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541B1 -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541B1
KR101523541B1 KR1020130122210A KR20130122210A KR101523541B1 KR 101523541 B1 KR101523541 B1 KR 101523541B1 KR 1020130122210 A KR1020130122210 A KR 1020130122210A KR 20130122210 A KR20130122210 A KR 20130122210A KR 101523541 B1 KR101523541 B1 KR 101523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stations
previous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141A (ko
Inventor
김세욱
김병섭
김도형
홍태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5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가입자단말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해당 기지국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함으로써, 가입자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NEIGHBOR LIST}
본 발명은 가입자단말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무선망에서는 가입자단말을 호출하기 위해 가입자단말을 대상으로 페이징메시지를 전송하는 페이징(Paging)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입자단말의 접속이 최종적으로 확인되는 기지국이 속하는 기존에 정해진 지역에 위치하는 모든 기지국을 대상으로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가입자단말에 대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위와 같이 인접한 지역을 기반으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기지국의 수가 많아지게 되며, 이에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기지국 모두를 대상으로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선 지나치게 많은 주파수 자원이 요구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가입자단말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해당 기지국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은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관리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기지국인 이전접속기지국과,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일부만을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접기지국은,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상기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이동접속기지국을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메시지에는 데이터 착/발신, 음성 호 수신, 기지국 간 핸드오프, 및 위치정보 갱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접속 유형에 따른 유형정보가 지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관리메시지에 지정된 유형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 적어도 일부만을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형정보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 유형에 따른 상이한 크기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가중치가 가장 큰 유형정보가 지정된 상기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는 이동접속기지국을 상기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에 전송하여, 상기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만을 대상으로,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에 의하면, 가입자단말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해당 기지국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함으로써, 가입자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은, 가입자단말(도시안됨)들이 무선망을 이용을 위해 접속하는 기지국(100), 기지국(100)에 접속한 가입자단말들을 대상으로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교환기(300), 및 기지국(200)에 대한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결정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무선망은 예컨대, 기존 3G 음성호 착신을 위한 CSFB(Circuit Switched Fall Back)와, VoLTE를 지원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일컫는다.
이에, 가입자단말은 액세스망을 통해 LTE 망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사용자 디바이스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단말은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LTE 망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에는 교환기(300)에 접속하도록 하기 위한 액세스망을 구성하는 e-NodeB가 해당될 수 있다.
아울러, 교환기(300)로는 P-GW(Packet date network GateWay; 도시안됨)와 S-GW(Serving GateWay; 도시안됨)를 대상으로 자원 할당을 요청하는 MME(Mobile Mobility Entity가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100)은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이동접속기지국(10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전접속기지국(100a)은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기지국을 지칭하며, 이동접속기지국은(100b)은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을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송되는 관리메시지를 결정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한 집선스위치(2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집선스위치(200)는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예컨대, 패킷 미러링(Packet Mirroring) 방식으로 그대로 복사하여 결정장치(400)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다.
그리고, 결정장치(400)는 기지국(100)의 접속이 확인된 가입자단말의 페이징과 관련하여,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는 대상인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입자단말에 대한 페이징과 관련하여,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대상인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가입자단말의 접속이 최종적으로 확인되는 기지국이 속하는 기존에 정해진 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기지국들을 인접기지국으로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 방식이었다.
이 경우,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기지국의 수가 많아지게 되며, 이에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기지국 모두를 대상으로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선 지나치게 많은 주파수 자원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지국 별로 인접기지국목록을 구성하여 관리하여야 하나, 수천/수만 개에 이르는 방대한 수의 인접기지국을, 기지국 별로 직접 등록하여 관리하기에는 한계가 따르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지국(100)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전접속기지국(100a)뿐만 아니라, 이동접속지국(100b) 모두를 대상으로 각각의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도록 동작하게 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전접속기지국(100a) 하나만을 대상으로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장치(400)는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한다.
이때, 결정장치(400)는 집선스위치(200)로 하여금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복사하여 자신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메시지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관리메시지는 가입자단말들이 기지국(100)에 접속하는 경우에,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에 따라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메시지(예:S1 signaling message)를 일컫는다.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의 경우, 예컨대, 데이터 착/발신[Initial-UE (service request MO, MT) case], 음성 호 수신(Extended service request case), 기지국 간 핸드오프[Path switch request case (PSR)], 및 위치정보 갱신[Tracking area update case (TAU)]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관리메시지에는 예컨대, 기지국(100)에 해당하는 출발지 주소(Src_ip), 교환기(300)에 해당하는 목적지 주소(dst_ip)와 함께,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지정되는 유형정보(msg_type)가 포함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관리메시지에는, 가입자단말의 식별정보(IMSI) 및 집선장치(200)에서 관리메시지를 복사하여 전달하는 시간인 수집시간(time)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장치(400)는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면 이를 분석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기초로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이동접속지기국(100b)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될 때마다 수집시간(time)을 기준으로 최근 2개의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아울러, 결정장치(400)는 수집시간(time)의 경과에 따라 기지국(100)에 해당하는 출발지 주소가 변동되는 상태와, 해당 시점에서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에 대한 접속 유형인 유형정보(msg_type)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정장치(400)는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의 누적된 분석 결과로부터 출발지 주소의 변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결정장치(400)는 이동접속지국(100b) 모두에 대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확인하고,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100b) 중에서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일부만을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정장치(400)는 인접기지국목록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장치(400)는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100b)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300)에 전송함으로써, 교환기(300)로 하여금,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만을 대상으로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장치(4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하는 수집부(410),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결정부(420) 및 인접기지국목록을 전송하는 전송부(4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결정장치(400)의 각 구성 전부, 내지는 구성 중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수집부(410)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410)는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한다.
이때, 수집부(410)는 집선스위치(200)로 하여금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복사하여 자신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메시지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집부(410)는 관리메시지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410)는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면 이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결정부(430)에 제공함으로써, 결정부(430)로 하여금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기지국인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지기국(100b)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수집부(410)는 수집된 관리메시지를 분석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기지국(100)에 해당하는 출발지 주소(Src_ip), 교환기(300)에 해당하는 목적지 주소(dst_ip)와 함께,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지정되는 유형정보(msg_type), 가입자단말의 식별정보(IMSI), 및 수집시간(time) 등을 추출하게 된다.
Data info
Src_ip 기지국 주소
dst_ip 교환기 주소
msg_type 유형정보
IMSI 가입자단말 식별정보
time 수집시간
또한, 수집부(410)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될 때마다 수집시간(time)을 기준으로 아래 [표 2]과 같이 최근 2개의 관리메시지(time2, time3)의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time Src_ip_1 Src_ip_2 dst_ip msg_type time_Gap
time 3 eNB_IP1 eNB_IP2 MME PSR time 3 - time 2
이때, 수집부(410)는 수집시간(time)의 경과에 따라 기지국(100)에 해당하는 출발지 주소가 변동되는 상태와, 해당 시점에서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에 대한 접속 유형인 유형정보(msg_type)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출발지 주소가 변동되는 경우, 'Src_ip_1'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해당될 수 있고, 'Src_ip_2'가 가입자단말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기지국(100b)에 해당될 수 있으며, 또한, 유형정보(msg_type)는 이동접속지기국(100b)에 대한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time_Gap'의 경우, 분석 결과의 유효성을 판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지정된 시간을 초과할 경우, 해당 분석 결과는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데 반영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420)는 인접기지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420)는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게 되며, 인접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주기(예: 일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누적된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로부터 인접기지국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결정부(420)는 관리메시지의 누적된 분석 결과로부터 출발지 주소의 변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결정부(420)는 이동접속지국(100b) 모두에 대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확인하고,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100b) 중에서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일부만을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접속횟수가 많다는 것은 가입자단말이 해당 이동접속기지국(100b)에 위치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며, 이에 가입자단말이 위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만을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 중에서 이동접속횟수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정장치(400)는 가입자단말이 해당 이동접속기지국(100b)에 접속한 접속 유형을 확인함으로써, 인접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결정장치(400)는 이동접속횟수가 동일한 각각의 이동접속기지국(100b)의 관리메시지에 지정된 유형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유형정보에 부여된 가중치의 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관리메시지에 지정된 유형정보에는, 예컨대, 아래 [표 3]기지국 접속 유형에 따른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msg_type 가중치 크기
기지국 간 핸드오프 1.5
위치정보 갱신 1.4
데이터 착/발신 1.3
음성 호 수신 1.2
여기서, 이동접속기지국 A, B가 존재하고, 이동접속횟수가 각각 3회로 동일하며, 각 접속 유형이 아래 [표 4]와 같은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A B
time 1 기지국 간 핸드오프 위치정보 갱신
time 2 위치정보 갱신 데이터 착/발신
time 3 음성 호 수신 음성 호 수신
여기서, 이동접속기지국 A, B 각각에 대해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에 따른 가중치 반영 결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이동접속기지국 A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동접속기지국 A -> 1.5(time 1) + 1.4(time 2) + 1.3(time 3) = 4.2
이동접속기지국 B -> 1.4(time 1) + 1.3(time 2) + 1.2(time 3) = 3.9
결국, 이동접속기지국 A, B 각각의 이동접속횟수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가입자단말의 접속 유형에 따른 가중치 반영 결과를 기초로 이동접속기지국 A가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전송부(430)는 인접기지국목록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부(430)는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100b)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300)에 전송함으로써, 교환기(300)로 하여금,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만을 대상으로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에 따르면,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기지국(100)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한 인접기지국을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주파수 자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기지국 별로 인접기지국목록을 구성하여 관리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기지국(100)은 가입자단말의 접속하는 경우 관리메시지를 집선스위치(200)를 거쳐 교환기(300)에 전달한다(S110-S120).
여기서, 결정장치(400)는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한다(S130).
이때, 결정장치(400)는 집선스위치(200)로 하여금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복사하여 자신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메시지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결정장치(400)는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면 이를 분석함으로써, 분석 결과를 기초로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기지국인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지기국(100b)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140).
이후,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로부터 출발지 주소의 변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인접기지국을 결정한다(S150).
이때, 결정장치(400)는 관리메시지의 누적된 분석 결과로부터 출발지 주소의 변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확인하게 된다.
아울러, 결정장치(400)는 이동접속지국(100b) 모두에 대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확인하고,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100b) 중에서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일부만을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결정장치(400)는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100b)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300)에 전송함으로써, 교환기(300)로 하여금,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만을 대상으로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160).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장치(4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집부(410)는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한다(S210).
이때, 수집부(410)는 집선스위치(200)로 하여금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복사하여 자신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메시지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수집부(410)는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면 이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결정부(430)에 제공한다(S220).
이때, 수집부(410)는 관리메시지가 수집될 때마다 수집시간(time)을 기준으로 최근 2개의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상호 비교할 수 있도록 분석 결과를 지속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즉, 수집부(410)는 수집시간(time)의 경과에 따라 기지국(100)에 해당하는 출발지 주소가 변동되는 상태와, 해당 시점에서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에 대한 접속 유형인 유형정보(msg_type)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 다음, 결정부(420)는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를 누적하여 저장하게 되며, 인접기지국을 결정하기 위한 주기(예: 일 주기)가 도래하는 경우, 누적된 관리메시지의 분석 결과로부터 인접기지국을 결정한다(S230-S240).
그리고 나서, 결정부(420)는 이동접속지국(100b) 모두에 대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확인하고,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100b) 중에서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일부만을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게 된다(S250).
이때, 결정부(420)는 관리메시지의 누적된 분석 결과로부터 출발지 주소의 변동상태를 확인함으로써,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이전접속기지국(100a)과, 가입자단말들이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전접속기지국(100a)으로부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의 이동접속횟수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260).
이 경우, 결정장치(400)는 가입자단말이 해당 이동접속기지국(100b)에 접속한 접속 유형을 확인함으로써, 인접기지국을 결정한다(S270).
이때, 결정장치(400)는 이동접속횟수가 동일한 각각의 이동접속기지국(100b)의 관리메시지에 지정된 유형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유형정보에 부여된 가중치의 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을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이후, 전송부(430)는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100b)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300)에 전송함으로써, 교환기(300)로 하여금,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100b)만을 대상으로 이전접속기지국(100a)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S28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에 따르면, 가입자단말의 기지국(100)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100)에서 교환기(300)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기지국(100)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한 인접기지국을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페이징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주파수 자원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기지국 별로 인접기지국목록을 구성하여 관리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에 따르면, 가입자단말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해당 기지국에서의 가입자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인접기지국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기지국
100a: 이전접속기지국 100b: 이동접속기지국
200: 집선스위치
300: 교환기
400: 결정장치
410: 수집부 420: 결정부
430: 전송부

Claims (5)

  1. 가입자단말들의 기지국 접속과 관련하여, 기지국에서 교환기로 전달되는 관리메시지를 수집하는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관리메시지를 기초로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접속하였던 기지국인 이전접속기지국과,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기지국인 이동접속기지국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일부만을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관리메시지에 기지국 접속 유형에 따라 지정된 유형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 적어도 일부만을 상기 인접기지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기지국은,
    상기 가입자단말들이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이동접속횟수를 기초로 결정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상기 이동접속횟수가 가장 많은 이동접속기지국을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대한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정보는,
    데이터 착/발신, 음성 호 수신, 기지국 간 핸드오프, 및 위치정보 갱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정보에는,
    상기 기지국 접속 유형에 따른 상이한 크기의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으로부터 이동하여 접속한 것으로 확인되는 모든 이동접속기지국 중에서, 가중치가 가장 큰 유형정보가 지정된 상기 관리메시지가 수집되는 이동접속기지국을 상기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인접기지국으로서 결정된 이동접속기지국 목록인 인접기지국목록을 교환기에 전송하여, 상기 인접기지국목록에 해당하는 이동접속기지국만을 대상으로, 상기 이전접속기지국에 접속한 가입자단말기들에 대한 페이징(Paging)을 수행하도록 하는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KR1020130122210A 2013-10-14 2013-10-14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KR10152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10A KR101523541B1 (ko) 2013-10-14 2013-10-14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210A KR101523541B1 (ko) 2013-10-14 2013-10-14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41A KR20150043141A (ko) 2015-04-22
KR101523541B1 true KR101523541B1 (ko) 2015-05-28

Family

ID=5303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210A KR101523541B1 (ko) 2013-10-14 2013-10-14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201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지국 단위 페이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95680A (ko) * 2006-03-22 2007-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이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페이징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9216A (ko) * 2006-09-28 2008-04-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접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페이징 방법
US20100220680A1 (en) * 2009-02-27 2010-09-02 Cisco Technology, Inc. Paging heuristics in packet based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3201A (ko) * 2005-12-14 2007-06-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기지국 단위 페이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95680A (ko) * 2006-03-22 2007-10-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네이버 리스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페이징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9216A (ko) * 2006-09-28 2008-04-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인접 기지국 정보를 이용한 페이징 방법
US20100220680A1 (en) * 2009-02-27 2010-09-02 Cisco Technology, Inc. Paging heuristics in packet based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141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494B2 (en) Radio network controller with IP mapping table
JP5806353B2 (ja) 隣接基地局間でのセルタイプ情報共有
US9794804B2 (en) Carrier priority based automatic neighboring relation optimization
KR20150043330A (ko) 노드 및 연결 재설정 방법
KR101970627B1 (ko) 전용 네트워크 핸드오버 방법, 및 전용 네트워크 유형 통지 방법 및 장치
US20150201088A1 (en) Charg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304050B2 (en) Node apparatus in a network,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 of paging policy
JP2018502517A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ページング最適化
JP2014528686A (ja) ページングの間のセル数の削減
EP2874440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me,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mme
CN106031211B (zh) 当应用动态ta技术时对真实跟踪区域的确定
CN106993314B (zh) 一种电路域交换回落的回落性能判决方法和装置
CN108024332A (zh) 一种寻呼优化的方法和装置
RU2561145C2 (ru) Способ,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сетевым доступом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ема и посылки информации о нагрузке
CN107211329B (zh) 电路域回落的方法、网络设备和系统
US99864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processing between communications systems
CN102573066B (zh) 一种传输rn信息、寻呼ue的方法及装置
CN105376765A (zh) 一种降低csfb时延的方法及装置
KR20130002748A (ko) 위치 측위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523541B1 (ko) 인접 기지국 결정 방법
CN110366861B (zh) 基站间切换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JP5254242B2 (ja) トランキ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呼出方法及びその装置
JP5796633B2 (ja) 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031212B (zh) 用于适配无线电协作方案的方法、节点、计算机程序以及计算机程序产品
US100758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neighbor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nodes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