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319B1 -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319B1
KR101526319B1 KR1020130158447A KR20130158447A KR101526319B1 KR 101526319 B1 KR101526319 B1 KR 101526319B1 KR 1020130158447 A KR1020130158447 A KR 1020130158447A KR 20130158447 A KR20130158447 A KR 20130158447A KR 101526319 B1 KR101526319 B1 KR 10152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media channel
voice signal
terminal
pt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신
장진원
Original Assignee
(주)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컴 filed Critical (주)엔컴
Priority to KR102013015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P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의 그룹을 관리하며, 각각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관리하는 제어 서버; 및 단말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그룹 단위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단말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들은 그룹 단위로 상기 미디어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TT SERVICES USING DATA NETWORK}
본 발명은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PTT(Push-To-Talk)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PTT(Push-To-Talk) 서비스는 무선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을 이용하여 일대일 통신뿐만 아니라 일대다수의 그룹 통신을 특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PTT 서비스는 TRS를 이용하여 제공되어 왔는데, TRS를 이용하는 것은 중계기, 교환기, 공중 전화망 연결기 등의 장비를 필요로 하므로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데이터망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PTT 서비스를 구현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망을 이용하는 종래의 PTT 기술들은 실제 현장에 적용시에 구현이 어렵고 제어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아직까지는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에 결합되어 바코드를 스캔하고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즉시 사용가능하며 PTT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인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를 결합시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P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의 그룹을 관리하며, 각각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관리하는 제어 서버; 및 단말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그룹 단위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단말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들은 그룹 단위로 상기 미디어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 서버는, 단말들의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과 단말들의 그룹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그룹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및 그룹 관리부;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에 그룹을 할당하는 미디어 채널 관리부; 및 단말 및 미디어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유지하며 미디어 채널을 제어하는 미디어 채널 제어부; 상기 미디어 채널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미디어 채널에 할당된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 및 단말 또는 제어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는, 각 단말들에 상응하여 단말들로부터 음성 신호의 패킷을 수신하거나 단말들로 음성 신호의 패킷을 전송하는 버퍼; 및 각 단말들에 상응하여 단말들로 전송될 음성 신호의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및 버퍼로부터 음성 신호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 패킷이 전달될 단말에 상응하는 큐로 전달하고 큐로부터 음성 신호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 패킷이 전송될 단말에 상응하는 버퍼로 전달하는 패킷 수집 및 분석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 블루투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단말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PTT 서비스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PTT 동작 버튼을 포함하는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와 결합하고, 상기 PTT 동작 버튼의 동작에 따라 단말을 PTT 서비스 수행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단말들의 그룹 및 미디어 채널의 설정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신호를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서버가 단말들을 인증하고 인증된 단말들에 대해 PTT 서비스를 수행할 단말들의 그룹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제어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그룹에 대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할 것을 알리는 신호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미디어 서버가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의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제어 서버가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미디어 채널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그룹을 할당하는 제4 단계; 미디어 서버가 상기 그룹에 속한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할 단말들을 확인한 후 해당 단말들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에 결합되어 바코드를 스캔하고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산업 현장에서 즉시 사용가능하며 PTT 서비스의 편의성을 높인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를 결합시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단말(20)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미디어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음성 신호 처리부(2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20)에 적용가능한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 의해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20)의 화면의 실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단말(20)들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이하 "시스템(10)"이라 한다)은 제어 서버(100) 및 미디어 서버(200)를 포함하며, 데이터망을 통해 단말(20)들과 결합한다. 이러한 시스템(10)은 데이터망을 통해 단말(20)들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망을 통한 PTT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망은 음성 통화망이 아닌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교환망을 의미하며, 이러한 패킷 교환망을 통해 단말(20)들은 PT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PTT(Push-To-Talk) 서비스는 무선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을 이용하여 일대일 통신뿐만 아니라 일대다수의 그룹 통신을 특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PTT 서비스를 데이터망을 통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단말(20)은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며 스마트폰에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치하고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데이터망을 통해 일대다수의 단말(20)간의 음성 신호를 그룹 단위로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단말(20)들은 데이터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지며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서버(100)는 P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20)들의 그룹을 관리하며, 각각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200)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관리하는 등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제어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서버(100)는 인증 관리부(110), 미디어 채널 관리부(120) 및 메시지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P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의 그룹을 관리하며, 각각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관리하는
인증 및 그룹 관리부(110)는 단말(20)들의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과 단말(20)들의 그룹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등의 그룹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채널 관리부(120)는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200)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에 인증 및 그룹 관리부(110)에서 생성되는 단말(20)의 그룹을 각각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채널 관리부(120)는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제거하도록 하는 신호를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채널 관리부(120)는 그룹에 속한 단말(20)이 변경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
메시지 처리부(130)는 단말(20) 및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시지는 단말(20)과 미디어 서버(200)의 제어를 위한 메시지를 포함하며 기타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운용을 위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메시지 형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미디어 서버(200)에 대해 설명한다. 미디어 서버(200)는 단말(20)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단말(20) 그룹 단위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단말(20)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미디어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디어 서버(200)는 세션 관리부(210), 미디어 채널 제어부(220), 음성 신호 처리부(230) 및 메시지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미디어 채널 제어부(210)는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등 미디어 채널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채널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서버(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미디어 채널은 제어 서버(100)에서 단말(20)의 그룹이 각각 할당된다. 미디어 채널 제어부(210)는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각 미디어 채널별로 할당된 그룹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채널 제어부(210)는 미디어 채널을 제거하는 신호를 제어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경우 해당 채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채널 제어부(210)는 그룹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저장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220)는 미디어 채널 제어부(210)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미디어 채널에 할당된 그룹에 속한 단말(20)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룹에 속한 단말(20)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미디어 채널들은 제어 서버(100)에서 그룹 단위로 할당되어 있으며, 음성 신호 처리부(220)는 특정 그룹의 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 경우 해당 그룹의 단말(20)들을 확인하고 해당 그룹의 단말(20)에 할당된 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각의 단말(20)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한다. 이 때 음성 신호는 음성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음성 신호는 음성 스트림(stream) 형태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될 수 있다. 한편, 음성 신호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메시지 통신부(230)는 단말(20) 또는 제어 서버(10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의 메시지는 단말(20)의 제어를 위한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100)로부터 미디어 서버(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메시지일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예컨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는 음성 신호 처리부(220)의 내부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 1이 음성 신호를 송신하고 다른 단말(단말 2~단말 n)이 단말 1이 송신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성 신호 처리부(220)는 큐(Queue) 1~큐 n(221), 버퍼(Buffer) 1~버퍼 n(222) 및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을 포함한다.
큐(221)와 버퍼(222)들의 갯수는 단말들의 갯수 즉, 하나의 미디어 채널에 할당된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갯수와 일치한다. 즉, 큐와 버퍼들은 하나의 그룹에 속한 단말의 갯수만큼 대응하도록 생성된다.
각각의 큐(221)들은 선입선출 방식으로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에서 먼저 입력된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가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 및 버퍼(222)를 통해 먼저 출력하며, 버퍼(222)는 단말(20)로부터 음성 신호 패킷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다가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를 통해 큐(221)로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하에서 단말 1에서 음성 신호를 송신하여 다른 단말들(단말 2~단말 n)로 음성 신호가 전송되는 절차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단말 1이 음성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버퍼 1으로 음성 신호의 패킷을 분할하여 전송하고, 이는 버퍼 1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내부 제어 신호에 따라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로 순차적으로 패킷 단위로 전송된다.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3)는 패킷을 분석하여 해당 패킷이 전달될 단말(20)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에 상응하는 큐(221)로 패킷을 전달한다. 큐(221)들은 수신되는 패킷을 저장하고 먼저 입력되는 패킷을 먼저 출력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패킷을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2)로 전송하고 패킷 수집 및 분석부(222)는 해당 패킷을 확인하여 패킷이 전달될 단말(20)들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20)의 버퍼(222)들로 패킷들을 순차적으로 전송한다. 버퍼(222)는 수신되는 패킷들을 임시 저장하다가 내부 제어 신호에 의해 단말들(단말 2~단말 n)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20)에 적용가능한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의 외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는 단말(20)의 후면 및 측면쪽으로 결합된다.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은 종래 널리 알려진 휴대폰 케이스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말(2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외한 측면 및 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는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는 바코드 스캐너(33)를 포함하며, 단말(20)과는 블루투스를 통해 결합(pairing)되어 바코드를 스캔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블루투스 기능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은 스캐너(30) 내부에 구비되며, 블루투스의 결합(pairing)은 블루투스 연결 버튼(34)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코드 스캔은 바코드 스캔 버튼(35)를 눌러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T 서비스를 단말(20)에서 수행할 때 단말(20)에서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PTT 동작 버튼(31)을 더 구비한다. PTT 동작 버튼(31)을 사용자가 누르면 "삑" 소리가 나도록 하고 이 때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는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단말(20)과 연동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PTT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는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PTT 동작 버튼(31)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 신호 전송을 완료하면 PTT 동작 버튼(31)에서 손을 떼면 손을 뗐음을 알리는 신호를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단말(20)로 전송하고 단말(20)의 응용 프로그램은 이에 의하여 음성 신호 전송을 종료하도록 동작한다.
한편,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30)는 전면 하단에 스피커 홀(32)이 형성되어 있어서 단말(20)의 스피커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들릴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이상에서 설명한 시스템(10)에서 이루어지는 PTT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단말 1이 음성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1과 같은 그룹에 속한 단말 2~단말 n이 단말 1이 송신한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 서버(100)는 각 단말들이 로그인하면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S100). 단말들의 로그인은 단말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잇다.
인증이 완료되면 제어 서버(100)는 PTT 서비스를 수행할 단말들의 그룹을 생성하고(S110) 생성된 그룹에 대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할 것을 알리는 신호를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한다(S120).
미디어 서버(200)는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의 정보를 제어 서버(100)로 전송한다(S130,S140).
제어 서버(100)는 미디어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미디어 채널에 그룹을 할당한다(S150).
이후, 단말 1이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 1은 음성 신호를 미디어 서버(200)로 전송하고(S160), 미디어 서버(20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할 단말들을 확인한 후 해당 단말들(단말 2~단말 n)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S170,S180). 이 과정은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100)에 의해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단말(20)의 화면의 실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단말 중의 어느 하나가 본 발명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다른 단말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때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음성 신호를 PTT 서비스 형태로 다른 단말로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현재 접속된 미디어 채널의 정보(그룹 정보, 그룹에 속한 단말들의 정보)를 나타낸 화면이고 도 10은 단말에서 최근에 사용한 최근 기록 정보가 화면에 나타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응용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기타 공지 사항, 통화 조회, 환경 설정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각종 조회 및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이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제어 서버(100) 및 미디어 서버(200)는 각각의 음성 신호 기록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CDR(call detail record)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단말들의 그룹 및 미디어 채널의 설정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신호를 제어 서버(100)로 전송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10...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제어 서버
200...미디어 서버

Claims (7)

  1.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PTT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들의 그룹을 관리하며, 각각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관리하는 제어 서버; 및
    단말의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그룹 단위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단말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미디어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
    블루투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단말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PTT 서비스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PTT 동작 버튼
    을 포함하는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와 결합하고, 상기 PTT 동작 버튼의 동작에 따라 단말을 PTT 서비스 수행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단말들은 그룹 단위로 상기 미디어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단말들의 로그인을 통한 사용자 인증 기능과 단말들의 그룹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그룹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 및 그룹 관리부;
    그룹 단위로 PTT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에 그룹을 할당하는 미디어 채널 관리부; 및
    단말 및 미디어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유지하며 미디어 채널을 제어하는 미디어 채널 제어부;
    상기 미디어 채널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 미디어 채널에 할당된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 및
    단말 또는 제어 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통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는,
    각 단말들에 상응하여 단말들로부터 음성 신호의 패킷을 수신하거나 단말들로 음성 신호의 패킷을 전송하는 버퍼; 및
    각 단말들에 상응하여 단말들로 전송될 음성 신호의 패킷을 저장하는 큐; 및
    버퍼로부터 음성 신호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 패킷이 전달될 단말에 상응하는 큐로 전달하고 큐로부터 음성 신호 패킷을 수신하여 해당 음성 신호 패킷이 전송될 단말에 상응하는 버퍼로 전달하는 패킷 수집 및 분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단말, 단말들의 그룹 및 미디어 채널의 설정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설정 신호를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Push to Talk)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 서버가 단말들을 인증하고 인증된 단말들에 대해 PTT 서비스를 수행할 단말들의 그룹을 생성하는 제1 단계;
    제어 서버가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그룹에 대한 미디어 채널을 생성할 것을 알리는 신호를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미디어 서버가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어 채널의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하는 제3 단계;
    제어 서버가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미디어 채널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생성된 그룹을 할당하는 제4 단계;
    미디어 서버가 상기 그룹에 속한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할 단말들을 확인한 후 해당 단말들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바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
    블루투스에 의해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단말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 및
    PTT 서비스를 위한 동작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PTT 동작 버튼
    을 포함하는 케이스형 바코드 스캐너와 결합하고, 상기 PTT 동작 버튼의 동작에 따라 단말을 PTT 서비스 수행 상태로 전환하되,
    상기 단말들은 그룹 단위로 상기 미디어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0158447A 2013-12-18 2013-12-18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2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47A KR101526319B1 (ko) 2013-12-18 2013-12-18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8447A KR101526319B1 (ko) 2013-12-18 2013-12-18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319B1 true KR101526319B1 (ko) 2015-06-16

Family

ID=53518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8447A KR101526319B1 (ko) 2013-12-18 2013-12-18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85A (ko)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정보 기반 페이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737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57617B1 (ko) * 2005-10-12 2006-12-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KR20090086631A (ko) * 2006-12-06 2009-08-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tt 서버, ptt 통신 시스템, ptt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178545B1 (ko) * 2011-07-18 2012-08-30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이용한 푸시-투-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737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57617B1 (ko) * 2005-10-12 2006-12-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무선 패킷 교환망 시스템
KR20090086631A (ko) * 2006-12-06 2009-08-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tt 서버, ptt 통신 시스템, ptt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178545B1 (ko) * 2011-07-18 2012-08-30 주식회사 코모바일 유저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이용한 푸시-투-토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485A (ko)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케이티 단말 정보 기반 페이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25230B (zh) 一种网络直播数据的管理方法以及相关装置
CN107124661B (zh) 直播频道中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CN105141568B (zh) 安全通信通道建立方法及系统、客户端和服务器
CN102859480A (zh) 屏幕共享
CN105611055B (zh) 通话方法及装置
JP2006512027A5 (ko)
JP2002536928A5 (ko)
JP2009517974A (ja) 移動装置のための放送コンテンツ要求
CN102685025B (zh) 一种多终端业务切换方法、终端和系统
CN111988471B (zh) 无线话机系统、无线通话方法及可读存储介质
CN105554755A (zh) 无线网络接入方法及装置
CN100581302C (zh) 基于便携终端的文件共享方法
CN108199950B (zh) 语音通讯方法及系统、宽窄带融合终端
CN112929595A (zh) 一种网络会议融合系统及方法
CN111385349A (zh) 通信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JP2008141486A (ja) 視聴情報配信システム、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情報処理装置
US8406684B1 (en) Two-way radio device with combined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CN106470199B (zh) 语音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对讲系统
KR101526319B1 (ko) 데이터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8777846B (zh) 一种对讲终端的通信方法及装置
KR101222132B1 (ko) 무선 ip 망에서 그룹 통신과 일대일 통신을 병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5884186A (zh) 一种无线内部通话系统
CN113055831B (zh) 一种语音数据转发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213461879U (zh) 基于Wifi Direct技术的无线话机系统
KR20130079512A (ko) 셀룰러 네트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