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587B1 - 리어 홀더 - Google Patents

리어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587B1
KR101525587B1 KR1020090009314A KR20090009314A KR101525587B1 KR 101525587 B1 KR101525587 B1 KR 101525587B1 KR 1020090009314 A KR1020090009314 A KR 1020090009314A KR 20090009314 A KR20090009314 A KR 20090009314A KR 101525587 B1 KR101525587 B1 KR 10152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ll
cable
fastening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051A (ko
Inventor
조세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5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90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5Contact members for non-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ontact member, e.g. socket co-operating with either round or flat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어 홀더는, 케이블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감싸여진 케이블의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2커버; 및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탈착가능하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리어 홀더, 케이블, 체결부재, 하우징, 커넥터

Description

리어 홀더{Rear holder}
본 발명은 리어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외주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방수용 실의 변형을 방지하는 리어 홀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센서에 의해 전자화되어 있으며, 이들은 케이블과 그에 연결된 케이블 커넥터를 통해 제어장치나 구동장치, 전원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어신호나 전력을 전달한다.
자동차용 케이블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되는 터미널과, 이 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누전되지 않도록 절연재로 제작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넥터는, 그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케이블이 인입되어 커넥터의 내부에 마련된 터미널과 접속되어 연결된다. 이렇게 케이블이 설치된 커넥터가 다른 커넥터와 결합할 때 커넥터에 설치된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방수기능이 부여된 방수용 커넥터는 하우징의 후단부에 끼워져 수밀되도록 이루어진 방수용 실(seal)이 케이블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케이블과 함께 하우징의 후단부로부터 인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방수용 실의 외주면이 하우징의 후단부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하우징의 후방으로부터의 침수를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커넥터를 자동차에 장착하였을 경우 커넥터의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방수용 실이 변형되어 침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전압 자동차의 커넥터에 비하여 고전압 전동차의 대전류용 커넥터의 경우에는 사용되는 케이블의 외경이 저전압 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에 비해 크고, 굵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더 큰 외력을 받아 방수용 실이 쉽게 변형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0)에 리어 홀더(1)를 설치하는 기술이 제시되었다. 즉, 리어 홀더(1)가 방수용 실(21)과 함께 커넥터(10)의 하우징(11) 후단부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방수용 실(21)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리어 홀더(1)는 방수용 실(21)의 후방측으로 케이블(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케이블(20)의 움직임에 의해 방수용 실(21)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2'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홀이다. 즉, 삽입홀(2)에 케이블(20)을 삽입한 뒤 케이블(20)에 방수용 실(21)을 설치함으로써 리어 홀더(1)가 빠지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리어 홀더(1)는 하우징(11)에 설치되어 방수용 실(21)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리어 홀더(1)는 사용자의 부주의나, 기타 사유로 인해 리어 홀더(1)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리어 홀더(1)만 교체하지 못하고 커넥터(10) 및 커넥터(10)에 연결된 케이블(20) 조립체를 전부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케이블의 외부면에 탈착가능하게 이루어진 리어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하우징 외부로 분산시키는 구조를 통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방수용 실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는 리어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어 홀더는,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부에 설치되는 리어 홀더로서, 케이블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감싸여진 케이블의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2커버; 및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탈착가능하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체결부재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체결축을 구비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 중 제1체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양단에 형성되어 체결축이 끼워지도록 일부가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벽을 구비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이 체결되어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결합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케이블을 각각 감싸도록 내벽이 형성되되, 제1커버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벽을 연결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2커버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벽을 연결하는 제2격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격벽에는 일부가 돌출된 돌기부와 일부가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2격벽에는 제1격벽의 돌기부와 형합하는 안착부 및, 제1격벽의 안착부와 형합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양측면에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홀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케이블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조되어 케이블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해체시킬 수 있다. 이에, 케이블 뭉치 전체 또는 커넥터 등의 교체 없이 리어 홀더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적이다.
둘째, 하우징의 후단부에 편리하게 체결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케이블이 상하좌우방향으로 외력을 받더라도 방수용 실에 외부의 힘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은 물론, 방수용 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높은 방수성 및 내구성 확보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리어 홀더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 홀더(100)는 케이블(도 6의 '20' 참조)의 외주면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 및,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탈착 가능하도록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의 양단에 구비된 체결부재(130)를 구비한다.
제1커버(110)는 케이블(20)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된 내벽(111)을 구비하고, 제2커버(120)는 제1커버(110)에 감싸여진 케이블의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내벽(121)을 구비한다. 즉,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결합될 경우 제1커버(110)의 내벽(111)과 제2커버(120)의 내 벽(121) 사이에 케이블(20)이 위치하게 되고, 케이블(20)의 외주면은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의 내벽(111)(121)에 의해 감싸여지게 된다.
한편,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에는 각각 세 개의 만곡된 내벽(111)(121)이 형성되어 세 개의 케이블(20)을 각각 감싸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케이블(20) 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케이블(20)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케이블(20)의 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케이블(20)의 수와 동일한 수의 내벽(111)(121)을 갖는 리어 홀더(100)를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리어 홀더(100)는 세 개의 케이블(20)을 각각 감싸도록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커버(110)에는 만곡된 내벽(11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된다. 이때, 내벽(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20)의 수와 동일한 수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벽(111)과 내벽(111) 사이에는 내벽(111)을 연결하는 제1격벽(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커버(120)에는 케이블(20)의 수와 동일한 수의 만곡된 내벽(121)이 형성되고, 내벽(121)과 내벽(121) 사이에는 내벽(121)을 연결하는 제2격벽(1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110)에 형성된 내벽(111)의 수와 제2커버(120)에 형성된 내벽(121)의 수는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제1격벽(112)과 제2격벽(122)은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결합시 함께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격벽(112)에는 일부가 돌출된 돌기부(113)와 일부가 함몰된 안착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제2격벽(122) 에는 제1격벽(112)에 형성된 돌기부(113) 및 안착부(114)와 대칭되게 돌기부(123)와 안착부(124)가 형성된다. 즉, 제2격벽(122)의 안착부(124)는 제1격벽(112)의 돌기부(113)와 형합하게 형성되고, 제2격벽(122)의 돌기부(123)는 제1격벽(112)의 안착부(114)와 형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대향되는 제1격벽(112)의 돌기부(113)는 제2격벽(122)의 안착부(12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1격벽(112)의 안착부(114)는 제2격벽(122)의 돌기부(123)와 결합된다. 따라서,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결합시 제1격벽(112)과 제2격벽(122)에 의하여 긴밀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12)에 형성된 돌기부(113) 및 안착부(114)는 이웃하는 제1격벽(112)의 돌기부(112) 및 안착부(113)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제2격벽(122)에 형성된 돌기부(123)와 안착부(124)는 이웃하는 제2격벽(122)과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격벽(112) 및 제2격벽(122)의 돌기부(113)(123)와 안착부(114)(124)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는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재(130)는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부(131) 및, 제1체결부(131)가 형성되지 않은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 중 어느 하나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2체결부(135)를 구비한다. 이 하, 제1체결부(131)는 제1커버(110)에 형성되고 제2체결부(135)는 제2커버(120)에 형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체결부(131)는 제1커버(110)의 양단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벽(132) 및, 상기 돌출벽(132)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체결축(133)을 구비한다.
돌출벽(132)은 제1커버(110)의 양단 각 중심부가 일정부분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돌출벽(132)의 외면은 제2체결부(135)와 결합되어 회동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축(133)은 돌출벽(132)의 수평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부(135)는 제2커버(1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체결축(133)이 끼워지도록 일부가 개방된 체결홈(136)이 형성된 체결벽(137)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벽(137)은 한 쌍의 체결축(133)이 각각 끼워지도록 체결축(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체결벽(13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벽(137)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체결축(133)과 결합되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면 체결벽(137)의 수는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한편,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를 결합시 한 쌍의 체결벽(137) 사이는 돌출벽(132)이 위치하도록 돌출벽(132)과 대응되게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커버(110)에 제1체결부(131)가 형성되고, 제2커버(120)에 제2체결부(135)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커버(110)에 제2체결부(135)가 형성되고, 제2커버(120)에 제1체결부(131)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커버(110)의 양단에 각각 제1체결부(131)와 제2체결부(135)가 형성되고, 제1커버(110)와 대칭되게 제2커버(120)의 양단에 각각 제2체결부(135)와 제1체결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채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30)를 구비하여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커버(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부(231)는 양측 끝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벽(232)과 상기 한 쌍의 돌출벽(232) 사이에 형성된 체결축(233)을 구비한다. 제2체결부(235)는 제2커버(12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체결축(233)이 끼워지도록 체결홈(236)이 형성된 체결벽(237)을 구비한다. 이때, 체결벽(237)의 양측 외각은 돌축벽(232)이 위치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1체결부(231)와 제2체결부(235)가 결합되어 체결축(233)에 의하여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가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리어 홀더(100)는 전술된 체결부재(130)(230)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상기 제1커버(110) 및 제2커버(12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의 제1체결부(131)(231)와 제2체결부(135)(235)를 결합시키면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케이블(도 6의 '20' 참조)에 리어 홀더(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홀더(100)를 케이블(20)에 대해 해체시 제1커버(110)와 제2커 버(120)의 양측에 형성된 제1체결부(131)(231)와 제2체결부(135)(235) 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제1커버(110) 또는 제2커버(120)를 회동시키면 용이하게 케이블(20)로부터 리어 홀더(10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제1커버(110) 또는 제2커버(12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115)가 형성된다. 예컨대, 결합돌기(115)는 제1커버(11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15)는 커넥터(도 6의 '10' 참조)의 하우징(도 6의 '11' 참조)에 형성된 결합홈(15)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탄성 변형가능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115)는 제1커버(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결합돌기(115)가 형성된 제1커버(110)의 내측에 홈(116)이 형성되어 결합돌기(115)가 외력에 의하여 제1커버(11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형성된다. 이에, 리어 홀더(110)가 하우징(11)의 후단부로 삽입되어 결합시 결합돌기(115)는 하우징(11)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제1커버(110)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 후 하우징(11)과의 결합이 완료되면 결합돌기(115)가 결합홈(15)에 끼워져 원래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리어 홀더(100)가 커넥터(10)의 하우징(11)에 긴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리어 홀더(100)를 케이블(20)에 설치하여 커넥터(10)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체결부재(130)에 의하여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이 체결되면 제1커버(110)의 내벽(111)에 케이블(20)을 안착시키고 제2커버(120)를 회동시켜 케이블(20)을 감싸도록 제1커버(110)와 결합시킨다. 상기 케이블(20)을 제1커버(110)의 내벽(111)에 안착시 케이블(20)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 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리어 홀더(100)를 케이블(20)에 설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홀더(100)는 케이블(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방수용 실(2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는 방수용 실(21)이 케이블(20)에 외력이 발생하여 케이블(20)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리어 홀더(100)가 설치된 케이블(20)을 커넥터(10)의 하우징(11) 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한다. 상기 리어 홀더(100)는 리어 홀더(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5)가 하우징(11)에 형성된 결합홈(15)과 결합됨으로써 케이블(20)이 이격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방수용 실(21)은 하우징(11)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하우징(11)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방수용 실(21)이 설치된 방수용 커넥터(10)는 케이블(20)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하우징(11)에 설치된 리어 홀더(100)에 의하여 방수용 실(21)이 변형되지 않게 되어 뛰어난 방수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리어 홀더(10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리어 홀더(100)를 커넥터(10)로부터 분리한 뒤 제1커버(110)와 제2커버(12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의 체결부재(130)를 해체시켜 제1커버(110) 또는 제2커버(120)를 회동시키면 리어 홀더(100)를 케이블(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25'는 케이블(2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커넥터(10)가 또 다른 커넥터(미도시)와 결합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다. 이러한 접속단자(2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결과적으로, 리어 홀더(100)는 케이블(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방수용 실(21)의 후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리어 홀더(100)의 교체시 리어 홀더(100)만 분리하여 교체가능하므로 교체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케이블에 설치된 종래의 리어 홀더가 커넥터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가 케이블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 홀더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어 홀더 110 : 제1커버
111 : 제1격벽 120 : 제2커버
121 : 제2격벽 130 : 체결부재

Claims (5)

  1.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부에 설치되는 리어 홀더에 있어서,
    케이블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감싸여진 케이블의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2커버; 및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탈착가능하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제1커버 및 제2커버 중 어느 하나의 양단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돌출벽과, 상기 돌출벽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체결축을 구비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 중 제1체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양단에 형성되어 체결축이 끼워지도록 일부가 개방된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벽을 구비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 중 어느 한쪽이 체결되어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홀더.
  2. 삭제
  3.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커넥터의 하우징 후단부에 설치되는 리어 홀더에 있어서,
    케이블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1커버;
    제1커버에 감싸여진 케이블의 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만곡된 내벽을 구비하는 제2커버; 및
    제1커버와 제2커버가 탈착가능하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커버와 제2커버는 결합되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케이블을 각각 감싸도록 내벽이 형성되되, 제1커버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벽을 연결하는 제1격벽이 형성되고 제2커버의 내벽과 내벽 사이에는 내벽을 연결하는 제2격벽이 형성되며,
    제1격벽에는 일부가 돌출된 돌기부와 일부가 함몰된 안착부가 형성되되, 제2격벽에는 제1격벽의 돌기부와 형합하는 안착부 및, 제1격벽의 안착부와 형합하는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홀더.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1커버 또는 제2커버의 양측면에는 리어 홀더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경우에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져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의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커버의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홀더.
KR1020090009314A 2009-02-05 2009-02-05 리어 홀더 KR10152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14A KR101525587B1 (ko) 2009-02-05 2009-02-05 리어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314A KR101525587B1 (ko) 2009-02-05 2009-02-05 리어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51A KR20100090051A (ko) 2010-08-13
KR101525587B1 true KR101525587B1 (ko) 2015-06-04

Family

ID=4275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14A KR101525587B1 (ko) 2009-02-05 2009-02-05 리어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372B1 (ko) * 2021-09-02 2023-07-06 주식회사 경신 형상 고정용 밴드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67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構造
KR19980014890U (ko) * 1996-09-04 1998-06-25 서두칠 애노우드 케이블 록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967A (ja) * 1995-11-17 1997-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構造
KR19980014890U (ko) * 1996-09-04 1998-06-25 서두칠 애노우드 케이블 록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051A (ko)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21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124024B2 (en) Connector having inner conductive member
JP6434939B2 (ja) コネクタ
EP2423028A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US9592775B2 (en) Wiring harness protector fixing structure
KR20160026746A (ko) 커넥터 조립체
WO2013051528A1 (ja) コネクタ
JP6125891B2 (ja) 端子金具の保持構造
CN103828135A (zh) 连接器组件
WO2012157503A1 (ja) 防水コネクタ
JP2018152216A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WO2015122501A1 (ja) コネクタ
JP6146618B2 (ja) コネクタ
CN107819251B (zh) 连接器
US9231350B2 (en) Connector
JP5278078B2 (ja) コネクタ
KR101525587B1 (ko) 리어 홀더
WO2023008027A1 (ja) 充電コネクタ
KR102492966B1 (ko) 고전압 커넥터용 리어 홀더
JP5012342B2 (ja) 防水コネクタ
KR101094394B1 (ko) 커넥터
JP2012038451A (ja) 電線の端末構造
JP5562157B2 (ja) 中継用コネクタ
JP2010186731A (ja) 電線接続ユニット
JP2017135118A (ja) 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