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73B1 -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Google Patents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7173B1 KR101527173B1 KR1020130091623A KR20130091623A KR101527173B1 KR 101527173 B1 KR101527173 B1 KR 101527173B1 KR 1020130091623 A KR1020130091623 A KR 1020130091623A KR 20130091623 A KR20130091623 A KR 20130091623A KR 101527173 B1 KR101527173 B1 KR 101527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unit
- construction waste
- waste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제공된다.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facility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soil from a construction waste and producing aggregate raw materials; And an aggregate producing unit for produc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and washed sand from the aggregate raw material.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산업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예를 들어 교량,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나 점차 노후화되고 있다. 그 결과, 노후 건축물 등의 해체,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Many structures, such as bridges, roads, and various buildings, which have arisen as a result of industrialization, have become obsolete over time. As a result, dismantling,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of aged buildings are actively being carried out.
노후 구조물의 해체,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 매립지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환경에도 심각한 악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다양한 건설폐기물 처리대책이 강구되어 왔다.Much construction waste arises in the process of demolition, reconstruction or redevelopment of old structures. If such landfills are to be landfilled, it is difficult to obtain landfill sites, and landfill costs are high, which can have a serious adverse effect on the environment. Accordingly, a variety of construction waste disposal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in terms of prote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recycling of resources.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을 파쇄, 이물질 제거 등의 중간 처리를 하는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가 있고, 중간 처리된 건설폐기물에서 골재를 생산하는 골재생산업체가 있었다. 즉,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공정과 골재생산 공정이 별도의 공간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공정 간 운송비 등 불필요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에서 다양한 골재를 동시에 생산하지 못하고 어느 하나의 골재만을 생산하는 결과, 골재로 재활용될 수 있는 일부 건설폐기물이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의 대부분이 옥외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대기 및 소음공해를 유발하여 지역주민들의 민원제기 원인이 되고 건설폐기물 처리장의 입지 선정에도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As for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waste disposal process, there is a construction waste intermediate processing company that performs the intermediate treatment such as crushing of construction waste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removal of foreign matter, and there is an aggregate production company that produces the aggregate from the intermediate treated construction waste . That is, since the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of the construction wast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process are performed in a separat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cost and time are required such as transportation cost between processes. In addition, since various aggregates can not be simultaneously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only one aggregate is produced, and some construction waste that can be recycled as aggregate is discarded as it is. In addition, since most of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process takes place outdoors, the work environment is poor, causing atmospheric and noise pollution, causing civil complaints of local residents, and difficulty in selecting a site for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pla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6346호(2007.11.01, 건설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106346 (November 11, 2007, Processing Equipment for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설폐기물 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 내에서 이루어지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을 높일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facility in which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and aggregate production are carried out in a single facility and the recycling rate of construction waste can be increa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하는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soil from a construction waste and producing aggregate raw materials; And an aggregate producing unit for produc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and washed sand from the aggregate raw material.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상기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has a particle size of 5 mm or more and 27 mm or less, and the washed sand may have a particle size of 5 mm or less.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는 옥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waste disposal uni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be installed indoors.
상기 폐기물처리부 및 상기 골재생산부와 분리된 옥내 공간으로서, 상기 폐기물처리부에 공급될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폐기물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waste storage unit for receiving construction waste to be supplied to the waste treatment unit as an indoor space separated from the waste treatment uni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pray device installed on the waste disposal uni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and spraying water to remove scattered dust generated in the waste disposal uni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토분을 옥외로 배출하는 제1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는 정 회전 동작 및 상기 골재원료를 상기 골재생산부로 공급하는 역 회전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disposal un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soil to the outside; And a second discharge conveyor capable of selectively performing either of a forward rotation operation for discharg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outside, and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for supply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3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4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include a third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to the outside; And a fourth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washed sand outdoors.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호퍼; 상기 건설폐기물 호퍼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토분 스크린부;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하는 건설폐기물 파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골재원료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treatment unit may include a construction waste hopper into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injected; A first toothed screen section for sorting and delivering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e fraction of the first granularity or less from the construction waste input into the construction waste hopper; A construction waste dismantling unit for disrupting the construction waste filtered by the first toothed screen unit to a third particle size or less; And an aggregate material screen unit for selecting aggregate material having a third particle size or less from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by the construction waste disintegra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dispos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low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 wood chips, etc. from the aggregat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creen of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상기 제1 입도는 100mm일 수 있다.The first particle size may be 100 mm.
상기 제3 입도는 27mm일 수 있다.The third particle size may be 27 mm.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선별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철편을 자력 선별하는 자력선별장치; 및 상기 자력선별장치를 통해 철편이 제거되고 남겨진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 섞여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걸러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제2 토분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magnetic force sorting device for sorting magnetic pieces of iron pieces in a soil portion of a first particle size or less selected from the first toothed screen portion; And a second fractionation unit that separates the second fractionation fraction and the second fractionation fraction from the second fractionation fraction and discharges the same to the first fractionation conveyor, And a second soil screen unit for filtering the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the soil and supplying the screen to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unit.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2 토분 스크린부에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dispos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low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vinyl, wood chips, etc. from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second screen portion to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portion.
상기 제2 입도는 20mm일 수 있다.The second particle size may be 20 mm.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disposa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veyance conveyor for conveying the construction waste filtered by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to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unit.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폐기물처리부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discharge the aggregate material supplied from the waste treatment unit by spraying water to clean the sand having a fourth particle size or less and discharge it to the fourth discharge conveyor, And discharging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left to the third discharge conveyor.
상기 제4 입도는 5mm일 수 있다.The fourth particle size may be 5 mm.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골재원료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골재원료 호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ggregate material hopper for supplying the aggregate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unit.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1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탈수하고,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를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세척탈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wet separat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 wood chips and the like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n the washing sand sor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unit; And a wash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washing and dewatering water sprayed on the washing sand removed from the first wet separator by removing foreign matter, and discharging washed and dewatered washing sand to the fourth discharge conveyor.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는 골재원료 파쇄부;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2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aggregate producing unit comprises: an aggregate material crushing unit for crush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filtered by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unit; A second wet separator for removing impurities such as vinyl and wood chips from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crushed by the aggregate material crushing unit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the second wet separator removes foreign matter and then discharges water into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to be washed to discharge the washed sand of the fourth particle size or less to the first wet separator, And a third washing sand screen unit for discharg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which is separated from sand, to the third discharge conveyor.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고,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임팩트 크러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material crushing unit may include an impact crusher capable of crushing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and separating the sand attached to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세척탈수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섞인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공급하는 폐수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stewater treatment unit for recovering the washing sand mix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and dewatering unit and supplying the collected sand to the first wet separa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와 골재생산이 하나의 설비 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공정 간 골재원료를 운송하는데 소요되는 불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te treatment and aggregate production are performed in one facility,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time and cost for transportation of the aggregate raw materials between the process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aste of aggregate raw materials produced in construction waste by simultaneously producing coarse aggregate and washed sand from aggregate raw materials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폐기물 처리와 골재생산이 옥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를 설치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고, 대기 및 소음공해가 감소되어 지역주민의 반발이 줄어드는 친환경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are carried out indoors, whereby a spray device capable of removing scattered dust can be installed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to reduce the atmospheric and noise pollution Friendly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in which local residents' reaction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옥내화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폐기물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골재생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waste treatment sec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ggregate production sec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의 옥내화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door arrangement structure of a construction waste dispos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는 폐기물저장부(100),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construction
폐기물저장부(100)는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폐기물저장부(100)에는 건설폐기물을 적재한 덤프트럭이 출입하면서 건설폐기물을 하역할 수 있다.The
폐기물저장부(100)는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와 함께 옥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폐기물저장부(100),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는 건물(B)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폐기물저장부(100)는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와는 분리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폐기물저장부(100)에 동원될 수 있는 덤프트럭, 포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인해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의 각종 설비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폐기물처리부(200) 및 골재생산부(300)에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폐기물저장부(100)는 공급 컨베이어(1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공급 컨베이어(101)는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을 폐기물처리부(200)로 공급한다.The
공급 컨베이어(101)는 복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을 폐기물처리부(200)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The
폐기물처리부(200)는 폐기물저장부(100)에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등을 제거하고 골재원료를 생산한다. 본 명세서에서, 골재원료란 건설폐기물에서 토분, 철편, 이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로 일정한 입도, 예를 들어 27mm 이하로 파쇄되어 골재의 원료가 되는 물질을 의미한다.The
폐기물처리부(200)는 스프레이 장치(2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스프레이 장치(201)는 폐기물처리부(2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레이 장치(201)는 폐기물처리부(200)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폐기물처리부(200)는 제1 배출 컨베이어(203) 및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 배출 컨베이어(203)는 건설폐기물에서 분리된 토분을 옥외로 배출한다.The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 및 역 회전 동작(A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의 경우,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고, 역 회전 동작(A2)의 경우,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골재생산부(300)로 공급한다. 그 결과,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원료까지 생산하는 경우, 정 회전 동작(A1)을 하고, 건설폐기물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까지 생산하는 경우, 역 회전 동작(A2)을 할 수 있다.
The
골재생산부(300)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한다.The
골재원료는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공급되거나, 골재원료 호퍼(320, 도 4 참조)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다.The aggregate raw material may be supplied from the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는 입도에 따라 분리 생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질 수 있다. 골재생산부(300)는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입도 분리된 고 품질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되는 골재원료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and washed sand can be produc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grain size. For exampl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may have a particle size of greater than 5 mm but less than 27 mm, and washed sand may have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5 mm. The
골재생산부(300)는 스프레이 장치(30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스프레이 장치(301)는 골재생산부(300)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골재생산부(3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프레이 장치(301)는 골재생산부(300)에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골재생산부(300)는 제3 배출 컨베이어(303) 및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3 배출 컨베이어(303)는 골재원료에서 생산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한다.The
제4 배출 컨베이어(305)는 골재원료에서 생산된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한다.
The
도 3은 폐기물처리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ste treatment section.
도 3을 참조하면, 폐기물처리부(200)는 건설폐기물 호퍼(210), 제1 토분 스크린부(220),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골재원료 스크린부(240), 제1 송풍기(250), 자력선별장치(260), 제2 토분 스크린부(270), 제2 송풍기(280), 및 반송 컨베이어(290)를 포함할 수 있다.3, the
건설폐기물 호퍼(210)에는 공급 컨베이어(101)를 거쳐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된다.The construction waste supplied to the
제1 토분 스크린부(220)는 건설폐기물 호퍼(210)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분리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 토분 스크린부(22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분리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은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되기에 앞서 자력선별장치(260) 및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입도는 100mm일 수 있다.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편을 토분과 함께 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골재원료가 될 수 있음에도 토분과 함께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력선별장치(260)에서 철편을 제거한 후에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골재원료가 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회수할 수 있다. 자력선별장치(260) 및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입도가 100mm를 넘는 경우에, 철편 분리효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바, 100mm는 임계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The first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입도는 27mm일 수 있다. 제3 입도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입도로 설정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를 거친 골재원료는 골재생산부(300)를 거치지 않고서도, 입도 분리가 안된 저 품질의 골재로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배출 컨베이어(205)는 정 회전 동작(A1)을 함으로써, 건설폐기물에서 생산된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한다. 한편,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이 건설폐기물 파쇄부(230)에 투입되기에 앞서, 인력을 동원하여 철근 등 대형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The construction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는 제1 파쇄장치(231), 제1 철편분리장치(232), 제2 파쇄장치(233), 제2 철편분리장치(234), 제3 파쇄장치(235), 및 제3 철편분리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struction
제1 파쇄장치(231)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1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150mm ~ 200mm의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The first
제1 철편분리장치(232)는 제1 파쇄장치(231)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1 철편분리장치(232)는 제1 파쇄장치(231)와 제2 파쇄장치(233)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ron
제2 파쇄장치(233)는 제1 파쇄장치(231)에서 1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2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60mm ~ 70mm의 입도로 파쇄할 수 있다.The second
제2 철편분리장치(234)는 제2 파쇄장치(233)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2 철편분리장치(234)는 제2 파쇄장치(233)와 제3 파쇄장치(235)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제3 파쇄장치(235)는 제2 파쇄장치(233)에서 2차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3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27mm 이하로 파쇄할 수 있다.The third
제3 철편분리장치(236)는 제3 파쇄장치(235)를 거친 건설폐기물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3 철편분리장치(236)는 제3 파쇄장치(235)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파쇄장치(231)와 제2 파쇄장치(233)는 조 크러셔(jaw crusher)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파쇄장치(235)는 콘 크러셔(cone cru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조 크러셔(jaw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고정치와 요동하는 가동치 사이에서 건설폐기물을 잘게 부수고, 구조가 단순하고 파쇄율이 높다. 콘 크러셔(cone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콘 형상의 축의 편심 회전에 의하여 건설폐기물을 일정한 크기로 잘게 부수고, 구조가 복잡한 반면 잔 골재를 대량 생산하기에 적합하다.The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는 건설폐기물 파쇄부(230)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선별 배출되는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1 송풍기(250)를 거칠 수 있다.The aggregate
제1 송풍기(250)는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거쳐 제2 배출 컨베이어(205)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풍력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제1 송풍기(250)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자력선별장치(26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분리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자력선별장치(260)는 제1 토분 스크린부(200)와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magnetic
제2 토분 스크린부(270)는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제1 배출 컨베이어(203)로 배출하고,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이 분리되고 남겨진 건설폐기물을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제2 토분 스크린부(27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입도는 토분 입도, 예를 들어 20mm일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제1 입도는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됨으로써,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철편은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해 토분과 함께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입도를 토분 입도보다 크게 설정하는 경우, 골재원료가 될 수 있음에도 토분과 함께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력선별장치(260)에서 철편을 제거한 후에,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골재원료가 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을 회수할 수 있다. 제2 토분 스크린부(270)에서 회수되는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 공급되기에 앞서 제2 송풍기(280)를 거칠 수 있다.The second to-
제2 송풍기(280)는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쳐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풍력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제2 송풍기(280)는 제2 토분 스크린부(270)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반송 컨베이어(290)는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구체적으로는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한다.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된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27mm 이하로 파쇄된다. 반송 컨베이어(290)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1 파쇄장치(231) 또는 제2 파쇄장치(233)가 아닌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하는 이유는, 제1 파쇄장치(231) 및 제2 파쇄장치(233)는 파쇄율이 높은 조 크러셔를 포함하는 반면, 제3 파쇄장치(235)는 잔 골재를 생산하기에 적합한 콘 크러셔를 포함하고,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의 거의 대부분은 이미 제1 파쇄장치(231) 및 제2 파쇄장치(233)에서 소정의 입도, 예를 들어 70mm 이하로 파쇄되었기 때문이다. 즉,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콘 크러셔를 포함하는 제3 파쇄장치에 투입되는 것이 적절하다.
The conveying
도 4는 골재생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ggregate production unit.
도 4를 참조하면, 골재생산부(30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 골재원료 호퍼(320), 제1 습식 분리기(330), 세척탈수장치(340), 골재원료 파쇄부(350), 제2 습식 분리기(360),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 폐수처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는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골재원료에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골재원료 파쇄부(350)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입도는 세척모래 입도, 예를 들어 5mm일 수 있다. 한편,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 공급되는 골재원료는 폐기물처리부(200)로부터 바로 공급되거나, 골재원료 호퍼(320)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The first washing
골재원료 호퍼(320)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습식 분리기(33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습식 분리기(330)는 원통형 탱크를 포함하고, 물과 세척모래의 혼합물을 탱크 내에서 접선 방향으로 분사하면, 세척모래에 섞인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세척모래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제1 습식 분리기(330)에 필요한 물은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골재원료에 분사되었다가 세척모래와 함께 제1 습식 분리기(330)로 유입되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세척탈수장치(340)는 제1 습식 분리기(330)를 거친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세척모래 입도보다 작은 입도, 예를 들어 0.7mm의 입도를 가지는 스크린을 통해 탈수할 수 있다. 세척탈수장치(340)를 통해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는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The washing and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한다.The aggregate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는 공지의 장치로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 aggregate
골재원료 파쇄부(350)는 제4 철편분리장치(351),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aggregate
제4 철편분리장치(351)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자력, 예를 들어 전자석을 이용하여 철편을 분리한다. 제4 철편분리장치(351)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와 제1 임팩트 크러셔(352)를 잇는 이송컨베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The
제1 임팩트 크러셔(352)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1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것처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는 제1 임팩트 크러셔(352)에서 공급되는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2 임팩트 크러셔(354)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washing
제2 임팩트 크러셔(354)는 제1 임팩트 크러셔(352)에서 1차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2차 파쇄하는 장치로서, 상술한 것처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충격을 가하여 파쇄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
제2 습식 분리기(360)는 골재원료 파쇄부(350)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습식 분리기(360)는 원통형 탱크를 포함하고, 물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혼합물을 탱크 내에서 접선 방향으로 분사하면,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섞인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이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함으로써,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골재원료 파쇄부(350)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제2 습식 분리기(360)에 투입되기에 앞서 물과 혼합될 수 있다.The second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제2 습식 분리기(36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3 배출 컨베이어(303)를 통해 옥외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진동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스칼핑 스크린 장치(scalping screen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washing
골재생산부(300)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가 골재원료 파쇄부(350), 특히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와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를 거치게 함으로써,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성분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The
폐수처리부(380)는 세척탈수장치(340)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한다. 또한, 폐수처리부(380)는 세척탈수장치(340)뿐만 아니라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에서 배출되는 폐수 전체를 처리할 수도 있다.The
폐수처리부(380)는 집수정(381), 미세모래회수장치(382), 침전조(383), 및 슬러지탈수장치(38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집수정(381)은 세척탈수장치(340)에 배출되는 폐수를 임시 수용한다.The
미세모래회수장치(382)는 집수정(381)에서 폐수를 공급받아 폐수와 함께 배출된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반송한다. 이를 위해, 미세모래회수장치(382)는 사이클론 장치(cyclone equip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 장치(cyclone equipment)는 공지의 장치로서, 폐수의 선회류에 의해서 생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폐수에 섞여 있는 세척모래를 분리할 수 있다.The fine
침전조(383)는 미세모래회수장치(382)에서 세척모래가 제거된 폐수를 침전시켜, 청수와 슬러지(sludge)로 분리한다. 침전조(383)에서 분리된 청수는 세척수로 재 활용될 수 있고, 슬러지는 슬러지탈수장치(384)로 공급된다.The
슬러지탈수장치(384)는 슬러지를 탈수하여 슬러지 케이크(sludge cake)로 배출한다. 슬러지탈수장치(384)는 슬러지를 압착하여 탈수하는 압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슬러지탈수장치(384)에서 배출된 슬러지 케이크는 공지의 다양한 기술로 처리될 수 있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1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struction
노후 구조물의 해체, 재건축 또는 재개발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에서 수거된 건설폐기물은 덤프트럭에 의해 폐기물저장부(100)로 이송되어 하역된다. 폐기물저장부(100)는 옥내에 설치됨으로써, 건설폐기물의 하역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및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건물(B)은 폐기물저장부(100)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The construction waste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old structure is dismantled, reconstructed or redeveloped is transferred to the
폐기물저장부(100)에 수용된 건설폐기물은 공급 컨베이어(101)를 통해 폐기물처리부(200)로 공급된다.The construction waste accommodated in the
폐기물처리부(200)에서, 건설폐기물은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과하면서 건설폐기물과 토분으로 분리된다.In the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건설폐기물 파쇄부(230)를 통과하면서 골재원료로 쓰일 수 있는 입도로 파쇄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토분 스크린부(22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제1 파쇄장치(231), 제1 철편분리장치(232), 제2 파쇄장치(233), 제2 철편분리장치(234), 제3 파쇄장치(235), 및 제3 철편분리장치(236)를 차례로 거쳐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입도로 파쇄될 수 있다.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입도로 파쇄된 건설폐기물은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해 골재원료로 입도 선별된 후,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통해 옥외 또는 골재생산부(300)로 배출된다. 한편,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를 통과한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를 통해 옥외 또는 골재생산부(300)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1 송풍기(250)를 거쳐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골재원료 스크린부(240)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은 반송 컨베이어(290)를 통해 건설폐기물 파쇄부(230), 구체적으로는 제3 파쇄장치(235)로 반송될 수 있다.The construction waste filtered by the first
제1 토분 스크린부(220)를 통과한 토분은 자력선별장치(260)를 통과하면서 철편이 제거된 후, 제1 배출 컨베이어(203)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토분은 제1 배출 컨베이어(203)를 통해 옥외로 배출되기에 앞서, 제2 토분 스크린부(270)를 거쳐 토분에 섞인 건설폐기물이 회수된다. 토분에서 회수된 건설폐기물은 제2 송풍기(28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골재원료 스크린부(240)로 공급된다.The soil particles having passed through the
골재생산부(300)에서, 골재원료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통과하면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로 분리된다.In the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해 세척하면서, 골재원료를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로 분리한다. 골재원료는 제2 배출 컨베이어(205) 또는 골재원료 호퍼(320)를 통해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로 투입될 수 있다.In the first washing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를 통과한 세척모래는 제1 습식 분리기(33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세척탈수장치(340)에서 세척 및 탈수되고, 제4 배출 컨베이어(305)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The washing sand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washing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310)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골재원료 파쇄부(350), 구체적으로는 제4 철편분리장치(351), 제1 임팩트 크러셔(352),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353), 및 제2 임팩트 크러셔(354)를 차례로 거쳐 파쇄 및 마쇄되고,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포함된 모래 성분이 분리된다. 골재원료 파쇄부(350)를 거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제2 습식 분리기(360)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후,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로 투입된다.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370)는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섞여있는 세척모래를 제1 습식 분리기(330)로 배출하고, 나머지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제3 배출 컨베이어(303)를 통해 옥외로 배출한다. 한편, 세척탈수장치(340)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처리조(380)에서 처리된다. 폐수처리조(380)에서, 폐수는 집수정(381)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미세모래 회수장치(382)로 투입된다. 미세모래 회수장치(382)는 폐수에 섞인 미세모래를 회수하여 제1 습식 분리기(330)로 공급한다. 미세모래 회수장치(382)에서 배출된 폐수는 침전조(383)로 투입된다. 침전조(383)에서 폐수는 재활용 청수와 슬러지로 분리된다. 재활용 청수는 침전조(383)에서 배출되고, 슬러지는 슬러지 탈수장치(384)로 공급되어 슬러지 케이크로 압착되어 배출된다.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that is filtered by the first washing
한편, 폐기물처리부(200)와 골재생산부(300)의 상부에는 스프레이 장치(201, 301)가 형성됨으로써, 폐기물처리부(200)와 골재생산부(300)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하여,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Spraying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00: 폐기물저장부
101: 공급 컨베이어
200: 폐기물처리부
201: 스프레이 장치
203: 제1 배출 컨베이어
205: 제2 배출 컨베이어
210: 건설폐기물 호퍼
220: 제1 토분 스크린부
230: 건설폐기물 파쇄부
231: 제1 파쇄장치
232: 제1 철편분리장치
233: 제2 파쇄장치
234: 제2 철편분리장치
235: 제3 파쇄장치
236: 제3 철편분리장치
240: 골재원료 스크린부
250: 제1 송풍기
260: 자력선별장치
270: 제2 토분 스크린부
280: 제2 송풍기
290: 반송 컨베이어
300: 골재생산부
301: 스프레이 장치
303: 제3 배출 컨베이어
305: 제4 배출 컨베이어
310: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
320: 골재원료 호퍼
330: 제1 습식 분리기
340: 세척탈수장치
350: 골재원료 파쇄부
351: 제4 철편분리장치
352: 제1 임팩트 크러셔
353: 제2 세척모래 스크린부
354: 제2 임팩트 크러셔
360: 제2 습식 분리기
370: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
380: 폐수처리부
381: 집수정
382: 미세모래회수장치
383: 침전조
384: 슬러지탈수장치10: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plant
100: waste storage unit
101: Feed conveyor
200: waste treatment section
201: Spray device
203: 1st discharge conveyor
205: 2nd discharge conveyor
210: Construction waste hopper
220: first screen portion
230: Construction waste dismantling department
231: First crushing device
232: first iron separator
233: Second crushing device
234: Second iron separator
235: Third crushing device
236: Third iron separator
240: Aggregate raw material screen portion
250: First blower
260: magnetic force sorting device
270: second screen portion
280: Second blower
290: Conveying conveyor
300: aggregate production department
301: Spray device
303: Third discharge conveyor
305: Fourth discharge conveyor
310: first washing sand screen part
320: Aggregate feed hopper
330: first wet separator
340: Cleaning dehydrator
350: aggregate material crushing section
351: Fourth steel separator
352: First Impact Crusher
353: second washing sand screen section
354: Second Impact Crusher
360: Second Wet Separator
370: third washing sand screen part
380: Wastewater treatment section
381: Edit House
382: Fine sand recovery device
383: Settling tank
384: Sludge dewatering device
Claims (22)
상기 골재원료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와 세척모래를 생산하는 골재생산부; 및
상기 폐기물처리부에 공급될 상기 건설폐기물이 수용되는 폐기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는 제1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저장부는 상기 제1 옥내 공간과 분리된 제2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저장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을 상기 폐기물처리부로 공급하는 공급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토분을 옥외로 배출하는 제1 배출 컨베이어; 및
정 회전 동작시 상기 골재원료를 옥외로 배출하고, 역 회전 동작시 상기 골재원료를 상기 골재생산부로 공급하는 제2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3 배출 컨베이어; 및
상기 세척모래를 옥외로 배출하는 제4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옥내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폐기물처리부와 상기 골재생산부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A waste treatment unit for removing soil from the construction waste and producing aggregate raw material;
An aggregate production unit for producing coarse aggregate and washed sand from the aggregate material; And
And a waste storage part in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to be supplied to the waste treatment part is received,
The waste treatment uni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are installed in the first indoor space,
Wherein the waste storage unit is installed in a second indoor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indoor space,
The waste storage unit may include:
And a supply conveyor for supplying the construction waste to the waste treatment unit,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soil to the outside; And
And a second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outside in a forward rotation operation and supply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aggregate production unit in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The aggregate-
A third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to the outside; And
And a fourth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washed sand outdoors,
And a spray device installed in the first indoor space for spraying water to remove scattered dust generated in the waste treatment part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part.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는 5mm 초과 27mm 이하의 입도를 가지고,
상기 세척모래는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has a particle size of 5 mm or more and 27 mm or less,
Wherein the washed sand has a particle size of 5 mm or less.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건설폐기물 호퍼;
상기 건설폐기물 호퍼로 투입된 건설폐기물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토분 스크린부;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제3 입도 이하로 파쇄하는 건설폐기물 파쇄부; 및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에서 파쇄된 건설폐기물에서 제3 입도 이하의 골재원료를 선별하여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골재원료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A construction waste hopper into which the construction waste is input;
A first toothed screen section for sorting and delivering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the fraction of the first granularity or less from the construction waste input into the construction waste hopper;
A construction waste dismantling unit for disrupting the construction waste filtered by the first toothed screen unit to a third particle size or less; And
Further comprising an aggregate material screen unit for selecting aggregate material having a third particle size or less from the construction waste crushed by the construction waste disintegration unit and discharging the aggregate material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상기 제2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되는 골재원료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first blowe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 wood chips, etc. from the aggregat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creen of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to the second discharge conveyor.
상기 제1 입도는 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particle size is 100 mm.
상기 제3 입도는 2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third grain size is 27 mm.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선별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철편을 자력 선별하는 자력선별장치; 및
상기 자력선별장치를 통해 철편이 제거되고 남겨진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서, 제2 입도 이하의 토분을 선별하여 상기 제1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1 토분 스크린부에서 제1 입도 이하의 토분에 섞여 배출된 건설폐기물을 걸러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제2 토분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A magnetic force sorting device for sorting magnetic pieces of iron pieces in the first and second particle sizes selected from the first toothed screen portions; And
Wherein the slabs of the second granular size or less are discharged to the first discharge conveyor at a fraction of the first granular size or less left behind by removing the iron pieces through the magnetic separator, And a second soil screen unit for filtering the discharged construction waste mixed with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unit.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제2 토분 스크린부에서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에서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lower for removing foreign matter such as vinyl, wood chips, etc. from the construction waste discharged from the screen portion of the second toe to the screen portion of the aggregate raw material.
상기 제2 입도는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second grain size is 20 mm.
상기 폐기물처리부는,
상기 골재원료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건설폐기물을 상기 건설폐기물 파쇄부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aste treatment unit includes:
And a conveying conveyor for conveying the construction waste filtered by the aggregate material screen to the construction waste disposal unit.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폐기물처리부에서 공급되는 골재원료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ggregate-
The washing sand having a particle size less than the fourth particle size is selected and discharged to the fourth discharge conveyor while the washing sand having the fourth particle size or less is separated and left for the concrete, And a first washing sand screen unit for discharging the aggregate to the third discharge conveyor.
상기 제4 입도는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the fourth particle size is 5 mm.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골재원료를 외부에서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로 공급하는 골재원료 호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ggregate-
And a aggregate material hopper for supplying the aggregate material from the outside to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portion.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선별 분리된 세척모래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1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세척모래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 및 탈수하고, 세척 및 탈수된 세척모래를 상기 제4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세척탈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aggregate-
A first wet separator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vinyl, wood chips and the like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in the washing sand sort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And
Further comprising a wash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washing and dewatering water sprayed on the washed sand removed from the first wet separator and for discharging washed and dewatered washing sand to the fourth discharge conveyor Waste disposal facility.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제1 세척모래 스크린부에서 걸러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는 골재원료 파쇄부;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에서 파쇄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비닐, 나무조각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습식 분리기; 및
상기 제2 습식 분리기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면서,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를 선별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배출하고, 상기 제4 입도 이하의 세척모래가 분리되고 남겨진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상기 제3 배출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제3 세척모래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ggregate-
An aggregate material crushing unit for crush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filtered by the first washing sand screen unit;
A second wet separator for removing impurities such as vinyl and wood chips from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crushed by the aggregate material crushing unit using the specific gravity difference; And
The washing sand having a fourth particle size or less is selected and discharged to the first wet separator while water is sprayed on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left after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from the second wet separator, Further comprising a third washing sand screen unit for discharging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separated and left to the third discharge conveyor.
상기 골재원료 파쇄부는,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를 파쇄하고, 상기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에 붙어 있는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임팩트 크러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
21. The method of claim 20,
The aggregate raw material crushing section
And an impact crusher for crushing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and separating the sand attached to the coarse aggregate for concrete.
상기 골재생산부는,
상기 세척탈수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섞인 세척모래를 회수하여 상기 제1 습식 분리기로 공급하는 폐수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 설비.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aggregate-
And a wastewater treatment unit for recovering the washing sand mixed with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and dewatering unit and supplying the collected sand to the first wet separ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623A KR101527173B1 (en) | 2013-08-01 | 2013-08-01 |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623A KR101527173B1 (en) | 2013-08-01 | 2013-08-01 |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790A KR20150015790A (en) | 2015-02-11 |
KR101527173B1 true KR101527173B1 (en) | 2015-06-16 |
Family
ID=5257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623A KR101527173B1 (en) | 2013-08-01 | 2013-08-01 |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717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241A (en) | 2015-07-01 | 2017-01-11 | 주식회사 광산기공 |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sand simultaneous production method from construction waste |
KR20170004244A (en) | 2015-07-01 | 2017-01-11 | 주식회사 광산기공 |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in the recyled aggregate of wast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KR20200126615A (en) *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al separ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dewatering screen of the aggrega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8365A (en) * | 2000-05-02 | 2000-10-05 | 박종철 |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
KR100434799B1 (en) * | 2004-02-05 | 2004-06-09 |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 The Method of Production for Recycling Sand using Construction Waste and Apparatus thereof |
KR20060019408A (en) * | 2004-08-27 | 2006-03-03 | 안성국 | A device for manufacturing of an aggregate and soil using construction waste |
-
2013
- 2013-08-01 KR KR1020130091623A patent/KR10152717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8365A (en) * | 2000-05-02 | 2000-10-05 | 박종철 |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
KR100434799B1 (en) * | 2004-02-05 | 2004-06-09 |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 The Method of Production for Recycling Sand using Construction Waste and Apparatus thereof |
KR20060019408A (en) * | 2004-08-27 | 2006-03-03 | 안성국 | A device for manufacturing of an aggregate and soil using construction wast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241A (en) | 2015-07-01 | 2017-01-11 | 주식회사 광산기공 |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sand simultaneous production method from construction waste |
KR20170004244A (en) | 2015-07-01 | 2017-01-11 | 주식회사 광산기공 |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in the recyled aggregate of wast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KR20200126615A (en) *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al separ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dewatering screen of the aggrega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KR102197340B1 (en) | 2019-04-30 | 2020-12-31 | 장동혁 | A metal separ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settling tank and the dewatering screen of the aggregate water treatmen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790A (en) | 2015-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03653B2 (en) | Material recovery system | |
KR100235319B1 (en) | Recycling techniques of construction waste meterial | |
CN110813483A (en) | Construction waste crushing and sorting treatment system | |
KR100497318B1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e sand exploiting construction waste concrete | |
KR100850762B1 (en) | Dust seperating method and the apparatus using improved structure of motor-screen | |
KR100582847B1 (en) | Sel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 |
CN110248742B (en) | Production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of circulating aggregate | |
JP3052126U (en) |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equipment | |
CN109250938A (en) | A kind of regeneration activity powder and its method and apparatus by building waste preparation | |
KR20170004241A (en) | Recycled aggregate and recycled sand simultaneous production method from construction waste | |
KR100358687B1 (en) | The constructive recycling methods and instruments of Reclaimed waste. | |
KR101527173B1 (en) | Equipments for treating construction waste | |
KR20020050185A (en) | The method to manufacture break to sand by construction waste | |
KR100574675B1 (en) | Separating method for remaking building waste | |
KR10066014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dried sand | |
KR100810161B1 (en) | The method and apparatus to seperate moltar and paste from materials of construction waste | |
KR100506369B1 (en) | a device for selection and crushing/fine crush of wastes construction | |
KR20040104058A (en) | 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ggregate of good quality using waste materials for construction work | |
KR100633765B1 (en) | Separating method for remaking building waste | |
KR200311094Y1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e sand exploiting construction waste concrete | |
KR20030078844A (en) | Treatment Apparatus of Construction Waste Articles | |
JP5617164B2 (en) | Limestone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system | |
KR100516357B1 (en) | wet and dry type Manufacturing method of aggregate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material | |
JPH0411478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eating concrete waste | |
KR20050051428A (en) | Method of regenerating sand utilizing waste concrete and an apparatus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