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912B1 - 휴대용 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912B1
KR101524912B1 KR1020130016078A KR20130016078A KR101524912B1 KR 101524912 B1 KR101524912 B1 KR 101524912B1 KR 1020130016078 A KR1020130016078 A KR 1020130016078A KR 20130016078 A KR20130016078 A KR 20130016078A KR 101524912 B1 KR101524912 B1 KR 10152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egs
pouch
hing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575A (ko
Inventor
이경은
Original Assignee
이경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은 filed Critical 이경은
Priority to KR102013001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91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2Urinals without flu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구조로 되어 있어 접었을 때는 작은 책 한 권의 크기로 가정에서의 보관 용이하고 외출시에도 휴대가 용이하여 노약자,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반영구적인 플라스틱 재질의 변기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야외에서는 기저귀와 같은 재질로 된 물을 잘 흡수하는 변기 주머니 또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컵과 같은 재질로 된 종이 변기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용변통과 용변주머니는 용변 처리가 편리하고 청결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는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변통이나 용변주머니를 설치하더라도 거부감이 없게 만들기 위해서 좌대 내부에 용변통이나 용변주머니를 설치하고 좌대 덮개로 좌대를 덮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양다리가 절첩식 구조로 되어 있어 양다리를 접어 좌대 내부에 들어가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구성했으며, 용변통이나 용변주머니의 설치와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변통에는 용변통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변통 상단부에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으며 용변주머니에는 용변 주머니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단부에 아래로 둥글게 마무리한 몰딩 처리가 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변기{portable toilet}
본 발명은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구조로 되어 있어 접었을 때는 작은 책 한 권의 크기로 가정에서의 보관 용이하고 외출시에도 휴대가 용이하여 노약자,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는 반영구적인 플라스틱 재질의 용변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야외에서는 기저귀와 같은 재질로 된 물을 잘 흡수하는 변기 주머니 또는 재활용 가능한 종이컵과 같은 재질로 된 종이 변기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특히 용변통과 용변주머니는 용변 처리가 편리하고 청결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면에서도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을 위한 다양한 가정용 변기가 출시되어 있고 야외에서도 사용가능한 변기가 개발되고 있다. 휴대 가능한 변기로는 대부분 소변용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출시되는 대소변용의 경우는 상당한 부피를 가지고 있어 차량 없이는 휴대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대다수의 휴대용 변기의 용변주머니는 비닐 봉투로 되어 있어 용변 처리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이 재질의 용변통을 만들어 용변처리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기저귀와 같은 재질로 된 용변 주머니를 만들어 용변 처리 및 보관이 용이하게 만들어져 있다.
관련 선행기술의 일례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11-001110호 (2010.05.25. 공개)의 접이식 휴대용 변기가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은 대소변의 생리현상을 오랫동안 참을 수 없기 때문에 변기를 상시 비치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공공장소 같은 용변 처리가 어려울 경우에는 용변을 보관하기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여자 아이의 경우는 짧은 요도관으로 인해 공공화장실의 청결 상태가 요로감염의 주원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휴대용 변기가 출시되었다. 하지만 소변전용이거나 부피가 큰 대소변용이어서 용도에 제한이 있거나 휴대에 제한이 있어 휴대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시 부피가 작고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변기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가정에서는 환경적인 면을 고려해 반영구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용변통을 이용하여 가정용 변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출시에는 절첩식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 접었을 때 책 한 권의 크기로 가방에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용변주머니가 종이컵과 기저귀와 같은 재질 된 두 가지로 형태로 만들어져 있어 용변주머니 휴대와 용변 처리가 용이하므로 상시 휴대가 가능하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4면을 구비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에는 힌지가 구비된 변기 몸체; 상기 변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용변구가 뚫려 있으며, 일측에서 힌지회동하고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좌대; 상기 좌대의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오른쪽 다리 또는 왼쪽 다리 중앙부의 빈공간 가장자리에서 잠금 손잡이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걸림 결합할 수 있는 잠금 손잡이; 상기 변기 몸체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른쪽 다리와 왼쪽다리가 포개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회동하는 힌지 1 및 힌지 2; 및 상기 좌대 상에 동일한 형태로 결합하며 일측은 힌지 회동하고 타측은 상기 좌대와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좌대와의 사이에 용변통 또는 용변 주머니를 개재하여 상기 좌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변통 또는 용변 주머니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좌대 덮개;를 포함하여, 보관시 상기 힌지 1 및 힌지 2를 내측으로 접어 오른쪽 다리를 왼쪽 다리에 포개고 이를 다시 상기 좌대 내부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절첩을 통해 부피의 축소가 가능함에 따라 보호자들이 가방 속에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유아 또는 미취학 아동이 화장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야외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한 것이다. 또한 가정용 용변통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반영구적이어서 환경적인 면에서 장점이 있으며, 외출시에는 외출용 용변주머니로 인해 휴대와 용변처리가 용이하다. 특히 여자 아이의 경우는 요로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히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완전히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좌대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좌대(4)와 좌대의 덮개(2)를 열었을 때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좌대(4)와 좌대의 덮개(2)를 왼쪽다리(13)에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좌대(4)와 좌대의 덮개(2)를 펼쳤을 때 수직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용변통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종이컵 재질의 용변통 또는 밑면과 네 개의 벽면이 기저귀 재질로 만들어진 용변주머니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를 결정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변기를 설치한 모습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변기가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인바, 용변구(1), 좌대 덮개(2), 덮개 잠금 장치(3), 좌대(4), 용변주머니 결합부(5), 걸림홈(6), 좌대 고정 장치(7), 잠금 손잡이(8), 잠금 손잡이 고정 장치(9), "U"자형 거치대(10), 오른쪽 다리(11), 힌지 1(12), 왼쪽 다리(13) 및 힌지 2(14)를 포함한다.
변기 몸체는 4면으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몸체의 각 모서리에는 힌지가 구성되어 접힐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변기 몸체상에 앉을 수 있도록 상부에는 좌대(4)가 연결되어 있는바, 좌대(4)는 일측의 힌지 회동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다.
좌대(4)에는 중앙에 뚫린 공간인 용변구(1)가 있으며, 좌대(4)를 들어올려 오른쪽 다리(11)와 왼쪽 다리(13)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변기 측부에 힌지 1(12)과 힌지 2(14)가 구비되는바, 힌지 1(12)과 힌지 2(14)가 내측으로 접히면서 오른쪽 다리(11)를 왼쪽 다리(13)에 먼저 포개고 좌대(4) 후부의 힌지를 접어서 오른쪽 다리(11) 및 왼쪽 다리(13)를 좌대(4) 내부로 접어 올리면 도 3의 모습처럼 부피가 최소화되고 휴대하기 편리한 구조로 접철된다.
상기 접는 과정에서, 힌지 1(12)과 힌지 2(14)가 만나면서 측부의 빈 공간이 중앙부에서 만나고 오른쪽 다리(11)와 왼쪽 다리(13)의 빈 공간도 중앙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중앙부에는 동일한 지점에서 빈 공간이 다단으로 중첩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의 설치시에는 잠금손잡이(8)에서 돌출된 잠금 손잡이 고정장치(9)가 오른쪽 다리(11)의 빈공간 가장자리에 걸림결합하여 좌대(4)를 고정하고, 도 3과 같이 접었을 때에는 잠금 손잡이 고정장치(9)가 왼쪽 다리(13)의 빈공간 가장자리에 걸림결합하여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설치시의 고정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오른쪽 다리(11) 상부에 "U"자형으로 파인 거치대(10) 상에 좌대(4)로부터 하부로 돌출된 좌대고정장치(7)를 끼움 결합하여 좌대(4)가 접히지 않도록 하고, 잠금손잡이(8) 단부의 돌출된 부분인 잠금 손잡이 고정장치(9)를 오른쪽 다리(11)에 걸리도록 하여 도 1과 같이 휴대용 변기의 형상이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구조에 의하여, 잠금손잡이(8) 한 개만으로 접었을 때와 펼쳤을 때 모두 휴대용 변기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바, 설치시에 잠금손잡이(8)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보관시에도 힌지 1(12) 및 힌지 2(14)를 내측으로 접어 오른쪽 다리(11)를 왼쪽 다리(13)에 포개고 이를 다시 상기 좌대(4) 내부로 접은 후 잠금손잡이(8)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면 10과 같이 좌대(4)에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5)이 있어 용변통(19)을 사용할 때는 레일 안쪽의 용변통 거치대(16)에 장착하고 용변주머니(21)을 사용할 때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중앙(5)에 용변주머니 몰딩(20)을 장착한 후 좌대 덮개(2)를 좌대(4)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로 인해 용변통(19) 또는 용변주머니(21)가 설치되더라도 도면 4와 같이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거부감과 불쾌함을 최소화시켰다.
좌대 덮개(2)와 좌대(4)의 결합 방법은 도면 2와 같이 일측이 힌지회동하고 타측은 좌대 덮개(2)의 돌출부를 좌대(4)의 걸림홈1(6)에 결합하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도면 9와 같이 좌대 덮개(2)와 좌대(4)는 왼쪽 다리(13)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좌대 덮개(2)는 용변통(19)이나 용변 주머니(21)를 고정하고 사용시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면 11과 같이 용변통(19)에는 용변통 손잡이(18)가 양쪽에 있어 용변통(19)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면 12와 같이 기저귀와 같은 재질의 용변주머니(21)는 상단이 종이컵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몰딩(20)이 아래로 둥글게 되어있어 용변주머니(21)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변주머니(21)를 기저귀와 같은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배설물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몰딩(20)이 아래로 둥글게 되어 있어 가이드 레일(15)에 걸리고 좌대 덮개(2)가 좌대(4) 상에 결합하여 용변주머니(21)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1: 용변구
2: 좌대 덮개
3: 덮개 잠금 장치
4: 좌대
5: 용변주머니 결합부
6: 걸림홈
7: 좌대 고정 장치
8: 잠금 손잡이
9: 잠금 손잡이 고정 장치
10: "U"자형 거치대
11: 오른쪽 다리
12: 힌지1
13: 왼쪽 다리
14: 힌지2
15: 가이드 레일
16: 용변통 거치대
17: 용변통 손잡이 거치대
18: 용변통 손잡이
19: 용변통
20: 용변주머니 몰딩
21: 용변주머니

Claims (3)

  1. 오른쪽 다리(11) 및 왼쪽 다리(13)를 포함한 4면을 구비하고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각 모서리에는 힌지가 구비된 변기 몸체;
    상기 변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고 중앙에 용변구(1)가 뚫려 있으며, 일측에서 힌지회동하고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좌대(4);
    상기 좌대(4)의 단부에 연장형성되어 오른쪽 다리(11) 또는 왼쪽 다리(13) 중앙부의 빈공간 가장자리에서 잠금 손잡이 고정장치(9)를 이용하여 걸림 결합할 수 있는 잠금 손잡이(8);
    상기 변기 몸체 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른쪽 다리(11)와 왼쪽다리(13)가 포개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회동하는 힌지 1(12) 및 힌지 2(14); 및
    상기 좌대(4) 상에 동일한 형태로 결합하며 일측은 힌지 회동하고 타측은 상기 좌대(4)와 결합하여 여닫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좌대(4)와의 사이에 용변통(19) 또는 용변 주머니(21)를 개재하여 상기 좌대(4)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변통(19) 또는 용변 주머니(21)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좌대 덮개(2);를 포함하여,
    설치시에 상기 잠금손잡이(8)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보관시에도 상기 힌지 1(12) 및 힌지 2(14)를 내측으로 접어 오른쪽 다리(11)를 왼쪽 다리(13)에 포개고 이를 다시 상기 좌대(4) 내부로 접은 후 상기 잠금손잡이(8)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휴대용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4)는 설치시에 상기 오른쪽 다리(11)와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U"자형 거치대(10)와 좌대고정장치(7)를 상하 결합하는 휴대용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주머니(21)는 기저귀 재질이고 상단은 딱딱한 종이 재질로 만들어진 몰딩(20)이 아래로 둥글게 구성된 휴대용 변기.

KR1020130016078A 2013-02-14 2013-02-14 휴대용 변기 KR10152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078A KR101524912B1 (ko) 2013-02-14 2013-02-14 휴대용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078A KR101524912B1 (ko) 2013-02-14 2013-02-14 휴대용 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575A KR20140102575A (ko) 2014-08-22
KR101524912B1 true KR101524912B1 (ko) 2015-06-01

Family

ID=5174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078A KR101524912B1 (ko) 2013-02-14 2013-02-14 휴대용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2B1 (ko) * 2016-04-26 2016-11-09 김원배 휴대용 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096U (ja) * 1983-10-20 1985-05-16 廣沢 美代子 携帯用トイレ
JPH0327339U (ko) * 1989-07-27 1991-03-19
JP3027339B2 (ja) 1995-11-08 2000-04-04 フォッケ・ウント・コンパニー(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 パック、特に紙巻き煙草用パック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20070088426A (ko) * 2007-08-06 2007-08-29 최갑복 접이 식 휴대 좌변기
KR101103351B1 (ko) * 2011-07-27 2012-01-06 설이수 휴대용 소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096U (ja) * 1983-10-20 1985-05-16 廣沢 美代子 携帯用トイレ
JPH0327339U (ko) * 1989-07-27 1991-03-19
JP3027339B2 (ja) 1995-11-08 2000-04-04 フォッケ・ウント・コンパニー(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ー) パック、特に紙巻き煙草用パック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KR20070088426A (ko) * 2007-08-06 2007-08-29 최갑복 접이 식 휴대 좌변기
KR101103351B1 (ko) * 2011-07-27 2012-01-06 설이수 휴대용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575A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9508B2 (en) Integral child training toilet
US9744068B2 (en) Foldable, disposable, urine receptacle
US6199220B1 (en) Portable elimination device
CN201197686Y (zh) 带坐便器的儿童安全座椅
RU2527705C2 (ru) Горшок
US10568473B2 (en) Portable easyP urinal
KR101030052B1 (ko) 휴대용 변기
KR200449867Y1 (ko) 접철식 기저귀교환대
KR101524912B1 (ko) 휴대용 변기
US20160206158A1 (en) Toilet seat cover with foldable side flaps
KR101103351B1 (ko) 휴대용 소변기
KR200333390Y1 (ko) 어린이 휴대용 소변기
KR200459464Y1 (ko) 휴대용 변기
KR101383771B1 (ko) 휴대용 변기
JP5781788B2 (ja) 簡易小尿器携帯支持体及びこれを収納可能な収納函体兼便座
JP2014239872A (ja) 便器、及び便器システム
KR200459495Y1 (ko) 휴대용 배설물 봉투
KR102174025B1 (ko) 차량용 공기주입식 간이변기
CN205625780U (zh) 多功能便携式移动马桶
JP3088124U (ja) 便器補助具及び便器補助具装置
JP3456944B2 (ja) 簡易トイレ
CN205338810U (zh) 便携式小便器
CN205712398U (zh) 折叠式大小便器
BRMU8902088U2 (pt) objeto para conforto ìntimo descartável, no ato da micção e defecação
KR20080015490A (ko) 휴대용 의자겸용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