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661B1 -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 Google Patents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661B1
KR101529661B1 KR1020150011473A KR20150011473A KR101529661B1 KR 101529661 B1 KR101529661 B1 KR 101529661B1 KR 1020150011473 A KR1020150011473 A KR 1020150011473A KR 20150011473 A KR20150011473 A KR 20150011473A KR 101529661 B1 KR101529661 B1 KR 10152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splay
hooking
connec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관
Original Assignee
권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관 filed Critical 권영관
Priority to KR102015001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57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disklik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064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rockery, e.g. plates, glass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톰슨 가공이나 기타 프레스가공 등의 방식으로 합성수지, 지류, 금속, 기타 소재의 패널을 완전절개 또는 부분절개하여 제조되며, 대형판매점이나 편의점, 기타 매장에서 컵라면이나 기타 진열대상체를 협소한 공간에 컴팩트하게 진열하면서도 복수의 걸이부가 중첩 배열되면서도 진열대상체는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는 제1절개부를 갖는 제1패널과, 제1패널과 제1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1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걸이부를 갖는 전면 제1진열체; 및 제2절개부를 갖고 제1패널과 중첩 배열된 제2패널과, 제2패널과 제2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2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2걸이부를 갖는 후면 제2진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COMPACT DISPLAY STAND}
본 발명은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톰슨 가공이나 기타 프레스가공 등의 방식으로 합성수지, 지류, 금속, 기타 소재의 패널을 완전절개 또는 부분절개하여 제조되며, 대형판매점이나 편의점, 기타 매장에서 컵라면이나 기타 진열대상체를 협소한 공간에 컴팩트하게 진열하면서도 복수의 걸이부가 중첩 배열되면서도 진열대상체는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10562호(등록일자 2006년03월02일) [경사진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와 같은 다양한 톰슨(Tomson) 가공법에 기초한 진열구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등록고안은 외부에서 상품 관찰이 가능한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포켓이 경사진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포켓 각각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엇갈린 형태로 트여 있는 개구부를 가져 결국 자동화된 상품 정리가 가능하고, 진열 상품이 소비자의 눈에 쉽고 확실하게 띄도록 하고, 상품을 포켓에 투입하고 꺼내는 것이 쉽도록 하면서도 보다 컴팩트한 상품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10563호(등록일자 2006년03월02일) [접이식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등록고안은 기판에 다단 절개선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과 교차하도록 적절하게 복수의 접이선을 형성하며, 각 절개선 쌍 마다 이탈방지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절개선과 상기 접이선을 기점으로 포켓이 형성될 수 있어 신상품이나 집중 판촉 상품과 같은 진열 상품이 소비자의 눈에 쉽고 확실하게 띄도록 매장의 특정 위치에 간이로 배치할 수 있고, 보다 컴팩트한 상품진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이 상품 진열대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48061호(등록일자 2010년03월05일) [간이 진열구]를 통하여,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이고 전면부가 앞으로 기울어진 다단 포켓이 구비되어 있어 상품을 포켓에 투입하고 빼내는 것이 용이하며 마트의 진열대 기둥과 같이 사용되지 않는 공간에 비치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틈새 상품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공간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간이 진열구를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이들 본 발명자의 진열구와는 궤를 달리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의 디자인 등록 제30-0703675호(등록일자 2013년07월26일) [상품 진열구]를 개선한 것에 해당하며,
진열면적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면서도 비치공간은 동급인 개량품에 해당한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디자인 등록 제30-0703675호(등록일자 2013년07월26일) [상품 진열구]를 개선하여 진열면적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면서도 비치공간은 동급이 되도록 중첩 배열된 제1 및 제2 진열체 각각에 걸이부를 도입한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는 중첩 배열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어 각 걸이부에 위치한 진열대상체는 거치, 분리, 진열시 전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패널은 제2걸이부의 펼침시 제2연결부가 투입되는 제1트임부를 형성하여 제2걸이부의 펼침 동작 및 펼침 상태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3걸이부를 갖는 제3진열체를 더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걸이부가 종 또는 횡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 진열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컴팩트 진열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는
제1절개부를 갖는 제1패널과, 제1패널과 제1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1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걸이부를 갖는 전면 제1진열체; 및
제2절개부를 갖고 제1패널과 중첩 배열된 제2패널과, 제2패널과 제2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2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2걸이부를 갖는 후면 제2진열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에서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는 중첩 배열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진열체의 제1패널은 제2걸이부의 펼침시 제2연결부가 투입되는 제1트임부를 갖고,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으며,
제3절개부를 갖고 제2패널의 후면에 중첩 배열된 제3패널과, 제3패널과 제3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3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3걸이부를 갖는 제3진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는 진열면적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면서도 비치공간은 동급이 되도록 중첩 배열된 제1 및 제2 진열체 각각에 걸이부를 도입하며, 또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는 중첩 배열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어 각 걸이부에 위치한 진열대상체는 거치, 분리, 진열시 전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 제1패널은 제2걸이부의 펼침시 제2연결부가 투입되는 제1트임부를 형성하여 제2걸이부의 펼침 동작 및 펼침 상태 유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아울러 제3걸이부를 갖는 제3진열체를 더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걸이부가 종 또는 횡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 진열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의 전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의 변형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A)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A)는 제1진열체(10), 제2진열체(2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진열체(30) 또는 그 이상의 진열체
(4개의 진열체 또는 5 이상의 진열체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4개 이상의 진열체 도입시 각 걸이부와 연결부의 배열 위치나 걸이부의 크기, 절개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중공의 크기 등을 변형하여 최종적으로 진열대상체의 거치, 분리, 진열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정할 수 있다.)
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진열구는 톰슨(Tomson) 가공이나 기타 프레스가공 등의 방식으로 합성수지, 지류, 금속, 기타 소재의 패널을 필요에 따라 완전절개 또는 부분절개하여 제조되는 것이 생산성 및 단가경쟁력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 구성요소(특히 각 걸이부)의 조립형모델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면 제1진열체(10)는 제1절개부(11A)를 갖는 제1패널(11)과, 제1패널과 제1연결부(13A)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1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걸이부(13)를 갖는다.
"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걸이부"는 걸이부가 연결부 외에 제1패널과 분리 상태임을 의미하며, 이는 제2 및 제3, 또는 그 이상의 진열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후면 제2진열체(20)는 제2절개부(21A)를 갖고 제1패널(11)과 중첩 배열된 제2패널(21)과, 제2패널과 제2연결부(23A)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2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2걸이부(23)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도 3 [A]의 전개도 및 [B]의 사용상태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변형 진열구(Am)는
제3진열체(30)를 더 도입하는 경우, 가장 후면에 배열되는 제3진열체는 제3절개부(31A)를 갖고 제2패널(21)의 후면에 중첩 배열된 제3패널(31)과, 제3패널과 제3연결부(33A)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3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3걸이부(33)를 갖는다.
제1 및 제2 패널(11,21)의 중첩상태 및 제1 및 제2 걸이부(13,23)의 펼침상태를 도시한 도 2 [A]와,
제1 및 제2 걸이부(13,23)에 진열대상체(D)(특히 컵라면)를 투입 및 거치한 도 2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걸이부(13) 및 제2걸이부(23)는 중첩 배열되고, 제1연결부(13A)와 제2연결부(23A)는 엇갈린 위치에 배열되어 있어 가급적 제1 및 제2 패널(11)(21)의 면적을 줄여 본 진열구(A) 비치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면서도, 진열대상체를 가능한 많이 거치하여 진열성능을 증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도 3에서 제3진열체(30)를 더 도입하는 경우에도 제3걸이부(33)는 제1 및 제2 걸이부(13,23)와 중첩되고 제3 연결부(33A)는 제1 및 제2 연결부(13A,23A)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된다.
또 제1 및 제2 걸이부(13,23)와 제3걸이부(33)는 상하 다단으로 배열되어 있어 보다 많은 진열대상체(D)의 거치 및 진열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진열대상체 구매시 걸이부에 다시 상품을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주기도 길어지게 되므로 인력 감소에도 도움이 된다.
더 나아가 제1 내지 제3 걸이부가 종 또는 횡, 또는 종 및 횡으로 다수 배열되어 있어 진열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제1진열체(10)의 제1패널(11)은 제2걸이부(23)의 펼침시 제2연결부(23A)가 투입되는 제1트임부(11B)를 상응하는 위치에 가져
제1접이선(13a)을 중심으로 제1걸이부(13)를 접어 펼친 후 제2접이선(23a)을 중심으로 제2걸이부(23)를 접어 펼친 경우 제1절개부(11A) 경계부에 의하여 펼침 동작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의도에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진열체(10,20)의 제1 및 제2 패널(11.21)은 제3걸이부(33)의 펼침시 제3연결부(33A)가 투입되는 제1보조트임부(11C) 및 제2트임부(21B)를 상응하는 위치에 가져
제1 및 제2 접이선(13a,23a)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걸이부(13,23)를 각각 접어 펼친 후 제3접이선(33a)을 중심으로 제3걸이부(33)를 접어 펼친 경우 제1 및 제2 절개부(11A,21A) 경계부에 의하여 펼침 동작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및 제2 진열체, 또는 제1 내지 제3 진열체(C)는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의 패널에 제1칼선(C1) 및 제2칼선(C2)을 형성하여 상호 연결된 상태로 접어 중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개 이상인 경우도 가능).
그러나 필요에 따라 각 진열체(4개 이상인 경우에도)는 낱개로 분리된 것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진열체(20) 뒤에는 별도의 백보드(B)가 도입되어 걸이부(13,23)를 펼친 경우 절개부(11A,21A)와 원형 걸이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 중공이 뚫린 것이 아니라 가려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백보드(B)에는 제조원, 기타 광고 문구, 도안, 캐릭터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백보드는 또 도 1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변형예의 백보드(Bm)와 같이, 제1진열체에서 분리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서 제1 및 제2 진열체(10,20)와 백보드(B)가 일체로 형성되고, 톰슨 가공 등에 의하여 형성된 칼선을 중심으로 뒤로 접는 경우,
도 1의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진열체(10,20)의 제1 및 제2 패널(11,21) 사이의 칼선(C1)이 단일한 하나의 부분 자름선으로 구성된 것에 비하여,
접어 중첩된 제1 및 제2 진열체(10,20)의 뒤에 위치하는 백보드(B) 접이 상황에 맞게
제1진열체(10)와 백보드(B) 사이의 칼선(C2)는 연결스트립(C2a)을 중간에 두고 두 부분 자름선으로 구성된 것이 접이 상태에서 백보드의 들뜸 방지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제1 내지 제3 진열체(10,20,30)와 백보드(B)(Bm)는 상호 연결된 경우나, 도시된 바와 달리 상호(모두 또는 일부) 분리된 경우에
해당 접면에 핫멜트, 접착제,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상호 접합하는 작업을 거칠 수 있다.
또 진열구(A)의 상부에는 상호 중첩되어 관통되는 거치공(H)이 구비되어 있어 밴드나 고리를 이용하여 벽체, 상품 진열대 등에 진열구를 걸여 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 내지 제3 진열체(10,20,30)와 백보드(B)(Bm)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거치공(H)에 끼워진 끈이나 고리는 각 구성요소를 결속하는 기능을 겸하며, 진열구 걸이를 위한 밴드 외에 제1 내지 제3 진열체(10,20,30)와 백보드(B)(Bm)의 결속을 위한 밴드 등이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 결속용 밴드, 끈, 철사의 투입을 위하여 각 패널 및 백보드 둘레의 다른 부위에도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걸이부(13,23,33)의 형상은 진열대상체(D)에 따라 타원형, 다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 상황에 맞게 절개부(11A,21A,31A)의 크기 및 형상 역시 걸이부와 무관하게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금형, 이형제, 발포폴리우레탄폼의 제원, 그리고 헤드레스트 각도조절형 어셈블리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진열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Am: 진열구 D: 진열대상체
10,20,30: 진열체 11,21,31: 패널
11A,21A,31A: 절개부 13,23,33: 걸이부
13A,23A,33A: 연결부 B,Bm: 백보드

Claims (4)

  1. 제1절개부를 갖는 제1패널과, 제1패널과 제1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1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걸이부를 갖는 전면 제1진열체; 및
    제2절개부를 갖고 제1패널과 중첩 배열된 제2패널과, 제2패널과 제2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2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2걸이부를 갖는 후면 제2진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진열체의 제1패널은 제2걸이부의 펼침시 제2연결부가 투입되는 제1트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진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는 중첩 배열되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는 엇갈린 위치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진열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3절개부를 갖고 제2패널의 후면에 중첩 배열된 제3패널과, 제3패널과 제3연결부를 통하여 이어지고 제3절개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3걸이부를 갖는 제3진열체를 더 포함하고,
    제3걸이부는 제1 및 제2 걸이부와 중첩되고 제3 연결부는 제1 및 제2 연결부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진열체의 제1 및 제2 패널은 제3걸이부의 펼침시 제3연결부가 투입되는 제1보조트임부 및 제2트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진열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걸이부는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진열구.
KR1020150011473A 2015-01-23 2015-01-23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KR10152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73A KR101529661B1 (ko) 2015-01-23 2015-01-23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73A KR101529661B1 (ko) 2015-01-23 2015-01-23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661B1 true KR101529661B1 (ko) 2015-06-19

Family

ID=5351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473A KR101529661B1 (ko) 2015-01-23 2015-01-23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96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545A (ja) * 2000-12-22 2002-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ンガーディスプレイ
KR200410562Y1 (ko) * 2005-12-01 2006-03-13 권영관 경사진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
KR200410563Y1 (ko) * 2005-12-01 2006-03-13 권영관 접이식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545A (ja) * 2000-12-22 2002-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ハンガーディスプレイ
KR200410562Y1 (ko) * 2005-12-01 2006-03-13 권영관 경사진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
KR200410563Y1 (ko) * 2005-12-01 2006-03-13 권영관 접이식 포켓을 구비한 간이 상품 진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6626S1 (en) Mobile phone
USD936625S1 (en) Mobile phone
USD976885S1 (en) Mobile phone
USD908688S1 (en) Stand
USD947172S1 (en) Notebook laptop computer
USD908352S1 (en) Card case
USD599582S1 (en) Perforated display rack
USD971172S1 (en) Display device
USD981977S1 (en) Mobile phone
US20170174406A1 (en) Product hang card for retail display
USD929859S1 (en) Commodity packaging
USD963600S1 (en) Mobile phone
KR101529661B1 (ko) 진열성능이 증진된 컴팩트 진열구
CN205525652U (zh) 产品容器
USD702064S1 (en) Stand for display
GB2436885A (en) Display apparatus with printed internal sides
USD967046S1 (en) Mobile phone
USD702508S1 (en) Food display stand
US20170150831A1 (en) Display card for articles of jewelry
EP3718916A1 (en) Packaging box
US20030164320A1 (en) Packaging
USD687649S1 (en) Product display rack
USD964305S1 (en) Mobile phone
USD964302S1 (en) Mobile phone
USD571207S1 (en) Display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