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92B1 -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5592B1 KR101525592B1 KR1020140122483A KR20140122483A KR101525592B1 KR 101525592 B1 KR101525592 B1 KR 101525592B1 KR 1020140122483 A KR1020140122483 A KR 1020140122483A KR 20140122483 A KR20140122483 A KR 20140122483A KR 101525592 B1 KR101525592 B1 KR 101525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construction
- unit
- information
- projec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84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56 waste inci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757 Reductio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6 residential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연산 처리부(120)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입력된 조건을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인 경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건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정보(신축/해체/리모델링, 용도, 구조 등),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본정보입력(프로젝트, 페기물), 데이터 분류, 집계,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건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정보(신축/해체/리모델링, 용도, 구조 등),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 등을 얻기 위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특허는 국토교통부 건설기술혁신사업(12CCTI-C063735-01)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및 표준품셈 개정 연구' 수행을 통해 얻은 지식재산권입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빌딩 등 다양한 건축물이 필요에 의해 지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공사 수행시에 다양한 종류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되고 있다.
건설폐기물은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전체 폐기물 중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2020년까지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로 인해 매립지의 부족 현상 가속화, 환경파괴, 폐기물 처리 비용 증가 등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정부(환경부)에서는 건설폐기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제2차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2012~2016)」을 수립하고 건설폐기물의 감축 및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폐기물 관리법 및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모든 폐기물을 배출부터 처리까지 인터넷상으로 실시간 자동 관리되고 있으며 사업장별 폐기물 종류마다 처리량이 실시간 집계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현장별/폐기물 종류별 발생량만 집계가 되어 발생된 폐기물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없다. 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Big data 이지만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만 집계가 되어 그 활용이 국한되어 있다. 건설폐기물의 감량활동 및 관리를 위해서는 정보(조건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정보(신축/해체/리모델링, 용도, 구조 등),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 등)가 필요하나 현재의 데이터베이스로는 정보를 얻을 수 없다.
이러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공개 2011-0113419호에 건설프로젝트의 사업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건설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건설프로젝트의 진행시 소요되는 사업비용뿐만 아니라, 해당 건설프로젝트에 의해 발생되는 수입까지 반영하여 건설사업비를 관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수익 최대화, 전체 사업기간 최소화 등의 최적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위와 같은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건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정보(신축/해체/리모델링, 용도, 구조 등),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본정보입력(프로젝트, 페기물), 데이터 분류, 집계,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는,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프로젝트의 분류조건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결과 화면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조건에 따라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연산 처리부(120)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출력부(150)를 통해 문서로된 결과정보를 볼 수도 있다.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상기 선택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또 다른 한편, 조건이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사정보(연면적, 도로 폭/길이, 터널 폭/길이, 교량 폭/길이, 공사금액 등)를 이용하여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폐기물 발생패턴 산출 및 보기로 선택된 경우,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폐기물 종류별로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은,
연산 처리부(120)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입력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인 경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한편, 조건이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 연산처리부(120)가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사정보(연면적, 도로 폭/길이, 터널 폭/길이, 교량 폭/길이, 공사금액 등)를 이용하여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최종 건설폐기물 18종(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럭, 폐기와,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유, 폐벽지, 건설오니, 폐금속류, 폐유리, 폐타일 및 폐도자기, 폐보드류, 폐판넬, 건설폐토석, 혼합건설폐기물, 기타)에 대하여 발생원단위를 최종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한편, 폐기물 발생패턴 산출 및 보기로 선택된 경우, 연산 처리부(120)가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폐기물 종류별로 공사진행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연산 처리부(120)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입력된 조건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선택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인 경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기능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건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정보(신축/해체/리모델링, 용도, 구조 등),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 등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본정보입력(프로젝트, 페기물), 데이터 분류, 집계,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또는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또는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는,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프로젝트의 분류조건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결과 화면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
상기 입력부(110)에서 입력된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프로젝트의 분류조건 정보에 따라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연산 처리부(120)로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정보를 표시하는 결과 화면을 포함하여 각종 결과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프린터 등의 출력장치(150)를 추가로 구비하여 원하는 내용을 결과물로서 인쇄하여 볼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연산을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를 동작시키고, 표시부(130)의 화면에는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메뉴를 선택하여 프로젝트 기본정보 를 입력한다. 여기서, 건설공사의 기본정보의 예를 표 1에 도시하였으며, 필수 입력사항은 현장명, 공사기간,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분류, 연면적, 토목공사의 경우 도로 폭/길이, 터널 굴착량, 교량 콘크리트량, 토공사량, 가시설물 바닥면적 등이다.
- 현장명 - 현장주소 - 공사기간 - 공사금액 - 계약방식(단독/ J/V, 분리발주) -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 - 용도분류[대분류](건축/토목/플랜트) - 용도분류[소분류](건축:주거시설/판매시설/문화집회시설 등, 토목:도로/철도/지하철 등, 플랜트:발전, 소각, 원자력 등), - 구조분류(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철골조, PC 조, 복합구조( RC + SRC , RC +S, SRC +S) - 연면적(건축/플랜트공사시) - 도로 폭/길이, 터널 굴착량, 교량 콘크리트량, 토공사량, 가설시설물 바닥면적[토목공사시] |
그러면, 연산 처리부(120)가 입력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건설폐기물이 발생시에 입력부(110)를 통해 메뉴를 선택하여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건설폐기물 관리대장에 발생날짜, 발생량, 보관량, 처리량 등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상기 정보 외에도 추가적으로 건설폐기물 발생공종/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입력한다.
그러면 연산 처리부(120)가 입력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도 2에 입력된 정보가 건설폐기물 관리대장의 형대로 저장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와 같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정보 및 데이터가 저장부(140)에 저장 되며, 연산 처리부(120)가 각 프로젝트 마다 발생된 건설폐기물 및 폐기물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입력부(110)로 조건을 입력하게 되는데, 조건은 4가지 기능으로 분류되며, 사용자는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산출 및 보기,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출 및 보기,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 및 보기중 하나를 선택 입력한다.
조건이 입력되면 연산 처리부(120)가 선택된 조건을 판단한다.
선택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 및 현장별 비교인 경우, 입력된 프로젝트의 기본정보에 따라 표 2와 같은 분류기준별로 분류가 된다.
표 2를 참조하면, 분류기준은 기존 건축/주택분야에서 리모델링, 토목, 플랜트분야가 추가되었으며, 구조형식도 S, RC, SRC에서 S+RC, S+SRC, RC+SRC와 같이 복합구조까지 확장하였다. 용도확장 및 구조형식을 확장함으로써 적용범위 확대, 정밀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각 조건인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표 3과 같이 입력부(110)에 의해 선택되면, 연산 처리부(120)는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이러한 건설폐기물 발생 현황자료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추후에 기업보고서 및 통계자료 등 현황자료로써 활용된다.
공사종류 | ▽ | 용도분류[대] | ▽ | 용도분류[소] | ▽ | 구조형식 | ▽ |
검색기간 | 준공여부 | ▽ |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10) 선택에 따라 표 4와 같이 선택한 현장끼리 현장별 발생량 및 발생원단위에 대하여 비교 할 수도 있고 연산 처리부(120)는 표 4와 같은 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110) 선택에 따라 도 4와 같이 선택한 현장끼리 현장별 발생량 및 발생원단위에 대하여 그래프 형태로 비교 할 수도 있고 연산 처리부(120)는 도 4와 같은 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한편,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10)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러한 예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5는 검색조건을 "주거시설(30개 현장), 발생공종, 착공기간/준공기간 : 2010~/ ~2014/ 2011~2015"로 하였고, 도 6은 검색조건을 "주거시설(30개 현장), 발생원, 착공기간/준공기간 : 2010~/ ~2014/ 2011~2015"로 한 경우이다.
여기서, 건설폐기물 감량활동 및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발생원인 분석이 필수적이며 발생원인을 파악함으로써 감량 및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폐기물에 대한 발생원인 파악은 현장단위별로 경험에 의하여 현장직원이 대략적인 원인은 알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합된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 발생량과 함께 발생공종, 발생원정보를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고 구체적인 발생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발생공종 및 발생원 검색단어(Key words)는 표 5와 같다.
또 다른 한편, 조건이 폐기물 발생 원단위 산출 및 보기가 선택된 경우, 연산처리부(120)는 표 2의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프로젝트 기본정보 입력과정에서 입력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사정보(연면적, 도로 폭/길이, 터널 폭/길이, 교량 폭/길이, 공사금액 등)를 이용하여 발생원단위를 산출한다.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산출된 발생원단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최종 건설폐기물 18종(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폐벽돌, 폐블럭, 폐기와, 폐목재, 폐합성수지, 폐섬유, 폐벽지, 건설오니, 폐금속류, 폐유리, 폐타일 및 폐도자기, 폐보드류, 폐판넬, 건설폐토석, 혼합건설폐기물, 기타)에 대하여 발생원단위를 최종 산출한다. 표 2의 프로젝트 분류기준별로 지속적 폐기물 데이터 축적을 통하여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업데이트의 필요성은 건설공사시 공법, 재료, 구조 등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변화되고 있으며 그로인해 발생되는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건설폐기물 예상 발생량은 발주처 또는 원도급자의 도급(실행)내역서 작성시 건설폐기물 처리비 산정 활용, 건설폐기물 관련 대관신고시 예상 발생량 데이터 제공,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계약시 예상처리량 데이터 제공, 폐기물 저감 활동을 위한 발생 목표량 설정시 활용하게 된다.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라 하면 공사의 일정규모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발생량을 나타내는 지수로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단위연면적당 발생량으로 나타내고, 토목공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생원단위는 없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널공사, 구조물공사, 포장공사, 가설공사로 나뉘며 터널공사는 단위굴착량, 구조물공사 및 포장공사는 단위콘크리트량, 가설공사는 단위바닥면적으로 나타낸다. 즉, 건축물의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나누기 연면적으로 산출하며, 토목공사의 경우 터널공사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나누기 굴착량, 구조물공사 및 포장공사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나누기 콘크리트량, 가설공사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나누기 바닥면적으로 산출한다.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프로세스와 산출식은 아래와 같으며 산출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 산출방식 공정율 산출 방법
- 프로세스
- 산출식
- 산출 예)
조건 : 신축공사>건축공사>주거시설>RC조
④ 발생원단위 연도별 검토 후 확정
또 다른 한편, 조이 폐기물 발생패턴 산출 및 보기로 선택된 경우, 연산 처리부(120)는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표 2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폐기물 종류별로 공사진행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을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공동주택공사의 경우 현장특성을 제외하면 동일 용도인 경우 유사한 공정에 의하여 공사가 진행되며 그로인해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이 된다. 연산 처리부(120)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연산 처리부(120)는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 입력과정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공정율별 발생량 패턴을 산출하게 된다. 프로젝트단위로 공정율은 0~100%를 10% 단위 나누고 각 공정율별 폐기물 발생비율을 산출함으로써 각각의 발생율은 발생패턴으로 나타난다. 이를 이용하여 공사현장 내 설치되는 건설폐기물 보관소의 규모 및 공사진행중에 폐기물 종류마다 적절하게 보관소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영 할 수 있다. 즉, 대부분의 건설현장은 현장이 좁아 적절한 크기의 폐기물 보관소 설치 면적을 확보하기 곤란하여 폐기물 분리보관의 문제점을 다소 해결 할 수 있다. 산출된 건설폐기물 발생 패턴은 본 출원인이 기등록한 "신축/해체공사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장치 및 방법"(제10-1396548)내에 적용하여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활용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건설폐기물 발생 패턴은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업데이트 필요성과 같이 공법, 재료, 구조 등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건설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식 및 산출 예는 아래와 같다. 모든 조건 선택은 표 3 검색조건에 따라서 선택 가능하며 선택된 조건내에서 조합되어 산출된다.
건설폐기물 발생패턴은 신축공사에서만 산출하며 해체공사의 경우 단기간에 집중 발생되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프로세스
-산출식
공정율 10% 집계기간(일) = T(전체공사기간(일)) X 0.1
T = 전체공사기간(일)
- 산출 예)
조건 : 전체공사시간(24개월, 730일), 신축공사>건축공사>주거시설>RC조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110)에 의해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현장별 각 폐기물의 공정율별 발생량을 집계하고 각 공정별 발생비율을 산출한다. 이러한 예를 표 6에 도시하였으며, 그래프 형태로 나타낸 경우는 도 7에 나타내었다.
위의 조건에 따라 공사기간이 총 24개월(730일)인 경우 공사진행일 73일이 공정율10%가 되고, 146일이 공정율20%가 된다.
다음, 연산 처리부(120)가 선택된 조건 현장의 각 폐기물 종류마다 공정율별 발생비율을 집계하여 평균발생비율을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며, 이러한 예를 표 7 도는 도 8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표 7 또는 도 8과 같이, 표형태 또는 그래프 형태로 표시되는 주거시설 폐콘트리트 발생비율을 참조하면, 공정율별 발생량을 평균하고 각 공정율별 평균값을 합산한 것이 100%가 안된다. 따라서, 100% 발생량이 되도록 사용자에 의한 조정이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프로젝트의 분류조건 정보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결과 화면을 포함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40);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프로젝트 기본정보, 프로젝트별 건설폐기물 발생 정보 및 조건에 따라 건설폐기물 주요발생원 분석정보,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정보, 공사진행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 산출정보를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거나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연산 처리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부(120)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폐기물 발생 원단위 보기가 선택된 경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사정보(연면적, 도로 폭/길이, 터널 폭/길이, 교량 폭/길이, 공사금액 등)를 이용하여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폐기물 발생패턴 보기가 선택된 경우,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폐기물 종류별로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 연산 처리부(120)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부로 입력하는 조건을 상기 연산처리부(120)가 입력받아 입력된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조건이 폐기물 발생 원단위 보기가 선택된 경우, 연산처리부(120)가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 프로젝트의 공사정보(연면적, 도로 폭/길이, 터널 폭/길이, 교량 폭/길이, 공사금액 등)를 이용하여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폐기물 발생패턴 보기가 선택된 경우, 연산 처리부(120)가 공사진행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량 및 종류가 유사하게 발생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젝트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각 폐기물 종류별로 공사진행됨에 따라 폐기물 발생 패턴을 산출하여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방법. - 연산 처리부(120)가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프로젝트 기본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기능;
상기 연산 처리부(120)가 건설폐기물 발생 및 처리시 발생데이터 및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입력부로 입력하는 조건을 상기 연산처리부(120)가 입력받아 입력된 조건을 판단하는 기능;
상기 입력된 조건이 조건별 폐기물 발생현황 보기인 경우, 상기 입력부로부터 신축공사/해체공사/리모델링공사, 용도분류, 구조형식에 대한 조건을 선택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동일 조건의 프로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각 프로젝트마다 폐기물발생량 및 연면적당 폐기물발생량인 발생원단위를 산출하여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기능;
건설폐기물 발생원별 발생 비율 보기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검색단어를 입력받고, 연산 처리부(120)가 발생공종/ 발생원(발생위치, 작업명)을 추출하여 발생비율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기능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2483A KR101525592B1 (ko) | 2014-09-16 | 2014-09-16 |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2483A KR101525592B1 (ko) | 2014-09-16 | 2014-09-16 |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5592B1 true KR101525592B1 (ko) | 2015-06-03 |
Family
ID=5350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2483A KR101525592B1 (ko) | 2014-09-16 | 2014-09-16 |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559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668B1 (ko) | 2023-05-10 | 2024-02-13 |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 건설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건물 리모델링 방법 |
KR102665885B1 (ko) | 2024-02-01 | 2024-05-14 |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 건설 폐기물 산출에 기초한 건물 리모델링 정보제공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126A (ja) * | 1997-06-18 | 1999-01-19 | Sekisui House Ltd | 建設廃棄物処理に関するデータ管理方法 |
JP2000211954A (ja) * | 1999-01-21 | 2000-08-02 | Toda Constr Co Ltd | 産業廃棄物の予測・管理システム |
KR101396548B1 (ko) * | 2013-09-02 | 2014-05-2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신축/해체공사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장치 및 방법 |
-
2014
- 2014-09-16 KR KR1020140122483A patent/KR101525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126A (ja) * | 1997-06-18 | 1999-01-19 | Sekisui House Ltd | 建設廃棄物処理に関するデータ管理方法 |
JP2000211954A (ja) * | 1999-01-21 | 2000-08-02 | Toda Constr Co Ltd | 産業廃棄物の予測・管理システム |
KR101396548B1 (ko) * | 2013-09-02 | 2014-05-20 | 삼성물산 주식회사 | 신축/해체공사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발생량 예측 장치 및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4668B1 (ko) | 2023-05-10 | 2024-02-13 |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 건설 폐기물 발생을 줄이는 건물 리모델링 방법 |
KR102665885B1 (ko) | 2024-02-01 | 2024-05-14 | 주식회사 디자인짜임 | 건설 폐기물 산출에 기초한 건물 리모델링 정보제공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in et al. | Science mapping approach to assisting the review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management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8 | |
Lu et al. | Estimating and calibrating the amount of building-related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in urban China | |
Ge et al. | De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through 3d reconstruction and bim: a case study | |
Su et al. | A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ased tool for estimating building demolition waste and evaluating its environmental impacts | |
Ji et al. | Compa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of precast in-situ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s | |
Noll et al. | The expansion of the built environment, waste generation and EU recycling targets on Samothraki, Greece: An island’s dilemma | |
Jain et al. |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DW) in India: generation rate and implications of C&DW recycling | |
Cheng et al. | A BIM-based system for demolition and renovation waste estimation and planning | |
Mah et al. |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generation rates for high-rise buildings in Malaysia | |
Kumanayake et al. | A tool for assessing life cycle CO2 emissions of buildings in Sri Lanka | |
Lu et al.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generation rates in Shenzhen city, South China | |
Cochran et al. | Estimation of regional building-related C&D debris generation and composition: Case study for Florida, US | |
Wang et al. | An empirical study on waste generation rates at different stages of construction projects in China | |
Sun et al. | Characterizing the generation and flows of building interior decoration and renovation waste: A case study in Shenzhen City | |
Fu et al. | Development of a carbon emission calculations system for optimizing building plan based on the LCA framework | |
Ivanica et al. | Development of a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and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of the building demolition stage: A case study in Germany | |
Wong et al. | Sustainability implications of using precast concrete in construction: An in-depth project-level analysis spanning two decades | |
Ding et al. | Sustainable construction: life cycle energy analysis of construction on sloping sites for residential buildings | |
KR20200138630A (ko) | 건축 시공 단계의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 |
Ding | Embodied carbon in construction, maintenance and demolition in buildings | |
KR101525592B1 (ko) | 건설폐기물 발생량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통한 공정율별 건설폐기물 발생원단위 산출 장치 및 방법 | |
Liu et al. | Greenhouse gas emissions management in prefabrication and modular construction based on earned value management | |
Mollaei et al. | A global perspective on building material recovery incorporating the impact of regional factors | |
Liao et al. | Designing of dynamic labor inspection system for construction industry | |
Dahiya et al. | Energy analysis of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under demolition using controlled explosion: An Indian case stu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