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145B1 -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145B1
KR101526145B1 KR1020140186686A KR20140186686A KR101526145B1 KR 101526145 B1 KR101526145 B1 KR 101526145B1 KR 1020140186686 A KR1020140186686 A KR 1020140186686A KR 20140186686 A KR20140186686 A KR 20140186686A KR 101526145 B1 KR101526145 B1 KR 10152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pair
wall portions
fitt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맑은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맑은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맑은기업
Priority to KR102014018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어느 한쪽 측변에 형성된 후면측벽부와, 상기 후면측벽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변에 형성된 좌ㆍ우측벽부와,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측벽부와, 상기 좌ㆍ우측벽부와 이웃되는 상기 후면측벽부의 측변에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후면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바닥부의 다른 한쪽 측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한 쌍의 전면측벽부의 각각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절곡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 박스{A packaging box}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제품을 포장해서 옮기는 수단으로서 박스가 많이 사용된다. 박스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운반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 고가 물품들은, 운반도중이나 보관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포장된 물품의 가치를 높게 보이게 하기 위해 디자이닝 된 포장용 박스에 포장된다.
포장용 박스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포장대상물(물품)이 수납되는 하부박스와, 하부박스에 덮여지는 상부박스로 구성된 포장용 박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는, 물품이 수납되는 박스의 일측에 커버가 연결되고, 커버가 박스를 덮는 형태의 포장용 박스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장 박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바닥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벽면은 사 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그러나, 바닥면에서 벽면을 세우기 위해서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벽면들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기 위해서 다량의 접착제가 사용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된 바닥면과 벽면을 통해 용이하게 포장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포장박스를 조립할 수 있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어느 한쪽 측변에 형성된 후면측벽부와, 상기 후면측벽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변에 형성된 좌ㆍ우측벽부와,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측벽부와, 상기 좌ㆍ우측벽부와 이웃되는 상기 후면측벽부의 측변에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후면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바닥부의 다른 한쪽 측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한 쌍의 전면측벽부의 각각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절곡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좌ㆍ우측벽부와 이웃되는 상기 후면측벽부의 측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각각 일측에 날개부가 구비된 좌ㆍ우측판과, 상기 좌ㆍ우측판과 이웃되는 상기 몸체부의 측변에 형성된 하부측판과, 하부면이 상기 하부측판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등 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끼움돌기가 구비된 상부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끼움돌기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하부측판의 경계면상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한 쌍의 전면측벽부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각각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에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어느 한 측변에는 상기 좌ㆍ우측벽부가 상기 몸체부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었을 때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된 바닥면과 벽면을 통해 용이하게 포장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포장박스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개도.
도 3 내지 도 13은 도 1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100)는 바닥부(110), 후면측벽부(120), 좌ㆍ우측벽부(130, 140),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 덮개부(160), 체결부(170)로 구성된다.
바닥부(110)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포장용 박스의 밑바닥을 형성하는 것이다.
후면측벽부(120)는 바닥부(110)의 어느 한쪽 측변에 바닥부(110)와 직교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좌ㆍ우측벽부(130, 140)는 후면측벽부(12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변에 바닥부(110)와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좌ㆍ우측벽부(130, 140)의 어느 한 측변에는 좌ㆍ우측벽부(130, 140)가 바닥부(11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었을 때 바닥부(11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부(132, 142)가 형성된다.
또한, 좌ㆍ우측벽부(130, 140)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파지홈(134, 14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는 좌ㆍ우측벽부(130, 140)의 각각의 단부 즉, 전술한 지지부(132, 142)와 이웃되는 측변에 바닥부(110)와 직교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의 각각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으로 절개부(152)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52)에는 후술하는 체결부(170)의 단부가 바닥부(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체결부(170)가 절곡되어 삽입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각각 끼움홀(154)이 형성되고, 끼움홀(154)에는 후술하는 체결부(170)의 단부에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172)가 삽입된다.
덮개부(160)는 좌ㆍ우측벽부(130, 140)와 이웃되는 후면측벽부(120)의 측변에 형성되어, 전술한 바닥부(110), 후면측벽부(120), 좌ㆍ우측벽부(130, 140),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에 의해 박스형태를 이룰시 박스의 상부를 개폐한다.
이러한, 덮개부(160)는 좌ㆍ우측벽부(130, 140)와 이웃되는 후면측벽부(120)의 측변에 형성된 몸체부(162)와, 몸체부(162)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각각 일측에 날개부(163a, 164a)가 구비된 좌ㆍ우측판(163, 164)과, 좌ㆍ우측판(163, 164)과 이웃되는 몸체부(162)의 측변에 형성된 하부측판(165)과, 하부면이 하부측판(165)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등 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끼움돌기(167)가 구비된 상부측판(16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한 쌍의 끼움돌기(167)는 몸체부(162)와 하부측판(165)의 경계면상에서 몸체부(162) 방향으로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홀(162a)에 삽입된다.
체결부(170)는 후면측벽부(120)와 마주보도록 바닥부(110)의 다른 한쪽 측변에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172)가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끼움돌기(172)는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의 각각의 하부 소정 위치 형성된 끼움홀(154)에 삽입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의 조립과정을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덮개부(160)의 조립을 위해 몸체부(162)의 양측면에 형성된 좌ㆍ우측판(163, 164)이 몸체부(162)에 대해 직교되게 위치되게 한 후, 좌ㆍ우측판(163, 164)의 각각에 구비된 날개부(163a, 164a)가 몸체부(162)와 하부측판(165)의 경계면상에 몸체부(162)에 대해 직교되게 위치시킨다.
이후, 하부측판(165)을 몸체부(162)에 대해 직교되게 위치시키고, 상부측판(166)을 접어서 즉, 날개부(163a, 164a)가 하부측판(165)과 상부측판(166)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부측판(166)에 구비된 한 쌍의 끼움돌기(167)를 몸체부(162)와 하부측판(165)의 경계면상에서 몸체부(162) 방향으로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홀(162a)에 삽입시키면 덮개부(160)의 조립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덮개부(160)의 조립이 완료되면 박스의 측벽을 조립하게 되는데, 우선, 후면측벽부(12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변에 형성된 좌ㆍ우측벽부(130, 140)를 후면측벽부(120)와 직교되게 위치시키고, 후면측벽부(120)를 바닥부(110)와 직교되게 위치시킨다.
이때, 좌ㆍ우측벽부(130, 140)에 각각 형성된 지지부(132, 142)는 바닥부(110)의 상부에 지지된다.
후면측벽부(120)와 좌ㆍ우측벽부(130, 140)가 바닥부(110)에 대해 직교되도록 위치된 후에는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가 바닥부(110)에 대해 직교되게 위치시킨다.
이후,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후면측벽부(120)와 마주보도록 바닥부(110)의 다른 한쪽 측변에 형성된 체결부(170)를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의 각각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52)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체결부(170)의 단부를 바닥면을 향해 절곡시킨다.
이때,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는 체결부(170)와 체결부의 절곡된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가 체결부(170)와 체결부의 절곡된 단부 사이에 위치되면, 체결부(170)의 절곡된 단부에 등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172)를 한 쌍의 전면측벽부(150)의 각각의 하부 소정 위치에 형성된 끼움홀(152)에 삽입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박스에 의하면, 일체로 형성된 바닥면과 벽면을 통해 용이하게 포장박스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 등의 유해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포장박스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바닥부
120; 후면측벽부
130, 140; 좌,우측벽부
132, 142; 지지부
134, 144; 파지홈
150; 한 쌍의 전면측벽부
152; 절개부
154; 끼움홀
160; 덮개부
162; 몸체부
162a; 끼움홀
163, 164; 좌,우측판
163a, 164a; 날개부
165; 하부측판
166; 상부측판
167; 끼움돌기
170; 체결부
172; 한 쌍의 끼움돌기

Claims (5)

  1.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어느 한쪽 측변에 형성된 후면측벽부;
    상기 후면측벽부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변에 형성된 좌ㆍ우측벽부;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전면측벽부;
    상기 좌ㆍ우측벽부와 이웃되는 상기 후면측벽부의 측변에 형성된 덮개부; 및,
    상기 후면측벽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바닥부의 다른 한쪽 측변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고,
    상기 한 쌍의 전면측벽부의 각각의 높이 방향 소정 위치에는 폭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절곡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좌ㆍ우측벽부와 이웃되는 상기 후면측벽부의 측변에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각각 일측에 날개부가 구비된 좌ㆍ우측판과, 상기 좌ㆍ우측판과 이웃되는 상기 몸체부의 측변에 형성된 하부측판과, 하부면이 상기 하부측판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등 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끼움돌기가 구비된 상부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끼움돌기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하부측판의 경계면상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끼움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면측벽부의 하부 소정 위치에는 각각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에는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어느 한 측변에는 상기 좌ㆍ우측벽부가 상기 바닥부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되었을 때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ㆍ우측벽부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박스.
KR1020140186686A 2014-12-23 2014-12-23 포장용 박스 KR10152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86A KR101526145B1 (ko) 2014-12-23 2014-12-23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686A KR101526145B1 (ko) 2014-12-23 2014-12-23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145B1 true KR101526145B1 (ko) 2015-06-04

Family

ID=5349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686A KR101526145B1 (ko) 2014-12-23 2014-12-23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1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79928U (zh) * 2012-09-17 2013-04-17 成都缔照广告策划有限公司 包装箱
CN203740261U (zh) * 2014-03-17 2014-07-30 厦门栢科富翔彩印有限公司 一种折叠盒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79928U (zh) * 2012-09-17 2013-04-17 成都缔照广告策划有限公司 包装箱
CN203740261U (zh) * 2014-03-17 2014-07-30 厦门栢科富翔彩印有限公司 一种折叠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3865A5 (ko)
KR101763588B1 (ko) 포장용 종이상자
CA2973225A1 (en) Corner piece for packaging
RU2628903C2 (ru) Элемент рамы для упаковки плоских предметов и упаковк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таких элементов
JP3198009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KR101572150B1 (ko) 포장박스용 조립 앵글
TWM506794U (zh) 包裝盒
KR101526145B1 (ko) 포장용 박스
JP320150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KR101476706B1 (ko) 비접착방식의 포장용 상자
US9561891B2 (en) Packaging box with corner buffers
KR101876323B1 (ko) 부품 운반용 포장 케이스
KR20220002231A (ko) 접착테이프 없이 봉인이 가능한 포장용 상자
KR101681697B1 (ko) 종이포장상자
KR20140047794A (ko) 벽체용 앵글
KR101997678B1 (ko) 음식물 포장상자
KR200477061Y1 (ko) 원지가 낭비되지 않는 피자박스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US9896255B2 (en) Packaging member
KR101660821B1 (ko) 완충식 포장 박스
KR101782522B1 (ko) 포장박스용 칸막이
KR101294637B1 (ko) 포장용 상자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KR200486876Y1 (ko) 포장용 박스
KR20180000437U (ko)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