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881B1 -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881B1
KR101528881B1 KR1020140042296A KR20140042296A KR101528881B1 KR 101528881 B1 KR101528881 B1 KR 101528881B1 KR 1020140042296 A KR1020140042296 A KR 1020140042296A KR 20140042296 A KR20140042296 A KR 20140042296A KR 101528881 B1 KR101528881 B1 KR 10152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cap
inner cap
container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엠
Priority to KR102014004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6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 B65D50/061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actions in succession being disengageable from container only after rotational alignment of closure, or other means inhibiting removal of closure, with container, e.g. tortuous path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는, 용기 본체,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래칫 스톱퍼 및 걸림홈이 형성되는 내측 캡 및 내측 캡과 결합되며 내측 캡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외측 캡을 포함할 수 있고, 내측 캡의 래칫 스톱퍼 내측에서 외측 캡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 지지편 및 탄성 지지편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외측 캡 내면에서 탄성 지지편을 향하여 돌출되는 압축 돌기에 의해서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내측 캡의 걸림홈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CONTAINER FOR DRIPPING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에 수납되는 물질은 화학약품, 화장품, 주류, 음료수 등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며, 용기는 수납되는 물질의 특성에 맞춰서 플라스틱, 유리, 및 고무 등의 다양한 재질 중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알약이나 가루 혹은 액상의 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캡슐 혹은 과립형상의 다양한 약품을 저장할 수 있는 의학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화학적 내구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한편, 공개번호 10-2005-0000254 및 10-2007-0041077에 액상의 점안액을 수용하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점안액을 수용하는 용기는 대부분 수용량이 작고, 내용물이 액상인 관계로 밀폐 상태가 상당히 중요하며, 보관되는 물질이 의학품인 관계로 아이들을 통한 개폐가 단순해서는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의 캡을 그냥 회전시켜서는 열수 없고, 일정한 힘을 용기 본체 쪽으로 가압하여 캡을 열수 있는 용기가 공개번호 10-2007-0121342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점안액과 같은 액체를 한 방울씩 점적(點滴)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당히 좁은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 용기 본체 외측에서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래칫 스톱퍼(ratchet stopper)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래칫 스톱퍼 사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내측 캡; 내측 캡 외측에서 내측 캡과 결합되며, 내측 캡의 걸림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내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 캡; 내측 캡의 래칫 스톱퍼 내측에서 외측 캡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 지지편; 및 탄성 지지편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외측 캡 내면에서 탄성 지지편을 향하여 돌출되어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내측 캡의 걸림홈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압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평상 시에는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내측 캡의 걸림홈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외측 캡을 회전시켜서는 내측 캡을 용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없다.
한편, 용기 본체는 점안액과 같은 액체를 한 방울씩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에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 공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나 내경이 상당히 좁아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내측 캡과 외측 캡은 용기 본체의 외부 구조에 맞춰서 대략 꼬깔 내지 원뿔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 구조의 점적용 용기의 경우, 내측 캡 및 외측 캡 사이에서 두 캡을 서로 밀어내는 탄성 지지편이 좌우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질 공간은 사실상 확보되지 않고,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좌우로 과도하게 뉘어져 있는 탄성 지지편 구조를 접목시키기는 더더욱 어렵다.
하지만, 외측 캡이 래칫 스톱퍼 하부의 내측 캡을 수용하는 외측 캡 하부 및 래칫 스톱퍼 상부의 탄성 지지편을 수용하도록 외측 캡 하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외측 캡 상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압축 돌기의 단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되는 탄성 지지편을 통해서 평상 시에는 내측 캡 및 외측 캡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캡이 내측 캡 쪽으로 가압되어 두 캡이 서로 밀착되는 경우에도 탄성 지지편의 단부가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로 이동하여 탄성 지지편이 상하로 눌려지는 현상을 완전하게 배제함은 물론, 좌우로도 과도한 휘어짐이 방지되어 반복적인 개폐로 인한 피로 파손도 방지된다.
즉, 탄성 지지편이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에서 좌우로만 조금씩 굴절되는 본 발명의 탄성 지지편 구조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나 외경이 좁아지는 점적용 용기에 매우 적합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탄성 지지편의 과도한 굴절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캡과 외측 캡이 함께 회동하기 위해서는 내측 캡의 걸림홈에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사용자가 외측 캡을 내측 캡을 향하여 꾹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걸림홈에 걸림돌기를 삽입시켜야 하고, 외측 캡을 돌리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는 점적용 용기에 따르면, 외측 캡 하부의 내부 측면 및 외측 캡 하부의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내측 캡의 측면에 외부 캡의 회전 시 상호 접촉하는 위치확인용 돌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용 돌기의 배치 위치를 내측 캡의 걸림홈과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측 캡을 아래로 힘들여 눌리면서 돌리지 않아도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고, 위치확인용 돌기가 서로 접촉하여 회전이 살짝 멈춰지는 순간에 외측 캡을 아래로 눌러 간편하게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압축 돌기는 링 형태나 원기둥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고, 탄성 지지편은 래칫 스톱퍼 내측 둘레를 따라서 하나 이상 제공되되, 평상 시에 그 단부가 압축 돌기에 맞닿아 내측 및 외측 캡을 이격시킬 수 있고, 외측 캡이 내측 캡 방향으로 이동하여 내측 캡을 압축할 경우, 탄성 지지편이 압축 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지지편 및 압축 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을 통해 미끄러진 탄성 지지편의 단부는 앞서 언급한 데로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메틸알코올(methanol) 4중량% 이상, 테레빈(terebene) 10중량% 이상, 황산 10중량% 이상,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10중량% 이상, 브롬산나트륨 또는 브롬산칼륨 50㎎ 내지 60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500㎎ 이상을 함유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5 중량% 이상, 농도 원소 라이드 50㎎ 이상, 에탄올 3g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 접착제 제거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ibuprofen) 1g 이상, 아세트 아미노펜 1g 이상, 디펜히드라민 염기(diphenhydramine) 66㎎ 이상, 로페라미드(Loperamide) 0.045㎎ 이상, 메틸 살리실 레이트(Methyl Salicylate) 5% 이상, 0.05중량% 또는 0.025부피% 이상 또는 250㎎ 이상의 철 원소, 나프록센(naproxen) 250㎎ 이상, 케토프로펜(Ketoprofen) 50㎎, 리도카인(lidocaine) 5㎎ 또는 디부카인(dibucaine) 0.5㎎, 미녹시딜 14㎎, 이미다졸린(imidazoline) 0.08㎎ 이상을 함유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적용 용기는 탄성 지지편을 통해서 평상 시에는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내측 캡의 걸림홈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단순하게 외측 캡을 회전시켜서는 내측 캡을 용기 본체에서 분리할 수 없다.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나 외경이 대폭 줄어드는 일반적인 점적용 용기의 구조에서는 탄성 지지편이 좌우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질 공간이 확보되지도 않고,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좌우로 과도하게 뉘어져 있는 탄성 지지편 구조는 더더욱 점안용 용기에 접목시키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점적용 용기는 외측 캡을 내측 캡 쪽으로 가압하면 탄성 지지편의 단부가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로 이동하기 때문에 탄성 지지편이 상하로 눌려지는 현상을 완전하게 배제함은 물론, 좌우로도 과도한 휘어짐이 방지되어 반복적인 개폐로 인한 피로 파손도 방지된다.
즉, 탄성 지지편이 상하 방향으로 전혀 구부러지지 않고,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에서 좌우로만 조금씩 굴절되는 본 발명의 탄성 지지편 구조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나 외경이 좁아지는 점적용 용기에 매우 적합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탄성 지지편의 과도한 굴절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공개번호 10-2007-0121342에 개시되는 일반적인 안전 캡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외측 캡을 내측 캡을 향하여 꾹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걸림홈에 걸림돌기를 삽입시켜야 한다. 이는 외측 캡을 돌리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점적용 용기에서는 내측 캡의 걸림홈과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위치확인용 돌기를 통해서 사용자가 외측 캡을 아래로 힘들여 눌리면서 돌리지 않아도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고, 위치확인용 돌기가 서로 접촉하여 회전이 살짝 멈춰지는 순간에 외측 캡을 아래로 눌러 간편하게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적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적용 용기의 내측 캡 및 외측 캡이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내측 캡의 걸림홈에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결속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결속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적용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점적용 용기의 내측 캡 및 외측 캡이 이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내측 캡의 걸림홈에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과 같이 걸림홈에 걸림돌기가 결속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점적용 용기는 용기 본체(10) 및 용기 본체(10)의 배출 공(12)을 개폐하는 용기용 캡(100)을 포함한다.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점안액과 같은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용기 본체(10)는 액체를 한 방울씩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에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 공(12) 쪽으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이 줄어든다. 그리고, 용기용 캡(100)은 이러한 용기 본체(10)의 외부 구조에 맞춰서 대략 꼬깔 모양을 가진다.
용기용 캡(100)은 용기 본체(10) 외측에서 용기 본체(10)에 직접 결합되는 내측 캡(110) 및 내측 캡(110)의 외측에서 내측 캡(110)과 결합되는 외측 캡(120)을 포함한다.
내측 캡(110)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10)의 배출 공(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 공(12)에 끼워지는 개폐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고, 내측 캡(110)의 내측에는 용기 본체(10)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측 캡(110)을 용기 본체(10)에 대해 회전시켜 내측 캡(110)을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캡(110)의 하부에는 내측 캡(110)의 회전에 따라서 내측 캡(110)으로부터 절취되는 개폐확인용 링(114)이 형성될 수 있고, 개폐확인용 링(114)을 통해서 용기용 캡(100)의 최초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외측 캡(120)은 상술한 내측 캡(110)의 외측에서 내측 캡(11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외측 캡(120)은 내측 캡(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탈방지 링(115) 및 외측 캡(120) 내주면에 형성된 결속 링(125)이 서로 맞물려 내측 캡(110)에 결속될 수 있고, 도면을 기준으로 외측 캡(120)은 좌우로 회전은 가능하지만, 상부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내측 캡(1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래칫 스톱퍼(111)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래칫 스톱퍼(111) 사이에 걸림홈(112)이 형성되며, 외측 캡(120)에는 내측 캡(110)의 걸림홈(112)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22)가 내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 캡(120)의 걸림돌기(122)가 내측 캡(110)의 걸림홈(112)에 결속되면 외측 캡(120)의 회전을 통해서 내측 캡(110)을 회전시킬 수 있고, 내측 캡(110)을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만, 내측 캡(110)의 래칫 스톱퍼(111) 내측에서 외측 캡(120)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 지지편(130) 및 탄성 지지편(130)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외측 캡(120) 내면에서 탄성 지지편(130)을 향하여 돌출되는 압축 돌기(140)에 의해서 평상 시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 캡(120)의 걸림돌기(122)가 내측 캡(110)의 걸림홈(112)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단순하게 외측 캡(120)을 회전시켜서는 내측 캡(110)을 용기 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없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 캡(120)을 내측 캡(110)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122)가 걸림홈(112)에 결속된 상태에서 외측 캡(120)을 회전시켜야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용기 본체(10)는 액체를 한 방울씩 적절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단에 액체 배출을 위한 배출 공(12) 쪽으로 갈수록 외경이나 내경이 상당히 좁아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용기용 캡(100)은 이러한 용기 본체(10) 외부 구조에 맞춰서 대략 꼬깔 내지 원뿔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용기 본체(10) 및 용기용 캡(100)의 경우에 있어서, 내측 캡(110) 및 외측 캡(120) 사이에서 두 캡을 서로 밀어내는 탄성 지지편(130)이 좌우 방향으로 과도하게 휘어질 공간은 사실상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좌우로 과도하게 기울어진 탄성 지지편 구조는 점적용 용기에 접목시키기 더더욱 어렵다.
하지만, 외측 캡(120)이 래칫 스톱퍼(111) 하부의 내측 캡(110)을 수용하는 외측 캡 하부(126) 및 래칫 스톱퍼(111) 상부의 탄성 지지편(130)을 수용하도록 외측 캡 하부(126)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외측 캡 상부(127)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는 압축 돌기(140)의 단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되는 탄성 지지편(130)을 통해서 평상 시에는 내측 캡(110) 및 외측 캡(120)의 이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측 캡(120)이 내측 캡(110) 쪽으로 가압되어 서로 밀착되는 경우에도 탄성 지지편(130)의 단부가 압축 돌기(140)의 외부 측면(148) 및 외측 캡 상부(127)의 내부 측면(128) 사이로 이동하여 탄성 지지편(130)이 상하로 눌려지는 현상을 완전하게 배제함은 물론, 좌우로도 과도한 휘어짐이 방지되어 반복적인 개폐로 인한 피로 파손도 방지된다.
즉, 탄성 지지편(130)이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압축 돌기(140)의 외부 측면(148) 및 외측 캡 상부(127)의 내부 측면(128) 사이에서 좌우로만 조금씩 굴절되는 본 발명의 탄성 지지편(130) 구조는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나 외경이 좁아지는 용기 본체(10)에 매우 적합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탄성 지지편(130)의 과도한 굴절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캡(110)과 외측 캡(120)이 함께 회동하기 위해서는 내측 캡(110)의 걸림홈(112)에 외측 캡(120)의 걸림돌기(122)가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사용자가 외측 캡(120)을 내측 캡(110)을 향하여 꾹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걸림홈(112)에 걸림돌기(122)를 삽입시켜야 한다. 이는 외측 캡(120)을 돌리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힘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외측 캡 하부(126)의 내부 측면 및 외측 캡 하부(126)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내측 캡(110)의 측면에 외측 캡(120)의 회전 시 상호 접촉하는 위치확인용 돌기(15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확인용 돌기(150)의 배치 위치를 내측 캡(110)의 걸림홈(112)과 외측 캡(120)의 걸림돌기(122)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측 캡(120)을 아래로 힘들여 눌리면서 돌리지 않아도 걸림홈(112)과 걸림돌기(122)가 상하로 배치되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고, 위치확인용 돌기(150)가 서로 접촉하여 회전이 살짝 멈춰지는 순간에 외측 캡(120)을 아래로 눌러 간편하게 걸림홈(112) 및 걸림돌기(12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압축 돌기(140)는 외측 캡(12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링 형태로 제공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원기둥 형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지지편(130)은 래칫 스톱퍼(111) 안쪽으로 그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가 제공되지만, 한 개도 가능하며 그 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평상 시에 그 단부가 압축 돌기(140)에 맞닿아 내측 캡(110) 및 외측 캡(120)을 이격시킬 수 있고, 외측 캡(120)이 내측 캡(110)을 압축할 경우, 탄성 지지편(130)이 압축 돌기(14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지지편(130)의 단부 외측에 경사면(135)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35)을 통해 미끄러진 탄성 지지편(130)의 단부는 앞서 언급한 데로 압축 돌기(140)의 외부 측면 및 외측 캡 상부(127)의 내부 측면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탄성 지지편(130)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35)에 대응하여 압축 돌기(140)에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용기 본체 12:배출 공
100: 용기용 캡 110:내측 캡
111:래칫 스톱퍼 112:걸림홈
113:개폐돌기 115:이탈방지 링
120:외측 캡 122:걸림돌기
126:외측 캡 하부 127:외측 캡 상부
125:결속 링 130:탄성 지지편
135:탄성 지지편 단부의 경사면 140:압축 돌기
150:위치확인용 돌기

Claims (9)

  1.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에 있어서,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 외측에서 상기 용기 본체와 결합되며, 상면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래칫 스톱퍼(ratchet stopper)(111)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칫 스톱퍼 사이에 걸림홈(112)이 형성되는 내측 캡(110);
    상기 내측 캡 외측에서 상기 내측 캡과 결합되며, 상기 내측 캡의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22)가 내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 캡(120);
    상기 내측 캡의 상기 래칫 스톱퍼 내측에서 상기 외측 캡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탄성 지지편(130); 및
    상기 탄성 지지편의 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외측 캡 내면에서 상기 탄성 지지편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외측 캡의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내측 캡의 상기 걸림홈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압축 돌기(140);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캡은 상기 래칫 스톱퍼 하부의 상기 내측 캡을 수용하는 외측 캡 하부(126) 및 상기 래칫 스톱퍼 상부의 상기 탄성 지지편을 수용하도록 상기 외측 캡 하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외측 캡 상부(127)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캡이 상기 내측 캡을 향하여 가압되는 경우, 상기 탄성 지지편의 단부는 상기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상기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로 이동하며, 상기 압축 돌기의 외부 측면 및 상기 외측 캡 상부의 내부 측면 사이에서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캡 하부의 내부 측면 및 상기 외측 캡 하부의 내부 측면과 마주하는 상기 내측 캡의 측면에는 상기 외부 캡의 회전 시 상호 접촉하는 위치확인용 돌기(150)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확인용 돌기는 상기 내측 캡의 상기 걸림홈과 상기 외측 캡의 걸림돌기가 상하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캡이 상기 내측 캡을 압축할 경우,
    상기 탄성 지지편이 상기 압축 돌기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탄성 지지편의 단부 및 상기 압축 돌기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경사면(1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편은 상기 래칫 스톱퍼 내측 둘레를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캡의 하부에는 상기 내측 캡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내측 캡으로부터 절취되는 개폐확인용 링(1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메틸알코올(methanol) 4중량% 이상, 테레빈(terebene) 10중량% 이상, 황산 10중량% 이상,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10중량% 이상, 브롬산나트륨 또는 브롬산칼륨 50㎎ 내지 60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500㎎ 이상을 함유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5 중량% 이상, 농도 원소 라이드 50㎎ 이상, 에탄올 3g 이상을 포함하는 액체 접착제 제거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ibuprofen) 1g 이상, 아세트 아미노펜 1g 이상, 디펜히드라민 염기(diphenhydramine) 66㎎ 이상, 로페라미드(Loperamide) 0.045㎎ 이상, 메틸 살리실 레이트(Methyl Salicylate) 5% 이상, 0.05중량% 또는 0.025부피% 이상 또는 250㎎ 이상의 철 원소, 나프록센(naproxen) 250㎎ 이상, 케토프로펜(Ketoprofen) 50㎎, 리도카인(lidocaine) 5㎎ 또는 디부카인(dibucaine) 0.5㎎, 미녹시딜 14㎎, 이미다졸린(imidazoline) 0.08㎎ 이상을 함유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KR1020140042296A 2014-04-09 2014-04-09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KR10152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96A KR101528881B1 (ko) 2014-04-09 2014-04-09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296A KR101528881B1 (ko) 2014-04-09 2014-04-09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881B1 true KR101528881B1 (ko) 2015-06-16

Family

ID=5351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296A KR101528881B1 (ko) 2014-04-09 2014-04-09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8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81U (ko) * 1998-05-07 1998-07-25 배성원 안전 병마개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445674Y1 (ko) * 2009-03-10 2009-08-24 대양화성(주) 안전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295U (ko) * 1997-09-06 1999-04-0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9980025281U (ko) * 1998-05-07 1998-07-25 배성원 안전 병마개
KR200445674Y1 (ko) * 2009-03-10 2009-08-24 대양화성(주) 안전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6560T3 (es) Cápsula dispensadora para un contenedor
US9351556B2 (en)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US20190135491A1 (en) Child Resistant Lid and Packaging
US7328788B2 (en) Contact lens care system
KR101192176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EP2995570B1 (en) Dropper distributor of telescopic liquid suction tube
CA2624416C (en) Device for the packaging and dispensing of solid shaped bodies, especially oral tablets or/and capsules
KR101910428B1 (ko) 이종 내용물 토출 용기
KR101288327B1 (ko) 팝업식 드로퍼
US20170006997A1 (en) Cosmetic dropper with clean design
US8950608B2 (en) Universal adapter system for bottle containers using a dispensing pump or cap
KR20130000273A (ko) 이종 내용물 보관 용기
US20140183226A1 (en) Combination container and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474796Y1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101528881B1 (ko) 액체 점적을 위한 용기
US20120000941A1 (en) Medicine dispenser
KR102035727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EP2938557B1 (en) Combination child-resistant package and collapsible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20110041713A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KR101089167B1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10683144B2 (en) Cap assembly for multi size bottle necks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0417215Y1 (ko) 개폐가 편리한 포장용기
KR101926480B1 (ko) 알약 정량 배출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