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589B1 -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 Google Patents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589B1
KR101527589B1 KR1020130156532A KR20130156532A KR101527589B1 KR 101527589 B1 KR101527589 B1 KR 101527589B1 KR 1020130156532 A KR1020130156532 A KR 1020130156532A KR 20130156532 A KR20130156532 A KR 20130156532A KR 101527589 B1 KR101527589 B1 KR 10152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ears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일
문형석
사공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2Rack rail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4Construction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damping

Abstract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에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는 복수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PINION GEAR FOR RACK RAILWAY VEHICLE}
이하의 설명은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에 의한 수송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날이 갈수록 철도차량의 수송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하는 수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의 운행속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운행횟수를 증가시켜야만 한다.
이와 더불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수요자들은 더욱더 빠른 교통수단을 요구하고 있고, 이에 따른 운행 속도의 향상은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향상으로 인식됨에 따라 다른 교통수단과의 서비스(속도) 경쟁에서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도 필연적으로 철도차량의 운행속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 특성 상 철도차량의 경사 지형 주행은 매우 빈번한 편이다. 철도차량의 오르막 주행 시 철도차량에 추진력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철도차량의 내리막 주행 시 철도차량에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철도차량 및 지면에는 각각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도차량의 차륜을 양 옆에 두고 철도차량 하부의 중앙부에 피니언기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의 중앙부에 피니언기어와 치합하는 랙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의 치합에 따라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승차감이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지형 주행에 필요한 피니언기어 및 랙기어를 활용하면서도 승차감 또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31045호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산악철도에 구비되는 것으로, 산악철도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어이 및 제 3 기어이는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대비 두 배의 개수로 마련되어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마다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어이는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과 접하지 않고, 상기 제 3 기어이는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부싱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 상기 제 2 기어의 일측면 및 상기 제 3 기어의 일측면 모두에 접하며, 상기 탄성체의 직경은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어이의 폭은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측기어 측으로 감에 따라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고, 상기 제 3 기어이의 폭은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에서 상기 외측기어 측으로 감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싱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에 상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일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어느 하나의 탄성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타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워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산악철도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니언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의 정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기어의 정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체의 측면도.
도 5비교예,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에 대한 전후방향 진동가속도 실험 그래프.
도 6은 비교예,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에 대한 상하방향 진동가속도 실험 그래프.
도 7은 비교예,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에 대한 소음 실험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외측기어의 정면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내측기어의 정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체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100)는 외측기어(110), 내측기어(120), 탄성체(130), 커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니언기어(100)는 지면에 마련된 랙기어(2) 상을 주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2)는 한 쌍의 레일(1) 사이의 일지점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우선, 외측기어(110)에 대한 설명을 하면, 외측기어(110) 내부에는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중공부(111)에 후술할 내측기어(12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외측기어(110)의 외측면에는 외측기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1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기어이(115)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2)와 직접 치합하여 산악철도차량에 제동력 또는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외측기어(11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기어이(116)는 외측기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기어(110)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체(130)와 직접 접할 수 있으며, 내측기어(120)와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기어이(116)는 전체적으로 각 모서리가 만곡진 역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기어이(116)의 폭은 외측기어(110)의 내측면에서 내측기어(120) 측으로 감에 따라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기어이(116)는 5개로 마련되어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었다.
위와 같은 외측기어(110)의 중공부(111)에는 내측기어(120)가 수용될 수 있다. 내측기어(120)에도 역시 중공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내측기어(120)는 구동축(미도시)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내측기어(12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125)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 3 기어이(125)는 제 3 기어이(125)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총 5개로 마련되어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배치되었다.
제 3 기어이(125)는 전체적으로 각 모서리가 만곡진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 기어이(125)의 폭은 내측기어(120)의 외측면에서 외측기어(110) 측으로 감에 따라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 3 기어이(125)는 외측기어(110)의 제 2 기어이(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가 동일하게 5개로 마련된 경우, 이웃한 두 개의 제 3 기어이(125) 사이의 중앙 지점에는 제 2 기어이(116)가 배치될 수 있고, 반대로 이웃한 두 개의 제 2 기어이(116) 사이의 중앙 지점에는 제 3 기어이(12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100)는 탄성체(1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탄성체(130)는 복수로 마련되어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 사이의 공간에 개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체(130)는 제 2 기어이(116) 및 제 3 기어이(125)보다 두 배의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탄성체(130)는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 사이 마다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탄성체(130)는 입체 형태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탄성체(130)는 부싱타입(또는 쐐기형)일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피니언기어(100)에는 커버(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커버(140)는 피니언기어(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외측기어(110)의 제 2 기어이(116)에는 설치홀(117)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140)에는 관통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체결부재(150)가 관통홀(141)과 설치홀(117)에 삽입되어 커버(140)는 피니언기어(100)의 일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로써, 탄성체(130), 내측기어(120)를 보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100)에 의하면, 우선 외측기어(110)와 내측기어(12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그 구조적 특성 자체에 기인하여 피니언기어(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기어(110)와 내측기어(120)의 사이, 더 구체적으로는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의 사이에는 탄성체(130)가 개재되기 때문에 탄성체(130)가 제공하는 탄성지지력에 의하여 역시 피니언기어(1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완화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100)에 포함되는 탄성체(130)는 부싱타입(또는 쐐기형)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탄성체(130)는 본체(131) 및 본체(13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마개부(132)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부싱타입의 탄성체(130)가 될 수 있다. 탄성체(13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35)이 형성되어 탄성체(130)의 탄성 변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싱타입의 탄성체(130)는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 사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탄성체(130)를 피니언기어(100)의 일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끼운 후,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탄성체(130)는 피니언기어(100)의 타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끼울 수 있다. 즉, 탄성체(130)를 피니언기어(10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끼우되, 좌우 방향은 서로 엇갈리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끼움결합되는 부싱타입의 탄성체(130)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탄성체(130)를 제 2 기어이(116)와 제 3 기어이(125) 사이에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고, 탄성체(130)에 일부 손상이 생겼을 때에도 간단히 꺼낸 후 새 탄성체(130)를 끼워주면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탄성체(130)가 끼워지는 방향을 서로 엇갈리게 함으로써 피니언기어(10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130)의 단면 형상이 정육각형으로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품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체(130)의 단면을 다각형으로 하였을 경우, 탄성체(130)가 제 2 기어이(116) 및 제 3 기어이(125) 사이에서 회전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탄성체(130)가 외부로 이탈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질 수 있다.
한편, 충격 완화, 소음 및 진동 저감이라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외측기어(110)와 내측기어(120)는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기어(110)의 제 2 기어이(116)와 내측기어(120)의 외측면은 서로 접하지 않을 수 있고, 동시에 내측기어(120)의 제 3 기어이(125)는 외측기어(110)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체(130)는 외측기어(110)의 내측면, 내측기어(120)의 외측면, 제 2 기어(116)의 일측면, 제 3 기어(125)의 일측면 모두에 접하며, 그 직경은 제 2 기어이(116) 및 제 3 기어이(125)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내측기어(120)와 외측기어(110)는 서로 직접적으로는 접하지 않게 되고, 탄성체(130)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결과, 탄성체(130)의 감쇄작용에 의해 이중 구조인 피니언기어(100)의 충격 완화,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는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a, b 및 c는 각각 비교예(이하, 일반 비탄성기어), 일실시예에 따른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이하, 피니언기어 A)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기어(이하, 피니언기어 B)에 대한 전후방향 진동가속도 실험 그래프이다.
일반 비탄성기어는 이중 구조인 피니언기어 A, B와는 달리 단일구조이고, 별도의 탄성체도 포함하고 있지 않다. 한편, 피니언기어 A와 피니언기어 B는 탄성체의 구체적인 물성치가 상이하다. 이들의 구체적인 제원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항목 제원
비교예(비탄성기어) 피니언기어 A, B
기어 모듈 20
이(teeth) 수 22
피치원 직경 φ440mm
압력각 20˚
열처리 침탄
재질 SCM420 외측기어 SCM420
내측기어 SM45C
커버 SS400
탄성체 RUBBER
탄성체 - 구분 피니언기어 A 피니언기어 B
경도 50-60 Shore A 80-90 Shore A
인장강도 242kgf/mm2 196kgf/mm2
신장율 599% 388%
중량(kg) 68.5 73.8
우선,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는 비교예와 같은 일반 비탄성기어로 모사하였다. 따라서, 첫 번째 조합은 일반 비탄성기어(랙기어에 상당함)-일반 비탄성기어이고, 두 번째 조합은 일반 비탄성기어-피니언기어 A이며, 세 번째 조합은 일반 비탄성기어-피니언기어 B이다. 회전수 240 rpm, 기본 축간거리 440mm의 조건 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조합에 대한 실험 그래프가 순서대로 도 a, b 및 c이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첫 번째 조합의 실험 결과(a 참조), 전후방향 진동가속도가 최대 3g에 근접하게 측정되었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동폭 역시 매우 커 안정감을 찾아볼 수 없었다. 반면, 두 번째 조합(b) 및 세 번째 조합(c)의 실험 결과, 전후방향 진동가속도는 대략 0.5g로 측정되었으며,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동폭 또한 거의 없었다. 따라서, 전후방향으로의 진동이 종래 일반 비탄성기어에 비하여 현격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a, b 및 c는 각각 첫 번째 조합, 두 번째 조합 및 세 번째 조합에 대한 상하방향 진동가속도 실험 그래프이다. 실험방법 및 조건은 위에서와 동일하다. 상하방향 진동가속도 측정 결과, a에서 확인되듯이 종래 일반 비탄성기어의 경우에는 최대 34g가 측정되었으며 시간의 변화에 따른 변동폭도 매우 컸다. 반면, 두 번째 조합(b)의 경우, 최대 0.5g가 측정되었으며, 변동폭이 매우 작은 특징을 보였다. 세 번째 조합(c)의 경우, 최대 5g가 측정되었으며, 일부 피크점들이 관찰되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변동폭이 적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종래 일반 비탄성기어 대비 상하방향 진동 역시 현격하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a, b 및 c는 각각 첫 번째 조합, 두 번째 조합 및 세 번째 조합에 대한 소음 실험 그래프이다.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측정한 결과, a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 일반 비탄성기어의 경우에는 최저 80dB 최대 130 dB의 소음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를 참조하면, 두 번째 조합의 경우에는 최저 80dB 최대 118dB로 측정되어 소음의 최대치 측면에 있어서는 개선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를 참조하면, 세 번째 조합의 경우에는 소음이 80dB로 측정되었고, 그 변동폭은 매우 작았다. 따라서 첫 번째 조합 대비 소음의 최대치 및 변동폭 측면에서 개선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피니언기어를 산악철도에 이용할 경우, 승차감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경사지형 주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피니언기어 110: 외측기어
111: 중공부 115: 제 1 기어이
116: 제 2 기어이 120: 내측기어
125: 제 3 기어이 130: 탄성체
140: 커버 150: 체결부재

Claims (7)

  1.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와 상기 제 3 기어이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탄성체는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2. 삭제
  3.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와 상기 제 3 기어이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이는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과 접하지 않고, 상기 제 3 기어이는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으며,
    상기 탄성체는 부싱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 상기 제 2 기어의 일측면 및 상기 제 3 기어의 일측면 모두에 접하며, 상기 탄성체의 직경은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의 높이보다 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4. 삭제
  5.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와 상기 제 3 기어이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이의 폭은 상기 외측기어의 내측면에서 상기 내측기어 측으로 감에 따라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고, 상기 제 3 기어이의 폭은 상기 내측기어의 외측면에서 상기 외측기어 측으로 감에 따라 감소하는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6.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산악지형에 마련되는 랙기어와 치합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며,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2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외측기어;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고, 구동축에 연결되며, 외측면에는 복수의 제 3 기어이가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내측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이와 상기 제 3 기어이의 사이 공간에 각각 개재되며, 입체 형태로 제공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싱타입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 2 기어이 및 상기 제 3 기어이 사이에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끼워지는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탄성체 중 어느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일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어느 하나의 탄성체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탄성체는 상기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의 타측면 방향으로부터 끼워지는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KR1020130156532A 2013-12-16 2013-12-16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KR101527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32A KR101527589B1 (ko) 2013-12-16 2013-12-16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532A KR101527589B1 (ko) 2013-12-16 2013-12-16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7589B1 true KR101527589B1 (ko) 2015-06-16

Family

ID=5351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532A KR101527589B1 (ko) 2013-12-16 2013-12-16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147A (zh) * 2018-09-21 2018-11-27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分体式快速换装齿轮机构
KR20220147368A (ko) 2021-04-27 2022-1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듀얼 제동구조가 적용된 산악 철도용 대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774A (ja) * 1997-05-07 1998-11-17 Tomoe Denki Kogyo Kk 機関車および走行設備
WO2012069517A1 (fr) * 2010-11-25 2012-05-31 Valeo Systemes Thermiques Engrenage, en particulier pour actionneur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774A (ja) * 1997-05-07 1998-11-17 Tomoe Denki Kogyo Kk 機関車および走行設備
WO2012069517A1 (fr) * 2010-11-25 2012-05-31 Valeo Systemes Thermiques Engrenage, en particulier pour actionneur de vehicule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95147A (zh) * 2018-09-21 2018-11-27 中车资阳机车有限公司 一种分体式快速换装齿轮机构
KR20220147368A (ko) 2021-04-27 2022-1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듀얼 제동구조가 적용된 산악 철도용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04562A (en) Cushioned tooth sprocket wheel
BRPI0511476A (pt) disposição de carenagem lateral de veìculo e veìculo compreendendo tal carenagem lateral
WO2011124614A3 (de) Fahrzeugrahmen
KR101527589B1 (ko)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JP2016074249A (ja) エアレスタイヤ
WO2008132909A1 (ja) 車両用フロア構造
KR101098524B1 (ko)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CA2532292A1 (en) Traction band with improved ground-engaging lugs
EP2390411A1 (en) Low noise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101496101B1 (ko) 강체전차선용 이행장치
CN105599815A (zh) 一种谷物联合收割机仿形减振履带式行走底盘
KR101527590B1 (ko)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JP5548277B2 (ja) 脱輪及び耐久性の改善のための芯金を備えたゴムクローラー
PL1977949T3 (pl) Wózek wagonowy do pojazdów szynowych
KR101527586B1 (ko)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CN107254813A (zh) 一种垂横向刚度分开型钢轨扣件
KR101527587B1 (ko) 산악철도용 피니언기어
US9650090B2 (en) Deformable guide rail and track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1879884B (zh) 汽车防撞吸能安全保护装置
CN112849164B (zh) 轨道梁及轨道交通系统
CN202345799U (zh) 全地形车履带防脱带
WO2004024530A3 (de) Triebgestell für ein schienenfahrzeug
WO2011032823A3 (de) Fussboden für schienenfahrzeuge
JP2011084183A (ja) 交通車両の分岐装置
JP2007182190A (ja) 鉄道車両における車体−台車間結合要素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