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165B1 -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 Google Patents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165B1
KR101527165B1 KR1020130077385A KR20130077385A KR101527165B1 KR 101527165 B1 KR101527165 B1 KR 101527165B1 KR 1020130077385 A KR1020130077385 A KR 1020130077385A KR 20130077385 A KR20130077385 A KR 20130077385A KR 101527165 B1 KR101527165 B1 KR 10152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exposure
domain
polarized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203A (en
Inventor
신교직
이상국
최경호
강주희
양시열
정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165B1/en
Priority to PCT/KR2013/010740 priority patent/WO2015002353A1/en
Priority to US14/888,924 priority patent/US10247868B2/en
Priority to JP2016518251A priority patent/JP6150941B2/en
Publication of KR2015000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2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막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된 제1 도메인과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된 제2 도메인을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위상패턴을 갖는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a)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광반응제를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반응층을 노광하여 스트라이프 타입의 제1 도메인과 제2 도메인이 교대로 연속하는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되고, 상기 제2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ed retarder having a first and a second phase pattern by forming a first domain optically orient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omain optically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by irradiating a polarizing pulse UV onto the alignment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reparing a substrate; (b) forming a photoreactive layer by applying a photoreactive agent on the substrate; And (c) exposing the photoreactive layer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in which stripe-type first domains and second domains are alternately continuous, wherein the first domain is a first domain by a polarization pulse UV, And the second domain is optically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by a polarizing pulse UV.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ation pulse UV.

Description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본 발명은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향막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된 제1 도메인과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된 제2 도메인을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위상패턴을 갖는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by forming a first domain optically orient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omain optically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by irradiating a polarizing pulse UV onto the orientation film ,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 reliader having first and second phase patterns.

액정 패널 제조 기술의 진보에 따라, 액정 표시 소자는 광정보 처리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With advances in liquid crystal panel manufacturing technolog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종래의 경우, 중소형 디스플레이에서 응용되고 있는 액정 표시 소자로서 TN(Twisted Nematic) 표시 방법이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데, 이는 두 기판에 각각 전극을 설치하고 액정 방향자가 90도 트위스트 되도록 배열한 다음,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 방향자를 구동하는 기술이다.TN (Twisted Nematic) display method is most widely appli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pplied to small and medium-sized displays in the related art. In this case, electrodes are arranged on two substrates, liquid crystal directors are twisted at 90 degrees, And applying a voltage to drive the liquid crystal director.

TN 방식 액정표시소자는 우수한 콘트라스트(contrast)와 색상 재현성을 제공하는데, 그 중에서도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의 장축을 상하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VA; Vertical alignment) 모드 액정표시소자는 대비비가 커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TN 방식 액정표시소자는 시야각이 좁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The TN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s excellent contrast and color reproducibility. Among them, the TN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vertical alignment (VA) mode in which long axes of liquid crystal molecules are vertically aligned with the upper and lower display plates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are in the spotlight because of their large contrast ratio. However, the T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viewing angle is narrow.

이러한 TN 방식의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배향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절개부를 적용한 PVA 모드(Patterned Verticlally Aligned Mode)와, 하나의 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횡전계로 액정의 방향자를 조절하는 IPS 모드(In-Plane Switching Mode)가 도입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viewing angle problem of the TN mode, there are a PVA mode (Patterned Vertically Aligned Mode) in which a cutout is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a vertical alignment mode, and a method of forming two electrodes on one substrate, An IPS mode (In-Plane Switching Mode) was introduced to control the director of the liquid crystal by the transverse electric field.

이후에는, 상기 IPS 모드의 낮은 개구율 및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대전극과 화소전극을 투명전도체로 형성하면서 상대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상기 상대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분자를 동작시키는 FFS 모드(Fringe Field Switching Mode)가 대두되었다.Thereafter, in order to improve the low aperture ratio and transmittance of the IPS mode, a counter electrode and a pixel electrode are formed as transparent conductors while a gap between the counter electrode and the pixel electrode is narrowed, A FFS mode (Fringe Field Switching Mode) for operating liquid crystal molecules by a fringe field has been developed.

한편, FFS 모드의 광효율이 TN 모드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FIS 모드가 개발되었는데, 종래의 FFS 모드에서 화소 전극 간의 낮은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한 전압 인가 방식으로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액정표시소자를 이룰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light efficiency of the FFS mode does not reach the TN mode, the FIS mode has been developed. In addition, not only can the low transmittance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be improved in the conventional FFS mode, So tha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low voltage driving can be obtained.

또한, 이들 각각의 모드는 고유한 액정 배열과 광학 이방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들 액정 모드의 광학 이방성으로 인한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모드에 대응하는 광학 이방성의 광 위상차 필름이 요구된다. 광 위상차 필름은 LCD의 색보상 필름으로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고파장 분산화, 광시야각화, 온도보상, 고위상차값 필름 등 보다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Each of these modes has a unique liquid crystal arrangement and optical anisotropy.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the retardation due to the optical anisotropy of these liquid crystal modes, optical anisotropic optical retardation film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des are required. The optical phase difference film has been developed as a color compensation film of an LCD, but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such as high wavelength dispersion, wide viewing angle,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high retardation film have been required.

최근에는 입체성을 가져 더욱 실감나는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즉, 3D 영상 구현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대됨으로써, 이에 부응하여 3D 영상 표현이 가능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evelop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xpressing a realistic image due to stereoscopic effect, that i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3D image display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demand of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3D image.

일반적으로 3D를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3D 영상 구현 표시 장치가 제안되었다.In general, stereoscopic images expressing 3D are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scopic vision through two eyes. Using the binocular disparity that appears because the time difference of the two eyes, that is, the two eyes are separated by about 65 mm A 3D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has been proposed.

일반적인 3D 영상 구현 표시 장치는 크게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와, 액정 표시 장치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와,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패턴드 리타더를 통과하여 나오는 화상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안경으로 구성되고 있다.A typical 3D image realization display device mainly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 patterned retard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image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rough the pattern drifter And optically transmissive glasses.

이때, 패턴드 리타더는 액정 표시 장치로부터 나오는 2D 화상 중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에 대해 서로 다른 위상값을 갖도록, 예컨대 좌안용 화상에 대해서는 좌원편광 되도록 하고 우안용 화상에 대해서는 우원편광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각도로 광배향된 멀티도메인(multi-domain)의 형성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패턴드 리타더 및 그 제조방법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5631호(특허문헌 1) 등 다수의 출원이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patterned retarder is set to have a different phase value for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out of the 2D images coming from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to be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for the left eye image and rightward circularly polarized light for the right eye image And this requires the formation of optically oriented multi-domains at different angles. Regarding such a pattern relia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 number of applications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035631 (Patent Document 1) and the like are disclosed.

액정을 배향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리 등의 기판에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분자 막을 도포하고, 이 표면을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섬유로 일정한 방향으로 문지르는 접촉식 러빙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접촉식 러빙 방법에 의한 액정 배향은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액정의 배향 성능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섬유질과 고분자막이 마찰될 때 미세한 먼지나 정전기(electrostatic discharge; ESD)가 발생하여 기판이 손상될 수 있고, 공정시간의 증가 및 유리의 대형화로 인해 롤(roll)이 대형화됨에 따라, 러빙 강도(rubbing strength)의 불균일 등 공정상의 어려움으로 액정 패널 제조시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다.A contact rubbing method of applying a polymer film such as polyimide to a substrate such as glass and rubbing the surface with fibers such as nylon or polyester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s used as a conventional method of orienting the liquid crystal.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by the contact type rubb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advantageous in that a simple and stable alignment performance of liquid crystal can be obtained. However, when the fibers and the polymer film are rubbed, fine dust or electrostatic discharge (ESD) As the rolls become larger due to an increase in the process time and the enlargement of the glass, the process difficulties such as unevenness of rubbing strength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panel.

상기와 같은 접촉식 러빙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방법의 비접촉식 배향막의 제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비접촉식 배향막의 제조방법으로는 광배향법, 에너지빔 배향법, 증기증착 배향법, 리쏘그래피를 이용한 식각법 등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tact type rubb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 new non-contact type alignment film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e non-contact alignment layer may be formed by photo-alignment, energy beam alignment, vapor deposition alignment, or lithography.

특히 광배향법이란, 선편광된 UV에 의해서 광반응성 고분자에 결합된 광반응 물질이 광반응(광이성화, 광이량화, 광분해)을 일으켜 일정한 배열을 하게 됨으로써 결국 액정이 배향되는 광중합형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을 말한다.In particular, the photo-alignmen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hotoreactive material (optical isomerization, photo-dimerization, photodecomposition) caused by linearly polarized UV is bonded to a photoreactive polymer to form a uniform arrangement and thereby a liquid-crystal alignment film .

이를 위해서는 선편광 자외선을 조사할 때, 광반응성 물질이 편광방향에 따라 일정한 방향과 각도로 배열되는 특성이 있어야 하며, 반응성 액정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액정배향이 잘 이루어지도록 반응성 액정과의 매칭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광배향막을 형성하는 광배향 물질은 인쇄성, 배향안정성,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좋아야 한다.For this purpose, when irradiating linearly polarized ultraviolet light, the photoreactive material should be arrang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angle according to the polarization direction, and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with the reactive liquid crystal should be well matched with the reactive liquid crystal . In particular, the photo alignment material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should have goo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rintability, orientation stability, and thermal stability.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 반응으로는 신나메이트, 쿠마린, 샬콘, 스틸벤, 디아조 등의 광 중합(광이량화) 반응, 시스-트랜스 이성질화의 광 이성화 반응, 및 분해의 분자사슬 절단 등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한 분자 광 반응을 적절한 배향막 분자의 설계와 자외선 조사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액정 배향에 응용한 사례들이 있다. Photochemical reaction (light dimerization) of cinnamate, coumarin, chalcone, stilbene, diazo, etc., optical isomerization reaction of cis-trans isomerization and molecular chain cleavage of decomposition It is known.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molecular light reaction by ultraviolet rays is applied to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by ultraviolet ray irradiation through designing suitable alignment film molecules and optimizing ultraviolet ray irradiation conditions.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23213호(특허문헌 2)에서는, 러빙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직선 편광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액정 배향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배향막의 제조방법 및 그 액정 배향막을 갖는 액정 표시 소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광배향법 관련 특허는 특히, LCD 산업과 관련이 있는 일본, 한국, 유럽, 미국 등에서 다수 출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초기 아이디어가 도출된 이후, 일부 양산중이기는 하나 산업계 전반적으로 널리 적용되지는 못하고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23213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characterized by imparting liquid crystal aligning ability by linearly polarized ultraviolet irradiation without rubbing treatmen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ving the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These patents related to the photo-alignment method have been filed in many cases in Japan, Kore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related to the LCD industry. However, after the initial idea has been derived, some of it is still in production,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in industry as a whole.

이는 상기 광 반응으로 단순한 액정 배향을 유도하는 것은 가능하나, 외부의 열, 빛, 물리적인 충격 및 화학적인 충격 등의 측면에서 안정적인 배향 특성을 유지하거나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광배향법은 러빙 방법에 비해 생산성 또는 신뢰성이 낮다. 이러한 문제점의 주요 원인으로는 러빙 방법에 비해 낮은 배향 규제력(anchoring energy), 낮은 액정의 배향 안정성 등이 있다.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induce a simple liquid crystal alignment by the photoreaction but it does not maintain or provide stable orientati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external heat, light, physical impact and chemical impact. That is, the photo alignment method has lower productivity or reliability than the rubbing method. The main causes of these problems are lower anchoring energy and lower liquid crystal alignment stability than the rubbing method.

KRKR 10-2013-003563110-2013-0035631 AA (2013.04.09(2013.04.09 공개)open) KRKR 10-042321310-0423213 B1B1 (2004.03.04(March 4, 2004 등록)Enrollm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편광 펄스 UV를 이용하여 광배향 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광배향의 효율성 극대화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tterning method using a polarizing pulse UV, which has an effect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photo- And to provide a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a)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광반응제를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반응층을 노광하여 스트라이프 타입의 제1 도메인과 제2 도메인이 교대로 연속하는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되고, 상기 제2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reparing a substrate; (b) forming a photoreactive layer by applying a photoreactive agent on the substrate; And (c) exposing the photoreactive layer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in which stripe-type first domains and second domains are alternately continuous, wherein the first domain is a first domain by a polarization pulse UV, And the second domain is optically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by a polarizing pulse UV.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ation pulse UV.

여기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광반응층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전면 노광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광반응층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되,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도메인에 대응되는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에 대응되는 영역만 부분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tep (c)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c-1) irradiating the photoreactive layer with a polarizing pulse UV polarized in a first direction to perform a front exposure; And (c-2) irradiating the photoreactive layer with a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a second direction, block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using a photomask, and removing only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And partially exposing the substrate.

또한, (d) 2차 노광된 상기 광배향층 위에 반응성 액정을 도포 및 건조한 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D) applying, drying and curing the reactive liquid crystal on the secondarily exposed photo alignment layer.

이때, 상기 편광 펄스 UV는 0.1mJ/pulse ~ 500J/pulse 에너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larizing pulse UV preferably has an energy of 0.1 mJ / pulse to 500 J / pulse.

또한, 상기 편광 펄스 UV는 1Hz ~ 60Hz로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olarizing pulse UV is irradiated at 1 Hz to 60 Hz.

또한, 상기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은 1kV ~ 4kV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1 kV to 4 kV.

또한, 상기 편광 펄스 UV에 의한 노광시간은 0.1초 ~ 10.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ure time by the polarizing pulse UV is 0.1 sec to 10.0 sec.

또한, 상기 (c-2) 단계에서의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가, 상기 (c-1) 단계에서의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step (c-2) are larger than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step (c-1).

아울러, 상기 편광 펄스 UV에 의한 노광거리는 0.5cm ~ 10.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exposure distance by the polarizing pulse UV is preferably 0.5 cm to 10.0 c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에 의하면, 편광된 펄스 UV를 이용하여 노광 공정에 의한 멀티 도메인 형성 시간 단축과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므로, 생산성 향상 및 대량 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tterned retarder using the polarized pulse UV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formation time of the multi-domain by the exposure process and reduce the energy by using the polarized pulse UV, It is easy to produ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
도 3은 일반 UV와 펄스 UV의 피크 파워를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5는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비교한 그래프.
도 6은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7은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8은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11은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13은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14는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5는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
도 16은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프리틸트각을 비교한 그래프.
도 17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45°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18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45°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그래프.
도 19는 편광 펄스 UV 노광시 0°/90°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
도 20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90°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그래프.
1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process chart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comparing peak power of general UV and pulse UV.
FIG. 4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of general UV and pulse UV. FIG.
FIG. 5 is a graph comparing the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diagrams of the photo-alignment layers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of the general UV and the pulse UV.
6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retardation of a photo alignment layer with exposure time of general UV and pulse UV.
7 is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photograph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8 is a graph showing a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diagram of the photo-alignment layer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9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phase difference of the photo alignment layer depending on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FIG. 10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by frequency and frequency of a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1.5 cm. FIG.
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of the photo-alignment layer by frequency and pulse voltage of th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1.5 cm. FIG.
12 is a graph comparing the phase difference of the photo-alignment layer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of the pulse UV and the frequency of the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1.5 cm.
Fig. 13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by frequency and frequency of pulsed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0 cm. Fig.
14 is a graph showing a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diagram of a photo-alignment layer by frequency and a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0 cm.
FIG. 15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phase difference of the photo-alignment layer by the flash voltage and the frequency at the exposure distance of 7.0 cm.
16 is a graph comparing pre-tilt angles according to exposure time of general UV and pulse UV.
FIG. 17 is a polarized light micrograph of a comparison of the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 0 ° / 45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 pulse UV exposure. FIG.
18 is a graph comparing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 0 ° / 45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 pulse UV exposure.
FIG. 19 is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photograph comparing the orientation properties according to the 0 ° / 90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 pulse UV exposure. FIG.
FIG. 20 is a graph comparing orientations according to a 0 ° / 90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 pulse UV exposure. FIG.

이하, 본 발명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exemplification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that include components replaceable as equivalents in the ele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의 단계별 공정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illustrate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C.

기판 준비 단계(Substrate preparation step ( S10S10 ):):

표면에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10)을 준비한다. 기판(1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유리(glass) 기판, 필름, 플렉서블 기판 등 투명한 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름은 TAC(tri-acetate cellulose), COP(cyclo olefin polymer), COC(cyclic olefin copolymer), PVA(poly vinyl alcohol), PC(poly carbonat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S(polystyrene), PI(poly im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EEK(polyetheretherket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 substrate 10 for forming a multi-domain on the surface is prepared. The substrate 10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as required,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such as a glass substrate, a film, and a flexible substrate. In this case, the film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acetate cellulose (TAC), cyclo olefin polymer (COP),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 vinyl alcohol (PVA), polycarbonate (PC), poly 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PES (polyethersulfone), PS (polystyrene), PI (polyimide), polyarylate, and PEEK (polyetheretherketone).

한편, 기판(10)은 멀티 도메인(multi-domain) 패턴 형성을 위한 포토마스크(photo-mask)(4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bstrate 10 may include a photo-mask 40 for forming a multi-domain pattern.

광반응층The photoreactive layer 형성 단계( Formation step ( S20S20 ):):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기판(10)의 표면에 광반응제를 도포하여 배향막인 광반응층(20)을 형성한다. 여기서, 광반응제는 예를 들어 신나메이트(cinnamate), 샬콘, 쿠말린, 스틸벤, 디아조 등의 광 반응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polyvinyl), 폴리실록산(polysiloxane), 폴리아크릴(polyacryl)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a photoreactive layer 20 is formed by applying a photoreactive agent to the surface of the prepared substrate 10. Herein, the photoreactive agen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imide, polyvinyl, polysiloxane, poly (vinylidene fluoride), poly And may be made of a polyacrylic material.

편광 펄스 Polarized pulse UVUV 조사에 의한 멀티 도메인 형성 단계( Multi domain formation step by irradiation ( S30S30 ):):

기판(10) 상의 광반응층(20)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의 제1 도메인(31)과 제2 도메인(32)이 교대로 연속하는 광배향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도메인(31)은 제1 방향(예컨대, 0°)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배향되고, 제2 도메인(32)은 제2 방향(예컨대, 45° 또는 90°)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배향된다.The photoactive layer 20 on the substrate 10 is irradiated with a polarizing pulse UV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30 in which stripe type first domain 31 and second domain 32 alternate with each other, . At this time, the first domain 31 is oriented in a first direction by a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a first direction (e.g., 0 占 and the second domain 32 is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Is polariz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polarized pulse UV.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반응층(20)의 전체 면적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반응층(20)이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된 상태를 갖는 제1 도메인(31)을 이루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2B, a polarizing pulse UV polarized in a first direction is applied to the entire area of the photoreactive layer 20 so that the photoreactive layer 2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o form a first domain 31 having a photo-aligned state.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빛의 투과영역(TA)과 차단영역(BA)을 갖는 포토마스크(photo-mask)(40)를 위치시키고, 포토마스크(40)의 상부에서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기판(10) 방향으로 수직하게 조사한다. 이때, 제1 도메인(31)을 이루는 광반응층(20)에서 포토마스크(40)의 투과영역(TA)에 대응되는 영역이 부분적으로 노광되어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된 상태를 갖는 제2 도메인(32)을 이루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2C, a photo-mask 40 having a light transmission area TA and a blocking area BA is placed on the substrate 10, The polarizing pulse UV polarize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above is radiated perpendicularly to the substrate 10. At this time, in the photoresponsive layer 20 constituting the first domain 31,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ve region TA of the photomask 40 is partially exposed and the second domain having a photo-oriented state in the second direction (32).

즉, 광반응층(20)은 편광 펄스 UV에 의한 전면 노광 단계와 부분 노광 단계를 거쳐, 제1 방향으로 배향된 제1 도메인(31)과 제2 방향으로 배향된 제2 도메인(32)이 교대로 연속하는 광배향층(30)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hotoreactive layer 20 is exposed to the first domain 31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omain 32 in the second direction through the front exposure step and the partial exposure step with the polarizing pulse UV Thereby forming the optical alignment layer 30 alternately continuous.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광반응층(20)의 전면 노광과 포토마스크(40)를 이용한 부분 노광에 의해, 광배향층(30)에 서로 다른 배향을 갖는 제1 도메인(31)과 제2 도메인(32)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멀티 도메인을 갖는 광배향층(30)의 형성 방법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first domain 31 and the second domain 31 having different orientations in the photo alignment layer 30 are formed by the front exposure of the photoreactive layer 20 and the partial exposure using the photomask 40 32 are formed.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multi-domain photo-alignment layer 30 may be variously performed.

예를 들어, 제1 도메인(31)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TA)으로 하고, 제2 도메인(32)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BA)으로 하는 제1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1차 노광한 후, 제1 도메인(31)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BA)으로 하고, 제2 도메인(32)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TA)으로 하는 제2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2차 노광함으로써 멀티 도메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first photomask is formed by using a first photomask in which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31 is a transmissive region TA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32 is a blocking region BA, After the exposure, a second photomask is formed by using a second photomask in which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31 is the blocking region BA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32 is the transmissive region TA, A multi-domain can also be formed by exposure.

또한,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로, 먼저 부분 노광에 의해 제1 도메인(31)을 형성하고, 이후 전면 노광에 의해 제2 도메인(32)을 형성하는 방법도 있다.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B and 2C, there is also a method of first forming the first domain 31 by partial exposure, and then forming the second domain 32 by front exposure.

그러나, 제1 포토마스크와 제2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공정성이 떨어지고, 부분 노광 후 전면 노광하여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2b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배향성이 낮다. 이에 대하여는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However, the method of forming the multi-domain using the first photomask and the second photomask has a lower processability than that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B and 2C,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multi-domains by the whole exposure after the partial exposure The orientation is lower tha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B and 2C.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7 to 20.

도 3은 일반 UV와 펄스 UV가 1200 Watt-seconds의 동일한 에너지로 조사될 때의 피크 파워 및 조사시간을 비교하고 있다.FIG. 3 compares the peak power and the irradiation time when the normal UV and the pulse UV are irradiated with the same energy of 1200 Watt-secon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은, 멀티 도메인 형성을 위한 노광시 편광 펄스 UV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tterned retarder using a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using a polarizing pulse UV in exposure for forming a multi-domain.

즉, 종래의 광배향법에서는 일정한 에너지를 가진 UV(Ultra Violet; 자외선)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 조사되는 방법을 취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펄스(pulse) 형태로 고에너지를 가지는 UV가 조사된다. 이러한 펄스 UV는 매우 짧은 시간만 조사되며,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냉각된다. 즉, 듀티 사이클(duty cycle; 펄스가 켜져 있는 시간 / 펄스가 반복되는 총 시간 × 100(%))이 1% 미만의 매우 작은 값을 가지므로, 전체적으로 UV 조사시간이 짧고 냉각시간이 길며, 따라서 펄스 UV 조사 공정 중에 열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onventional photo alignment method, UV (Ultra Violet) having a constant energy is continuously irradia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UV having a high energy is irradiated in a pulse form. These pulsed UVs are only irradiated for a very short time and are cool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at is, the UV irradiation time is short and the cooling time is long as a whole because the duty cycle (the time at which the pulse is turned on / the total time at which the pulse is repeated × 100 (%)) has a very small value of less than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heat is not generated during the pulse UV irradiation process.

도 3을 참조하면, 10Watts의 피크 파워(peak power)를 가진 일반 UV의 경우 120초 동안 조사되는 반면에, 펄스 폭(pulse width)이 1밀리초(milisecond)이고 100,000Watts의 피크 파워를 가진 펄스 UV는 12초 동안 12개의 펄스(멀티플 펄스)로 조사되고, 펄스 폭이 3밀리초이고 400,000Watts의 피크 파워를 가진 펄스 UV는 하나(싱글 펄스)의 펄스로 조사된다. 즉, 일반 UV에 비해 펄스 UV는 극히 짧은 시간에 동일한 에너지를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a typical UV with a peak power of 10 Watts is irradiated for 120 seconds, while a pulse having a pulse width of 1 millisecond and a peak power of 100,000 Watts The UV is irradiated with 12 pulses (multiple pulses) for 12 seconds, and the pulse UV with a pulse width of 3 milliseconds and a peak power of 400,000 Watts is irradiated with one (single pulse) pulse. That is, the pulse UV can irradiate the same energy in a very short time compared with the general UV.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광 펄스 UV는 펄스 폭 20 마이크로초 이하, 초당 1~60Hz의 파형으로 0.1mJ/pulse ~ 500J/pulse로 조사될 수 있으며, 따라서 멀티 도메인 형성을 위한 광배향시 광 조사시간의 단축에 의한 공정시간의 단축과, 이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때,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은 1kV ~ 4kV이고, 노광시간은 0.1초 ~ 10.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arizing pulse UV can be irradiated with a pulse width of 20 microseconds or less and a waveform of 1 to 60 Hz per second with a pulse width of 0.1 mJ / pulse to 500 J / puls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processing time by shortening the irradiation time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this. At this time,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preferably 1 kV to 4 kV, and the exposure time is preferably 0.1 second to 10.0 second.

한편, 발광 램프는 대상체의 표면과 거리가 멀어질수록, 램프 중심부와 대응하는 지점의 광도와 그 주변부의 광도차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광배향시 UV램프로부터 발산되는 UV광의 광도와 균일도는 기판과 가까울수록 우수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기판이 직접적으로 받는 열 변형 때문에 최소한의 노광거리를 유지하여야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10~15cm 정도의 노광거리를 확보하게 되는데, 이 경우 기판에 조사되는 UV광의 중심부와 주변부의 균일도는 약 30% 정도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luminescent lamp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lamp and the peripheral portion thereof becomes more significant as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increases. Therefore, the intensity and uniformity of the UV light emitted from the UV lamp at the time of light distribution are better as the distance is closer to the substrate, but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minimum exposure distance has to be maintained due to thermal deformation directly received by the substrate. Generally, an exposure distance of about 10 to 15 cm is secured. In this case, the uniformity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V light irradiated to the substrate is about 30%.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펄스 UV를 조사하는 경우에는, 열 발생이 거의 미미하므로 기판 표면에 열적인 영향을 주지 않게 되며, 따라서 최대한 기판의 표면에 근접하여 펄스 UV를 조사함으로써 UV광의 균일도를 거의 100%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는 0.5cm ~ 10.0cm 인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case of irradiating the pulsed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eat generation is almost insignifican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not thermally affected, and therefore, by irradiating the pulsed UV as close as possible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uniformity can be maintained at almos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preferably 0.5 cm to 10.0 cm.

또한, 편광 펄스 UV는 초단시간에 순간적인 펄스파를 조사하므로, 광배향시 강한 침투력을 갖는다. 그 결과, 편광 펄스 UV는 광반응층이 두꺼운 후막(tick layer)도 고르게 광배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larizing pulse UV irradiates an instantaneous pulse wave at the initial time, it has a strong penetrating power at the time of light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polarizing pulse UV can uniformly orient the thick layer of the photoreactive layer evenly.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편광 펄스 UV 램프에 의할 경우 종래의 아크방전 UV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전력 사용량을 80% 이상 저감시킬 수 있다. 편광 펄스 UV는 순간적인 UV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사용량이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In terms of cost, the use of a polarized pulse UV lamp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80% or m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arc discharge UV lamp. Because the polarization pulse UV uses instantaneous UV energy,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게다가, 편광 펄스 UV는 순간적인 ON/OFF 기능이 가능하여, 공정 흐름상 UV 조사가 불필요할 경우 UV 램프를 OFF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으며 셔터와 같은 별도의 개폐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울러, 종래의 일반 UV를 이용한 광배향시 사용되는 콜드미러, 핫미러 등의 소모품 교체 비용이 들지 않게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ing pulse UV can instantaneously turn on / off the function, the UV lamp can be turned off when the UV irradiation is not required in the process flow, so that the energy saving effect is achieved and a separ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such as a shutter is not required .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replace consumables such as a cold mirror and a hot mirror, which are used for conventional light conversion using general UV,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economy.

일반 편광 General polarization UVUV 와 편광 펄스 And a polarizing pulse UVUV 사용시 노광시간에 따른  Depending on the exposure time 배향성Orientation 비교 compare

일반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노광시간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액정 셀을 제작하여 이용하였다.A liquid crystal cell was prepared and used as follows to compare the alignmen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xposure times in the case of forming a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on with normal UV and the case of forming a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on with a pulse UV.

먼저, 기판으로는 유리(glass) 기판 또는 트리아세테이트(TA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광배향 물질을 1% MEK/톨루엔(toluene) 유기용제에 녹인 광반응제를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시켰다.First, a glass substrate or a triacetate (TAC) substrate was used as a substrate, and a photoreactive material dissolved in a 1% MEK / toluene organic solvent was coat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reactive layer / RTI >

이후, 일반 편광 UV와 편광 펄스 UV를 각각 0.1초 ~ 0.4초 동안 노광거리 7cm로 광반응층에 조사하여 기판 상에 광배향층을 형성시켰으며, 반응성 액정을 12% 톨루엔 유기용제에 녹여 도포 및 건조하였다.Then, the photo-reactive layer was irradiated with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the polarized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 cm for 0.1 second to 0.4 second, respectively,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on the substrate. The reactive liquid crystal was dissolved in a 12% toluene organic solvent, And dried.

이때, 일반 편광 UV는 10.5mW/㎠의 파워 밀도(power density)로 조사되었으며, 편광 펄스 UV는 플래시 전압 3kV, 주파수 50Hz로 조사되었다.At this time, the general polarized UV was irradiated at a power density of 10.5 mW / cm 2, and the polarized pulse UV was irradiated at a flash voltage of 3 kV and a frequency of 50 Hz.

도 4는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편광 광학 현미경(POM; Polarized Optical Microscopes) 사진이고, 도 5는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6은 일반 UV와 펄스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4 is a polarized optical microscope (POM) photograph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of the general UV and pulse UV, and FIG. 5 is a graph comparing the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of the photo alignment layer with the exposure time of the general UV and the pulse UV And FIG. 6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retardation of the photo alignment layer with exposure time of general UV and pulse UV.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편광 UV를 조사한 경우와 편광 펄스 UV를 조사한 경우 모두 노광시간이 증가할수록 미배향 분포도가 감소하여 블랙 이미지(black image)와 화이트 이미지(white image)가 선명하게 나타났다.As shown in FIG. 4,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s in both the case of irradiating with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the case of irradiating with the polarizing pulse UV, the black image and the white image are clearly visible .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편광 UV를 조사한 경우에는 노광시간이 0.4초에 이르러서야 미배향 분포도가 1% 이하로 떨어지는 반면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한 경우에는 0.2초의 노광시간에서도 미배향 분포도가 1% 이하로 떨어지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 이미지와 화이트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났다.However, as shown in FIG. 5, in the case of irradiation with the general polarized UV, the field distribution is lowered to 1% or less when the exposure time reaches 0.4 seconds, whereas when the polarized pulse UV is irradiated, The orientation distribution degree dropped to 1% or les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black image and the white image were clear.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 광배향 속도의 향상에 의해 광배향 공정 시간을 약 50% 단축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ng the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photo alignment process time is reduced by about 50% by the improvement of the photo alignment speed.

또한, 일반 편광 UV에 의하면 미배향 분포도가 1% 이하로 나타날 때까지 0.4초 동안 노광 에너지가 5.0mJ/㎠ 소요된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0.2초 동안 3.2mJ/㎠의 노광 에너지가 소요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종래에 비해 약 36%의 노광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polarized UV, the exposure energy is 5.0 mJ / cm 2 for 0.4 second until the degree of the unoriented distribution becomes 1% or less, while the polarizing pulse UV is irradia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energy of 3.2 mJ / cm 2 was required for 0.2 seco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ure energy saving effect is about 36%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아울러, 도 6은 일반 편광 UV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편광 펄스 UV를 사용할 때 더욱 빠른 시간 내에 위상차가 일정 범위(예컨대, 125nm±10nm)로 수렴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더 단시간에 배향이 이루어짐을 가리킨다.
6 shows that the retardation converges to a certain range (for example, 125 nm +/- 10 nm) within a shorter time when the polarizing pulse UV is u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general polarized UV, .

편광 펄스 Polarized pulse UVUV 사용시  When using 노광거리에At the exposure distance 따른  Following 배향성Orientation 비교 compare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노광거리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액정 셀을 제작하여 이용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alignmen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in the case of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ng the polarizing pulse UV, the following liquid crystal cell was prepared and used.

먼저, 기판으로는 유리(glass) 기판 또는 트리아세테이트(TA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광배향 물질을 1% MEK/톨루엔(toluene) 유기용제에 녹인 광반응제를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시켰다.First, a glass substrate or a triacetate (TAC) substrate was used as a substrate, and a photoreactive material dissolved in a 1% MEK / toluene organic solvent was coat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reactive layer / RTI >

이후, 노광거리를 각각 1.5cm, 3cm, 4cm, 7cm로 달리하면서, 노광시간 0.1초의 가혹조건으로 편광 펄스 UV를 광반응층에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시켰으며, 반응성 액정을 12% 톨루엔 유기용제에 녹여 도포 및 건조하였다.Then, the photo-reactive layer was formed by irradiating the photo-reactive layer with a polarizing pulse UV under a severe condition of exposure time of 0.1 sec while varying the exposure distance by 1.5 cm, 3 cm, 4 cm, and 7 cm, respectively. The reactive liquid crystal was immersed in 12% Dissolved in a solvent, and dried.

이때, 편광 펄스 UV는 플래시 전압 3kV, 주파수 50Hz로 조사되었다.At this time, the polarizing pulse UV was irradiated with a flash voltage of 3 kV and a frequency of 50 Hz.

도 7은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8은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7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and FIG. 8 is a graph showing a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diagram of the photo alignment layer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는 UV 램프와 노광면(광반응층) 사이의 노광거리가 가까울수록 미배향 분포도가 작고 블랙 이미지와 화이트 이미지가 선명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노광거리가 멀수록 미배향 분포도가 증가하면서 블랙 이미지와 화이트 이미지의 선명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노광거리가 7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광거리 증가에 따른 미배향 분포도의 변화가 미미하였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loser the exposure distance between the UV lamp that irradiates the polarizing pulse UV and the exposure surface (the photoreactive layer), the smaller the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and the clearer the black image and the white image. On the other hand, as the exposure distance increases, the sharpness of the black image and the white image decreases as the distribution of the unidirectional orientation increases. When the exposure distance exceeds 7 cm, the variation of the unidirectional distribution with the exposure distance increases is small.

도 9는 편광 펄스 UV의 노광거리에 따른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노광거리의 증가에 따라 위상차가 일정 기울기로 감소함을 볼 수 있다.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phase difference change of the photo alignment layer according to the exposure distance of the polarizing pulse UV,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difference decreases with a certain slope as the exposure distance increases.

편광 펄스 Polarized pulse UVUV 사용시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When using flash by voltage, by frequency 배향성Orientation 비교 compare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편광 펄스 UV광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배향성을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액정 셀을 제작하여 이용하였다.In the case of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ng the polarizing pulse UV, a liquid crystal cell was prepared and used as follows to compare the orientation of the polarized pulse UV light with respect to the flash voltage and frequency.

먼저, 기판으로는 유리(glass) 기판 또는 트리아세테이트(TA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광배향 물질을 1% MEK/톨루엔(toluene) 유기용제에 녹인 광반응제를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시켰다.First, a glass substrate or a triacetate (TAC) substrate was used as a substrate, and a photoreactive material dissolved in a 1% MEK / toluene organic solvent was coat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reactive layer / RTI >

이후, 편광 펄스 UV를 노광시간 0.2초, 노광거리 1.5cm로 광반응층에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시켰으며, 반응성 액정을 12% 톨루엔 유기용제에 녹여 도포 및 건조하였다. 이때,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을 2.0kV, 2.5kV, 3.0kV로 각각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플래시 전압에서 1Hz, 20Hz, 30Hz, 40Hz, 50Hz 주파수의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였다.Thereafter, the photo-reactive layer was irradiated with a polarizing pulse UV at an exposure time of 0.2 seconds and an exposure distance of 1.5 cm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The reactive liquid crystal was dissolved in a 12% toluene organic solvent and applied and dried. At this time,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was set to 2.0 kV, 2.5 kV, and 3.0 kV, respectively, and polarized pulse UVs of 1 Hz, 20 Hz, 30 Hz, 40 Hz, and 50 Hz frequencies were irradiated from the respective flash voltages.

도 10은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11은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2는 노광거리 1..5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10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by frequency and frequency of a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1.5 cm, Fig. 11 is a graph showing micro-orientation distribution of a photo- And FIG. 12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phase difference of the photo-alignment layers by the flash voltage and the frequency at the exposure distance of 1..5 cm.

도 10과 도 11은 편광 펄스 UV의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증가할수록, 미배향 분포도가 감소하여 블랙 이미지(black image)가 선명하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FIGS. 10 and 11 show that as the frequency of the polarizing pulse UV increases, and as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ncreases, the non-oriented distribution decreases and a black image appears clearly.

또한, 도 12는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증가할수록 더욱 낮은 주파수에서 배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lso, FIG. 12 shows that as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ncreases, the orientation can be achieved at a lower frequency.

특히, 편광 펄스 UV의 주파수가 40Hz 이상일 때에는 플래시 전압 2.0kV에서도 미배향 분포도가 1% 이하로 나타났으며, 플래시 전압이 3kV인 경우에는 주파수 20Hz에서 미배향 분포도가 1% 이하로 나타났다. 즉,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3kV인 경우에는 주파수 20Hz에서 최적의 블랙 이미지가 구현되고 미배향 분포도가 최소였으며,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2.0kV, 2.5kV일 때에는 주파수 40Hz에서 최적의 블랙 이미지 구현과 미배향 분포도 최소를 나타내었다.In particular, when the frequency of the polarized pulse UV is 40 Hz or higher, the unidirectional distribution is less than 1% at the flash voltage of 2.0 kV. When the flash voltage is 3 kV, the unidirectional distribution is less than 1% at the frequency of 20 Hz. That is, when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3 kV, the optimum black image is realized at the frequency of 20 Hz and the unbalanced distribution is the minimum. When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2.0 kV and 2.5 kV, Image implementation and unoriented distribution were minimized.

한편, 도 13은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14는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미배향 분포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5는 노광거리 7.0cm에서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별, 주파수별 광배향층의 위상차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 13 is a photograph of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by frequency and frequency of the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0 cm, FIG. 14 is a photograph of the microvolume of the pulse UV at the exposure distance of 7.0 cm, And FIG. 15 is a graph comparing changes in the phase difference of the photo-alignment layer with respect to the pulse voltage and the frequency of the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0 cm.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노광거리를 1.5cm에서 7.0cm로 증가시킨 경우,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3kV일 때에는 주파수 20Hz에서, 그리고 플래시 전압이 2.5kV일 때에는 주파수 40Hz에서 최적의 블랙 이미지가 구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노광거리를 7cm로 하는 경우, 노광거리 1.5cm인 전술한 실험예에 비해 미배향 분포도가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노광거리 증가에 따른 액정 셀 외곽부의 빛샘 현상 증가에 기인한다.
Referring to FIGS. 13 to 15, when the exposure distance is increased from 1.5 cm to 7.0 cm, when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3 kV, it is optimum at a frequency of 20 Hz, and when the flash voltage is 2.5 kV,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mage is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the exposure distance is set to 7 cm, the unevenness distribution as a whol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xperimental example in which the exposure distance is 1.5 cm. This is due to an increase in light leakage in the outer portion of the liquid crystal cell as the exposure distance increases.

일반 편광 General polarization UVUV 와 편광 펄스 And a polarizing pulse UVUV 사용시  When using 프리틸트각Pretilt angle (( pretiltpretilt angleangle ) 비교) compare

일반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와 펄스 UV를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노광시간에 따른 프리틸트각을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액정 셀을 제작하여 이용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pretilt angles with the respective exposure times in the case of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ng general UV and the case of forming the photo alignment layer by irradiating the pulse UV, a liquid crystal cell is prepared and used as follows Respectively.

먼저, 기판으로는 유리(glass) 기판 또는 트리아세테이트(TA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광배향 물질을 1% MEK/톨루엔(toluene) 유기용제에 녹인 광반응제를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시켰다.First, a glass substrate or a triacetate (TAC) substrate was used as a substrate, and a photoreactive material dissolved in a 1% MEK / toluene organic solvent was coated on a substrate to form a photoreactive layer / RTI >

이후, 일반 편광 UV와 편광 펄스 UV를 각각 0.1초 ~ 0.4초 동안 노광거리 7cm로 광반응층에 조사하여 광배향층을 형성시켰으며, 액정층은 트위스트 네마틱(TN; Twisted Nematic) 액정으로 형성하였다.Then, the photo-reactive layer was irradiated with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the polarizing pulse UV at an exposure distance of 7 cm for 0.1 second to 0.4 second, respectively,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The liquid crystal layer was formed by a twisted nematic (TN) liquid crystal Respectively.

이때, 일반 편광 UV는 10.5mW/㎠의 파워 밀도(power density)로 조사되었으며, 편광 펄스 UV는 플래시 전압 3kV, 주파수 50Hz로 조사되었다.At this time, the general polarized UV was irradiated at a power density of 10.5 mW / cm 2, and the polarized pulse UV was irradiated at a flash voltage of 3 kV and a frequency of 50 Hz.

도 16은 일반 편광 UV와 펄스 편광 UV의 노광시간에 따른 프리틸트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편광 UV를 조사한 경우와 편광 펄스 UV를 조사한 경우 모두, 노광시간의 증가에 따라 프리틸트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6 is a graph comparing the pretilt angles of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the pulsed polarized UV according to the exposure time. As shown in FIG. 16, the pretilt angle tends to decrease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both in the case of irradiation with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in the case of irradiation with the polarizing pulse UV.

다만, 편광 펄스 UV에 의해 노광한 경우, 일반 편광 UV에 의해 노광한 경우보다 프리틸트각이 더 낮게 나타나며, 편광 펄스 UV에 의한 경우 노광시간 0.2초를 지나면서 프리틸트각이 일정값으로 수렴하여 배향이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에, 일반 편광 UV에 의한 경우에는 노광시간 0.4초를 지나면서 배향이 이루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광 펄스 UV를 사용하는 경우, 더욱 적은 에너지로 우수한 수평 배향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exposure by the polarizing pulse UV, the pretilt angle i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exposure by the general polarized UV, and the pretilt angl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when the exposure time is 0.2 second in the case of the polarizing pulse UV Orientation, whereas in the case of general polarized UV, the alignment is observed after an exposure time of 0.4 second.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polarizing pulse U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erior horizontal alignment can be realized with less energy.

편광 펄스 Polarized pulse UVUV 노광시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Depending on the method of forming multi-domains in exposure 배향성Orientation 비교 compare

편광 펄스 UV 노광시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서로 다른 세 가지 방법으로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였다.In order to compare the orientation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orming the multi-domains in the polarizing pulse UV exposure, the multi-domains were formed by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methods.

이때, 기판으로는 유리(glass) 기판 또는 트리아세테이트(TAC)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광배향 물질을 1% MEK/톨루엔(toluene) 유기용제에 녹인 광반응제를 기판 상에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시켰다.In this case, a glass substrate or triacetate (TAC) substrate was used as the substrate, and a photoreactive material dissolved in a 1% MEK / toluene organic solvent was coated on the substrate to form a photoreactive layer / RTI >

또한, 멀티 도메인 형성을 위한 노광은 플래시 전압 3kV, 주파수 50Hz, 노광거리 7cm의 편광 펄스 UV 조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후 반응성 액정을 12% 톨루엔 유기용제에 녹여 도포 및 건조하였다.In addition, the exposure for forming the multi-domain was performed by polarized pulse UV irradiation with a flash voltage of 3 kV, a frequency of 50 Hz, and an exposure distance of 7 cm, and then the reactive liquid crystal was dissolved and dissolved in a 12% toluene organic solvent.

CaseCase 1 One

첫 번째로, 제1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으로 하고, 제2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하는 제1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광반응층을 1차 노광한 후, 제1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하고, 제2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으로 하는 제2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2차 노광함으로써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였다. 이때, 제1 도메인은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는 1차 노광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도메인은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는 2차 노광에 의해 형성된다.First, the photoreactive layer is firstly exposed using a first photomask hav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as a transmissive region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as a blocking region, The multidomain was formed by secondary exposure using a second photomask having a corresponding region as a blocking region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as a transmissive region. At this time, the first domain is formed by the primary exposure to irradiate the polarized pulse UV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omain is formed by the secondary exposure to irradiate the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the second direction.

CaseCase 2 2

두 번째로, 먼저 광반응층의 전체 면적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1차 전면 노광을 하고, 이후 제1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하고 제2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으로 하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2차 부분 노광을 함으로써 멀티 도메인을 형성하였다. 이때, 제1 도메인은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는 1차 전면 노광에 의해 형성되고, 제2 도메인은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는 2차 부분 노광에 의해 형성된다.First,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reactive layer is irradiated with a polarizing pulse UV polarized in a first direction to perform a first front exposure, and the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is set as a blocking region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Domain was exposed using a photomask having a region as a transmissive region to form a multi-domain. At this time, the first domain is formed by the first-order front exposure that irradiates the polarized pulse UV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omain is formed by the second-order partial exposure which irradiates the polarized pulse UV which is polarized in the second direction do.

CaseCase 3 3

세 번째 방법은 두 번째 방법과 반대의 순서로 수행하였으며, 먼저 1차 부분 노광에 의해 제1 도메인을 형성한 후, 2차 전면 노광에 의해 제2 도메인을 형성하였다. 즉, 먼저 제1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과영역으로 하고 제2 도메인에 해당하는 영역을 차단영역으로 하는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광 반응층을 1차 부분 노광한 후, 부분 노광에 의해 제1 도메인이 형성된 광반응층의 전체 면적을 2차 전면 노광하여 제2 도메인을 형성하였다. 이때, 1차 부분 노광시에는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포토마스크를 통해 광반응층에 조사하였으며, 2차 전면 노광시에는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부분적으로 제1 도메인이 형성된 광반응층의 전체 면적에 조사하였다.The third method wa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econd method. First, the first domain was formed by the first partial exposure, and then the second domain was formed by the second front exposure. That is, first, the photoreactive layer is first partially exposed using a photomask hav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as a transmissive region an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as a blocking region, The entire surface area of the formed photoreactive layer was subjected to the second whole surface exposure to form the second domain. At the time of the first partial exposure, the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the first direction is irradiated to the photoreactive layer through the photomask. In the second frontal exposure, the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partially incident on the first domain The total area of the formed photoreactive layer was examined.

도 17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45°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FIG. 17 is a polarized light microscope photo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alignment properties according to the 0 ° / 45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 pulse UV exposure.

상술한 세 가지 방법으로 광반응층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제1 도메인과 제2 도메인을 각각 0°, 45°로 광배향한 후, 편광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세 가지 방법 모두 스트라이프 타입의 블랙 이미지와 화이트 이미지가 교대로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는 광배향층에 제1 도메인과 제2 도메인을 포함하는 멀티 도메인이 형성되었음을 가리키는 것으로, 따라서 노광 공정에서 편광 펄스 UV를 이용하여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domains were irradiated with a polarizing pulse UV on the photoreactive layer by the above-mentioned three methods, and the result was observed with a polarizing optical microscope. As a result, all of the three methods were stripe-type The black image and the white image appeared alternately sharp. This indicates that a multi-domain including the first domain and the second domain is formed in the photo alignment layer,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patterned retarder by using the polarizing pulse UV in the exposure process.

도 18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45°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노광시간에 따른 배향각(θ)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에 표시된 배향각(θ)은 1차 노광에 의해 배향된 액정 광학축과 2차 노광에 의해 배향된 액정 광학축 사이의 각도를 가리키며, 전면 노광시 노광시간은 0.2초로 하였고, 부분 노광시 노광시간은 0.2초 ~ 1.4초로 하였다.FIG. 18 is a graph comparing orientations according to a 0 ° / 45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in polarized-pulse UV exposure, and shows an orientation angle? According to exposure time. At this time, the orientation angle [theta] shown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angle between the liquid crystal optical axis aligned by the primary exposure and the liquid crystal optical axis aligned by the secondary exposure, the exposure time in the front exposure was 0.2 seconds, The exposure time was 0.2 seconds to 1.4 seconds.

두 번째 방법(Case 2)의 경우, 2차 부분 노광시간이 증가하면서 배향각(θ)이 증가하며, 노광시간이 0.8초일 때 배향각(θ)은 45°를 나타내었다. 즉, 2차 부분 노광시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는 1차 전면 노광시의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2차 부분 노광시간이 0.8초를 지나면서 배향각(θ)이 감소하게 되는바, 두 번째 방법(Case 2)은 1차 전면 노광시간이 0.2초이고, 2차 부분 노광시간이 0.8초일 때 가장 배향성이 우수함을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method (Case 2), the orientation angle (?)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second partial exposure time, and the orientation angle (?) Is 45 degrees when the exposure time is 0.8 seconds. That is,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secondary partial exposure are preferably larger than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primary front exposure. In the second method (Case 2), the first front exposure time is 0.2 second, the second partial exposure time is 0.8 second, and the second partial exposure time is 0.8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orientation is most excellent.

세 번째 방법(Case 3)의 경우, 1차 부분 노광시간이 증가하면서 배향각(θ)이 증가하고, 이후 1차 부분 노광시간이 0.8초를 지나면서 배향각(θ)이 감소함을 볼 수 있다. 즉, 세 번째 방법(Case 3)은 1차 부분 노광시간이 0.8초이고, 2차 전면 노광시간이 0.2초일 때 가장 배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세 번째 방법(Case 3)에 의할 경우, 노광시간에 관계없이 배향각(θ)이 45°에 미치지 못하므로, 두 번째 방법(Case 2)에 비해서는 배향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method (Case 3), the orientation angle (?) Increases as the first partial exposure time increases, and then the orientation angle (?) Decreases as the first partial exposure time exceeds 0.8 seconds have. That is, in the case of the third method (Case 3), the best orientation is obtained when the first partial exposure time is 0.8 second and the second general exposure time is 0.2 second. However, in the case of the third method (Case 3), since the orientation angle (θ) is less than 45 ° regardless of the exposure time, the orientation is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method (Case 2) .

아울러, 첫 번째 방법(Case 1)의 경우, 0.2초 1차 노광과 0.2초 2차 노광에 의해 45°배향이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으나, 제1 포토마스크와 제2 포토마스크를 각각 따로 준비 및 관리하여야 하고, 노광 공정 중에 제1 포토마스트와 제2 포토마스크를 적절히 교체해야 하므로, 두 번째 방법(Case 2)과 세 번째 방법(Case 3)에 비해 공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method (Case 1), it is shown that the 45 ° orientation is achieved by the 0.2 second primary exposure and the 0.2 second secondary exposure, but the first photomask and the second photomask are separately prepared and managed Since the first photomask and the second photomask are appropriately replaced during the exposure proc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ability is lower than the second method (Case 2) and the third method (Case 3).

즉, 배향성과 공정성을 종합하여 고려하면, 두 번째 방법(Case 2)이 첫 번째 방법(Case 1)과 세 번째 방법(Case 3)에 비해 더욱 우수하다.The second method (Case 2) is superior to the first method (Case 1) and the third method (Case 3) in consideration of the orientation and fairness.

도 19는 편광 펄스 UV 노광시 0°/90°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편광 광학 현미경 사진이고, 도 20은 편광 펄스 UV 노광시 0°/90° 멀티 도메인 형성 방법에 따른 배향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19 is a polarized light micrograph of polarized light UV exposure comparing alignment in accordance with the 0 ° / 90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and Figure 20 shows the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0 ° / 90 ° multi-domain formation method during polarized pulse UV exposure FIG.

배향각(θ)을 90°로 달리한 경우에도,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Even when the orientation angle [theta] is changed by 90 [deg.], The results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with reference to Figs. 17 and 18. [

즉, 배향성과 공정성을 고려할 때 두 번째 방법(Case 2)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두 번째 방법(Case 2)은 1차 전면 노광시간 0.2초, 2차 부분 노광시간 0.8초에서 가장 배향성이 우수하였다.
The second method (Case 2) showed the best results when the orientation and fairnes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second method (Case 2) showed the best orientation at 0.2 sec for the first front exposure time and 0.8 sec for the second partial exposure time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에 의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 상에 형성된 광반응층에 편광 펄스 UV를 조사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광배향된 광배향막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광배향막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applications can be manufactured by the pattern-relia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polarizing pulse UV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by irradiating a polarizing pulse UV onto a photoreactive layer formed on a substrate, a photo alignment layer optically aligned in at least one direction can be obtain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uch a photo alignment layer can be manufactured.

아울러, 편광 펄스 UV 조사에 의해 형성된 광배향막을 가진 광학필름(예컨대, λ/4 또는 λ/2 위상차 필름, 편광필름 등)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학필름이 표면에 부착된 3D 디스플레이 렌즈의 제조도 가능하다.
(For example,? / 4 or? / 2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ing film and the like) having a photo alignment film formed by polarized pulse UV irradiation can be manufacture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10 : 기판
20 : 광반응층
30 : 광배향층
31 : 제1 도메인
32 : 제2 도메인
40 : 포토마스크
10: substrate
20: Photoreactive layer
30: photo alignment layer
31: First domain
32: second domain
40: Photomask

Claims (13)

(a)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기판 상에 광반응제를 도포하여 광반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광반응층을 노광하여 스트라이프 타입의 제1 도메인과 제2 도메인이 교대로 연속하는 광배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페턴드 리타더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광배향되고, 상기 제2 도메인은 편광 펄스 UV에 의해 제2 방향으로 광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광반응층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여 전면 노광하는 단계; 및
(c-2) 상기 광반응층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편광 펄스 UV를 조사하되,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도메인에 대응되는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에 대응되는 영역만 부분 노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펄스 UV는 0.1mJ/pulse ~ 500J/pulse 에너지를 갖고,
상기 편광 펄스 UV에 의한 노광시간이 0.1초 ~ 10.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a) preparing a substrate;
(b) forming a photoreactive layer by applying a photoreactive agent on the substrate; And
(c) exposing the photoreactive layer to form a photo alignment layer in which stripe-type first domains and second domains alternate with each oth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omain is optically oriented in a first direction by a polarization pulse UV and the second domain is optically oriented in a second direction by a polarization pulse UV,
The step (c)
(c-1) irradiating the photoreactive layer with a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a first direction to perform front exposure; And
(c-2) irradiating the photoreactive layer with a polarized pulse UV polarized in a second direction, block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main using a photomask, and removing only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main Comprising the steps of:
The polarizing pulse UV has an energy of 0.1 mJ / pulse to 500 J / pulse,
And the exposure time by the polarizing pulse UV is 0.1 sec to 10.0 sec.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d) 2차 노광된 상기 광배향층 위에 반응성 액정을 도포 및 건조한 후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 coating and drying the reactive liquid crystal on the secondarily exposed photo alignment layer, and then curing the liquid crystal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펄스 UV는 1Hz ~ 60Hz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pulse UV is irradiated at a frequency of 1 Hz to 60 Hz.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펄스 UV의 플래시 전압이 1kV ~ 4k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lash voltage of the polarizing pulse UV is 1 kV to 4 kV.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의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가, 상기 (c-1) 단계에서의 노광시간 및 노광 에너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step (c-2) are greater than the exposure time and the exposure energy in the step (c-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펄스 UV에 의한 노광거리가 0.5cm ~ 10.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펄스 UV를 이용한 패턴드 리타더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xposure distance by the polarizing pulse UV is 0.5 cm to 10.0 cm.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배향막.
A photo-alignment film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6, 8 and 9.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A liquid crystal display characterized by being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6, 8 and 9.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An optical film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6, 8, and 9.
제1항, 제3항,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디스플레이 렌즈.



A 3D display lens characterized by being manufactur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5, 6, 8 and 9.



KR1020130077385A 2013-07-02 2013-07-02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KR101527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85A KR101527165B1 (en) 2013-07-02 2013-07-02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PCT/KR2013/010740 WO2015002353A1 (en) 2013-07-02 2013-11-25 Photo-alignment method using polarized pulse uv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ed retarder
US14/888,924 US10247868B2 (en) 2013-07-02 2013-11-25 Optical alignment method and patterned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using polarized pulse UV
JP2016518251A JP6150941B2 (en) 2013-07-02 2013-11-25 Photo-alignment method using polarized pulse UV and pattern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385A KR101527165B1 (en) 2013-07-02 2013-07-02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3A KR20150004203A (en) 2015-01-12
KR101527165B1 true KR101527165B1 (en) 2015-06-09

Family

ID=5247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385A KR101527165B1 (en) 2013-07-02 2013-07-02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71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420B2 (en) 2013-04-30 2016-11-15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Optical alignment device using UV pul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891B1 (en) * 2017-11-24 2020-02-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atterning of Polysilane-based Material Thin Films Using Pulsed Ultraviolet L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450A (en) * 2010-03-31 2011-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atterned retarder, sheet-to-shee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tterned retarder
JP2012198522A (en) * 2011-03-04 2012-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alignmen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phase difference film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450A (en) * 2010-03-31 2011-10-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atterned retarder, sheet-to-sheet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tterned retarder
JP2012198522A (en) * 2011-03-04 2012-10-18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alignment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pattern phase difference film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420B2 (en) 2013-04-30 2016-11-15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Optical alignment device using UV pul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3A (en)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Switchable Fresnel lens based on hybrid photo-aligned dual frequency nematic liquid crystal
JP2008076950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80626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CN103907052B (en) Liquid crystal cell
TWI517965B (en) Manufacturing method of mother board, manufacturing method of alignment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phase differenc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TWI428634B (en) 3d glasses for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I362539B (en)
US11614660B2 (en) Transmittance-variable film capable of controlling pretilt of liquid crystal interface
KR102629131B1 (en) Improved optical elements
KR20150013033A (en) Stabilized photo-alignment layer for liquid crystal
US9091816B2 (en)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JP2016126289A (en) Liquid crystal cell, light control material, and laminated glass
KR101527165B1 (en) Method of fabricating patterned retarder using polarized pulse UV
JP654188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1804230A (en) Transmittance variable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KR101392219B1 (en) Method of photo alignment using polarized pulse uv
JP5451986B2 (en) Liquid crystal lens and vision correction device using the same
JP6150941B2 (en) Photo-alignment method using polarized pulse UV and pattern retarder manufacturing method
KR101372932B1 (en) PHOTO-ALIGNMENT APPARATUS USING PULSE ?c?
US20100085640A1 (en)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3433723A (en) Light intensity modulator, light intensity modulation system and light intensity modulation method
KR10120096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Retardation Film
KR100641746B1 (en) Optical Reta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26132B1 (en) Liquid crystal alignment method by imprint process of wrinkled structures using UV
JP200013170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