케이스(160)의 타측에서 삽입할 경우에는 본체 케이스(160)의 일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캡(170)과 결합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단턱 구조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에서 확산커버와 볼록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확산커버(190)의 중심 부분이 볼록한 볼록부(191)를 형성함으로써 제 2 발광부(150)에서 발광된 빛에 직진성을 부여하여 보다 멀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가 천장과 벽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100)가 도 6a에서와 같이, 천장의 일정영역에 구성된 철판(230)에 부착되어 있거나, 도 6b에서 같이 벽면의 철판(230)에 부착되어 실내 조명에 사용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전원 공급부 120 : 스위칭부
130 : 충전부 140 : 제 1 발광부
150 : 제 2 발광부 160 : 본체 케이스
170 : 내부 캡 180 : 외부 캡
190 : 확산커버 200 : 충전 표시부
210 : 볼트 체결홀 220 : 고정 볼트
230 : 철판 240 : 연결 고리

Claims (8)

  1.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 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저장하는 충전부와,
    상기 충전부를 내장하고 일측에 상기 발광부가 탑재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에 삽입된 상기 충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와 대응되게 관통홀이 구비되는 내부 캡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타측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캡을 감싸고 상기 내부 캡의 관통홀과 대응되게 관통홀을 갖는 외부 캡과,
    상기 외부 캡에 구성된 관통홀과 일정한 간격을 갖고 상기 외부 캡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볼트 체결홀과,
    상기 볼트 체결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석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 볼트와,
    상기 본체 케이스 일측에 탑재된 발광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발광된 빛을 확산시키어 외부로 방출하는 확산커버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광부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확산커버의 중앙 부분에 볼록한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발광부의 발광시 빛에 직진성을 부여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충전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서로 밝기가 다른 다수의 LED로 이루어진 제 1 발광부와 제 2 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 1, 제 2 발광부를 OFF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는 ON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OFF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제 1 발광부는 OFF하고 상기 제 2 발광부는 ON하는 제 3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캡은 상기 충전부의 일단에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는 천장이나 벽면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는 철판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측면에 구성되어 상기 충전부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에 탈부착이 가능한 손목 걸이 또는 걸이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8. 삭제
KR1020130079670A 2013-07-08 2013-07-08 Led 조명장치 KR101529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670A KR101529882B1 (ko) 2013-07-08 2013-07-08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670A KR101529882B1 (ko) 2013-07-08 2013-07-08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02A KR20150006202A (ko) 2015-01-16
KR101529882B1 true KR101529882B1 (ko) 2015-06-18

Family

ID=5256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670A KR101529882B1 (ko) 2013-07-08 2013-07-08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28B1 (ko) * 2015-02-25 2017-01-0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비상 점멸이 가능한 휴대형 led 랜턴
KR101586611B1 (ko) * 2015-07-23 2016-01-21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조명 모듈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527B2 (ja) * 1995-03-30 2001-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6709Y1 (ko) * 2005-11-04 2006-01-24 최규연 휴대용 손전등
KR20120002487U (ko) * 2010-09-30 2012-04-09 실리텍 일렉트로닉스(광저우) 코오., 엘티디. 휴대 전구 및 그것을 사용한 조명 설비
KR101193489B1 (ko) * 2012-03-13 2012-10-24 (주)이노시스 다각 방광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527B2 (ja) * 1995-03-30 2001-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406709Y1 (ko) * 2005-11-04 2006-01-24 최규연 휴대용 손전등
KR20120002487U (ko) * 2010-09-30 2012-04-09 실리텍 일렉트로닉스(광저우) 코오., 엘티디. 휴대 전구 및 그것을 사용한 조명 설비
KR101193489B1 (ko) * 2012-03-13 2012-10-24 (주)이노시스 다각 방광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202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3104B2 (en)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US20140099801A1 (en)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US10591810B2 (en) LED projection light has multiple functions
US20080170389A1 (en)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KR101691428B1 (ko) 비상 점멸이 가능한 휴대형 led 랜턴
KR100987460B1 (ko) 랜턴 겸용 전기스탠드
US9055642B2 (en) Multi-purpose rechargeable LED lighting device
KR101529882B1 (ko) Led 조명장치
KR101609749B1 (ko) 엘이디 랜턴
KR101493379B1 (ko) 램프 및 램프 거치 결합체
KR200432784Y1 (ko) Led램프를 겸비한 휴대용 제논 탐조등
KR101449618B1 (ko) Led 조명장치
KR101206469B1 (ko) Led 조명장치
KR101648166B1 (ko) Led 조명장치
KR101209025B1 (ko) Led 조명장치
US20100237789A1 (en) Light-emitting diode (led) lamp string device with battery box
KR200474169Y1 (ko) 직류 및 교류 전류 충전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엘이디 등
KR101069990B1 (ko) 조명장치
KR101801368B1 (ko) 자가 충전식 표지판
CN203940248U (zh) 一种便携式led灯
CN213810400U (zh) 一种多模式的太阳能灯串
KR20130039833A (ko) 선박용 led 조명장치
KR101548974B1 (ko) 정전 상황의 대비를 위한 손전등 겸용 조명등
CN2334042Y (zh) 高亮度发光装置
CN201232862Y (zh) 可携充电式发光二极管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