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662B1 -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662B1
KR101529662B1 KR1020120090688A KR20120090688A KR101529662B1 KR 101529662 B1 KR101529662 B1 KR 101529662B1 KR 1020120090688 A KR1020120090688 A KR 1020120090688A KR 20120090688 A KR20120090688 A KR 20120090688A KR 101529662 B1 KR101529662 B1 KR 101529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current
unit
power
pcb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4583A (ko
Inventor
정만구
윤석모
고기봉
허현욱
이현도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0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전원을 관리하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되는 콘센트와 조명기구의 제어가 가능하고, 콘센트가 대기전력 상태인지 또는 누설전류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여주고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는 주변에 구비된 콘센트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콘센트제어부; 주변에 구비된 조명기구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상기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대기전력감지부; 상기 콘센트를 통해 유출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대기전력감지부의 대기전력, 상기 누설전류감지부의 누설전류, 상기 입력부의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콘센트제어부와 조명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Control box to manage power}
본 발명은 실내 전원을 관리하는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구비되는 콘센트와 조명기구의 제어가 가능하고, 콘센트가 대기전력 상태인지 또는 누설전류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여주고 전기사고를 예방하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관한 것이다.
주택, 아파트, 학교, 빌딩 등의 실내에 공급되는 전원은 대부분이 실내의 조명기구와 실내에 구비된 콘센트에 연결되는 가전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조명기구는 실내의 벽에 설치된 조명 스위치를 통해 제어되고,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고, 일부 콘센트에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전원 스위치가 구비된다.
이처럼 실내 전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명기구와 콘센트의 전원 관리는 각각 별개로, 즉, 조명기구는 조명스위치를 통해서, 콘센트는 접속된 가전기기의 플러그를 직접 분리시키거나 전원스위치를 오프시켜서 하게 되는데,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0869047호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용 스위치"는 하나의 스위치 박스에 조명기구를 온오프시키는 조명 스위치와 콘센트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스위치를 두어, 스위치 박스에서 조명기구와 콘센트를 모두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등록특허 제0869047호 "다기능 재실관리 시스템용 스위치"는 단순하게 조명기구를 온오프시키고 콘센트를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이어서, 사용자가 콘센트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켜 놓지 않으면 콘세트에 연결된 가전기기를 통해 대기전력이 소모되고, 과부하가 걸리거나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도 이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등의 전원 관리 기능이 특별히 없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실내 전원관리용 컨트롤 박스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실내 전원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조명기구와 콘센트를 온오프시킬 뿐만 아니라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감지하여 차단하고,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차단하고, 조명기구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 가능하고, 전력량계로부터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때에 이를 알리고,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어두운 야간에 컨트롤 박스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시LED는 주변에 사람이 존재하는 때에만 점등되도록 하여 전력 소비를 예방하고 사용자의 취침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는
주변에 구비된 콘센트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콘센트제어부;
주변에 구비된 조명기구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상기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대기전력감지부;
상기 콘센트를 통해 유출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대기전력감지부의 대기전력, 상기 누설전류감지부의 누설전류, 상기 입력부의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콘센트제어부와 조명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전력량계와 무선통신하여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LED;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LED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 이상 인체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상기 표시LED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누설전류감지부가 감지한 누설전류에서 저항성 누설전류를 분리 추출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상기 조명기구의 조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는 컨트롤 박스에서 실내에 구비된 조명기구와 콘센트의 온오프를 제어함과 더불어 콘센트에 미사용중의 가전기기가 연결되어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소모되고 있거나 누설전류가 발생한 때에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하고 전기사고를 예방하며, 컨트롤 박스를 통해 조명기구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전력량계로부터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계약전력을 초과하여 사용한 때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의를 촉구하고, 작동상태를 표시하며 어두운 때에 컨트롤 박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표시LED는 주변에 사용자가 있는 때에만 점등이 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를 절감함과 동시에 야간 취침시에 표시LED의 불빛으로 민감한 사용자의 취침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비되어 실내 전원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의 블럭 구성도.
도 2 a,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넥터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B)는 콘센트제어부(10, 10A), 조명제어부(20, 20A), 대기전력감지부(30), 누설전류감지부(40), 입력부(50), 출력부(60), 무선통신모듈(70), 인체감지센서(80), 마이컴(U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센트제어부(10, 10A)는 실내에 구비되는 각 콘센트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콘센트에 연결되고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어 전원라인을 오픈 또는 쇼트시켜 콘센트에 상용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눌러 조작하는 콘센트 전원스위치(SW-C1, SW-C2)와,
콘센트에 연결된 전원라인에 구비되고, 대기전력 상태, 누설전류 발생, 과부하 상태 등의 문제가 발생시에 상기 마이컴(U1)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어 콘센트에 상용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차단스위치(RY1, RY2)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스위치(RY1, RY2)로는 릴레이, 트랜지스터, 싸이리스터, 트라이악 등의 전자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부(20, 20A)는 실내에 구비되는 각 조명기구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조명기구에 연결되고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에 구비되어 전원라인을 오픈 또는 쇼트시켜 조명기구에 상용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눌러 조작하는 조명 전원스위치(SW-L1, SW-L2)와,
조명기구에 연결된 전원라인에 구비되고, 상기 마이컴(U1)의 제어에 의해 조명기구에 공급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조명기구의 밝기를 조절하는 디밍부(21, 2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밍부(21, 21A)는 조명기구로 공급하는 전류를 차단하여 조명기구를 소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대기전력감지부(30, 30A)은 콘센트를 통해 소비되는 전력 부하를 계측하여 상기 마이컴(U1)으로 전송함으로써, 마이컴(U1)이 대기전력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차단스위치(RY1, RY2)가 오픈되도록 하여 콘센트를 통해 전원이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대기전력감지부(30, 30A)로는 변류기(CT)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이컴(U1)은 상기 대기전력감지부(30, 30A)가 계측한 소비 전력(즉, 콘센트를 통해 전기, 전자 제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과부하인 경우에는 부저(65)를 통해 경보음을 울리거나 표시LED(63)를 통해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전기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고, 계측한 소비 전력의 크기가 적어 대기전력으로 판단(즉,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 전자 제품들이 전원 오프 상태로 작동하지 않아 대기전력만이 소비되는 경우)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스위치(RY1, RY2)를 구동시켜 전원라인을 오픈시킴으로써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누설전류감지부(40, 40A)는 과도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때에 콘센트를 통한 전원의 출력을 차단하여 보호한다.
상기 누설전류감지부(40, 40A)는 영상변류기((41, 41A;ZCT), 전압검출부(42, 42A), 동기신호발생부(43, 43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변류기((41, 41A;ZCT)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상용전원을 콘센트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전원라인에 설치되고, 전원라인에서 전류의 입력과 출력의 차이로 누설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영상변류기((41, 41A;ZCT)에서 검출된 누설전류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후에 상기 마이컴(U1)으로 전송된다.
상기 전압검출부(42, 42A)는 전원라인으로 입력되는 외부 상용전원의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한 전압을 동기신호발생부(43, 43A)로 입력한다.
상기 동기신호발생부(43, 43A)는 상기 전압검출부(42, 42A)가 검출한 전압, 즉, 상용전원으로서 교류전원의 위상이 반전되는 시점을 동기시점으로 하는 클럭형태의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마이컴(U1)으로 전송한다. 즉, 전원 전압의 극성이 정(+)일때 하이(또는 로우)가 되고 부(-)일때 로우(또는 하이)가 되는 클럭형태의 동기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마이컴(U1)은 상기 영상변류기((41, 41A;ZCT)가 감지하고 증폭한 누설전류(Ig)에서 상기 전압검출부부(42, 42A)가 검출하고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부(43, 43A)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gr)를 분리 추출한다.
누설전류(Ig)에서 저항성 누설전류(Igr)는 전원 전압과 동상이고, 용량성 누설전류(Igc)는 전원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선다.
그리고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부(43, 43A)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클럭형태의 동기신호는 전원 전압의 위상에 따라 로우와 하이의 값을 갖는다.
전원 전압의 극성이 정(+)인 구간, 즉, 동기신호가 로우 또는 하이인 구간에서 누설전류(Ig)를 적분한 값이 P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P = 2·2^(1/2)·Ig·cosθ ; 여기서, θ는 전원 전압과 누설전류(Ig)의 위상각이다.
그런데, Igr = Ig·cosθ 이므로, Igr은 P에 비례한다.
또한, 전원 전압의 극성이 부(-)인 구간, 즉, 동기신호가 하이 또는 로우인 구간에서 누설전류(Ig)를 적분한 값이 Q라고 하면 다음과 같다.
Q = -2·2^(1/2)·Ig·cosθ
이 경우도 Igr = Ig·cosθ 이므로, Igr은 Q의 절대값에 비례한다.
따라서 이상의 연산 과정을 보면 누설전류(Ig)를 전원 전압의 반주기 동안 를 적분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gr)를 검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마이컴(U1)은 상기 동기신호발생부부(43, 43A)가 전송하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변류기(ZCT)가 검출하여 전송하는 누설전류(Ig)를 반파 적분하여 저항성 누설전류(Igr)를 분리 추출하여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U1)은 분리 추출된 저항성 누설전류(Igr)의 크기가 기준치(예; 5mA)를 넘어서면, 상기 출력부(60)로서 표시LED(63) 또는/및 부저(65)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표시LED(63)는 점멸 또는 특정 색상으로 점등하고, 상기 부저(65)는 경고음을 내어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차단스위치(RY1, RY2)는 상기 마이컴(U1)이 분리 추출한 저항성 누설전류(Igr)가 기준치를 벗어나는 때에, 상기 마이컴(U1)의 제어에 의해 전원라인을 오픈시켜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콘센트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입력부(5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마이컴(U1)으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상기 입력부(50)는 터치 방식으로 명령신호를 입력받으며, 명령신호로는 컨트롤 박스(B)를 상시모드 또는 절전모드로 운영하도록 하는 모드선택(51)과, 컨트롤 박스(B)에 연결된 부하(즉, 조명기구와 콘센트)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부하온오프(53)와, 대기전력, 누설전류, 과부하 등의 이유로 차단스위치(RY1, RY2)가 오픈된 때에 이를 복귀시키는 전원복귀(55) 등이 있다.
그리고 입력부로서 터치 방식이 아닌 누름식으로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리셋스위치(50A)가 있다.
상기 출력부(60)는 사용자에게 시각과 청각으로 각종 상황 정보를 알려주는 것으로서,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시각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61)와, 컬러 또는 점멸로 정상 작동 여부를 알려주는 표시LED(63)와, 소리를 통해 경보음이나 안내멘트를 출력하는 부저(65)가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70)은 컨트롤 박스(B)가 설치된 해당 실내에서 소비되는 전체 전력량을 적산하는 전력량계와 무선통신하여 전력량계로부터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U1)으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U1)은 상기 무선통신모듈(70)을 통해 전송된 소비 전력량이 한국전력공사와 계약한 계약전력량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전력량을 초과하는 때에 상기 디스플레이부(61)에 이에 대한 정보(예; 'eco' 표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전원관리에 보다 주의를 갖도록 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80)는 사용자가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마이컴(U1)으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인체감지센서(80)로는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로 감지하는 IR 센서나, 발광되는 빛의 차단 여부로 감지하는 광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 U1)은 상기 표시LED(63)로 문제 발생 상황(누설전류, 과부하 등)을 알리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기 인체감지센서(80)가 사용자가 주변에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때에는 상기 표시LED(63)를 소등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예방하고, 야간에 취침시에 민감한 사용자가 상기 표시LED(63)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취침을 방해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마이컴(U1)은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B)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입력부(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대기전력감지부(20), 누설전류감지부(40)가 감지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고, 분석결과 대기전력 상태에 있거나 누설전류가 있는 때에는 상기 차단스위치(RY1, RY2)를 오픈시키고, 상기 무선통신모듈(70)로부터 수신되는 소비전력량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1)에 이를 알리는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등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U1)에는 컨트롤 박스(B)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 운영 중에 발생되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1)가 연결되고, 전원라인의 상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서플라이(3)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 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컨트롤 박스(B)는 박스 형태의 하우징(미도시)과, 하우징의 전면에 구비되는 입력부(50)와 출력부(60), 그리고 하우징에 내장되는 마이컴(U1), 콘센트제어부(10), 조명제어부(20), 대기전력감지부(30), 누설전류감지부(40), 무선통신모듈(70) 등으로 구성되는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은 PCB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소자로 이루어진다.
이때, PCB하나에 각종 구성요소들(U1, 10, 20, 30, 40, 70 등)을 함께 실장하게되면, 넓은 면적의 PCB가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의 부피가 커지고, 구성요소들간에 신호 간섭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하우징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구성요소 간의 간섭의 문제가 없도록 PCB를 다수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PCB 어셈블리(90)를 사용할 필요가 잇다.
도2는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9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90)는 단면 PCB(single-side PCB)와 양면 PCB (double-side PCB)를 끼움결합하고 솔더링 연결하여 피씨비 제품의 고밀도 집적화와 소형화에 일조하면서도 제조단가는 절감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여 두 피씨비를 솔더링 하는 경우 플럭스에 대한 피씨비의 이송운동을 고려하여 사선형 접속부의 형상을 도입한 피씨비 어셈블리이다.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90)는 상호 결합된 후 솔더링 연결되는 제1피씨비(90A) 및 제2피씨비(90B)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제1피씨비(90A)는 단면 PCB(single-side PCB)이고, 제2피씨비(90B)는 양면 PCB (double-side PCB)이다.
상기 제1피씨비(90A)에는 각종 칩과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피씨비(90B)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피씨비(90B)는 상기 결합공(9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9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부(93)에는 제1피씨비와 제2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피씨비(90B)의 끼움부(93)는 두 결합돌기(93a,93b)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씨비(90A)의 결합공(91)도 이에 상응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는 필요에 따라 돌기의 수, 위치 및 크기의 일부 또는 모두를 달리하여 제품 종류별 코드화 기능을 하여 조립 편리성, 생산성, 제고관리 편리성 등의 제고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제2피씨비(90B)의 접속부(95)는 부식된 동박판 등으로 제조되거나, 공지의 무연(無鉛)(또는 유연(有鉛)) 페이스트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2b의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개의 접속부(95)는 본체(95A) 하부에 사선부(95a)를 가지며, 특히 이 사선부(95a)는 대략 사각형의 본체(95A)를 벗어난 영역으로 이어져 형성된 꼬리부(95b)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는 대량 생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하여 제1피씨비(90A)와 제2피씨비(90B)의 전기적 연결시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상호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피씨비(90A)(90B)에서, 일정 두께를 갖고 제1피씨비(90A)의 하면으로 돌출된 제2피씨비(90B)의 끼움부(93), 특히 결합돌기(93a,93b) 부분(93p)(도2a [B] 하부 일점쇄선 원 내 참조)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95) 하단부가
[제1 및 제2 피씨비(90A)(90B) 조립체]를 이송하는 상황에서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제1피씨비(90A)의 결합공(91)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연결단부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로 제1피씨비(90A)의 결합공(91)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의 연결단부와
접속부(95) 하단부의 꼬리부(95b)를 따라 형성된 사선부(95a)는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형성된 갈매기 날개 형상의 땜부(97)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피씨비(90B) 접속부(95)의 사선부(95a)는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피씨비(90A)(90B) 조립체]의 솔더링 플럭스에 대한 이송상황 및 이송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또 상기 꼬리부(95b)는 접속부(95)에 사선부(95a)를 형성하는 경우
회로패턴을 구성하는 배선과 배선의 간격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집적도를 높이게 되는 회로부의 현실을 고려하여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부위(즉,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95)의 사선부(95a)) 중
접속부(95)의 사선부(95a) 폭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땜부(97)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95)의 사선부(95a)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아울러 도2b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변형예를 도시하여 비교한 바와 같이,
상기 꼬리부(95b)에 의하여 꼬리부 없이 동일한 구간 길이를 갖는 사선부를 형성한 접속부(95D)에 비하여,
본 고안의 꼬리부(95b)를 갖는 접속부(95)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에 소요되는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3은 피씨비 상호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케이블체(101)가 결합되는 컨넥터(1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컨넥터(100)는 통신케이블체(1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탈이 간편하게 행해지고, 통신케이블체(101)의 접속을 견고히 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컨넥터(100)는 통신케이블체(101)의 바디(103)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접속을 위한 접속핀(113)들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홈(111)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101) 바디(103)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130)를 포함한다.
상기 컨넥터(100) 몸체(110)의 양측에는 각각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114)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판(114)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판(114)의 상기 걸림홈(115)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홀(116)이 형성되고,
상기 두 탄성판(114) 사이의 바닥 내측과 외측에는 막힘부(117, 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걸림구(130)는
상기 두 탄성판(114)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상기 삽입부(131)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6)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136)와,
상기 삽입부(131)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15)에 배치되어, 걸림홈(115)의 내측벽(115a)과 외측벽(115b)에 걸려 걸림구(130)가 비의도적으로 내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예방하면서 사용자가 젖히는 외력에는 어렵지 않게 젖혀지도록 하는 걸림돌기(135)와,
상기 삽입부(131)의 하단 외측과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힘부(117, 118)에 걸려 걸림구(130)가 내외측으로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외측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137, 138)와,
상기 삽입부(131)의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101)의 바디(103) 상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35)는 원형 모양을 하는데, 그 직경은 상기 걸림홈(115)의 폭에 근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걸림구(130)가 외측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135)는 상기 탄성판(11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측으로 젖힌 걸림구(130)를 내측으로 젖힐 때 걸림돌기(135)가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B : 컨트롤 박스 10 : 콘센트제어부
20 : 조명제어부 30 : 대기전력감지부
40 : 누설전류감지부 50 : 입력부
60 : 출력부 70 : 무선통신모듈
80 : 인체감지센서 90 : 피씨비 어셈블리
100 : 컨넥터

Claims (4)

  1. 주변에 구비된 콘센트에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콘센트제어부;
    주변에 구비된 조명기구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상기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감지하는 대기전력감지부;
    상기 콘센트를 통해 유출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설전류감지부;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대기전력감지부의 대기전력, 상기 누설전류감지부의 누설전류, 상기 입력부의 명령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콘센트제어부와 조명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컴;
    상기 콘센트제어부, 조명제어부, 대기전력감지부, 누설전류감지부 및 마이컴을 구성하는 전자소자들이 실장되는 피씨비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피씨비와,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2피씨비와,
    상기 끼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피씨비와 상기 제2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본체와, 본체를 벗어난 영역으로 이어져 형성된 꼬리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꼬리부를 잇는 사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사선부와 솔더링 결합되며, 결합공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는 피씨비 상호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케이블체가 결합되는 컨넥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넥터는
    상기 통신케이블체의 바디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접속을 위한 접속핀들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홈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 바디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와,
    상기 몸체 양측에 각각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과,
    상기 두 탄성판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두 탄성판의 상기 걸림홈에 형성된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두 탄성판 사이의 바닥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막힘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두 탄성판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배치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 외측과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제한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의 바디 상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연결되고, 사용 상태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
    전력량계와 무선통신하여 소비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LED;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표시LED를 점등시키고, 일정시간 이상 인체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상기 표시LED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4. 삭제
KR1020120090688A 2012-08-20 2012-08-20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KR101529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688A KR101529662B1 (ko) 2012-08-20 2012-08-20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688A KR101529662B1 (ko) 2012-08-20 2012-08-20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583A KR20140024583A (ko) 2014-03-03
KR101529662B1 true KR101529662B1 (ko) 2015-06-19

Family

ID=50640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688A KR101529662B1 (ko) 2012-08-20 2012-08-20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0882A (zh) * 2014-10-30 2015-01-28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照明控制装置、具有助眠模式的灯具及控制其的方法
KR101811499B1 (ko) 2015-12-15 2017-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및 조명기기의 제어방법
KR101728971B1 (ko) 2015-12-15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505B1 (ko) * 2010-03-26 2011-12-27 제천시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KR20120009280A (ko) * 2010-07-23 2012-02-01 (주)예네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KR20120004781U (ko) * 2010-12-23 2012-07-03 자원전자 주식회사 교차 결합구조를 갖는 피씨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505B1 (ko) * 2010-03-26 2011-12-27 제천시 전력 제어가 가능한 콘센트 장치
KR20120009280A (ko) * 2010-07-23 2012-02-01 (주)예네 지능형절전 전원공급장치
KR20120004781U (ko) * 2010-12-23 2012-07-03 자원전자 주식회사 교차 결합구조를 갖는 피씨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583A (ko) 2014-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712B2 (en) IoT communications bridging power switch
KR101718416B1 (ko) 전기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장치
US20130069617A1 (en) Power adapter
US20100182262A1 (en)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TWM384345U (en) Electrical power management device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CN107919586B (zh) 具有智能开关的电源线
KR101529662B1 (ko) 실내 전원 관리를 위한 컨트롤 박스
JP3168207U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テーブルタップ装置
JP4295563B2 (ja) 電流表示装置
KR101265484B1 (ko) 탈착형 led 조명 기구
KR20210038231A (ko) 수직형 멀티 콘센트
CN108919689B (zh) 一种开关
TWM543485U (zh) 崁壁式智能插座
WO2018157360A1 (zh) 一种具有无线控制功能的插座
CN213816649U (zh) 电源排插
US11600958B2 (en) Sensing component and intelligent socket
CN211017632U (zh) 一种漏电保护插头的过热保护装置
KR20140012234A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CN201274598Y (zh) 应急灯适配器
CN105375212A (zh) 一种能自动断电的插座
TW201608782A (zh) 具開關功能延伸電源插座以及對應之耗能監測方法
CN217306889U (zh) 具有警示功能的智能插座
CN216121092U (zh) 电源延长线装置
CN216121066U (zh) 电源延长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2

Effective date: 2015011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50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812

Effective date: 2015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