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480B1 -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480B1
KR101524480B1 KR1020140027938A KR20140027938A KR101524480B1 KR 101524480 B1 KR101524480 B1 KR 101524480B1 KR 1020140027938 A KR1020140027938 A KR 1020140027938A KR 20140027938 A KR20140027938 A KR 20140027938A KR 101524480 B1 KR101524480 B1 KR 101524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wer
transition piece
power generation
prevention wal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민영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4Automatic control; Regulation
    • F03D7/042Automatic control; Regulation by means of an electrical or electronic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구조체를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을 경사보정부를 통해 수평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TILT OF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SYSTEM}
본 발명은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구조체를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을 경사보정부를 통해 수평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은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의 대체에너지 중 유지보수비용이 가장 저렴하여 경제성이 매우 높다.
또한, 풍력발전장치는 구조나 설치가 간단하고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며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다.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로는 풍속이 빠르고 시간과 계절에 따라 그 방향이 일정한 곳이 바람직함으로, 육상보다는 미관이나 장소의 제약이 없고 풍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해상에 대규모의 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고 있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상부에 설치된 해상 풍력발전기를 지지하도록 해저 상에 설치된 기초지지대가 풍하중이나 세굴현상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해상풍력발전기의 기초지지대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2-0052678호로 제안된 바 있다.
한편, 해상풍력발전기의 하부 지지 구조체(물)로는 해저면에 대구경의 파일(pile)을 근입시키고 그 위에 모노파일, 트라이포드(Try pod), 자켓(Jacket), 등 하부지지구조물(substructure)를 설치하고 그 위에 풍력발전부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하부구조물은 트랜지션피스(Transition Piece)를 통해 풍력발전부의 지주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구조물이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기울어질 경우 상기 풍력발전부 또한 상기 하부지지구조물을 따라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를 보수하는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2-00526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구조체를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을 경사보정부를 통해 수평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부와;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트랜지션피스와;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상부와 상기 풍력발전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의 상하경사도를 보정하는 경사보정부와;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하부에 형성되고, 해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보정부는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상부와 상기 풍력발전부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보정부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로드에 구비되는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드의 내측에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가 수용되는 수용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구비된 상기 지지패드가 상기 로드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이탈방지벽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이탈방지부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이탈방지벽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이 맞물림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이탈방지벽의 표면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의 표면에 각각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사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거리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감지부는 자이로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지지구조체를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풍력발전부의 하부면을 경사보정부를 통해 수평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지지구조체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구조체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트랜지션피스와 풍력발전부 사이에 위치한 경사보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경사보정부가 풍력발전부의 상하경사도를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타나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실린더부재의 로드에 지지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0은 지지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이탈방지부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2는 이탈방지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이탈방지부의 또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7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8은 트랜지션피스와 풍력발전부 사이에 위치한 경사보정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지지구조체(4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지구조체(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트랜지션피스(20)와 풍력발전부(10) 사이에 위치한 경사보정부(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풍력발전부(10), 트랜지션피스(20), 경사보정부(30) 및 지지구조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풍력발전부(10)는 해수면(3) 상부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풍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크게, 해수면(3)의 상부방향에 수직형성되는 지주(110)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측에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121)가 구비되는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날개(1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에 해당됨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트랜지션피스(20)는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방향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은 경사보정부(30)가 풍력발전부(10)의 상하경사도(α)를 보정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타나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보정부(3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와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경사보정부(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이 해수면과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상하경사도(도 6의α)를 보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구조체(40)는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와 상기 풍력발전부(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구조체(40)의 하부는 해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된다.
일예로, 상기 지지구조체(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하부에서 해저면 방향으로 수직연장형성되고, 하부가 해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주(400)로 이루어지거나,
다른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트랜지션피스(20)가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하부가 해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철탑(410)으로 이루어지거나,
또 다른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트랜지션피스(20)가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는 철탑(410)과; 상기 철탑(41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되어 하부가 해저면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주(420);로 구성되는 등 보다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경사보정부(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와 상기 풍력발전부(1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부재(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하부는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면에 볼트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로드(312)의 상부에는 구형상의 볼부재(313)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에는 하측이 개방된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수용홈(111)이 상기 지주(110)의 하측에서 상기 지주(110)의 상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1)내에는 상기 볼부재(31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이 해수면과 수평상태가 되도록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의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에 지지패드(32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정면도이고, 도 10은 지지패드(3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의 내부로의 오일유입이 차단되어도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이 해수면과 지속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경사보정부(3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지지패드(3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드(320)의 내측에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패드(320)는 상기 로드(312)에 상하적층되면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패드(320) 중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패드(320)는 상기 실린더몸체(311)의 상부면에 접한 상태로 안착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지지패드(320) 중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패드(320)는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 하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312)에 상하적층되면서 복수구비되는 상기 지지패드(320)를 통해 해수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을 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예로,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는 상하뒤집혀진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하뒤집혀진 상태의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상부는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에 볼트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뒤집혀진 상태의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의 하부에는 구형상의 상기 볼부재(313)가 일체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면에는 상기 볼부재(313)가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수용홈(111)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측에서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지지패드(320) 중 상하뒤집혀진 상태의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하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패드(320)는 상하뒤집혀진 상태의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지지패드(320) 중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상기 지지패드(320)는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패드(320)의 내측에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가 보다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드(320)의 내측에는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가 수용되는 수용슬릿(321)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슬릿(321)은 상기 지지패드(320)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지지패드(320)의 후측에서 상기 지지패드(320)의 중심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슬릿(321)의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수용슬릿(321)의 후측은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은 이탈방지부(5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에 구비된 상기 지지패드(320)가 상기 로드(312)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이탈방지벽(510)과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내측에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은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에 일체형으로 환형형상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내측에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은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환형형상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이탈방지부(5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일예와 동일하게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환형형상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521)이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521)의 전후폭(D1)은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전후폭(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이탈방지부(50)의 또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 다른예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일예 및 다른예와 동일하게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은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환형형상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이 서로 맞물림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표면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표면에 각각 요철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부(530)는 상부요철부(531)와 하부요철부(5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요철부(531)는 상부홈(531a)과 상부돌출부재(5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홈(531a)은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재(531b)는 상기 상부홈(531a) 사이마다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요철부(532)는 하부홈(532a)과 하부돌출부재(53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532a)은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상부표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돌출부재(523b)는 상기 하부홈(532a) 사이마다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홈(531a)의 전후폭(D3)은 상기 하부돌출부재(532b)의 전후폭(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홈(532a)의 전후폭(D5)은 상기 상부돌출부재(531b)의 전후폭(D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에 구비된 상기 지지패드(320)가 상기 로드(312)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패드(320)의 수용슬릿(321)의 후측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패드(320)는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된 상태로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16은 제어부(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지부(60)와 제어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는 일예로,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거리측정레이저센서, 스트로크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감지부(60)는 도 8, 도 9, 도 11, 도 12,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외주면 상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과 상기 실린더몸체(311)의 상측사이의 상하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경사보정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어부(70)에는 상기 제어부(70)에 기준상하거리값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누름식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과 상기 실린더몸체(311)의 상측사이의 상하거리값이 상기 제어부(70)에 입력된 기준상하거리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사보정부(30)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과 상기 실린더몸체(311)의 상측사이의 상하거리값이 상기 제어부(70)에 입력된 기준상하거리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사보정부(30)의 상하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가 감지한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과 상기 실린더몸체(311)의 상측사이의 상하거리값이 상기 제어부(70)에 입력된 기준상하거리값 초과인 경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경사보정부(30)의 상하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도 17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일예와 달리 상기 감지부(60)는 다른예로, 자이로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60)를 이루는 상기 자이로센서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지주(110)의 하부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자이로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사보정부(30)의 상하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도 18은 트랜지션피스(20)와 풍력발전부(10) 사이에 위치한 경사보정부(3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는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서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수용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01)의 바닥면에는 고정판(80)이 수평으로 볼트고정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80)의 상부면에 환형의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실린더몸체(311)의 하부는 상기 고정판(80)의 상부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상하뒤집혀진 경우, 상기 고정판(80)의 상부면에는 상하뒤집혀진 상태인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볼부재(313)가 수용되는 상측이 개방된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수용홈(11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파도, 해류, 태풍, 지반침식 등으로 인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기 지지구조체(40)를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을 상기 경사보정부(30)를 통해 수평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풍력발전부, 20; 트랜지션피스,
30; 경사보정부, 40; 지지구조체.

Claims (11)

  1. 풍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풍력발전부(10)와;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트랜지션피스(20)와;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와 상기 풍력발전부(1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실린더부재(310)로 이루어져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10)의 상하경사도를 보정하고,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를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로드(312)에 구비되는 지지패드(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보정부(30)와;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하부에 형성되고, 해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지지구조체(40);와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에 구비된 상기 지지패드(320)가 상기 로드(312)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320)의 내측에 상기 실린더부재(310)의 로드(312)가 수용되는 수용슬릿(3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521)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50)는 복수의 상기 실린더부재(3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랜지션피스(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이탈방지벽(5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이 맞물림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이탈방지벽(510)의 표면과 상기 하부이탈방지벽(520)의 표면에 각각 요철부(5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부(10)의 하부면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60)와;
    상기 감지부(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경사보정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0)는 거리측정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60)는 자이로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27938A 2014-03-10 2014-03-10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KR101524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38A KR101524480B1 (ko) 2014-03-10 2014-03-10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938A KR101524480B1 (ko) 2014-03-10 2014-03-10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480B1 true KR101524480B1 (ko) 2015-06-02

Family

ID=5349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938A KR101524480B1 (ko) 2014-03-10 2014-03-10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4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8049A (zh) * 2016-08-31 2016-12-21 上海应谱科技有限公司 风电机组塔筒基础不均匀沉降离线检测方法及在线监测方法
KR102115000B1 (ko) * 2018-12-20 2020-05-26 제타이앤디 주식회사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06146A1 (en) * 2018-11-20 2020-05-28 Sif Holding N.V. Tp-free monopi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2142133B1 (ko) * 2020-03-31 2020-08-06 문형민 건축 구조물의 지반침하 센싱모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526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자동차용 밸트의 장력 측정장치
KR101044752B1 (ko) * 2011-04-04 2011-06-27 (주)대우건설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설치시 기울기 보정 장치
KR20130012106A (ko) * 2012-05-18 2013-02-01 동부건설 주식회사 해상풍력발전기의 트랜지션피스 및 모노파일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526A (ko) * 1997-09-30 1999-04-15 양재신 자동차용 밸트의 장력 측정장치
KR101044752B1 (ko) * 2011-04-04 2011-06-27 (주)대우건설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설치시 기울기 보정 장치
KR20130012106A (ko) * 2012-05-18 2013-02-01 동부건설 주식회사 해상풍력발전기의 트랜지션피스 및 모노파일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8049A (zh) * 2016-08-31 2016-12-21 上海应谱科技有限公司 风电机组塔筒基础不均匀沉降离线检测方法及在线监测方法
WO2020106146A1 (en) * 2018-11-20 2020-05-28 Sif Holding N.V. Tp-free monopi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2115000B1 (ko) * 2018-12-20 2020-05-26 제타이앤디 주식회사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의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42133B1 (ko) * 2020-03-31 2020-08-06 문형민 건축 구조물의 지반침하 센싱모듈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480B1 (ko) 해상 풍력발전을 위한 경사보정장치
KR101399934B1 (ko) 부유식 구조물
KR101737931B1 (ko) 해양 풍력 터빈용 파운데이션을 설치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템플리트
JP6113735B2 (ja) 浮体式風力タービン
KR20080017436A (ko) 부유식 풍력 터빈 장치
KR101956858B1 (ko) 다수의 압력센서와 레벨센서 기반의 위치 보정 기능을 구비한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용 계류장치
KR20150117224A (ko) 수상태양광 발전장치 부유 구조물 및 구조물간의 연결방법
KR101318791B1 (ko) 가변형 로프 지지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644549B1 (ko) 부유식 구조물
WO2009064737A1 (en) Power generation assemblies
KR20130143362A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1314B1 (ko) 롤잭킹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체블록의 조립 배치방법
CN105402091A (zh) 海上漂浮式风机及其风机基础
KR101359654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그 레그 조립방법
JP2005180351A (ja) 水上用風力発電装置
KR20130041857A (ko) 승강식 터빈 지지구조물
KR101165741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KR101681640B1 (ko) 회전 부유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422476B1 (ko) 부양식 풍력발전시설
KR101369771B1 (ko) 풍력 발전기 시공을 위한 트랜지션 피스의 레벨링 성능 평가 장치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KR101641625B1 (ko) 해상풍력발전기용 경사유지 및 보정장치
US11181098B2 (en) Offshore wind turbine on offset floating support
JP6681225B2 (ja) 重力式構造物の水底への設置方法
KR20140035592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