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265B1 -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 Google Patents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265B1
KR101524265B1 KR1020150045596A KR20150045596A KR101524265B1 KR 101524265 B1 KR101524265 B1 KR 101524265B1 KR 1020150045596 A KR1020150045596 A KR 1020150045596A KR 20150045596 A KR20150045596 A KR 20150045596A KR 101524265 B1 KR101524265 B1 KR 10152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case
cover
manufacturing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5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이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이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이디어
Priority to KR1020150045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 배면에 가죽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외관을 제공하고, 추가로 이 커버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신용카드, 벨트, 명함, 동전, 볼펜 등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제1바디부재를 제3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제1바디부재를 상기 제3바디부재에 부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 상기 제3바디부재 또는 상기 제1 및 제3바디부재를 절단하여 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수납부재 제조단계; 상기 수납부재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성형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상기 제1바디부재 및 제3바디부재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 및 제3커버부와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MANUFACTURING METHOD FOR MOBILE CASE AND MOBILE CASE THEREOF}
본 발명은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 배면에 섬유재, 천연 가죽, 인조 가죽,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외관을 제공하고, 추가로 이 커버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신용카드, 벨트, 명함, 동전, 볼펜 등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정 연령 이상의 거의 모든 국민이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을 소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의 광범위한 확산과 함께 고가의 모바일을 치장하고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액세서리가 개발ㅇ판매되고 있는바, 이 중 케이스는 모바일 보호에 필수적인 아이템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보호 기능성 외에 패션 아이템으로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또한 케이스는 단순 보호 기능을 뛰어넘어 부가적인 활용가치를 지니는 것이 유행인데, 특히 케이스의 외면 또는 내면 등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동전, 펜 등과 같은 간단한 수납 대상체를 수납하거나, 신용카드, 벨트, 명함 등과 같은 대상을 수납하기도 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구비된 수납부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특허 제10-1054575호 (2011년07월29일)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종래기술1)에는 사용자가 지갑과 핸드폰을 쉽게 소지할 수 있고, 핸드폰을 간소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체결부를 수납할 수 있는 체결부수납부를 마련함으로써, 핸드폰의 액정을 체결부가 가리지 않게 되어 핸드폰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실용 제20-0472690호 (2014년05월09일) [지갑겸용 스마트폰 케이스](종래기술2)에는 기존의 지갑을 겸용한 스마트폰 케이스의 경우에서 발생된 문제점인 지폐를 구기거나 접거나 등등의 손상 없이 지폐의 수납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진정으로 지갑을 겸용한 케이스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 및 2에서는 수납부의 일 형태인 주머니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모두 케이스 내측에 구비된 것으로 얇은 카드 형태의 명함, 화폐 등과 같은 대상만을 수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 제20-0473012호 (2014년05월29일) [휴대폰 케이스](종래기술3)가 있는데, 바(bar)형 휴대폰의 배면을 덮어주는 백커버(back cover)와, 상기 백커버에 부착되는 미니백(mini-bag)을 포함하고 있어서, 휴대폰이 소형 가방을 둘러메고 있는 것 같은 독특한 형상과 함께 보호기능과 수납기능, 거치(据置)기능, 파지(把指)기능 및 장식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는 휴대폰 케이스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3에 제시된 미니백은 앞서 종래기술1 및 2에서 지적된 문제점인 다양한 대상을 수납할 수 있다는 점을 일부 해결하였으나, 미니백이 차지하는 부피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을 손에 쥐기가 불편하고, 또한 이에 따라 데스 그랩(모바일이 사용자의 손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우려가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 제20-0472205호 (2014년04월03일) [핸드폰 케이스 지갑](종래기술4)이 있는데, 사용자가 지갑과 핸드폰을 쉽게 소지할 수 있고, 핸드폰을 간소하게 거치시킬 수 있으며,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체결부를 수납할 수 있는 체결부수납부를 마련함으로써, 핸드폰의 액정을 체결부가 가리지 않게 되어 핸드폰 사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핸드폰 케이스 지갑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4 역시 앞서 종래기술 1 및 2에서 언급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 배면에 섬유재, 천연 가죽, 인조 가죽,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외관을 제공하고, 추가로 이 커버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신용카드, 벨트, 명함, 동전, 볼펜 등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바일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납부를 구성하는 각 커버부를 이종(異種) 소재로 구비하여 모바일이 본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디자인적인 포인트인 배면 관찰 시 고급스러운 느낌과 함께 디테일한 감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은
제1바디부재를 제3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제1바디부재를 상기 제3바디부재에 부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 상기 제3바디부재 또는 상기 제1 및 제3바디부재를 절단하여 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수납부재 제조단계; 상기 수납부재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성형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상기 제1바디부재 및 제3바디부재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 및 제3커버부와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케이스 제조방법은 제1바디부재를 제2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는 배열단계; 상기 제1바디부재를 상기 제2바디부재에 부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 상기 제1바디부재 및 제2바디부재가 중첩된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1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제1수납부재 제조단계; 상기 제1수납부재를 제3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여 제2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제2수납부재 제조단계; 및, 상기 제2수납부재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성형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제1 내지 제3바디부재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3커버부와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3바디부재 또는 제1 내지 제3바디부재는 이종(異種)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바일 케이스는
모바일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구비된 제3커버부, 상기 제3커버부 배면에 구비된 제2커버부, 상기 제2커버부 배면에 구비된 제1커버부 및, 상측으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에 둘러싸인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멋스러운 외관을 제공하고, 더불어 신용카드, 벨트, 명함, 동전, 볼펜 등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미감성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시켜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를 구성하는 각 커버부를 이종(異種) 소재로 구비하여 모바일이 본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 디자인적인 포인트인 배면 관찰 시 고급스러운 느낌과 함께 디테일한 감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제조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과정도.
도 2는 본 제조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과정도.
도 3은 본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케이스의 분해사시도(가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을 수용하는 케이스본체(5) 배면에 섬유재, 천연 가죽, 인조 가죽,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진 커버부를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결합하여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외관을 제공하고, 추가로 이 커버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4)를 구비하여 신용카드, 벨트, 명함, 동전, 볼펜 등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을 동시에 충족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M) 및 그 모바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M)(이하 본 제조방법(M)) 및 본 제조방법(M)에 의해 제조된 모바일 케이스(이하 본 케이스(C))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각 도면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 하, 좌, 우를 나누어 설정하고, 또한 수납부(4)가 구비된 면을 배면, 즉 후방으로 특정한다.
또한 본 제조방법(M)의 설명을 위해 표현하는 방향과 본 케이스(C)의 설명을 위해 표현하는 방향을 다를 수 있으나, 이는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표현됨을 밝히는 바이다.
도 1은 본 제조방법(M)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제조방법(M1)은
배열단계(S10), 접합단계(S20), 수납부(4)재(60) 제조단계(S30), 인서트성형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계(S10 ~ S40)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1바디부재(1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1), 제3바디부재(3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3커버부(3) 및 수납공간(5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4)가 케이스본체(5) 배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3 추가 참조)
도 1을 통해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A]는 배열단계(S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단계(S10)는 제1바디부재(10)를 제3바디부재(30) 일면에 배열하는 과정이다. 도 1에는 제3바디부재(30) 베이스에 다수의 제1바디부재(10)를 배열하였는데, 이는 양산성 및 대량생산을 위한 것일 뿐이다. 또한 여기에서 일면은 제조 공정 상 케이스본체(5)의 배면이 될 것이나, 수납부(4)의 구비를 반드시 모바일 케이스본체(5)의 배면에 구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일 실시예로서 케이스본체(5)의 배면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이다.
도 1 [B]는 접합단계(S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단계(S20)는 제1바디부재(10)를 제3바디부재(30)에 부착하여 접합부(40)를 형성하고, 이 접합부(40)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50)이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 제1바디부재(10)와 제3바디부재(30)간의 접착은 접착제의 활용, 프레스기를 통한 압착 및 열융착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결합의 견고함을 위해 프레스기를 통한 압착 및 열융착방법(열접합)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접착부의 구비는 도 1 [B]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1바디부재(10)와 제3바디부재(30)의 접합 부위 모두를 접합한 다음 일 측을 절개하여 개구부(4A)를 형성하거나, 또는 처음부터 개구부(4A)가 될 접합 부위를 제외하고 타 접합부(40)만을 접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개구부(4A)를 구비하여 수납부(4)를 밴드처럼 활용하거나, 사용자 바지의 벨트에 끼움결합하여 거치하는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거치대에 결합되는 걸림고리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또한 도 1 상부 원 영역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부재(10)는 제3바디부재(30)와의 결합부(a)위에 일부 중첩되는 중첩부(43)를 갖고, 이 중첩부(43)가 프레스 등에 의해 열융착되어 접합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중첩부(43)를 통한 접합부(40)의 형성은 접합부(40)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1바디부재(10)의 내측, 즉 수납공간(50) 내에 형성되게 하여, 중첩부(43)를 구비하지 않고 열융착하여 형성된 접합부(40)에 비해 외력에 대해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C]는 수납부(4)재(60) 제조단계(S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4)재(60) 제조단계(S30)는 제3바디부재(30) 또는 제1 및 제3바디부재(10)(30)를 절단하여 수납부(4)재(60)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도 1 [C]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3바디부재(30)를 절단하여 수납부(4)재(60)를 구비하거나, 제1바디부재(10) 및 제3바디부재(10)(30)를 절단하여 수납부(4)재(60)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제1바디부재(10)와 제3바디부재(30)를 동시에 절단하는 방식은 상기한 접합부(40) 상에 절단선(ct)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합부(40)가 얇게 형성되어 본 케이스(C)의 수납부(4)를 형성할 때, 수납부(4)의 가장자리 둘레를 이루는 트리밍부(4B)가 깔끔하게 처리되어 외관상 고급스러움을 더 할 수 있다.
도 1 [D]에는 절단이 완료된 수납부(4)재(60)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납부(4)재(60)는 인서트성형단계(S40)에서 금형에 배열되어 케이스본체(5)가 인서트 성형된다. 보다 상세하게, 인서트성형단계(S40)는 수납부(4)재(60)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30)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5)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 제3바디부재(30)의 타면이라 함은 제1바디부재(10)가 접착된 면의 반대 측 면을 의미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본체(5)의 배면과 타면이 접촉되도록 인서트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역시 일종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이러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제조방법(M1)에 따라 케이스본체(5) 배면에 제1커버부(1) 및 제3커버부(3)와 수납부(4)가 형성된 모바일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제조방법(M)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과정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제조방법(M2)은
배열단계(S100), 접합단계(S200), 제1수납부(4)재(61) 제조단계(S300), 제2수납부(4)재(62) 제조단계(S350), 인서트성형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단계(S100 ~ S400)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1바디부재(1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1), 제2바디부재(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2커버부(2), 제3바디부재(3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3커버부(3) 및 수납공간(50)에 의해 이루어지는 수납부(4)가 케이스본체(5) 배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3 추가 참조)
도 2를 통해 각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되, 제1실시예와의 혼돈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제조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도면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2 [A]는 제1수납부(4)를 제조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실시예에 따른 본 제조방법(M2)에서 배열단계(S100), 접합단계(S200)는 제1바디부재(10)와 제2바디부재(20)를 접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의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편의 상 제1바디부재와 제2바디부재가 이루는 접합부를 제1접합부(41), 제2바디부재와 제3바디부재가 이루는 접합부를 제2접합부(42)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부(4) 제조단계는 접합단계(S200)를 거쳐, 제1바디부재(10)를 제2바디부재(20)에 부착하여 제1접합부(4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접합부(41)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50)을 형성한 다음, 제1바디부재(10) 및 제2바디부재(20)가 중첩된 제1접합부(41)를 절단하여 제1수납부(4)재(61)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바디부재(10)는 중첩부(43)를 형성하고 이 중첩부(43)를 열융착하여 제1접합부(41)를 구비한다. 역시 제1접합부(41)가 수납공간(50) 내에 형성되게 하여, 중첩부(43)를 구비하지 않고 열융착하여 형성된 제1접합부(41)에 비해 외력에 대해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서도 제1접합부(41) 상에 절단선(ct)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접합부(41)가 얇게 형성되어 본 케이스(C)의 수납부(4)를 형성할 때, 수납부(4)의 가장자리 둘레를 이루는 트리밍부(4B)가 깔끔하게 처리되어 외관상 고급스러움을 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B]에는 이러한 제1수납부(4)재(61)가 제조되고, 제조된 제1수납부(4)재(61)를 제3바디부재(30) 일면에 배열하는 단계(S351)의 과정이 도시되어 있고, 도 2 [C]에는 제1수납부(4)재(61)를 제3바디부재(30)에 접착하고 절단선(ct)을 따라 절단하는 단계(S352)의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2수납부(4)재(62) 제조단계(S350)는 상기 S351단계와 S35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2 [C]에서는 제2바디부재와 제3바디부재 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는 제2접합부(42)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S350) 절단선(ct)은 제조하고자 하는 모바일 케이스의 크기에 따라 위치가 정해지므로, 케이스본체(5)의 배면의 규격을 고려하여 설정하여한다.
도 2 [D]는 인서트성형단계(S400)를 거쳐 케이스본체(5) 배면에 제2수납부(4)재(62)를 결합하여 수납부(4)를 구비한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서트성형단계(S400)는 제2수납부(4)재(62)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30)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5)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여기에서 제3바디부재(30)의 타면이라 함은 제1수납부(4)재(61)가 접착된 면의 반대 측 면을 의미하고, 제2수납부(4)재(62)가 케이스본체(5)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정한 것은 역시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의 각 과정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제조방법(M2)에 따라 케이스본체(5) 배면에 제1커버부(1), 제2커버부(2) 및 제3커버부(3)와 수납부(4)가 형성된 모바일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제조방법(M)의 또 다른 핵심 특징은 제1 및 제3바디부재(10)(30) 또는 제1 내지 제3바디부재(10)(20)(30)는 이종(異種)소재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먼저 제1바디부재(10) 및 제3바디부재(30)가 이종(異種)소재로 구성되는 것은 제1실시예(M1)에 따라 제조되는 모바일 케이스의 제1커버부(1)와 제3커버부(3)가 이종(異種)의 소재로 구비된다는 것인데, 여기에서 이종(異種)이라 함은 섬유재, 천연 가죽, 인조가죽, 폴리우레탄,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의 차이와 더불어, 색깔, 명도, 재질, 감촉 등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특징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바디부재(10)(20)(30)가 이종(異種)소재로 구성되는 것은 제2실시예(M2)에 따라 제조되는 모바일 케이스의 제1커버부(1), 제2커버부(2) 및 제3커버부(3)가 이종(異種)의 소재로 구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종(異種)소재로 이루어진 제1커버부(1), 제2커버부(2), 제3커버부(3)는 모바일이 본 케이스(C)에 결합된 상태에서 디자인적인 포인트인 배면 관찰 시 고급스러운 느낌과 함께 디테일한 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특히 제1커버부(1), 즉 제1바디부재(10)는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재는 인서트 성형 시 용융되지 않기 때문에 그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제2커버부(2)(제2바디부재(20)) 또는 제3커버부(3)(제3바디부재(30))에 융착되지 않고, 상기한 접합부(40)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바디부재(10)를 이루는 섬유재는 특히 스판덱스, 나일론 등과 같은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제1바디부재(10)는 수납공간(50)의 크기를 넓혀주어 보다 많은 또는 보다 다양한 대상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2커버부(2) 및 제3커버부(3)는 가죽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가죽 소재는 천연 가죽을 채택할 수도 있으나, 가격 경쟁력과 생산성, 그리고 접착제의 도입 없이도 케이스본체(5)의 배면과 우수한 접합성을 갖도록 하며, 무엇보다도 인서트사출금형 내에서의 온도와 압력에 견딜 수 있고 고온에도 수축이나 주름 발생 등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인조 가죽을 채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 및 표면 질감의 가죽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3커버부(3)는 폴리우레탄 등(열가소성 합성수지)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는 인서트 성형 시 용융된다. 바람직한 예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인 케이스본체(5)를 인서트 사출 성형 할 때, 제3커버부(3) 역시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채택하여 케이스본체(5)와 제3커버부(3)가 일체를 이루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 예들은 실시자의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제1 내지 제3바디부재(10)(20)(30)를 어떠한 특정 소재를 채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나, 특히 제1바디부재(10)의 경우는 수납공간(50)의 확장성과 복원력에 의한 클램핑력을 위해 신축성이 있는 소재, 그리고 수납공간(50)이 인서트 성형 시 열접합 되어버리지 않기 위해 섬유재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제조방법(M)에 따라 제조된 모바일 케이스(본 케이스(C))가 도시되어 있고, 아울러 도 3은 본 케이스(C)의 사시도, 도 4는 본 케이스(C)의 분해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지만 본 케이스(C)의 각 부 구성을 보다 면밀하게 설명하기 위해 가상으로 분해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해 본 케이스(C)를 설명함과 더불어 본 제조방법(M)에 따라 제조된 각 구성의 특징 및 효과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케이스(C)는 모바일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본체(5), 이 케이스본체(5) 배면에 구비된 제3커버부(3), 이 제3커버부(3) 배면에 구비된 제2커버부(2), 이 제2커버부(2) 배면에 구비된 제1커버부(1) 및 상측으로 개구부(4A)를 갖고 제1커버부(1) 및 제2커버부(2)에 둘러싸인 수납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본체(5)의 수용부는 정면 측으로 구비되어 있고, 모바일이 안착되는 구성이다. 추가적으로 커버 또는 덮개 등을 구비하여 모바일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커버 또는 덮개의 외면에 수납부(4)를 구비하는 실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커버부(1)는 제1바디부재(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수납부(4)(또는 수납공간(50))의 크기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제1커버부(1)의 복원력에 의해 수납부(4) 내 수납된 대상을 압박하여 일종의 클램프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도 1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납부(4)에 두 개 이상의 개구부(4A)를 구비하여 밴드, 사용자의 바지의 벨트에 장착하는 걸림고리 등으로 활용하는 경우 지지력을 부가한다.
또한 제2커버부(2)는 제2바디부재(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인조 가죽 등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제2커버부(2)에는 제1커버부(1)와 중첩되지 않는 노출부(2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노출부(21)는 양 측에 배치된 두 돌부(21a)와, 두 돌부(21a) 사이에 배열된 홈부(2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노출부(21)의 구비는 본 케이스(C)의 디자인적 가치가 높은 외관을 제공하고, 수납부(4)에 수납대상을 수납하기 위해 개구부(4A)를 벌릴 때 보다 쉽게 개구부(4A)를 벌릴 수 있도록 하여 수납의 편리성까지 제공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수납부(4)의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된 트리밍부(4B)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절단선(ct)이 중첩부(43) 상에 구비된 특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이 트리밍부(4B)는 제1커버부(1)와 제2커버부(2) 간의 결합에 있어서, 깔끔한 테두리를 통해 미감 향상 효과를 제공하고, 나아가 케이스본체(5)에 수납부(4)가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주어 본 케이스(C)의 전체적인 외관에 있어서도 안정감을 제공한다.
아울러 도 3에서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생성되는 결합부(a)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이 결합부(a)는 제3커버부(3)와 케이스본체(5)의 배면과의 접합부(제2접합부(42))에 구비된다. 이 결합부(a)는 제3커버부(3)와 케이스본체(5) 간의 접착 강도에 있어 큰 장점을 갖는데, 제3커버부(3)와 케이스본체(5)를 일체가 되게 하여 접착제를 활용하는 방식에 비해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도 4에서는 제3커버부(3)에 형성된 안착부(60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제3커버부(3)의 면으로부터 수납부(4)의 돌출 높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제2커버부(2)와 제3커버부(3)의 접착 강도를 높여주어 본 케이스(C)의 내구성을 높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안착부(60의 구비를 위해 제2수납부(4)재(62) 제조단계(S350)는 제3바디부재(30)의 일면에 제1수납부(4)재(61)가 안착되는 안착부(60을 형성하는 단계(S35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본 제조방법 M1, M2: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10: 제1바디부재 20: 제2바디부재
30: 제3바디부재 40: 접합부
50: 수납공간 60: 수납부재
C: 본 케이스
1: 제1커버부 2: 제2커버부
3: 제3커버부 4: 수납부
5: 케이스본체

Claims (4)

  1. 삭제
  2. (S100) 제1바디부재를 제2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는 배열단계;
    (S200) 상기 제1바디부재를 상기 제2바디부재에 부착하여 접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합부를 둘레로 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접합단계;
    (S300) 상기 제1바디부재 및 제2바디부재가 중첩된 접합부를 절단하여 제1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제1수납부재 제조단계;
    (S350) 상기 제1수납부재를 제3바디부재 일면에 배열하여 제2수납부재를 제조하는 제2수납부재 제조단계; 및
    (S400) 상기 제2수납부재를 금형에 배열하고 제3바디부재의 타면 측에 케이스본체가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는 인서트성형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제1 내지 제3바디부재와 상기 수납공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1 내지 제3커버부와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바디부재 또는 제1 내지 제3바디부재는 이종(異種)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4. 제 2 항에 기재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모바일 케이스에 있어서,
    모바일 수용부를 갖는 케이스본체;
    상기 케이스본체 배면에 구비된 제3커버부;
    상기 제3커버부 배면에 구비된 제2커버부;
    상기 제2커버부 배면에 구비된 제1커버부; 및
    상측으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1커버부 및 제2커버부에 둘러싸인 수납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바일 케이스.
KR1020150045596A 2015-03-31 2015-03-31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KR10152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96A KR101524265B1 (ko) 2015-03-31 2015-03-31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5596A KR101524265B1 (ko) 2015-03-31 2015-03-31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4265B1 true KR101524265B1 (ko) 2015-06-02

Family

ID=5349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5596A KR101524265B1 (ko) 2015-03-31 2015-03-31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36Y1 (ko) * 2012-06-05 2013-02-21 주식회사 신지모루 카드 수납 파우치를 구비한 휴대폰 스킨
KR20130141957A (ko) * 2012-06-18 2013-12-27 현민지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0939U (ko) * 2012-07-31 2014-02-11 김성덕 휴대폰 카드수납형 케이스
KR200472846Y1 (ko) * 2014-03-21 2014-05-30 주식회사 트라이디어 스티치를 갖는 가죽베이스가 일체로 결합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36Y1 (ko) * 2012-06-05 2013-02-21 주식회사 신지모루 카드 수납 파우치를 구비한 휴대폰 스킨
KR20130141957A (ko) * 2012-06-18 2013-12-27 현민지 휴대폰 케이스
KR20140000939U (ko) * 2012-07-31 2014-02-11 김성덕 휴대폰 카드수납형 케이스
KR200472846Y1 (ko) * 2014-03-21 2014-05-30 주식회사 트라이디어 스티치를 갖는 가죽베이스가 일체로 결합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575B1 (ko) 카드 포켓을 구비한 핸드폰 케이스
US9116665B2 (en)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05718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onfiguration
TWI253276B (en) Foldable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205813764U (zh) 内建近场通讯模组的服饰零配件
US20140083876A1 (en) Cell phone case with mushroom-like button(s) locking system
JP3159716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
KR101348712B1 (ko) 휴대용 모바일기기 보호케이스
JP3204785U (ja) 近距離無線通信モジュールを内蔵した衣類用アクセサリー
US20160270515A1 (en) Restickable vanity mirror
KR200470932Y1 (ko) 미용품 보관함이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524265B1 (ko) 수납부를 구비한 모바일 케이스 제조방법 및 그 모바일 케이스
KR200472846Y1 (ko) 스티치를 갖는 가죽베이스가 일체로 결합된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0466662Y1 (ko) 다이어리형 휴대폰 케이스
KR101306177B1 (ko) 카드수납용 포켓구조
KR20170048700A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64902Y1 (ko) 휴대폰에 부착되는 카드 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0479106Y1 (ko) 다용도 휴대폰 파우치
KR20130040377A (ko) 거울 기능이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30006416U (ko) 스마트폰 수납등 다양한 수납 공간 구성이 가능한 다단 접이식 다용도 파우치
KR200469662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30005319U (ko) 비개방 사용이 가능한 모바일기기용 플립타입 보호케이스
KR20210014252A (ko) 펜 수납부를 포함하는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471084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