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352B1 -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 Google Patents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352B1
KR101524352B1 KR1020130069941A KR20130069941A KR101524352B1 KR 101524352 B1 KR101524352 B1 KR 101524352B1 KR 1020130069941 A KR1020130069941 A KR 1020130069941A KR 20130069941 A KR20130069941 A KR 20130069941A KR 101524352 B1 KR101524352 B1 KR 101524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fluid
pipes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944A (ko
Inventor
조휴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Priority to KR102013006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35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1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digital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보일러 장치로부터 가열 유체를 공급받는 둘 이상의 난방관이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국부적인 난방 영역들을 개별 형성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는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을 따라 안내 후 상기 보일러에 다시 유입하는 복수의 난방관, 상기 보일러 및 난방관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의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유체 분배부,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장치와, 상기 난방관을 내장하는 상태로 상기 보일러 장치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난방관의 서로 다른 난방온도에 따라 복수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Boiler apparatus for forming each heating zone and a heating mat therefor}
본 발명은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보일러 장치로부터 가열 유체를 공급받는 둘 이상의 난방관이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국부적인 난방 영역들을 개별 형성할 수 있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은 단기간에 바닥을 데우는 용도로 사용된다. 즉, 전기장판은 거실이나 방의 바닥 또는 침대에 펼쳐져 전원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전기장판은 비교적 저렴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여 국부적인 영역을 신속히 난방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기장판은 그 발열을 위해 전기가 사용되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다량 방출하여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자파 차폐 기능의 전기장판 제품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유해 전자파의 차단에 한계가 있고 그 효과 역시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온수매트가 제공되고 있으며, 온수매트는 매트 내부에 열선 대신 온수관을 삽입하고, 전기보일러 등을 통해 온수관 내부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다. 즉, 온수매트는 전기발열선을 이용하는 형태가 아니므로, 그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감전사고 및 화재의 위험이 없고, 유해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온수매트는 그 온수관이 단일의 온수순환라인을 형성하는 상태로 매트에 설치되고, 보일러 장치를 통해 가열된 온수가 이러한 단일 온수순환라인 형태의 온수관을 따라 순환되므로, 그 난방 온도가 매트 전체 영역에서 동일하게 조정되는 동시에 그 작동 시 항상 매트 전체가 난방에 사용되는데 따른 사용자의 불편 현상이 있다.
즉, 2인 이상 규격의 온수매트에서 매트 전체의 온도가 동일하게 조정되면, 두 사용자의 난방 기호에 차이가 있을 때 어느 한 사용자의 난방 기호에 맞춰 난방 온도가 조정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나머지 한 사용자는 기호에 맞지 않는 난방 온도를 감수하면서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다.
또한 2인 이상 규격의 온수매트를 한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상 매트 전체 영역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지는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초래된다.
한국등록특허 제0783597(2007.12.07.공고), “온수 순환 매트용 온수 가열 장치” 한국공개실용 2009-0007525(2009.07.27.공개), “난방용 온수 순환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보일러 장치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동시에 그 순환 온수의 온도를 달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온수순환라인을 통해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국부적인 난방 영역들을 개별 형성시킬 수 있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매트를 기준으로 복수 사용자의 난방 기호를 개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복수 난방 구역을 형성할 수 있고, 필요 시 일부 구역에 대한 제한적 난방이 가능한 온열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는,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을 따라 안내 후 상기 보일러에 다시 유입하는 복수의 난방관과, 상기 보일러 및 난방관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의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유체 분배부와,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가 상기 난방관들 모두에 공급되거나 일부에만 공급되게 하는 동시에 각 난방관에 대한 가열된 유체의 공급량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최저난방제한온도로부터 최고난방제한온도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온도값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부여하고 상기 난방제한온도의 최고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는 난방관의 유체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난방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며, 난방관의 난방제한온도가 사전 설정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가 상기 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 전송 시 해당 난방관에 대한 유체 공급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난방관들의 일단과 개별 연결되는 상기 보일러의 유체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난방관의 상기 보일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일단의 반대쪽 일단이 개별 연결되어 각 난방관의 유체를 통합하여 상기 보일러에 유입하는 유체 통합 회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 통합 회수관에 대한 상기 난방관들의 연결 영역에 상기 유체 분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체 분배부는 3way 밸브이고, 상기 난방관은 3way 밸브의 두 유체배출통로에 개별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동시 공급받거나 어느 한 쪽만 공급받는 두 난방관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는 난방관들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짝을 이루는 50가지 경우 그리고 상기 50가지 경우 모두가 난방관 외부의 온도에 해당하는 30개의 온도값에 따라 30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총 1500가지 경우의 수를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테이블 형태의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는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을 따라 안내 후 상기 보일러에 다시 유입하는 복수의 난방관, 상기 보일러 및 난방관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의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유체 분배부,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장치와, 상기 난방관을 내장하는 상태로 상기 보일러 장치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난방관의 서로 다른 난방온도에 따라 복수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매트의 내측에 상기 난방구역별로 개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는 상기 난방구역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보일러 장치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동시에 그 순환 온수의 온도를 달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온수순환라인을 통해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국부적인 난방 영역들을 개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온열매트를 둘 이상의 난방구역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온열매트가 단일의 매트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복수 난방 구역으로 구획되어 복수 사용자의 난방 기호를 개별 충족시킬 수 있고, 필요 시 일부 구역에 대한 제한적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에서 제어부에 설정되는 난방제한온도 테이블의 일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매트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100: 이하 “보일러 장치”라 약칭함)는 보일러(110), 복수의 난방관(121,122), 유체 분배부(130), 복수의 온도센서(141,142), 제어부(150, 도 2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보일러 장치(100)는 유체통합 회수관(1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일러(110)는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가 물이고 이에 따라 보일러(110)를 통해 배출되는 가열된 유체가 온수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는 물이 아니 다른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체는 물 및 온수를 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보일러(110)의 온수는 펌프(180)의 펌핑 작용을 통해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난방관(121,122)은 보일러(110)의 가열된 온수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170)을 따라 안내 후 보일러(110)에 다시 유입하는 기능을 한다.
유체 분배부(130)는 보일러(110) 및 난방관(121,122)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보일러(110)에서 가열된 온수의 난방관(121,122)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유체 분배부(130)는 보일러(110)의 가열된 온수가 난방관(121,122)들 모두에 공급되거나 일부에만 공급되게 하는 동시에 각 난방관(121,122)에 대한 가열된 온수의 공급량 조절 기능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체 분배부(130)가 3way 밸브이고, 난방관(121,122)은 3way 밸브의 두 유체배출통로에 개별 연결되어 보일러(110)의 가열된 온수를 동시 공급받거나 어느 한 쪽만 공급받는 두 난방관(121,122)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체 분배부는 4way 이상의 밸브 또는 보일러의 가열된 온수에 대해 3개 이상의 배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난방관도 세 개 이상의 구성일 수 있다.
삭제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온도센서(141,142)는 난방관(121,122)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121,122)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온도센서(141,142)에서 감지되는 온도값이 제어부(150, 미도시, 도 2 참조)에 입력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온도센서(141,142)는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150)에 입력한다.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41,142)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난방관들에 대한 유체 분배부의 온수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는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어 온도센서(141,142)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설정된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난방관들에 대한 유체 분배부의 온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3way 밸브의 작동제어부(131)를 제어하여 난방관들에 대한 온수 공급 상태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난방제한온도를 최저난방제한온도로부터 최고난방제한온도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온도값으로 설정하여 이를 난방관들에 개별 부여하고, 이러한 난방제한온도의 최고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는 난방관의 온수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유체 분배부의 온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에는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는 난방관들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짝을 이루는 50가지 경우 그리고 상기 50가지 경우 모두가 난방관 주변온도에 해당하는 30개의 온도값에 따라 30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총 1500가지 경우의 수를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41,142)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테이블 형태의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난방관들에 대한 유체 분배부의 온수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은 제어부(150)에 설정되는 난방제한온도 테이블의 일예를 보인 도면이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유체통합 회수관(160)은 난방관(121,122)의 일단, 다시 말해 보일러(110)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난방관(121,122) 일단의 반대쪽 일단이 개별 연결되어 각 난방관(121,122)의 온수를 통합하여 보일러(110)에 유입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유체통합 회수관(160)은 회수되는 온수가 난방관(121,122)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19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열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매트는 보일러 장치(100) 및 매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일러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예 따른 보일러 장치와 동일 구성이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보일러 장치(100)의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는 동시에 보일러 장치(100)의 외부 케이스(111) 및 매트(200)에 내장되는 난방관(121,122) 및 온도센서(141,142)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또한 보일러 장치(100)의 케이스(111)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케이스(11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일러 장치(100)는 매트(200)에 고정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매트(2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매트(200)는 난방관(121,122)을 내장하는 상태로 보일러 장치(100)와 인접 설치되어 난방관(121,122)의 서로 다른 난방온도에 따라 제1 및 제2 난방구역(171,172)을 형성한다. 또한 온도센서(141,142)는 매트(200)의 내측에 제1 및 제2 난방구역(171,172)에 개별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매트(200)는 난방구역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4에 적용된 보일러 장치(100)는 그 온도센서가 난방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고, 난방관의 난방제한온도가 사전 설정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가 상기 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온도센서의 신호 전송에 따라 제어부가 해당 난방관에 대한 유체 공급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는, 하나의 보일러 장치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동시에 그 순환 온수의 온도를 달리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온수순환라인을 통해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국부적인 난방 영역들을 개별 형성시킬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온열매트를 둘 이상의 난방구역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즉, 온열매트는 단일의 매트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난방 온도의 복수 난방 구역으로 구획되어 복수 사용자의 난방 기호를 개별 충족시킬 수 있고, 필요 시 일부 구역에 대한 제한적 난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보일러 장치 110 : 보일러
111 : 케이스 121 : 난방관
122 : 난방관 130 : 유체분배부
141,142 : 온도센서 150 : 제어부
160 : 유체통합 회수관 170 : 난방구역
171 : 제1 난방구역 172 : 제2 난방구역
180 : 펌프 190 : 역류방지부
200 : 매트

Claims (13)

  1.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을 따라 안내 후 상기 보일러에 다시 유입하는 복수의 난방관;
    상기 보일러 및 난방관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의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유체 분배부;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최저난방제한온도로부터 최고난방제한온도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온도값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부여하고 상기 난방제한온도의 최고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는 난방관의 유체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난방관들은 각각의 상기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는 난방관들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짝을 이루는 50가지 경우 및 상기 50가지 경우 모두가 난방관 외부의 온도에 해당하는 30개의 온도값에 따라 30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총 1500가지 경우의 수를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테이블 형태의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난방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며, 난방관의 난방제한온도가 사전 설정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가 상기 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가 상기 난방관들 모두에 공급되거나 일부에만 공급되게 하는 동시에 각 난방관에 대한 가열된 유체의 공급량 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 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 전송 시 해당 난방관에 대한 유체 공급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부는 상기 난방관들의 일단과 개별 연결되는 상기 보일러의 유체 배출라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관의 상기 보일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일단의 반대쪽 일단이 개별 연결되어 각 난방관의 유체를 통합하여 상기 보일러에 유입하는 유체 통합 회수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체 통합 회수관에 대한 상기 난방관들의 연결 영역에 상기 유체 분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분배부는 3way 밸브이고, 상기 난방관은 3way 밸브의 두 유체배출통로에 개별 연결되어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동시 공급받거나 어느 한 쪽만 공급받는 두 난방관의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10. 삭제
  11. 공급되는 유체를 가열하여 배출하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의 가열된 유체를 개별 공급받아 난방 구역을 따라 안내 후 상기 보일러에 다시 유입하는 복수의 난방관, 상기 보일러 및 난방관들 간의 연결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보일러에서 가열된 유체의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유체 분배부,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설치되어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조절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난방관들 각각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를 최저난방제한온도로부터 최고난방제한온도까지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온도값으로 상기 난방관들에 개별 부여하고 상기 난방제한온도의 최고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는 난방관의 유체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난방관들은 각각의 상기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다른 온도값으로 개별 설정되되, 상기 난방제한온도는 난방관들의 난방제한온도가 서로 짝을 이루는 50가지 경우 및 상기 50가지 경우 모두가 난방관 외부의 온도에 해당하는 30개의 온도값에 따라 30가지 경우로 구분되어 총 1500가지 경우의 수를 포함하는 테이블 형태로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각 난방관의 실시간 온도값과 상기 테이블 형태의 난방제한온도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난방관들에 대한 상기 유체 분배부의 유체 공급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난방관마다 설치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를 개별 감지하며, 난방관의 난방제한온도가 사전 설정되어 해당 난방관의 난방온도가 상기 난방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출력하는 보일러 장치;
    상기 난방관을 내장하는 상태로 상기 보일러 장치와 인접 설치되어 상기 난방관의 서로 다른 난방온도에 따라 복수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매트를 포함하는 온열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매트의 내측에 상기 난방구역별로 개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상기 난방구역별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매트.
KR1020130069941A 2013-06-18 2013-06-18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KR101524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41A KR101524352B1 (ko) 2013-06-18 2013-06-18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41A KR101524352B1 (ko) 2013-06-18 2013-06-18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44A KR20140146944A (ko) 2014-12-29
KR101524352B1 true KR101524352B1 (ko) 2015-06-04

Family

ID=5267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941A KR101524352B1 (ko) 2013-06-18 2013-06-18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740B1 (ko) * 2015-03-02 2016-11-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분리 난방이 가능한 온수매트의 제어방법
KR101541745B1 (ko) * 2015-03-27 2015-08-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온수 매트
KR20160138629A (ko) 2015-05-26 2016-12-06 정유철 온도센서를 이용한 펌프장치
CN115042685B (zh) * 2022-06-21 2024-04-12 一汽奔腾轿车有限公司 一种汽车感应加热垫系统、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637A (ko) * 2004-01-09 2005-07-18 송종석 난방구역별 온도조절이 가능한 개별난방시스템
KR20050075910A (ko) * 2004-01-16 2005-07-25 주식회사 롯데기공 각방 온도 시스템에서 스텝방식을 이용한 난방수 온도제어방법
KR101067638B1 (ko) * 2011-03-31 2011-09-26 주식회사 구들장 선택 분할식 온열존을 갖는 구획별 가열식 온열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637A (ko) * 2004-01-09 2005-07-18 송종석 난방구역별 온도조절이 가능한 개별난방시스템
KR20050075910A (ko) * 2004-01-16 2005-07-25 주식회사 롯데기공 각방 온도 시스템에서 스텝방식을 이용한 난방수 온도제어방법
KR101067638B1 (ko) * 2011-03-31 2011-09-26 주식회사 구들장 선택 분할식 온열존을 갖는 구획별 가열식 온열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944A (ko) 201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352B1 (ko) 둘 이상의 난방구역을 형성하는 보일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열매트
CN104197502A (zh) 一种燃气热水器并联成的热源机及控制方法
KR20120111906A (ko)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RU2018126766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еплофикационный и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PL1582824T3 (pl) Urządzenie do zarządzania przepływem w połączonych zespołach grzewczych dla wody sanitarnej i pomieszczeń domowych oraz zespół kotła do połączonego ogrzewania wody sanitarnej i pomieszczeń domowych
EP2664858B1 (en) An adapter capable of being attached to a gas water heater to achieve an additional central heating function
KR101206945B1 (ko) 온수 시스템
CN207196902U (zh) 热水器
CN104676892B (zh) 电热水器和燃电互补热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106152521A (zh) 一种可自循环的循环装置及具有该循环装置的热水器
KR102069795B1 (ko) 온수 공급장치
KR101832440B1 (ko) 회수관의 열원보충부를 구비한 중앙난방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6403259B (zh) 一种热水器
KR20110127937A (ko) 전기 보일러
CN205536122U (zh) 热网换热站自动控制系统
KR20100031710A (ko) 저전력 순간 온수기
CN106765508A (zh) 一种便利取暖的多通道中间换热装置
CN209445580U (zh) 一种水管温度调节装置
KR102506014B1 (ko) 난방 및 급탕공급장치
JP2017156059A (ja) 給湯装置
CN206531292U (zh) 热水循环系统
CN205606881U (zh) 用于对生活热水管线内存水进行加热的管件装置
KR101735824B1 (ko) 순간온수용 온수조 모듈
KR20160075942A (ko) 온수매트 분리난방 조절장치
WO2016129757A1 (ko) 온수 순환배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