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553B1 -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 Google Patents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53B1
KR101523553B1 KR1020140177164A KR20140177164A KR101523553B1 KR 101523553 B1 KR101523553 B1 KR 101523553B1 KR 1020140177164 A KR1020140177164 A KR 1020140177164A KR 20140177164 A KR20140177164 A KR 20140177164A KR 101523553 B1 KR101523553 B1 KR 10152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ble
receptacle
connector
re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1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송구
위성범
Original Assignee
이송구
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송구, 위성범 filed Critical 이송구
Priority to KR102014017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53B1/en
Priority to TW104141303A priority patent/TW201626653A/en
Priority to PCT/KR2015/013446 priority patent/WO201609361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protecting connection part of mobile and cable from mobile receptacle and cable connector damage, wherein the cable and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a terminal to charge the mobile or communicate through data.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protecting connection part of mobile terminal and cable to ensure that, when an external force that could cause damage to the device and the cable connection portion is applie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b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connection part (that is, the receptacle connector) from being damaged. The device protecting connection part of mobile and cable includes: a front body with a connector at the front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of a mobile; a rear body with a receptac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cable in the rear; an assembly means assembling the rear of the front body and the front of the rear body; and a connection means equipped in the rear of the front body and in the front of the rear body, respectivel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or of the front body and the receptacle of the rear body.

Description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단말기를 충전시키거나 데이터통신을 위해 단말기에 접속되는 케이블가 케이블의 접속부위, 즉,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에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외력이 가해지면 단말기와 케이블이 분리되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이들의 접속부위(즉, 리셉터클과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able connection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cable to be connected to a terminal for charging a terminal or data communication, that is, a connector of a receptacle of a terminal and a connector of a cable,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that may cause damage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cable is applied, a terminal and a cabl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ion portion (that is, the receptacle and th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IT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 노트북, PDA, 태블릿 등의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 variety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notebooks, PDAs, and tablets are being launche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충전을 하거나 PC 등과 데이터통신을 하도록 케이블이 연결된다. 즉, 단말기와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단말기에는 리셉터클이 구비되고, 케이블의 일단에는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나 PC에 연결되는 접속포트가 구비된다.
Such 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cable so as to perform charging or data communication with a PC or the like. That is,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receptacle so that the terminal and the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t one end of the cable, and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socket or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PC at the other end .

많은 사용자들이 단말기의 충전을 위해서(데이터통신을 포함함)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케이블의 커넥터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검색을 하는 등으로 단말기를 사용한다. Many users use the terminal in order to charge the terminal (including data communication) by making a call, playing a game, searching, etc. while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cable to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그리고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부주의로 순간순간 단말기를 케이블의 이동범위를 벗어나게 이동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In case of using the terminal while the cable is connected, the terminal is inadvertently moved out of the moving range of the cable at the moment.

단말기가 케이블의 이동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지고, 케이블과 단말기의 접속부위, 즉, 케이블의 커넥터와 단말기의 리셉터클 부위에 부하가 집중된다. When the terminal is out of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cable, the cable is pulled tightly and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able and the terminal, that is, the connector of the cable and the receptacle portion of the terminal.

이때, 이동하는 단말기의 배치방향이 케이블의 연장선 상(즉, 리셉터클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방향)에 있으면 단말기가 케이블에서 큰 손상 없이 분리될 수 있지만, 단말기의 배치방향이 케이블의 연장선에서 어긋나 있으면 커넥터가 리셉터클에 대하여 회전하려는 힘을 받아 리셉터클과 커넥터 내의 접속핀이 단선되거나 제자리를 이탈하는 손상을 입게 된다. At this time, if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moving terminal is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cable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he terminal can be separated without significant damage to the cable. However, Receives a force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and the receptacle and the connecting pin in the connector are disconnected or damaged.

접속핀이 이렇게 단선 또는 자리이탈을 하면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이 커넥터 간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케이블의 커넥터가 손상되면 케이블을 새것으로 구입해야 하고,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손상되면 단말기를 분해한 후에 리셉터클이 장착된 기판을 교체해야 한다. When the connection pin is disconnected or displaced in this way,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nd the cable are not proper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or can not be used again. That is, if the cable connector is damaged, the cable must be purchased as a new one, and if the terminal receptacle is damaged, the terminal with the receptacle should be replaced after the terminal is disassembled.

이처럼 사소한 부주의로 케이블의 커넥터나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손상되어 케이블을 신제품으로 구입하거나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장착된 기판을 교체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비용 부담이 되고 자원의 낭비가 아닐 수 없다.
Such minor carelessness can damage the connector of the cable or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so that purchasing the cable as a new product or replacing the board on which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is mounted can be a considerable cost and a waste of resources.

참고로, 본 발명처럼 케이블과 단말기의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개념의 종래기술은 없다. As a reference, there is no conventional concept of preventing a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a cable and a termina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등록특허 제1088905호 "핸드폰용 젠더"와 같이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의 접속을 매개하는 기술은 있지만, 이는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가 구조적으로 상응하지 아니하여 케이블의 커넥터를 단말기의 리셉터클로 직접 삽입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 이들을 접속시키는 매개체일뿐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그러한 기능도 기대할 수 없다.
However, there is a technology for medi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cable as in the case of Patent No. 1088905 entitled " Gender for Mobile Phones ", but the connector of the terminal is not structurally equivalent to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It can not be expected that such a function is not intended to prevent damage due to a concentrated load on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은 이처럼 사용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케이블의 커넥터나 단말기의 리셉터클이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 of damaging a connector of a cable or a receptacle of a terminal by careless carelessness of a user,

각각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에 접속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와 케이블을 접속시키며,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분리되도록 서로 간에 조립결합되어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케이블의 커넥터의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는 때에 이들에게 손상이 유발되기 전에 분리되어 손상이 예방할 수 있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of the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nect the terminal and the cabl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protect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terminal and a cable, which can be separated and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efore a load is concentrated on the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A front body hav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t the front;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된 후방몸체;A rear body provided with a receptacle to which a connector of the cable is connected at the rear;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Assembly means for assembling the rear of the front body and the front of the rear body;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connection mean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body and in front of the rear bod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nector of the front body and the receptacle of the rear body.

그리고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자성결합되는 마그넷과 메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The assembling means includes a magnet and a metal,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and a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서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단턱과 수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Wherein the assembling means further comprises an arm step and a means jaw provided a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and at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상기 접속수단은 The connection means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 주변을 감싸는 외부단자, An inner terminal provided at a rear center portion of the front body, an outer terminal surrounding the inner terminal,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텐션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내부단자와 접속되는 인사이드단자와, 상기 인사이드단자의 주변을 감싸고 상기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아웃사이드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ner terminal provided at a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 tension and protrud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terminal, and an outer terminal surrounding the inner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outer terminal.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에 전방몸체와 후방몸체가 분리되어 가해지는 부하를 차단함으로써 커넥터와 리셉터클의 손상을 예방하고, 그에 따라 케이블을 신제품으로 구입하거나 리셉터클이 장착된 기판을 단말기에서 교체해야하는 비용부담을 줄이고, 전방몸체와 후방몸체는 자성결합을 통해 간이신속하게 조립결합되고, 내부단자와 외부단자 그리고 인사이드단자와 아웃사이드단자를 통해 간편하고 안전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사용이 편리한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terminal and a cable from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pparatus compris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are quickly assembled and assembled through the magnetic coupling, and the inner terminal and the outer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t is a useful device for industrial power generation as a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point of a terminal and a cable, which is easily and conveniently connected through a simple and safe electric connection through an inside terminal and an outside side termina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장치를 통해 케이블과 단말기가 접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able and a terminal are connected through a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onnection portion of a terminal and a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전방몸체(30), 후방몸체(40), 조립수단(50) 및 접속수단(60)이라고 하는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evice for protect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components called a front body 30, a rear body 40, an assembling means 50 and a connecting means 60.

상기 전방몸체(30)는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에 삽입되어 접속되고, 상기 후방몸체(40)는 케이블(20)의 커넥터(21)가 삽입되어 접속되고,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는 상기 조립수단(50)을 통해 서로 간이 조립되고 접속수단(60)을 통해 서로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ront body 30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11 of the terminal 10 and the rear body 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1 of the cable 20 by being inserted therein, And the rear body 40 are assembled to each other via the assembling means 50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60. [

상기 전방몸체(30)의 전방에는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커넥터(31)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몸체(40)의 후방에는 케이블(20)의 커넥터가 삽입되어 접속되는 리셉터클(41)이 구비된다.
A connector 31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receptacle 11 of the terminal 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body 30 and a connector of the cable 20 is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rear body 40 The receptacle 41 is provided.

상기 조립수단(50)과 접속수단(60)은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방과 후방몸체(40)의 전방에 구비되어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조립시키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The assembling means 50 and the connecting means 60 are provided in front of the rear and rear bodies 40 of the front body 30 to assemble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간편하게 조립결합시키고 상기 접속수단(60)이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과 케이블(20)의 커넥터(21)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키도록 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를 분리시켜 단말기(10)의 리셉터클(11)이나 케이블(20)의 커넥터(2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assembling means 50 can easily and assembled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so that the connecting means 60 can connect the receptacle 11 of the terminal 10 and the connector 21 of the cable 20. [ The receptacle 11 of the terminal 10 and the connector 21 of the cable 20 are damaged by separating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prevent.

상기 조립수단(50)은 상기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정위치에서 서로 조립되도록 하는 암단턱(51)과 수단턱(53)을 포함한다. The assembling means 50 includes an arm step 51 and a means jaw 53 for allowing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to be assemb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암단턱(51)과 수단턱(53)은 각각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면과 후방몸체(40)의 전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서, 수단턱(53)이 암단턱(5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면에서는 암단턱(51)은 전방몸체(30)에 형성되고 수단턱(53)은 후방몸체(40)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대로 암단턱(51)은 후방몸체(40)에 형성되고 수단턱(53)은 전방몸체(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The arm step 51 and the means step 53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front edge of the rear body 40, As shown in Fig. The arm step 51 is formed on the front body 30 and the means jaw 53 is formed on the rear body 40. On the contrary, the arm step 51 is formed on the rear body 40, May be formed on the front body 30.

이때, 상기 암단턱(51)과 수단턱(53)의 깊이는 1-2mm 정도로 얕아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정위치로 연결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과, 미약한 외부충격에 의해 후방몸체(40)가 전방몸체(30)의 정렬 위치에서 벗어나 상기 접속수단(60)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거나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로서, 리셉터클(11, 41)이나 커넥터(21, 31)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정도로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의 분리를 방해할 수준은 아니다.
At this time, the depth of the arm step 51 and the shoulder 53 is shallow to about 1-2 mm so as to guide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to be connected in a correct position, Of the receptacle 11 or 41 or of the connector 21 or 31 to a degree that prevents the rear body 40 from being displaced from the alignment position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connecting state of the connecting means 60 being released or becoming unstable,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such an extent that damage can be caused.

상기 암단턱(51)과 수단턱(53)에 의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의 조립결합력은 이처럼 약해서 상기 접속수단(60)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어렵다. The assembling force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by the arm step 51 and the means jaw 53 is so weak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ng means 60. [

그래서 상기 조립수단(50)은 서로 자성결합되는 마그넷(55)과 메탈(57)을 더 포함한다. Thus, the assembling means 50 further comprises a magnet 55 and a metal 57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마그넷(55)과 메탈(57)은 각각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면과 상기 후방몸체(40)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서, 마그넷(55)의 자력에 의해 서로 자성결합된다.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are provid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front edge of the rear body 40 respectively and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55.

도면에서 상기 마그넷(55)은 후방몸체(40)에 구비되고 상기 메탈(57)은 전방몸체(30)에 구비되어 있으나, 그 반대로 마그넷(55)은 전방몸체(30)에 구비되고 메탈(57)은 후방몸체(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magnet 55 is provided on the rear body 40 and the metal 57 is provided on the front body 30. Conversely, the magnet 55 is provided on the front body 30 and the metal 57 May be provided on the rear body 40.

상기 마그넷(55)과 메탈(57)은 서로 자성결합되어서 전방몸체(30)의 후면과 후방몸체(40)의 전면이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즉, 전방몸체(30)의 후방과 후방몸체(40)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기 접속수단(60)이 지속적으로 안정하게 접촉되어 있도록 한다.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are magnetically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4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connecting means 6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body 40 are continuously and stably contacted.

상기 마그넷(55)과 메탈(57)의 자성결합력은 미약한 외부충격에 의해 분리될 정도는 아니지만 커넥터(21, 31)와 리셉터클(11, 41)에 손상을 유발할 정도의 외부충격에 의해서는 분리될 수 있는 수준이다.
The magnetic coupling force between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is not separated by a weak external impact but is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enough to cause damage to the connectors 21 and 31 and the receptacles 11 and 41 It is a level that can be achieved.

상기 접속수단(60)은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40)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30)의 커넥터(31)와 후방몸체(40)의 리셉터클(41)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The connecting means 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ront body 30 and at the front of the rear body 40 so that the connector 31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receptacle 41 of the rear body 40, Respectively.

상기 접속수단(60)은 상기 전방몸체(30)의 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비되는 내부단자(61)와, 상기 내부단자(61)의 주변을 감싸며 전방몸체(30)의 후면 가장자리에 사각형 모양으로 구비되는 외부단자(63)와, 상기 후방몸체(40)의 전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단자(61)와 접촉되어 접속되는 인사이드단자(65)와, 상기 인사이드단자(65)의 주변을 감싸며 후방몸체(40)의 전면 가장자리에 사각형 모양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외부단자(63)에 접촉되어 접속되는 아웃사이드단자(67)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means 60 includes an inner terminal 61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30 and a rear surface edge of the front body 30 surrounding the inner terminal 61, An inside terminal 65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rear body 40 so as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inside terminal 61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terminal 61, And an outside terminal 67 enclosing the periphery of the rear body 65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at the front edge of the rear body 40 and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63 to be connected thereto.

상기 내부단자(61)와 외부단자(63)는 상기 전방몸체(30)의 전방에 구비되는 커넥터(31)에 연결되고, 상기 인사이드단자(65)와 아웃사이드단자(67)는 상기 후방몸체(40)의 후방에 구비되는 리셉터클(41)에 연결되어서, 이들이 접촉되면 전방몸체(30)의 커넥터(31)와 후방몸체(40)의 리셉터클(4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The inner terminal 61 and the outer terminal 63 are connected to a connector 31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inside terminal 65 and the outside terminal 67 are connected to the rear body The connector 31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receptacle 41 of the rear body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내부단자(61)와 인사이드단자(65), 그리고 외부단자(63)와 아웃사이드단자(67)는 모두 면과 면이 만나는 면접촉방식으로 내부단자(61)와 인사이드단자(65)가 긴밀하게 면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단자(63)와 아웃사이드단자(67)도 긴밀하게 면접촉되어 있도록 하는 것은 쉽지 않다. The internal terminal 61 and the inside terminal 65 are tightly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a surface contact manner in which the internal terminal 61 and the inside terminal 65 and the outside terminal 63 and the outside terminal 67 are both in a face- It is not easy to ensure that the external terminal 63 and the outside terminal 67 are also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즉, 설계 상으로는 내부단자(61)와 인사이드단자(65), 그리고 외부단자(63)와 아웃사이드단자(67)가 동시에 긴밀하게 면접촉되도록 설계를 하더라도, 제조 과정에서의 오차나 제조 후의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변형 등에 의해 이들이 동시에 긴밀하게 면접촉되는 것은 쉽지 않다. That is, even if the design is designed such that the inner terminal 61 and the inside terminal 65 and the outside terminal 63 and the outside terminal 6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same time, It is not easy for them to come into close contact at the same time.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인사이드단자(65)를 상기 후방몸체(40)의 내부에서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탄성체(미도시)로 탄성지지되어 텐션을 갖도록 하고 후방몸체(40)의 전면에서 살짝 돌출되도록 하여 전방몸체(30)의 내부단자(61)에 긴밀히 면접촉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terminal 65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body (not shown) such as a spring or rubber in the inside of the rear body 40 to have a tension and slightl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4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terminal 61 of the front body 30.

다시 말해, 상기 마그넷(55)과 메탈(57)의 자성결합에 의한 인력으로 상기 외부단자(63)와 아웃사이드단자(67)가 밀착되고, 상기 인사이드단자(65)는 전방으로 돌출되려는 텐션으로 내부단자(61)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인사이드단자(65)의 텐션력은 상기 마그넷(55)과 메탈(57)의 자성결합력 보다는 한참 약해서 인사이드단자(65)의 텐션력이 마그넷(55)과 메탈(57)의 장성결합력을 약화시킬 정도는 아니다. In other words, the outer terminal 63 and the outer side terminal 67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a magnetic attraction between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and the inside terminal 65 is tensioned to project for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ternal terminal 61. Since the tension force of the inside terminal 65 is weaker tha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so that the tension force of the inside terminal 65 is greater than the tension force of the magnet 55 and the metal 57 Not enough to weaken.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의해 상기 인사이드단자(65)만 텐션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아웃사이드단자(67)도 텐션을 가질 수 있고, 반대로 인사이드단자(65)와 아웃사이드단자(67)는 고정되어 있고 내부단자(61)나 외부단자(63)가 텐션을 가질 수도 있다.
The inside terminal 65 and the outside side terminal 67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means of the tension of the inside terminal 65. In this case, And the inner terminal 61 and the outer terminal 63 may have tens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는 후방몸체(40)의 전방을 전방몸체(30)의 전방으로 근접시켜 암단턱(51)과 수단턱(53)을 일치시키면 마그넷(55)과 메탈(57)의 자성력으로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간편하게 조립결하되고, 조립결합되면서 내부단자(61)와 인사이드단자(65) 그리고 외부단자(63)와 아웃사이드단자(67)가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접속되고, 단말기(10)를 충전하면서 또는 데이터통신하면서 사용자가 단말기를 움직여 케이블(20)과 단말기(10) 간의 접속부위에 부하가 집중되면 전방몸체(30)와 후방몸체(40)가 분리되어 접속부위, 즉, 커넥터(21, 31)와 리셉터크(11, 41)의 손상을 에방하게 된다.
When the front end of the rear body 40 is brought close to the front of the front body 30 and the arm step 51 and the means jaw 53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front body 30 and the rear body 40 are easily assembled and connec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etal wires 55 and the metal 57. The inner terminal 61, the inside terminal 65, the external terminal 63, When the user moves the terminal while the terminal 10 is charging or during data communication and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cable 20 and the terminal 10, And the rear body 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damage the connection portions, that is, the connectors 21, 31 and the receptor claws 11, 41.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단말기 11 : 리셉터클
20 : 케이블 21 : 커넥터
30 : 전방몸체 31 : 커넥터
40 : 후방몸체 41 : 리셉터클
50 : 조립수단 51 : 암단턱
53 : 수단턱 55 : 마그넷
57 : 메탈
60 : 접속수단 61 : 내부단자
63 : 외부단자 65 : 인사이드단자
67 : 아웃사이드단자
10: Terminal 11: Receptacle
20: Cable 21: Connector
30: front body 31: connector
40: rear body 41: receptacle
50: Assembly means 51:
53: Sudanese chin 55: Magnet
57: Metal
60: connecting means 61: internal terminal
63: External terminal 65: Inside terminal
67: Outside terminal

Claims (4)

전방에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전방몸체;
후방에 케이블의 커넥터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이 구비된 후방몸체;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을 조립시키는 조립수단;
상기 전방몸체의 후방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방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전방몸체의 커넥터와 후방몸체의 리셉터클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되어서 서로 암수결합되는 암단턱과 수단턱을 포함하되,
상기 암단턱과 수단턱의 깊이는 1mm-2mm 인 것을 특징으로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A front body hav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receptacle of the terminal at the front;
A rear body provided with a receptacle to which a connector of the cable is connected at the rear;
Assembly means for assembling the rear of the front body and the front of the rear body;
And connection means provided respectively at a rear portion of the front body and a front portion of the rear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or of the front body to the receptacle of the rear body,

Wherein the assembling means includes an arm step and a shoulder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and at an edge of a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And the depth of the arm step and the means jaw is 1 mm-2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은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과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자성결합되는 마그넷과 메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전방몸체의 후면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 주변을 감싸는 외부단자,
상기 후방몸체의 전면 중앙부에 구비되고 텐션을 가지며 돌출되어 상기 내부단자와 접속되는 인사이드단자와, 상기 인사이드단자의 주변을 감싸고 상기 외부단자와 접속되는 아웃사이드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인사이드단자의 텐션력은 상기 마그넷과 메탈의 자성결합력 보다 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케이블의 접속부위 보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embl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magnet and a metal magnetically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and a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respectively,

The connection means
An inner terminal provided at a rear center portion of the front body, an outer terminal surrounding the inner terminal,
An inner terminal provided at a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rear body and having a tension and protruded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terminal, and an outer terminal surrounding the inner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outer terminal,

Wherein a tension force of the inside terminal is weaker than a magnetic coupling force of the magnet and the metal.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77164A 2014-12-10 2014-12-10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KR101523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64A KR101523553B1 (en) 2014-12-10 2014-12-10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TW104141303A TW201626653A (en) 2014-12-10 2015-12-09 Device for protecting connection part between terminal and cable
PCT/KR2015/013446 WO2016093615A1 (en) 2014-12-10 2015-12-09 Device for protecting connection parts of terminal and of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164A KR101523553B1 (en) 2014-12-10 2014-12-10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553B1 true KR101523553B1 (en) 2015-05-29

Family

ID=5339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164A KR101523553B1 (en) 2014-12-10 2014-12-10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5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645A (en) * 2004-07-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Joint structure of receptacle and charge connector
KR20120005258U (en) * 2011-10-07 2012-07-18 허문석 Oper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of the mobile using a gender and charg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645A (en) * 2004-07-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Joint structure of receptacle and charge connector
KR20120005258U (en) * 2011-10-07 2012-07-18 허문석 Operating method for power supply Device of the mobile using a gender and charg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1117B (en) Electric connector, bracket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BE1025307B1 (en) ADAPTER FOR A MOBILE DEVICE
CN102854927B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electron device
KR101103028B1 (en) A improved structure of electromagnetism electricity connection device
KR101265270B1 (en) Micro usb connector plug
KR101315688B1 (en) Case with non-insertion type interface for potable electric apparatus
US9837750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tact protector
KR20150047780A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ical connector
US11296457B2 (en) Magnetic connector
US8499183B2 (en) Plug assembly adapted to an adapter and a computer device
KR101239215B1 (en) Magnetic connector of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523553B1 (en)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JP5129402B1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317447A1 (en) Plug holder
KR101726425B1 (en) Device protecting acess part of mobile and cable
CN105320229A (en) Electronic device assembly and dock thereof
KR101773502B1 (en) Receptacle connector
CN112928518B (en) Charging unit
WO2013039089A1 (en) Electrical equipment and connector
KR200479847Y1 (en) Both side usb socket connector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2353541B1 (en) A Magnetic Type of a Charging Connector
CN210111155U (en) Socket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636071B (en) Connector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200103960A (en) Data connecting gender and case for potable electric apparatus and connecting structure with each other
US10263442B2 (en) Apparatus and system to manage charging operation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