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311B1 -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311B1
KR101523311B1 KR1020130123374A KR20130123374A KR101523311B1 KR 101523311 B1 KR101523311 B1 KR 101523311B1 KR 1020130123374 A KR1020130123374 A KR 1020130123374A KR 20130123374 A KR20130123374 A KR 20130123374A KR 101523311 B1 KR101523311 B1 KR 101523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ion
ions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9486A (en
Inventor
이건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4004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3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5/04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5/06Dipeptides
    • C07K5/06139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 C07K5/06156Dipeptides with the first amino acid being heterocyclic and Trp-amino acid;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4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on carriers
    • C07K1/04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on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6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 C07K1/061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using protecting groups
    • C07K1/064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using protecting groups or activating agents using protecting groups for omega-amino or -guanidino fun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2Constituents thereof
    • G01N33/2028Metallic constitu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학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정량적으로 및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고, 생체 세포 내로 침투가 용이하여 생체 세포 내에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와의 결합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통해 검출이 가능한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dipeptid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chemical sensors and ion (Ag +), ionic mercury (Hg 2+), copper ion (I) (Cu +), and using the same silver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same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and copper ions (I) are present i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Cu +), and the silver nanoparticles optionally, quantitatively and can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or Ishikawa, and is easy to penetrate into living cells in vivo, cells are ion (Ag +), ionic mercury (Hg 2+), copper Can be useful as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that can be detected through the change of fluorescence intensity due to the combination of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Description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학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s thereof, chemical sensors comprising the same, silver ions (Ag +), mercury ions (Hg2 +), copper ions (I) (Cu +) and silver nanoparticles ,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 (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학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 dipeptide derivatives, their preparation, chemical sensors and ion (Ag +), ionic mercury (Hg 2+), copper ion (I) (Cu +), and using the same silver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same .

생체 내 주요 물질과 이온들에 대한 새로운 센서의 설계와 연구는 그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최근 초분자(supramolecule) 화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선택적으로 이온 또는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게스트 화합물들과 결합할 수 있는 호스트 화합물의 설계에 큰 가능성을 보여 왔으며, 최근 이러한 초분자 화합물을 형광물질과 커플링시켜, 게스트 화합물과의 선택적 결합을 형광변화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관찰할 수 있는 형광 화학센서(fluorescent chemosensor)의 개발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The design and study of new sensors for vital substances and ions have been actively pursued. Recent understanding and research on supramolecule chemistry has shown great potential in the design of host compounds that can selectively bind ions or a variety of other guest compounds, and recently, these supramolecular compounds have been shown to be coupled with fluorescent materials , Which is useful for studying the development of a fluorescent chemosensor that can more easily observe selective binding with a guest compound using fluorescence change.

형광이란 특정한 광파장(여기파장)을 갖는 광자가 표지분자(indicator molecule)와 충돌하고, 충돌의 결과로 전자가 고에너지 준위로 여기(excitation)되면서 일어나는 광화학적 현상이다. 여러 분석방법 중에서 형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매우 뛰어난 감도로 인해 10-9 M 농도에서도 신호를 관찰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양이온, 음이온 그리고 중성 유기분자들에 대한 형광 화학센서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된 바 있다[A. P. de Silva, Chem. Rev. 1997, 97, 1515].
Fluorescence is a photochemical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 photon with a specific wavelength (excitation wavelength) collides with an indicator molecule and excites the electron to a high energy level as a result of the collision. Among the various analytical methods, the fluorescence method is widely used because it has a great advantage of observing a signal at a concentration of 10 -9 M due to its excellent sensitivity. In recent years, studies on fluorescent chemical sensors for cationic, anionic and neutral organic molecules using these properties have been published [AP de Silva, Chem. Rev. 1997, 97, 1515].

수은 이온은 인간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중금속이다. 근래에 대양과 화산에 의한 방출[Renzoni, A; Zino, F.; Franchi, E. Environ. Res. 1998, 77, 68], 금채광[Malm. O. Environ. Res. 1998, 77, 73], 혹은 고체 폐기물 소각에 의한 수은 오염이 면역계, 유전자, 신경계에 대한 극심한 독성 때문에 큰 이슈가 되어 왔다. 이와 같이, 수은은 매우 위험한 맹독성 오염물질로써 불행하게도 우리 주변 환경 속에 많이 존재한다. 주변 환경 속에 존재하는 수은은 먹이사슬을 통해 축적되며, 먹이사슬의 상층에 위치할수록 축적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음식물 섭취를 통해 인간에게 축적되는 오염물질의 수준도 높아진다. 수은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물에 잘 용해되는 이온 형태(Hg2+)로 전환되고 생선이나 다른 여러 음식물에 축적된다. 따라서, 이들을 먹는 인간에게도 당연히 수은의 축적이 일어나므로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수은의 함량을 잘 모니터링 하는 것이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활동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Mercury ions are biologically important heavy metals because they have harmful effects on human health. Emissions by ocean and volcano in recent years [Renzoni, A; Zino, F .; Franchi, E. Environ. Res. 1998, 77, 68], gold mining [Malm. O. Environ. Res. 1998, 77, 73], or mercury contamination by solid waste incineration has become a major issue due to extreme toxicity to the immune system, genes and nervous systems. Thus, mercury is a very dangerous, highly toxic pollutant and unfortunately it is present in many of our surroundings. The mercury presen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accumulated through the food chain, and the higher the accumulation level is located in the upper layer of the food chain, the higher the level of pollutants accumulated in humans through food intake. Mercury is converted to an ionic form (Hg 2+ ) that is soluble in water through various pathways and accumulates in fish and other foods. Therefore, mercury accumulation occurs naturally in humans eating them. Therefore, monitoring the mercury content in the aqueous solution can be one of the important activities to protect human health.

이에, 수용액에서 잘 용해되고 수은 이온(Hg2+)에 대하여 강한 결합력과 선택성을 갖는 새로운 수은 이온(Hg2+) 검출 화학센서의 개발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종래의 수은 이온(Hg2+)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다양한 화학센서들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very soluble in aqueous solutions of mercury ions new ionic mercury (Hg 2+), but is a great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the collection of chemical sensors detects a conventional mercury ion having a strong affinity and selectivity for (Hg 2+) (Hg 2 + ) Have various problems to date.

비특허문헌 1에서는, 농도에 따른 비례적인 변화를 검출하는 레이셔메트릭(ratiometric)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적인 형광세기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 수은 이온(Hg2+)에 대한 선택성은 있으나 약 4배 정도의 경미한 레이셔메트릭(ratiometric)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내며, 화합물의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니켈 및 구리 이온에 많은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Non-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observing a change in selective fluorescence intensity using a ratiometric method of detecting a proportional change according to a concentration. However, this method shows a slight ratiometric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of about 4 times with selectivity to mercury ions (Hg 2+ ), and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compound is very complicated, and nickel and copper ions There are many problems that are affected.

특허문헌 1에서는, 인광을 이용한 수은 이온(Hg2+) 검출센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경우에는 ppm 단위 미만의 낮은 농도로 수은 이온(Hg2+)에 오염된 시료의 경우, 수은 이온(Hg2+)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rcury ion (Hg 2+ ) detection sensor using phosphorescence.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mercury ions (Hg 2+ ) can not be detected in samples contaminated with mercury ions (Hg 2+ ) at a concentration lower than ppm units.

그 밖에도 형광 화학센서를 이용한 다양한 수은 이온(Hg2+) 검출방법이 알려져 있으나[KR 10-0862606, KR 10-0816200, KR 10-0930969, KR 10-0028274, KR 10-0007112, KR 10-0007113, Pil Seung. K., et al., J. Kor. Chem. Soc. 54, 2010, 451] ppm 단위 미만의 낮은 농도의 수은 이온(Hg2+)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거나, 다른 금속이온의 간섭을 받는 등의 문제가 있다.
Various detection methods of mercury ions (Hg 2+ ) using a fluorescence chemical sensor are also known [KR 10-0862606, KR 10-0816200, KR 10-0930969, KR 10-0028274, KR 10-0007112, KR 10-0007113 , Pil Seung. K., et al., J. Kor. Chem. Soc. 54, 2010, 451] In most cases, mercury ions (Hg 2+ ) at concentrations as low as less than ppm are not detected, and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use of an organic solvent or interference of other metal ions.

또 다른 금속 이온인 은 이온과 은나노 입자는 최근 들어 전자제품에 은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은 이온이 수중 생태계로 유입돼 박테리아나 물고기 내에 축적되어 독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은나노 입자도 나노 화학의 발달로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데 은나노 입자가 산화하면 쉽게 은 이온을 발생시키며 생성된 은 이온은 강한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박테리아의 성장과 재생능력을 방해하여 항균 및 살균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은나노 입자들에서 생성된 은 이온은 하수도나 강으로 흘러들어 수중 생명체에 축적되며 독성 문제를 야기한다고 개시되어 있다[S. Y. Liau et al., Lett. Appl. Microbiol. 1997, 25, 279; C. A. Flemming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1990, 56, 3191; H. T. Ratte, Environ. Toxicol. Chem, 1999, 18, 89; V. P. Hiriart-Baer et al., Aquat. Toxicol. 2006, 78, 136; M. K. Schnizler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7, 1768, 317].
Silver ions and silver nanoparticles, which are other metal ions, have recently been reported to be used in electronic products, and silver ions are known to be introduced into aquatic ecosystems and accumulated in bacteria or fish to become toxic. The use of silver nanoparticle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nanochemistry. The silver nanoparticles easily generate silver ions when they oxidize. The generated silver ions generate strong active oxygen, which interferes with the growth and regeneration ability of the bacteria, see. However, silver ions generated from silver nanoparticles have been disclosed to flow into sewers and rivers, accumulate in living organisms underwater and cause toxicity problems [SY Liau et al., Lett. Appl. Microbiol. 1997, 25, 279; CA Flemming et al., Appl. Environ. Microbiol. 1990, 56, 3191; HT Ratte, Environ. Toxicol. Chem., 1999, 18, 89; VP Hiriart-Baer et al., Aquat. Toxicol. 2006, 78, 136; MK Schnizler et al., Biochim. Biophys. Acta. 2007, 1768, 317].

구리 이온(I) (Cu+)의 생체내 농도는 구리의 병리학적 현상 연구 및 구리 산화 생성물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생체내 구리 이온(I) (Cu+)을 측정하는 형광 센서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히 구리 이온(II)(Cu2+)에는 형광변화가 없으며 구리 이온(I) (Cu+)에만 형광세기 변화가 일어나는 형광 센서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The in vivo concentration of copper ion (I) (Cu + ) is very important for studying pathological phenomena of copper and studying copper oxidation products. Fluorescence sensor for measuring the current in vivo copper ion (I) (Cu +) is very limited, particularly copper ion (II) (Cu 2+) has no fluorescent change copper ion (I) (Cu +) only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The necessity of a fluorescent sensor in which fluorescence occurs occurs strongly.

최근 들어, 다양한 아미노산 혹은 펩타이드 기반의 형광 센서를 합성하여 여러 종류의 금속 이온을 검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형광 펩타이드 센서는 하기 제시된 바와 같은 몇 가지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천연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형광 센서는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비교적 손쉽게 합성을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아미노산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속 이온에 대한 선택성과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생리적 조건과 유사한 수용액에 잘 녹는 점은 종래의 형광 화학센서와 차별화된 점으로 꼽을 수 있다. 나아가, 합성된 형광 펩타이드 센서를 불수용성 고체상 장치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어, 이를 통해 미래에 더 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합성된 형광 펩타이드 센서는 세포 내로 투과가 가능하여 세포 내에서 작동 가능한 장점이 있다. 금속 이온의 생리적 조건에서의 높은 선택적 검출은 환경 및 생물학적 응용을 위한 형광 화학센서 개발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Fluorescent Chemosensors for Ion and Molecular Recognition, Czarnik, A. W.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3].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detect various kinds of metal ions by synthesizing various amino acid or peptide-based fluorescence sensors. Fluorescent peptide sensor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several respects as presented below. Fluorescence sensors including natural peptides can be synthesized relatively easily in a short time using a solid phase synthesis method, and the selectivity and sensitivity for a desired metal ion can be controlled by using various amino acid combinations. In addition, it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fluorescence chemical sensor in that it is well soluble in an aqueous solution similar to physiological conditions. Further, the synthesized fluorescent peptide sensor can be easily coupled to a water-insoluble solid-phase device, thereby enabling more applications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synthesized fluorescent peptide sensor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permeate into cells and can operate in cells. Highly selective detection of metal ions in physiological conditions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fluorescent chemical sensors for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applications [Fluorescent Chemosensors for Ion and Molecular Recognition, Czarnik, AW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3 ].

따라서, 은 이온(Ag+), 구리 이온(I) (Cu+), 수은 이온(Hg2+) 및 은나노 입자에 대해 충분한 선택성을 가지며 다른 금속 이온들의 간섭없이 수용액상에서도 검출이 가능한 새로운 형광 펩타이드 센서의 개발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Thus, a new fluorescent peptide sensor with sufficient selectivity for silver ions (Ag + ), copper ions (I) (Cu + ), mercury ions (Hg 2+ ), and silver nanoparticles and detectable in aqueous solu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metal ions Has attracted great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정량적으로,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고, 생체 시료 내에서도 사용가능한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Thu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novel dipeptide derivatives can be used as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i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Can be detected selectively, quantitatively,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and can be used as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which can be used also in a biological sample,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0313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31314

Elizabeth, M. et al., J. Materials. Chem. 15, 2005Elizabeth, M. et al., J. Materials. Chem. 15, 2005

본 발명은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peptide derivati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cess for producing the dipeptide derivati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comprising the dipeptide derivati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detecting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using the above dipeptide derivatives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peptid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화학식 1][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R은 수소, NR1R2 또는 OR3이고;R is hydrogen, NR 1 R 2 or OR 3, and;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 - 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6 원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C1-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또는 NR4R5 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hydrogen, halogen, hydroxy, C 1 - 10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phenyl or a N, O or S in the C 1-4 of Wherein said substituted phenyl i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halogen, hydroxy, C 1-4 straight chain or branched alkoxy, or NR 4 R 5 , wherein said substituted phenyl i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d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C 1 to each other - and 5 straight or branched alkyl;

R3은 수소 또는 C1-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R 3 is hydrogen or a C 1-10 linear or branched alkyl.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 (Step 3); And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step 4); and .

[반응식 1][Reaction Scheme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1,

R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R is as defined in the above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3
은 고체상으로써, 아마이드가 연결된 메틸벤즈히드릴아민(MBHA) 수지, 왕(Wang)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3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benzhydrylamine (MBHA) resin, Wang resin, polyethylene glycol-polystyrene (PEG-PS) resin, silica nanoparticles,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nd chitosan in the solid phase 1 < / RTI >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다.
Boc is a protecting group, di-tert-butyl dicarbonate.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a)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a)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a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a)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a)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a)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a)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a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a)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a)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1a) prepared in step (4) with a compound of formula (8) to prepare a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1b) (step 5).

[반응식 2][Reaction Scheme 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4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4

상기 반응식 2에서,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2,

X는 Br, Cl, 또는 I이고,X is Br, Cl, or I,

R3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R 3 is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5
은 고체상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5
(PEG-PS) resin, a silica nanoparticle, a titanium oxide nanoparticle, and chitosan as a solid phase,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고;Boc is a protecting group, di-tert-butyl dicarbonate;

화학식 1a 또는 1b는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1a) or (1b) is a derivative of the above formula (1).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n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the first detecting at least one targe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dipeptide derivative Or the like at the same time or at the same tim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포함하는 시료에 투입시키는 단계(단계 1); 및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peptide derivatives, the silver ions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includes a first detection target or mor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particles (Step 1); And

상기 단계 1의 시료 내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반응 생성물이 발생시키는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g + ), a mercury ion (Hg 2 ), and a mercapto ion (Hg 2 ), which comprises the step of measuring a fluorescence signal generated by the reaction product of the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and the dipeptide derivative present in the sample of step 1 + ), Copper ions (I) (Cu & lt ; + & gt ; ) and silver nanoparticles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정량적으로 및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고, 생체 세포 내로 침투가 용이하여 생체 세포 내에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와의 결합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통해 검출이 가능한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The dipeptide derivatives represented by formula (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by reacting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and copper ions (I) (Cu + ) i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Ag + ), mercury (Hg 2+ ), and copper (I) ions in the living cells, because they are capable of detecting silver nanoparticles selec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Cu & lt ; + & gt ; ) and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due to binding with silver nanopart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다양한 금속이 포함된 시료에 첨가한 후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다양한 금속이 포함된 시료에 첨가한 후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구리 이온(I)(Cu+)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나노 입자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구리 이온(I)(Cu+)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과 복합체를 형성한 것을 ESI-MS로 측정한 스펙트럼이다 ((a)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복합체의 스펙트럼이고, (b)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복합체의 스펙트럼이다. 여기서, "Pyr-WH"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 +)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pH 4.5 내지 11.5 조건하에서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헬라(HeLa)셀 내로 침투한 것과 헬라(HeLa)셀 내에 침투한 후 은 이온(Ag+)과 복합체를 형성한 것을 형광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여기서, (a), (b) 및 (c)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처리하고 은 이온(Ag+)을 처리하지 않은 형광 이미지이고,
(d), (e) 및 (f)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처리하고 은 이온(Ag+)을 처리한 형광 이미지이며,
(a) 및 (d)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명시야(bright field) 이미지와 형광 이미지이고,
(b) 및 (e)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파장 435±48 nm)이며,
(c) 및 (f)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파장 523±35 nm)이다).
1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fter adding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ample containing various metals.
FIG. 2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fter adding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ample containing various metals. FIG.
FIG. 3 (a)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ion (Ag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mercury ion (Hg 2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c)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copper ion (I) (Cu + )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d)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nanoparticl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ion (Ag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mercury ion (Hg 2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4 (c)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copper ion (I) (Cu + )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pectrum of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complexing silver ion (Ag + ) or mercury ion (Hg 2 + ) with ESI-MS ((a) and the spectrum of the derivative and a silver ion (Ag +) complex, (b) represents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the ionic mercury (Hg 2+) dipeptide derivatives of the spectra of the complex, where, "Pyr-WH" example 1 ).
FIG. 6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peptide derivative, silver ion (Ag + ) and mercury ion (Hg 2 +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pH 4.5 to 11.5.
FIG. 7 show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into a HeLa cell and a complex with a silver ion (Ag + ) after penetrating into a HeLa cell, This is an image taken with a laser scanning microscope.
Wherein (a), (b) and (c) are fluorescence image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not treated with silver ions (Ag + ),
(d), (e) and (f) are fluorescence images obtained by treating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treating silver ions (Ag + ),
(a) and (d) are a bright field image and a fluorescence image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b) and (e) are fluorescent images (wavelength 435 ± 48 nm)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 and (f) are fluorescent images (wavelength 523 ± 35 nm)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ipeptid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6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In Formula 1,

R은 수소, NR1R2 또는 OR3이고;R is hydrogen, NR 1 R 2 or OR 3, and;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 - 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6 원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C1-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또는 NR4R5 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hydrogen, halogen, hydroxy, C 1 - 10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phenyl or a N, O or S in the C 1-4 of Wherein said substituted phenyl i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halogen, hydroxy, C 1-4 straight chain or branched alkoxy, or NR 4 R 5 , wherein said substituted phenyl is optionally substituted with one or more substitu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erein R 4 and R 5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hydrogen or C 1-5 linear or branched alkyl;

R3은 수소 또는 C1-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R 3 is hydrogen or a C 1-10 linear or branched alkyl.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상기 R은 수소, NR1R2 또는 OR3이고;Wherein R is hydrogen, NR 1 R 2 or OR 3, and;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옥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4-브로모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3-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3-아닐린, 4-아닐린, 4-(N-메틸아미노)페닐, 3-(N,N-디메틸아미노)페닐, 2-피리디닐, 3-피리디닐, 2-퓨로일, 3-퓨로일, 2-티오페닐 또는 3-티오페닐이고;R 1 and R 2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are hydrogen,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xyl, octyl, methoxy, ethoxy, propyloxy, phenyl, 3- chlorophenyl, Aniline, 4- (N-methylamino) phenyl, 3- (N, N-dimethylamino) phenyl , 2-pyridinyl, 3-pyridinyl, 2-furoyl, 3-furoyl, 2-thiophenyl or 3-thiophenyl;

R3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또는 옥틸이다.
R 3 is hydrogen,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xyl or octyl.

더욱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상기 R은 NR1R2 또는 OR3이고;Wherein R is NR 1 R 2 or OR 3, and;

R1, R2 및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다.
R 1 , R 2 And R < 3 >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hydrogen, methyl or ethyl.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Most preferably, the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1 is:

(S)-N-((S)-1-아미노-3-(1H-이미다졸-4-일)-1-옥소프로판-2-일)-2-(3,5a-다이하이드로피렌-1-술폰아미도)-3-(1H-인돌-3-일)프로판아마이드;(S) -N- (S) -1-amino-3- (1H-imidazol-4-yl) -Sulfonamido) -3- (lH-indol-3-yl) propanamide;

(S)-2-((S)-2-(3,5a-다이하이드로피렌-1-술폰아미도)-3-(1H-인돌-3-일)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익에시드;3- (1H-indol-3-yl) propanamido) -3- (1H-indol- Imidazol-4-yl) propanoic acid;

(S)-메틸 2-((S)-3-(1H-인돌-3-일)-2-(피렌-4-술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에이트; 및(S) -methyl 2 - ((S) -3- (1H-indol-3-yl) -2- (pyrene- 4- sulfonamido) propanamido) -3- Yl) propanoate; And

(S)-에틸 2-((S)-3-(1H-인돌-3-일)-2-(피렌-4-술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에이트이다.
(S) -ethyl 2 - ((S) -3- (1H-indol-3-yl) -2- (pyrene- 4- sulfonamido) propanamido) -3- Yl) propanoate.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 (Step 3); And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a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step 4). Of the present invention.

[반응식 1][Reaction Scheme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7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7

상기 반응식 1에서,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1,

R은 제 1 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R is as defined in formula (1) of claim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8
은 고체상으로써, 아마이드가 연결된 메틸벤즈히드릴아민(MBHA) 수지, 왕(Wang)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8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benzhydrylamine (MBHA) resin, Wang resin, polyethylene glycol-polystyrene (PEG-PS) resin, silica nanoparticles,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nd chitosan in the solid phase 1 < / RTI >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다.
Boc is a protecting group, di-tert-butyl dicarbona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duction method of Reaction Sche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0% 피페리딘을 이용하여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한 후, 화학식 3의 화합물인 Fmoc 보호기 및 Trt 보호기로 보호된 히스티딘을 결합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is a step of 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 with a compound of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4, Piperidine is used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of the compound of formula (2), followed by coupling of the Fmoc protecting group of formula (3) and histidine protected by the Trt protecting group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4).

이때, 상기 결합반응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아마이드 결합시약으로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ATU),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와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reaction is carried out with diisopropylethylamine or tri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benzotriazol-1-yl-oxy-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OP) Dihydroxy-7-aza-benzotriazole (HATU), hydroxybenzotriazole (HOBt),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diisopropylcarbodiimide -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or carbonyldiimidazole (CDI), preferably diisopropylcarbodiimide (DIC) and hydroxybenzotriazole Can be used together.

또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Dimethylformamide (DMF) may be us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은 1:2 내지 10의 몰(mole)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7의 몰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의 혼합비가 몰비로 1:2 미만인 경우, 도입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이 적어 원하는 목적 화합물의 합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혼합비가 몰비로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 미반응하여 폐기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양이 많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step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und of formula (2) and the compound of formula (3) may b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to 10, preferably 1: 3 to 7 have.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compound of Formula 2 and the compound of Formula 3 is less than 1: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synthesis of the target compound is low due to the small amount of the compound of Formula 3 introduced, and the mixing ratio is 1: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general formula (3) which is unreacted and discarded after the reaction is large, which is uneconomical.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0% 피페리딘을 이용하여 화학식 4의 화합물의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한 후, 화학식 5의 화합물인 Fmoc 보호기 및 Boc 보호기로 보호된 트립토판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2 is a step of coupling a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 % Piperidine is used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end of the amino group of the compound of formula (4), followed by coupling of the Fmoc protecting group of the formula (5) and tryptophane protected by the Boc protecting group to prepare the compound of the formula (6).

이때, 상기 결합반응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아마이드 결합시약으로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ATU),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와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reaction is carried out with diisopropylethylamine or tri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benzotriazol-1-yl-oxy-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OP) Dihydroxy-7-aza-benzotriazole (HATU), hydroxybenzotriazole (HOBt),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diisopropylcarbodiimide -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or carbonyldiimidazole (CDI), preferably diisopropylcarbodiimide (DIC) and hydroxybenzotriazole Can be used together.

또한,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Dimethylformamide (DMF) may be us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에서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은 1:2 내지 10의 몰(mole)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7의 몰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의 혼합비가 몰비로 1:2 미만인 경우, 도입되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양이 적어 원하는 목적 화합물의 합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혼합비가 몰비로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 미반응하여 폐기되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양이 많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the step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und of Formula 4 and the compound of Formula 5 may b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to 10, preferably 1: 3 to 7 have.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4) and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is less than 1: 2 in the molar ratio,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which is not reacted and discarded after the reaction is large, which is uneconomical.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0% 피페리딘을 이용하여 화학식 6의 화합물의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고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3 is a step of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 Piperidine is used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amino terminus of the compound of formula (VI) and react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VII).

이때,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Dimethylformamide (DMF) may be used.

또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of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of the solvent.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1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화합물의 보호기들을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화학식 7의 Boc 보호기와 Trt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4 is a step of removing the protecting groups of the compound of Chemical Formula 7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removing the Boc protecting group and the Trt protecting group of formula (7) using trifluoroacetic acid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1).

이때, 고체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은 증류수와 혼합하여 반응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증류수를 9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TIS:증류수의 비율을 95:2.5:2.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rifluoroacetic acid (TFA) used for removing the solid phase can be used as a reaction solvent by mixing with distilled water. Preferably, trifluoroacetic acid and distilled water can be mixed at a volume ratio of 95: 5, More preferably, a mixture of trifluoroacetic acid (TFA): TIS: distilled water in a volume ratio of 95: 2.5: 2.5 can be used.

또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of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of the solvent.

나아가,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a)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a)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a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a)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a)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a)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a) (step 3);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a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a)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a) (step 4); And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상기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1a) prepared in step (4) with a compound of formula (8) to prepare a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1b) (step 5).

[반응식 2][Reaction Scheme 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9
Figure 112013093430614-pat00009

상기 반응식 2에서,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2,

X는 Br, Cl, 또는 I이고,X is Br, Cl, or I,

R3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R 3 is the same as defined in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0
은 고체상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0
(PEG-PS) resin, a silica nanoparticle, a titanium oxide nanoparticle, and chitosan as a solid phase,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고;Boc is a protecting group, di-tert-butyl dicarbonate;

화학식 1a 또는 1b는 상기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1a) or (1b) is a derivative of the above formula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oduction method of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화학식 3의 화합물인 Fmoc 보호기 및 Trt 보호기로 보호된 히스티딘을 결합시켜 화학식 4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method for preparing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is a step of 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a with a compound of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4a, With a Fmoc protecting group, a compound of formula (3), and histidine protected with a Trt protecting group, to give a compound of formula (4a).

이때, 상기 결합반응의 촉매로서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데센(DBU) 등과 같은 유기염기 또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등과 같은 무기염기를 당량 또는 과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catalyst for the coupling reaction, an organic base such as triethylamine, pyridine, diisopropylethylamine, 1,8-diazabicyclo [5.4.0] -7-undecene (DBU) or the like, sodium hydroxide, sodium carbonate, Potassium carbonate, cesium carbonat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n equivalent amount or in an excess amount, and triethylamine can be preferably used.

또한, 상기 단계 1의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in the step 1,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And preferably dimethylformamide (DMF) can be used.

나아가, 상기 단계 1에서 화학식 2a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은 1:2 내지 10의 몰(mole)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7의 몰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과 화학식 3의 화합물의 혼합비가 몰비로 1:2 미만인 경우, 도입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이 적어 원하는 목적 화합물의 합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혼합비가 몰비로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 미반응하여 폐기되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의 양이 많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step 1, the compound of formula (2a) and the compound of formula (3) may b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to 10, preferably 1: 3 to 7.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2a) and the compound of the formula (3) is less than 1: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ynthesis efficiency of the desired compound is low due to the small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3) int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general formula (3) which is unreacted and discarded after the reaction is large, which is uneconomical.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a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0% 피페리딘을 이용하여 화학식 4a의 화합물의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한 후, 화학식 5의 화합물인 Fmoc 보호기 및 Boc 보호기로 보호된 트립토판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the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step 2 is a step of coupling the compound of the formula 4a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4a prepared in the above step 1 to prepare the compound of the formula 6a, % Piperidine is used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of the compound of formula (4a), followed by coupling of the Fmoc protecting group of the formula (5) and tryptophane protected by the Boc protecting group to prepare the compound of the formula (6a).

이때, 상기 결합반응은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아마이드 결합시약으로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니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리아졸(HATU),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C) 또는 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와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upling reaction is carried out with diisopropylethylamine or triethylamine in the presence of benzotriazol-1-yl-oxy-tris (dimethylamino) -phosphonium hexafluorophosphate (Py-BOP) Dihydroxy-7-aza-benzotriazole (HATU), hydroxybenzotriazole (HOBt), dicyclohexylcarbodiimide (DCC), diisopropylcarbodiimide -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EDC) or carbonyldiimidazole (CDI), preferably diisopropylcarbodiimide (DIC) and hydroxybenzotriazole Can be used together.

또한, 상기 단계 2의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in the step 2,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And preferably dimethylformamide (DMF) can be used.

나아가, 상기 단계 2에서 화학식 4a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은 1:2 내지 10의 몰(mole)비로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7의 몰비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a의 화합물과 화학식 5의 화합물의 혼합비가 몰비로 1:2 미만인 경우, 도입되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양이 적어 원하는 목적 화합물의 합성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혼합비가 몰비로 1: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후 미반응하여 폐기되는 화학식 5의 화합물의 양이 많아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step 2, the compound of formula (4a) and the compound of formula (5) may be mixed in a molar ratio of 1: 2 to 10, preferably 1: 3 to 7.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4a) and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is less than 1: 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synthesis of the desired compound is low due to the small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he compound of the formula (5) which is not reacted and discarded after the reaction is large, which is uneconomical.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0% 피페리딘을 이용하여 화학식 6a의 화합물의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고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the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3 is a step of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a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a, (6a) by using piperidine and removing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of the compound of formula (6a) and reacting it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a).

이때,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메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테트라히드로퓨란(THF), 디클로로메탄(DCM) 또는 톨루엔 등을 이용하여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usable organic solvent, th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m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tetrahydrofuran (THF), dichloromethane (DCM) or toluene which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reaction, Dimethylformamide (DMF) may be used.

또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of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of the solvent.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a의 화합물의 보호기들을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화학식 7a의 Boc 보호기와 Trt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4 is a step of removing the protecting groups of the compound of Formula 7a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a,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removing the Boc protecting group and the Trt protecting group of formula (7a) using trifluoroacetic acid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1a).

이때, 고체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은 증류수와 혼합하여 반응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증류수를 95: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FA): TIS:증류수의 비율을 95:2.5:2.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rifluoroacetic acid (TFA) used for removing the solid phase can be used as a reaction solvent by mixing with distilled water. Preferably, trifluoroacetic acid and distilled water can be mixed at a volume ratio of 95: 5, More preferably, a mixture of trifluoroacetic acid (TFA): TIS: distilled water in a volume ratio of 95: 2.5: 2.5 can be used.

또한,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of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of the solvent.

본 발명에 따른 반응식 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b의 화합물로 제조하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를 사용하여 화학식 1a의 화합물의 카르복실산기를 화학식 8의 알코올기와 에스터화 반응시켜 화학식 1b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In the preparation of Reaction Schem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5 is a step of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1a prepared in Step 4 with a compound of Formula 8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1b, Is used to esterify a carboxylic acid group of the compound of formula (Ia) with an alcohol group of formula (8) to prepare a dipeptide derivative of formula (Ib).

이때, 사용가능한 화학식 8의 화합물에는 C1 - 10 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C 1 - 10 linear or branched alcohol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compound of the general formula (8).

또한, 촉매로는 염화싸이오닐(SOCl2), 삼염화인(PCl3), 오염화인(PCl5), 염화주석(SnCl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싸이오닐(SOCl2)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alyst is a thionyl chloride (SOCl 2), phosphorus trichloride (PCl 3), phosphorus pentachloride (PCl 5), tin chloride (SnCl 2), and the like, preferably thionyl chloride (SOCl 2) Can be used.

나아가, 반응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상온 내지 용매의 환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the reaction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performed within a range of room temperature to reflux temperature of the solv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ions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silver nanoparticles containing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formula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detection object to be detected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포함하는 시료에 투입시키는 단계(단계 1); 및Furthermore, at least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I) is an ion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silver nanoparticles Into a sample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detection target (step 1); And

상기 단계 1의 시료 내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반응 생성물이 발생시키는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g + ) comprising a fluorescent signal generated by a reaction product of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present in the sample of step 1 and a dipeptide derivative of the formula (1) (step 2) (Hg < 2 + >), copper ions (I) (Cu & lt ; + & gt ; ) and silver nanoparticl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 유무를 판별하고자 하는 시료에 투입시키는 단계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금속 이온들이 함께 용해된 시료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투입한 다음, 상기 시료 상에 존재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복합체를 이루는 단계이다.
In th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first step is an ion (Ag +) is a dipeptide derivative of the formula (1), and mercury ions (Hg 2+), copper ion (I) (Cu +) and silver nanoparticles To a sample to be detected, more specifically, to a sample in which metal ions which can act as an interfering substance are dissolved together with a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And then detecting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present on the sample, 1 < / RTI > is selectively reacted to form a complex.

본 발명에 따른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형성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복합체가 방출하는 형광 신호를 형광 스펙트럼으로 측정하여 시료 내의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검출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오직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과의 결합에 의해 큰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다(실험예 1 및 도 1).In the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2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silver ions (Ag + ), the mercury ions (Hg 2+ ), the copper ions (I) (Cu + ) and the silver nanoparticles formed in the step 1 (Ag + ), mercury ions (Hg 2+ ), and copper ions (I) (Cu (I)) in the sample were measured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to measure the fluorescence signal emitted by the complex of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 and a step of detecting the one or more detection subje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particles, dipeptide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only silver ions i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which may act as interfering substances (Ag +) And mercury ion (Hg 2+ ) (Experimental Example 1 and Fig. 1).

또한, 본 발명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선택적으로 감응하여 각각의 형광 신호 차이에 의해 이들을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detection targe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And detect them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by the differences of the fluorescence signals.

본 발명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동시 검출능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과의 결합에 의해서는 방출파장 490 nm 에서 큰 형광세기 증가를 나타낸 반면, 수은 이온(Hg2+)과의 결합에 의해서는 방출파장 382 nm 에서 큰 형광세기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본 발명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에 대하여 각각 다른 파장에서 큰 형광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상이한 형광세기 변화 특성에 의해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의 구분이 가능하여 이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실험예 4 및 도 6 참조).
Referring to the results of simultaneous detection of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large increase in fluorescence intensity at an emission wavelength of 490 nm by binding with silver ions (Ag + ), (Hg 2+ ) exhibited a large fluorescence intensity reduction at an emission wavelength of 382 nm. This indicate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large fluorescence change at different wavelengths with respect to the silver ion (Ag + ) and the mercury ion (Hg 2+ ), so that the silver ion (Ag + ) and the mercury ion (Hg 2+ ) The silver ions (Ag + ) and the mercury ions (Hg 2+ )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t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characteristics (see Experimental Example 4 and FIG. 6).

나아가, 본 발명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수용액상; 또는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용액을 포함한 수용액상에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Further, in the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may be an aqueous liquid phase; O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solu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nd acetonitri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때, 상기 수용액상에 함유된 유기용액은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아세토니트릴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methanol,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cetonitrile or the like as the organic solution contained in the aqueous solu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수용액상인 시료에 유기용매를 혼합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의 상기 유기용매들은 물에 용해도가 높아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단일상을 이룸으로써, 형광 검출 감도의 변화없이 높은 검출감도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다.
When the organic solvent is mixed with the aqueous solution, the organic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or acetonitrile have high solubility in water, so that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 copper ions (I) (Cu +), and by yirum the first detection target and a single-phase or mor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particles, a high detection sensitivity without a change in the fluorescence detection sensitivity silver ions (Ag +), mercury ion (Hg 2+ ),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can be detected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상수, 하수, 폐수, 강물, 바닷물, 생체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ple may be a constant, sewage, wastewater, river, seawater, biological fluid, or the like.

상기 시료의 일례인 생체액의 경우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동물세포 내로의 침투력 및 세포 내의 은 이온(Ag+) 검출력 확인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헬라셀 내로 완전히 침투 가능하고, 상기 헬라셀 내의 은 이온(Ag+)을 높은 감도로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5 및 도 7참조).
If the case of biological fluids example of the sample is in the penetration, and the cells into the animal cells of dipeptide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see Verify ions (Ag +) geomchulryeok result, dipeptide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La cells (Ag + ) in the helium cell can be effectively detected with high sensitivity (see Experimental Example 5 and FIG. 7).

나아가, 본 발명의 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출대상 중에서 은나노 입자는 산화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생성된 은 이온 입자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det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lver nanoparticles generated by adding an oxidizing agent to the silver nanoparticles in the detection object are detected.

본 발명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로 은나노 입자를 검출한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은 이온(Ag+)의 시험용액에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은나노 입자와 은 이온(Ag+)이 평형상태가 되도록 만들고, 이렇게 생성된 은 이온(Ag+)과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한 형광세기 변화로 은나노 입자를 검출한 것을 알 수 있다(실험예 2 및 도 3(d) 참조).
Referring to the result of detection of silver nanoparticles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hydrogen peroxide serving as an oxidizing agent was added to the test solution of the silver ion (Ag + ) prepared in Experimental Example 1 to prepare silver nanoparticles and silver ions (Ag + ) (Ag + ) and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the silver nanoparticles were detected by the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Experimental Examples 2 and 3 (d ) Refere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방해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선택적으로, 정량적으로 및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고, 생체 세포 내로 침투가 용이하여 생체 세포 내에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와의 결합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통해 검출이 가능한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Under, dipeptide derivatives represented by formula (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which may act as interfering substances as described above also has ion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can be detected selectively, quantitatively and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and penetration into the living cells is facilitated, so that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It can be useful as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due to binding of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 실시예Example 1> (S)-N-((S)-1-아미노-3-(1H- 1> (S) -N - ((S) -1-Amino-3- (1H- 이미다졸Imidazole -4-일)-1-Yl) -1- 옥소프로판Oxopropane -2-일)-2-(3,5a-디Yl) -2- (3,5-di Hi 드로피렌-1-Droopyrene-1- 술폰아미도Sulfonamido )-3-(1H-인돌-3-일)) -3- (lH-indol-3-yl) 프로판아마이드의Propanamide 제조 Produce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1

단계 1: 화학식 9의 화합물 제조Step 1: Preparation of the compound of formula (9)

링크 아마이드 메틸벤조히드릴아민(MBHA) 수지 (200 mg, 0.1 mmol)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용해시킨 다음, 약 30 분간 미리 팽윤시켰다. 팽윤된 상기 수지에 20% 피페리딘/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혼합용액(3 ml)을 첨가하여 15 분간 활성화시켜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 용매 안에 화학식 3의 Fmoc-L-히스티딘(Trt)-OH (185.9 mg, 0.3 m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47 μl, 0.1 mmol) 및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40 mg, 0.3 mmol)을 첨가하고, 미리 15 분간 활성화시킨 상기 용액과 약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져(kaiser)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카이져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시킨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오면 반응을 멈춰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9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Link amide methylbenzohydriramine (MBHA) resin (200 mg, 0.1 mmol) was dissolved in dimethylformamide (3 ml) and then pre-swelled for about 30 minutes. A 20% piperidine / dimethylformamide mixed solution (3 ml) was added to the swollen resin, and the mixture was activated for 15 minutes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Then, a solution of Fmoc-L-histidine (Trt) -OH (185.9 mg, 0.3 mmol), diisopropylcarbodiimide (DIC, 47 μl, 0.1 mmol) Roxybenzotriazole (HOBt, 40 mg, 0.3 mmol) was added and reacted for about 4 hours with the solution previously activated for 15 minutes. After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and then a kaiser test was conducted. When the Kaiser test was positive, the above-mentioned activated solution was added again, and when it was negative, the reaction was stopped to prepare the desired compound of formula (9).

단계 2: 화학식 10의 화합물 제조Step 2: Preparation of compound of formula 10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학식 9의 화합물에 20% 피페리딘/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혼합용액(3 ml) 첨가하여 15 분간 활성화시켜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 용매 안에 화학식 5의 Fmoc-L-트립토판(Boc)-OH(185.9 mg, 0.3 m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47 μl, 0.1 mmol) 및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40 mg, 0.3 mmol)을 첨가하고, 미리 15 분간 활성화시킨 상기 용액과 약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져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카이져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시킨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오면 반응을 멈춰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20% piperidine / dimethylformamide mixed solution (3 ml) was added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9 obtained in the step 1, and the mixture was activated for 15 minutes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Then, Fmoc-L-tryptophan (Boc) -OH (185.9 mg, 0.3 mmol), diisopropylcarbodiimide (DIC, 47 [mu] l, 0.1 mmol) and hydrolyzate of formula 5 in dimethylformamide (3 ml) Roxybenzotriazole (HOBt, 40 mg, 0.3 mmol) was added and reacted for about 4 hours with the solution previously activated for 15 minutes. After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and then a Kaiser test was carried out. When the Kaiser test was positive, the activated solution was added again, and when it was negative, the reaction was stopped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0).

단계 3: 화학식 11의 화합물 제조Step 3: Preparation of compound of formula 11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학식 10의 화합물에 20% 피페리딘/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혼합용액을 3 ml 첨가하여 15 분간 반응시켜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 용매 안에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81 mg, 0.3 mmol)와 트리에틸아민(47 μl, 0.6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약 3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0) obtained in the step 2, 3 ml of a mixed solution of 20% piperidine / dimethylformamide was added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5 minutes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Then, pyrenesulfonyl chloride (81 mg, 0.3 mmol) and triethylamine (47 μl, 0.6 mmol) were added to a dimethylformamide (3 ml) solvent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3 hours.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to prepare the desired compound (11).

단계 4: (S)-N-((S)-1-아미노-3-(1H-Step 4: (S) -N- (S) -l-Amino-3- (lH- 이미다졸Imidazole -4-일)-1-Yl) -1- 옥소프로판Oxopropane -2-일)-2-(3,5a-디Yl) -2- (3,5-di 히드Heide 로피렌-1-Lt; / RTI &gt; 술폰아미도Sulfonamido )-3-(1H-인돌-3-일)) -3- (lH-indol-3-yl) 프로판아마이드의Propanamide 제조 Produce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화학식 11의 화합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85 ml)과 증류수(0.15 ml)의 혼합용액 안에서 상온에서 약 2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수지로부터 목적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여과된 분리 용액은 질소 기체를 통과시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제거하고, 역상 HPLC (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30 cm)(용리액: 0.1% TFA 포함된 증류수/아세토니트릴(1:1, v/v), 구배: 유속 3.0 mL/분)를 이용하여 정제하고, 목적 화합물(수율 78%)을 백색의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정제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분자량은 ESI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he compound of Formula 11 obtained in Step 3 was reacted in a mixed solution of trifluoroacetic acid (2.85 ml) and distilled water (0.15 ml)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2 hours. After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to remove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and the desired compound was isolated from the resin. The filtered separated solution was passed through a nitrogen gas to remove trifluoroacetic acid and purified by reversed phase HPLC (C-18 column delta pak C18-300A, 1.9 x 30 cm) (eluent: distilled water containing 0.1% TFA / acetonitrile : 1, v / v), gradient: 3.0 mL / min) to give the title compound (yield 78%) as a white soli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dipeptide derivative was confirmed using an ESI mass spectrometer.

mp 167-168 ℃; mp 167-168 [deg.] C;

1H NMR(400MHz, DMSO6):δ 10.28(s, 1H), 8.96(s, 1H), 8.71(d, J=8.4 Hz, 1H), 8.50(d, J=8.4 Hz, 1H), 8.45-8.40(m, 3H), 8.31(d, J=7.8 Hz, 1H), 8.27(d, J=8.0 Hz, 1H), 8.21-8.13(m, 3H), 8.04(d, J=7.8 Hz, 1H), 7.30(s, 1H), 7.21(brs, 1H), 7.13(brs, 1H), 6.85(d, J=1.5 Hz, 1H), 6.64(d, J=7.8 Hz, 1H), 6.55(d, J=7.8 Hz, 1H), 6.50(t, J=7.6 Hz, 1H), 6.32(t, J=7.6 Hz, 1H), 4.44-4.41(m, 1H), 3.99-3.96(m, 1H), 3.02(dd, J=8.0,2.0 Hz, 1H), 2.83(dd, J=8.0,2.0 Hz, 1H), 2.80(dd, J=8.5,2.6 Hz, 1H), 2.61(dd, J=8.0,1.8 Hz, 1H) ppm; 1 H NMR (400MHz, DMSO 6 ): δ 10.28 (s, 1H), 8.96 (s, 1H), 8.71 (d, J = 8.4 Hz, 1H), 8.50 (d, J = 8.4 Hz, 1H), 8.45 -8.40 (m, 3H), 8.31 (d, J = 7.8 Hz, 1H), 8.27 (d, J = 8.0 Hz, 1H), 8.21-8.13 (m, 3H), 8.04 (d, J = 7.8 Hz, 1H), 7.30 (s, 1H ), 7.21 (brs, 1H), 7.13 (brs, 1H), 6.85 (d, J = 1.5 Hz, 1H), 6.64 (d, J = 7.8 Hz, 1H), 6.55 ( d, J = 7.8 Hz, 1H ), 6.50 (t,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3.99-3.96 (m, 1H ), 3.02 (dd, J = 8.0,2.0 Hz, 1H), 2.83 (dd, J = 8.0,2.0 Hz, 1H), 2.80 (dd, J = 8.5,2.6 Hz, 1H), 2.61 (dd, J = 8.0, 1.8 Hz, 1H) ppm;

13C NMR(100MHz, DMSO6):δ 171.5, 171.4,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0.4, 108.4, 93.9, 56.6, 51.3, 28.2, 26.7 ppm; 13 C NMR (100MHz, DMSO 6 ): δ 171.5, 171.4,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117.2 , 116.8, 110.4, 108.4, 93.9, 56.6, 51.3, 28.2, 26.7 ppm;

ESI-Mass (m/z):[M+H+]+ C33H28N6O4S: 605.19(계산치), 605.06(측정치).
ESI-Mass (m / z) : [M + H +] + C 33 H 28 N 6 O 4 S: 605.19 ( calcd), 605.06 (measured value).

<< 실시예Example 2>(S)-2-((S)-2-(3,5a- 2> (S) -2 - ((S) -2- (3,5a- 다이하이드로피렌Dihydropyrenes -1--One- 술폰아미도Sulfonamido )-3-(1H-인돌-3-일)) -3- (lH-indol-3-yl) 프로판아미도Propanamido )-3-(1H-) -3- (1H- 이미다졸Imidazole -4-일)Yl) 프로파노익에시드의Propanoic acid 제조 Produce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2

단계 1: 화학식 13의 화합물 제조Step 1: Preparation of the compound of formula (13)

화학식 12의 트리틸(Trityl) 수지(83 mg, 0.1 mmol)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에 용해시킨 다음, 약 30 분간 미리 팽윤시켰다. 팽윤된 상기 수지에 화학식 3의 Fmoc-L-히스티딘(Trt)-OH (185.9 mg, 0.3 mmol)과 수지 대비 2당량의 트라이에틸 아민을 첨가한 1.5 ml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용액을 넣고 약 5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져(kaiser)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카이져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시킨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오면 반응을 멈춰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A trityl resin (83 mg, 0.1 mmol) of formula (12) was dissolved in dimethylformamide (3 ml) and then pre-swelled for about 30 minutes. To the swollen resin, 1.5 ml of dimethylformamide solution containing Fmoc-L-histidine (Trt) -OH (185.9 mg, 0.3 mmol) of formula (3) and two equivalents of triethylamine relative to the resin were added and the mixture was reacted for about 5 hours . After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and then a kaiser test was conducted. When the Kaiser test was positive, the activated solution was added again, and when it was negative, the reaction was stopped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3).

단계 2: 화학식 14의 화합물의 제조Step 2: Preparation of the compound of formula (14)

상기 단계 1에서 수득한 화학식 14의 화합물에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 용매 안에 화학식 5의 Fmoc-L-트립토판(Boc)-OH(185.9 mg, 0.3 mmol), 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DIC, 47 μl, 0.1 mmol) 및 하이드록시 벤조트리아졸(HOBt, 40 mg, 0.3 mmol)을 첨가하여 약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져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카이져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시킨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오면 반응을 멈춰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85.9 mg, 0.3 mmol), diisopropylcarbodiimide (DIC, 0.3 mmol) in the solvent of dimethylformamide (3 ml) was added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4 obtained in the above step 1, 47 μl, 0.1 mmol) and hydroxybenzotriazole (HOBt, 40 mg, 0.3 mmol) were added and reacted for about 4 hours. After the reaction, the reaction solution was filtered,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and then a Kaiser test was carried out. When the Kaiser test was positive, the above-mentioned activated solution was added again, and when it was negative, the reaction was stopped to prepare the desired compound (14).

단계 3: 화학식 15의 화합물 제조Step 3: Preparation of compound of formula (15)

상기 단계 2에서 수득한 화학식 14의 화합물에 20% 피페리딘/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혼합용액을 3 ml 첨가하여 15 분간 반응시켜 아미노기 말단의 Fmoc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그 후, 디메틸포름아마이드(3 ml) 용매 안에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81 mg, 0.3 mmol)와 트리에틸아민(47 μl, 0.6 m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약 3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수지를 디메틸포름아마이드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하여 목적 화합물인 화학식 15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4 obtained in the above step 2, 3 ml of a mixed solution of 20% piperidine / dimethylformamide was added and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15 minutes to remove the Fmoc protecting group at the terminal of the amino group. Then, pyrenesulfonyl chloride (81 mg, 0.3 mmol) and triethylamine (47 μl, 0.6 mmol) were added to a dimethylformamide (3 ml) solvent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3 hours. And the filtered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dimethylformamide and methanol several times to prepare the desired compound (15).

단계 4: (S)-2-((S)-2-(3,5a-Step 4: (S) -2 - ((S) -2- (3,5a- 다이하이드로피렌Dihydropyrenes -1--One- 술폰아미도Sulfonamido )-3-(1H-인돌-3-일)) -3- (lH-indol-3-yl) 프로판아미도Propanamido )-3-(1H-) -3- (1H- 이미다졸Imidazole -4-일)Yl) 프로파노익에시드의Propanoic acid 제조 Produce

상기 단계 3에서 수득한 화학식 15의 화합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85 ml)과 증류수(0.15 ml)의 혼합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약 4 시간 교반하여 레진에서부터 원하는 화합물의 분리하며 동시에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였다. 레진을 필터하고 얻은 용액상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질소 기체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20도로 냉각된 다이에틸에테르를 넣어서 원하는 목적 화합물을 침전시킨 후, 이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체상으로 얻었다. 목적화합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역상 HPLC (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30 cm)(용리액: 0.1% TFA 포함된 증류수/아세토니트릴(1:1, v/v), 구배: 유속 3.0 mL/분)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수율 %)를 백색의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정제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구조는 ESI 질량분석기와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A mixed solution of trifluoroacetic acid (2.85 ml) and distilled water (0.15 ml) was added to the compound of the formula (15) obtained in the step 3,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about 4 hours to separate the desired compound from the resin. Respectively. The resin was filtered off and the trifluoroacetic acid was removed from the obtained solution using nitrogen gas, and diethyl ether cooled to -20 ° C was added to precipitate the desired compound. The product was obtained as a solid by using a centrifuge. (Eluent: distilled water containing 0.1% TFA / acetonitrile (1: 1, v / v), gradient: flow rate (eluent: C18 column, delta pak C18-300A, 1.9 x 30 cm) 3.0 mL / min) to obtain the dipeptide derivative (yield%) as a white solid.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dipeptide derivative was confirmed by ESI mass spectrometry and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0.95 (s,1H), 10.26 (s, 1H), 8.98 (s, 1H), 8.72 (d, J = 8.4 Hz, 1H), 8.51 (d, J = 8.4 Hz, 1H), 8.46-8.40 (m, 3H), 8.33 (d, J = 7.8 Hz, 1H), 8.31 (d, J = 8.0 Hz, 1H), 8.25-8.14 (m, 3H), 8.10 (d, J = 7.8 Hz, 1H), 7.30 (s, 1H), 6.85 (d, J = 1.5 Hz, 1H), 6.64 (d, J = 7.8 Hz, 1H), 6.55 (d, J = 7.8 Hz, 1H), 6.50 (t,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3.99-3.96 (m, 1H), 3.02 (dd, J = 8.0, 2.0 Hz, 1H), 2.83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2 (dd, J = 8.0, 1.8 Hz, 1H); 1 H NMR (400 MHz, DMSO -d 6) δ 10.95 (s, 1H), 10.26 (s, 1H), 8.98 (s, 1H), 8.72 (d, J = 8.4 Hz, 1H), 8.51 (d, J = 8.4 Hz, 1H), 8.46-8.40 (m, 3H), 8.33 (d, J = 7.8 Hz, 1H), 8.31 J = 7.8 Hz, 1H), 6.55 (d, J = 7.8 Hz, 1H), 6.85 (d, J = 1H, J = 7.6 Hz, 1H), 6.50 (t,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3.99-3.96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2 1H);

13C NMR(100MHz, DMSO-d6) δ 171.7, 171.5,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1.5, 108.4, 93.9, 56.6, 51.9, 50.3, 28.3, 26.6; 13 C NMR (100MHz, DMSO- d 6) δ 171.7, 171.5,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1.5, 108.4, 93.9, 56.6, 51.9, 50.3, 28.3, 26.6;

ESI-Mass (m/z): [M + H+]+calcd.for C33H27N5O5S:606.17 (계산치), 606.49(측정치).
ESI-Mass (m / z) : [M + H +] + calcd.for C 33 H 27 N 5 O 5 S: 606.17 ( calcd), 606.49 (measured value).

<< 실시예Example 3> (S)- 3 > (S) - 메틸methyl 2-((S)-3-(1H-인돌-3-일)-2-( 2 - ((S) -3- (lH-indol-3-yl) -2- ( 피렌Pyrene -4--4- 설폰아미도Sulfonamido )) 프로판아미도Propanamido )-3-(1H-) -3- (1H- 이미다졸Imidazole -4-일)Yl) 프로파노에이트의Propanoate 제조 Produce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3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3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합물(25 mg, 0.041 mmol)을 메탄올(5 mL)에 녹인 후, 2 당량의 싸이오닐클로라이드(6 μL, 0.082 mmol)를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 환류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목적화합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역상 HPLC (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30 cm)(용리액: 0.1% TFA 포함된 증류수/아세토니트릴(1:1, v/v), 구배: 유속 3.0 mL/분)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수율 62 %)를 백색의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정제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구조는 ESI 질량분석기와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he compound (25 mg, 0.041 mmol) prepared in Example 2 was dissolved in methanol (5 mL), 2 equivalents of thionyl chloride (6 μL, 0.082 mmol)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nd refluxed for 12 hours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luent: distilled water containing 0.1% TFA / acetonitrile (1: 1, v / v), gradient: flow rate (eluent: C18 column, delta pak C18-300A, 1.9 x 30 cm) 3.0 mL / min) to obtain a dipeptide derivative (yield 62%) as a white solid.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dipeptide derivative was confirmed by ESI mass spectrometry and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0.28 (s, 1H), 8.96 (s, 1H), 8.71 (d, J = 8.4 Hz, 1H), 8.50 (d, J = 8.4 Hz, 1H), 8.46-8.40 (m, 3H), 8.34 (d, J = 7.8 Hz, 1H), 8.30 (d, J = 8.0 Hz, 1H), 8.25-8.13 (m, 3H), 8.10 (d, J = 7.8 Hz, 1H), 7.30 (s, 1H), 6.85 (d, J = 1.5 Hz, 1H), 6.64 (d, J = 7.8 Hz, 1H), 6.55 (d, J = 7.8 Hz, 1H), 6.50 (t,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3.99-3.96 (m, 1H), 3.65 (s, 3H), 3.02 (dd, J = 8.0, 2.0 Hz, 1H), 2.83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1 (dd, J = 8.0, 1.8 Hz, 1H) ppm; 1 H NMR (400 MHz, DMSO -d 6) δ 10.28 (s, 1H), 8.96 (s, 1H), 8.71 (d, J = 8.4 Hz, 1H), 8.50 (d, J = 8.4 Hz, 1H) , 8.46-8.40 (m, 3H), 8.34 (d, J = 7.8 Hz, 1H), 8.30 (d, J = 8.0 Hz, 1H), 8.25-8.13 J = 7.8 Hz, 1 H), 6.55 (d, J = 7.8 Hz, 1H), 6.85 (d, J = 1H,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3.99-3.96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1 1H) ppm;

13C NMR (100 MHz, DMSO-d6) δ 171.7, 171.5,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0.4, 108.4, 93.9, 56.6, 51.9, 51.3, 28.2, 26.7 ppm; 13 C NMR (100 MHz, DMSO -d 6) δ 171.7, 171.5, 135.4,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 123.4, 123.1, 120.1, 117.4 , 117.2, 116.8, 110.4, 108.4, 93.9, 56.6, 51.9, 51.3, 28.2, 26.7 ppm;

ESI-Mass (m/z):[M+H+]+ C34H29N5O5S: 620.19(계산치), 620.45(측정치).
ESI-Mass (m / z) : [M + H +] + C 34 H 29 N 5 O 5 S: 620.19 ( calcd), 620.45 (measured value).

<< 실시예Example 4> (S)-에틸 2-((S)-3-(1H-인돌-3-일)-2-( 4> (S) -Ethyl 2 - ((S) -3- (1H-indol- 피렌Pyrene -4--4- 설폰아미도Sulfonamido )) 프로판Propane 아미도)-3-(1H-Amido) -3- (1H- 이미다졸Imidazole -4-일)Yl) 프로파노에이트의Propanoate 제조 Produce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4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4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합물(26.0 mg, 0.041 mmol)을 에탄올(5 mL)에 녹인 후, 2 당량의 싸이오닐클로라이드(6 μL, 0.082 mmol)를 넣고 12시간 동안 교반 환류하여 목적화합물을 얻었다. 목적화합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하여 역상 HPLC (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30 cm)(용리액: 0.1% TFA 포함된 증류수/아세토니트릴(1:1, v/v), 구배: 유속 3.0 mL/분)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수율 64 %)를 백색의 고체상으로 수득하였다. 정제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구조는 ESI 질량분석기와 NM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The compound (26.0 mg, 0.041 mmol) prepared in Example 2 was dissolved in ethanol (5 mL), 2 equivalents of thionyl chloride (6 μL, 0.082 mmol)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refluxed with stirring for 12 hours to obtain the target compound . (Eluent: distilled water containing 0.1% TFA / acetonitrile (1: 1, v / v), gradient: flow rate (eluent: C18 column, delta pak C18-300A, 1.9 x 30 cm) 3.0 mL / min) to obtain a dipeptide derivative (yield 64%) as a white solid. The structure of the purified dipeptide derivative was confirmed by ESI mass spectrometry and NMR.

1H NMR (400 MHz, DMSO-d6) δ 10.26 (s, 1H), 8.98 (s, 1H), 8.71 (d, J = 8.4 Hz, 1H), 8.52 (d, J = 8.4 Hz, 1H), 8.46-8.39 (m, 3H), 8.34 (d, J = 7.8 Hz, 1H), 8.30 (d, J = 8.0 Hz, 1H), 8.25-8.13 (m, 3H), 8.10 (d, J = 7.8 Hz, 1H), 7.30 (s, 1H), 6.85 (d, J = 1.5 Hz, 1H), 6.64 (d, J = 7.8 Hz, 1H), 6.55 (d, J = 7.8 Hz, 1H), 6.50 (t,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4.41 (m, 2H), 3.99-3.96 (m, 1H), 3.02 (dd, J = 8.0, 2.0 Hz, 1H), 2.83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1 (dd, J = 8.0, 1.8 Hz, 1H); 1.21 (s, 3H) ppm; 1 H NMR (400 MHz, DMSO -d 6) δ 10.26 (s, 1H), 8.98 (s, 1H), 8.71 (d, J = 8.4 Hz, 1H), 8.52 (d, J = 8.4 Hz, 1H) , 8.46-8.39 (m, 3H), 8.34 (d, J = 7.8 Hz, 1 H), 8.30 (d, J = 8.0 Hz, 1 H), 8.25-8.13 J = 7.8 Hz, 1 H), 6.55 (d, J = 7.8 Hz, 1H), 6.85 (d, J = 1H, J = 7.6 Hz, 1H), 6.32 (t, J = 7.6 Hz, 1H), 4.44-4.41 (m, 1H), 4.41 (m, 2H), 3.99-3.96 (Dd, J = 8.0, 2.0 Hz, 1H), 2.79 (dd, J = 8.5, 2.6 Hz, 1H), 2.61 1H); 1.21 (s, 3 H) ppm;

13C NMR (100 MHz, DMSO-d6) d 171.6, 171.1, 135.3,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2,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0.4, 108.4, 93.9, 56.6, 51.9, 51.3, 28.4, 26.5, 14.1 ppm; 13 C NMR (100 MHz, DMSO -d6) d 171.6, 171.1, 135.3, 133.9, 133.6, 131.6, 130.5, 129.6, 129.4, 128.9, 126.9, 126.7, 126.2, 124.1, 124.02, 123.4, 123.1, 120.1, 117.4, 117.2, 116.8, 110.4, 108.4, 93.9, 56.6, 51.9, 51.3, 28.4, 26.5, 14.1 ppm;

ESI-Mass (m/z):[M+H+]+ C35H31N5O5S: 634.20(계산치), 634.42(측정치).
ESI-Mass (m / z) : [M + H +] + C 35 H 31 N 5 O 5 S: 634.20 ( calcd), 634.42 (measured value).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1> 시료에서 금속에 대한 선택성 평가 1> Evaluation of selectivity for metals in samples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 +)에 대한 선택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selectivity of the dipeptide derivatives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of the present invention on silver ions (Ag + ) and mercury ions (Hg 2 + ),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시료 중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 +)에만 선택적으로 형광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Ag+, Al3 +, Ca2 +, Cd2 +, Co3 +, Cr3 +, Cu2 +, K+, Hg2 +, Mg2 +, Mn2 +, Na+, Ni2 +, Zn2+ 및 Pb2 + 이온들이 함께 용해된 시료를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에 존재하는 금속 이온들의 퍼클로레이트 염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10 mM의 기준용액(stock solution)을 먼저 제조하고, 실시예 1 내지 4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기준용액(1.85 mM)도 증류수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기준용액을 시험관에 옮기고, 각 금속 이온의 기준용액의 적당 분취량을 가한 후, 20 mM HEPES 완충용액(pH 7.4)와 증류수로 상기 용액을 2 mL로 희석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용액들에 대하여 방출파장 360 nm 에서 600 nm까지를 지정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in order to examine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selectively fluoresce only the silver ions (Ag + ) and the mercury ions (Hg 2 + ) in the samples, Ag + , Al 3 + , Ca 2 +, Cd 2 + , Co 3 +, Cr 3 +, Cu 2 +, K +, Hg 2 +, Mg 2 +, Mn 2 +, Na +, Ni 2 +, Zn 2+ , and Pb 2 + Ions were dissolved together. A 10 mM stock solution was first prepared by dissolving the perchlorate salt of the metal ions present in the sample in distilled water, and the reference solution (1.85 mM) of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s 1 to 4 was also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 Transfer the reference solutions of the dipeptide derivatives of Examples 1 to 4 to a test tube, add an aliquot of the reference solution of each metal ion, add 2 mL of the solution with 20 mM HEPES buffer (pH 7.4) and distilled water And diluted to prepare a test solution. The fluorescence spectra of the prepared test solutions were measured by specifying emission wavelengths from 360 nm to 600 nm.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다양한 금속이 포함된 시료에 첨가한 후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1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fter adding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ample containing various metal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다양한 금속이 포함된 시료에 첨가한 후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FIG. 2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fter adding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ample containing various metals. FIG.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3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시험에 사용된 다양한 금속 이온들(1 당량) 중 오직 은 이온(Ag+), 구리(I) 이온(Cu+) 및 수은 이온(Hg2 +)과의 결합에 의해 큰 형광세기 변화를 보였다. 이때,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 +)에 대한 피렌 형광체의 모노머(monomer) 형광(390 nm)은 은 이온(Ag+)에 비해 수은 이온(Hg2 +)에 대한 감소 폭이 큰 반면, 엑시머(excimer) 형광(480 nm)은 오프-온(off-on) 형태로 수은 이온(Hg2+)에 비해 은 이온(Ag+)에 대한 증가 폭이 큰 특징을 나타내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peptide derivatives of Examples 1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found to contain only silver ions (Ag + ), copper (I) ions Cu + ) and mercury ions (Hg 2 + ). In this case, the dipeptide derivative ions (Ag +) and mercury ion monomer (monomer) fluorescence (390 nm) of pyrene phosphor is ion mercury than the silver ions (Ag +) to (Hg 2 +) (Hg 2 +) While the excimer fluorescence (480 nm) has an increased off-on morphology with respect to silver (Ag + ) compared to mercury (Hg 2+ )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다른 금속 이온들의 존재하에서도 은 이온(Ag+), 구리 이온(I)(Cu+) 및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detect silver ions (Ag + ), copper ions (I) (Cu + ) and mercury ions (Hg 2 + ) in the presence of other metal ions, ion may also be useful as (Ag +), ionic mercury (Hg + 2), copper ions (I) (Cu +) and sensitive fluorescent chemical sensor that can detect the silver nanoparticles at the same time or Ishikawa.

<<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2> 은 이온( 2> is an ion ( AgAg ++ ), 수은 이온(), Mercury ions ( HgHg 22 ++ ), 구리 이온(I)(), Copper ion (I) ( CuCu ++ ) 및 ) And 은나노Silver nano 입자의  Particle 정량분석능Quantitative analysis capability 평가 evalua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의 정량분석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quantitative analysis ability of silver ion (Ag + ), mercury ion (Hg 2 + ),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of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및 은나노 입자의 기준용액과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기준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두 개의 시험관에 10 mM HEPES 완충용액 (pH 7.4)을 넣고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30 μM)를 각각 첨가한 후, 상기 혼합용액에 존재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에 대하여 0 당량, 0.1 당량, 0.2 당량, 0.3 당량, 0.4 당량, 0.5 당량, 0.6 당량, 0.7 당량, 0.8 당량, 0.9 당량 및 1.0 당량이 되도록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의 기준용액을 각각 첨가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은나노 입자의 경우에는, 상기 시험용액에 산화제인 과산화수소를 첨가하여 은나노 입자와 은 이온(Ag+)이 평형상태가 되도록 만들고, 이렇게 생성된 은 이온(Ag+)과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의 반응을 통해 은나노 입자를 검출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용액들에 대하여 방출파장 360 nm 에서 600 nm까지를 지정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the reference solutions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 and silver nanoparticles identical to those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and reference solutions of the dipeptide derivatives of Examples 1 and 3 were respectively prepared . 10 mM HEPES buffer solution (pH 7.4) was added to each of the two test tubes and the dipeptide derivative (30 μM) of Example 1 and Example 3 was added, respectively. Thereafter, in each of Examples 1 and 3 (Ag + ) and mercury ions (Hg (Hg)) were added so as to be 0 equivalent, 0.1 equivalent, 0.2 equivalents, 0.3 equivalents, 0.4 equivalents, 0.5 equivalents, 0.6 equivalents, 0.7 equivalents, 0.8 equivalents, 0.9 equivalents and 1.0 equivalents to the dipeptide derivative 2+ ), copper ions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ilver nanoparticles, the silver nanoparticles by the addition of the oxidizing agent hydrogen peroxide in the test solution, and is created so that the equilibrium ion (Ag +), thus generating silver ions (Ag +) as in dipeptide of Example 1 Silver nanoparticles were detected by reaction with derivatives. The fluorescence spectra of the prepared test solutions were measured by specifying emission wavelengths from 360 nm to 600 nm.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and FIG.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구리 이온(I)(Cu+)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나노 입자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FIG. 3 (a)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ion (Ag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b)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mercury ion (Hg 2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c)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copper ion (I) (Cu + )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d)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nanoparticl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구리 이온(I)(Cu+) 농도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FIG. 4 (a)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silver ion (Ag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b)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mercury ion (Hg 2 + ) concentration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4 (c)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ipeptide derivative and copper ion (I) (Cu + ) according to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c) 및 도 4(a) 내지 4(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및 구리 이온(I)(Cu+)의 농도 증가에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 비례적으로 380 nm의 형광세기는 감소하며 480 nm의 형광세기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및 구리 이온(I)(Cu+)의 농도 증가 농도 증가에 따라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레이셔메트릭(ratiometric)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g + ), mercury ions (Hg 2 + ), and copper ions (I) (Cu + ) as shown in FIGS. 3 (a) to 3 (c)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380 nm decreased proportionally and the fluorescence intensity at 480 nm was increased proportionally by the reaction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Example 3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the peptide. This is an ion (Ag +), mercury ions (Hg 2 +) and copper ions (I) (Cu +) the dipeptide derivative ray shutter metric (ratiometric) fluorescence intensity vari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increased concentration of .

또한, 도 3(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은나노 입자의 농도 증가에 따라서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의 반응에 의해 비례적으로 378 nm의 형광세기는 감소하며 500 nm의 형광세기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은나노 입자의 농도 증가에 따라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레이셔메트릭(ratiometric)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d), fluorescence intensity at 378 nm decreases proportionally with reaction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and fluorescence intensity at 500 nm increases . This indicate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exhibits a ratiometric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의 농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형광세기가 변화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nsity of fluorescence changes proportionall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using the silver ions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detect the silver nanoparticles, the silver ions (Ag +), mercury ions (Hg 2 + ),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실험예 3>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EXPERIMENTAL EXAMPLE 3 A mixture of a dipeptide derivative and a silver ion (Ag ++ ) 또는 수은 이온(Hg) Or mercury ions (Hg 2+2+ )과의 복합체 동정) Identification of complex with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과의 결합 여부 및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In order to analyze the binding state and the state of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silver ion (Ag + ) or mercury ion (Hg 2 + ),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구체적으로, 시험관에 50% 아세토니트릴/증류수 (1:1, v/v) 중에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농도가 500μM이 되고,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의 농도가 각각 200 μM이 되도록 희석하여 시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용액을 ESI-MS로 분석하여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과의 복합체 형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the concentration of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became 500 μM in 50% acetonitrile / distilled water (1: 1, v / v) in a test tub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ilver ion (Ag + ) and the mercury ion (Hg 2+ ) And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200 [mu] M each to prepare a test solution. The prepared test solution was analyzed by ESI-MS to confirm whether or not a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was in the form of a complex with silver ion (Ag + ) or mercury ion (Hg 2 +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 또는 수은 이온(Hg2 +)과 복합체를 형성한 것을 ESI-MS로 측정한 스펙트럼이다 ((a)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 복합체의 스펙트럼이고, (b)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수은 이온(Hg2+) 복합체의 스펙트럼이다. 여기서, "Pyr-WH"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나타낸다).
FIG. 5 is a spectrum of a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complexing silver ion (Ag + ) or mercury ion (Hg 2 + ) with ESI-MS ((a) and the spectrum of the derivative and a silver ion (Ag +) complex, (b) represents the dipeptide derivative and the ionic mercury (Hg 2+) dipeptide derivatives of the spectra of the complex, where, "Pyr-WH" example 1 ).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ESI-MS 스펙트럼에서 1317.07 m/z 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과 2:1의 복합체를 형성한 형태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5 (a), 1317.07 m / z was observed in the ESI-MS spectrum, indicating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had a 2: 1 complex with the silver ion (Ag + ) .

또한,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ESI-MS 스펙트럼에서 805.14 m/z 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수은 이온(Hg2 +)과 1:1의 복합체를 형성한 형태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b), was a 805.14 m / z observed in the ESI-MS spectrum, which dipeptide derivative is a mercury ion (Hg 2 +) in a 1: measured in the form of forming a composite of 1 Valu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과의 결합성이 우수하여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binding properties to silver ions (Ag + ) and mercury ions (Hg 2+ ) and can form stable complexes. Therefore,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2+ ),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실험예 4> 은 이온(AgExperimental Example 4 Silver ions (Ag ++ ) 및 수은 이온(Hg) And mercury ions (Hg 2+2+ )의 동시 검출성 평가)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detect silver ions (Ag + ) and mercury ions (Hg 2+ ).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및 은나노 입자의 기준용액과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기준용액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험관에 pH 4.5, 5.5, 6.5, 7.5, 8.5, 9.5, 10.5, 11.5의 10 mM HEPES 완충용액을 넣고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30 μM)를 첨가한 후, 은 이온(Ag+)(30 μM)의 기준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용액과 은 이온(Ag+)(30 μM)의 기준용액을 첨가한 시험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마찬가지로, 수은 이온(Hg2+)에 대한 실험을 위해, 수은 이온(Hg2+)(30 μM)의 기준용액을 첨가하지 않은 시험용액과 수은 이온(Hg2+)(30 μM)의 기준용액을 첨가한 시험용액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시험용액들에 대하여 은 이온(Ag+)에 대한 방출파장 490 nm와 수은 이온(Hg2+)에 대한 방출파장 382 nm를 각각 지정하여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the reference solutions of the silver ions (Ag + ), the mercury ions (Hg 2+ ) and the silver nanoparticles and the reference solutions of the dipeptide derivatives of Example 1, which were the same as those used in Experimental Example 1, were prepared. After adding the dipeptide derivative (30 μM) of Example 1 in a 10 mM HEPES buffer solution of pH 4.5, 5.5, 6.5, 7.5, 8.5, 9.5, 10.5 and 11.5 to each tube, silver ions (Ag + (30 μM) and a reference solution of silver ion (Ag + ) (30 μM) were added to the test solution. Similarly, the reference solution of the mercury ion for the experiment for the (Hg 2+), ionic mercury (Hg 2+) (30 μM) solution based on the test solution and mercury ions (Hg 2+) (30 μM) was not added in To prepare test solutions. The fluorescence spectra of the prepared test solutions were determined by designating the emission wavelength for silver ion (Ag + ) at 490 nm and the emission wavelength for mercury ion (Hg 2+ ) at 382 nm, respectively.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pH 4.5 내지 11.5 조건하에서 나타낸 형광 스펙트럼이다.
FIG. 6 is a fluorescence spectrum showing the change in fluorescence intensit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peptide derivative, silver ion (Ag + ), and mercury ion (Hg 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pH 4.5 to 11.5.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7.5를 기준으로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 첨가에 의해 방출파장 490 nm 에서 큰 형광세기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7.5를 기준으로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수은 이온(Hg2 +) 첨가에 의해 방출파장 382 nm 에서 큰 형광세기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 +)에 대하여 각각 다른 파장에서 큰 형광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상이한 형광세기 변화 특성에 의해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의 구분이 가능하여 이들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As shown in FIG. 6 (a),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showed a large increase in fluorescence intensity at an emission wavelength of 490 nm by the addition of silver ions (Ag + ) on the basis of pH 7.5.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b),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showed a large decrease in fluorescence intensity at an emission wavelength of 382 nm by adding mercury ion (Hg 2 + ) based on pH 7.5. This indicate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shows a large fluorescence change at different wavelengths with respect to the silver ion (Ag + ) and the mercury ion (Hg 2 + ), whereby silver ions (Ag + ) and mercury ions (Hg 2+ ) (Ag + ) and mercury (Hg 2+ )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even when they are present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은 이온(Ag+) 및 수은 이온(Hg2 +)과의 결합에 의해 각각 다른 방출파장에서 큰 형광세기 변화를 나타낸다는 점을 이용하여 은 이온(Ag+)과 수은 이온(Hg2+)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
Thus, dipeptide derivati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fact that shows the silver ions (Ag +) and mercury ion large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s in the different emission wavelengths by a combination of the (Hg 2 +) is ion (Ag + ) an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ionic mercury (Hg 2+) at the same time, silver ions (Ag +), ionic mercury (Hg 2+), copper ion (I), (Cu +), and to detect the silver nanoparticles at the same time or Ishihara Which can be useful as a fluorescent sensitive chemical sensor.

<실험예 5> 생체 세포 내 침투 평가<Experimental Example 5> Evaluation of penetration into living cells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생체 세포 내로의 침투력 및 세포 내의 은 이온(Ag+) 검출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In order to evaluate the penetration ability of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living cells and the ability to detect silver ions (Ag + ) in cells,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구체적으로, 생체 세포 내 은 이온(Ag+) 검출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헬라(HeLa)셀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20 mM HEPES 완충용액 (pH 7.4)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30 μ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배양된 헬라셀에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30 μM)를 주입하고, 37 ℃의 인큐베이터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 시켰다. 그 후 155 mM NaNO3를 포함하는 20 mM HEPES 완충용액 (pH 7.4)으로 헬라셀을 세척한 다음, 은 이온(Ag+) (60 μM)을 첨가하였다. 상기 헬라셀 내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주입과 은 이온(Ag+) 첨가에 따른 형광세기 변화를 형광 현미경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Specifically,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a HeLa cell in order to evaluate applicability to the detection of silver ions (Ag + ) in living cells.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was prepared to a concentration of 30 [mu] M using 20 mM HEPES buffer (pH 7.4). The incubated cell was injected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30 [mu] M) and incubated for 15 minutes in an incubator at 37 [deg.] C. The Helas cells were then washed with 20 mM HEPES buffer (pH 7.4) containing 155 mM NaNO 3 and then silver ion (Ag + ) (60 μM) was added. Fluorescence intensities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the addition of silver ions (Ag + ) were observed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and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7.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헬라(HeLa)셀 내로 침투한 것과 헬라(HeLa)셀 내에 침투한 후 은 이온(Ag+)과 복합체를 형성한 것을 형광 현미경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FIG. 7 show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into a HeLa cell and a complex with a silver ion (Ag + ) after penetrating into a HeLa cell, This is an image taken with a laser scanning microscope.

(여기서, (a), (b) 및 (c)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처리하고 은 이온(Ag+)을 처리하지 않은 형광 이미지이고,Wherein (a), (b) and (c) are fluorescence image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not treated with silver ions (Ag + ),

(d), (e) 및 (f)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처리하고 은 이온(Ag+)을 처리한 형광 이미지이며,(d), (e) and (f) are fluorescence images obtained by treating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treating silver ions (Ag + ),

(a) 및 (d)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한 명시야(bright field) 이미지와 형광 이미지이고,(a) and (d) are a bright field image and a fluorescence image using a fluorescence microscope,

(b) 및 (e)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파장 435±48 nm)이며,(b) and (e) are fluorescent images (wavelength 435 ± 48 nm)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 및 (f)는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파장 523±35 nm)이다).
(c) and (f) are fluorescent images (wavelength 523 ± 35 nm) using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도 7(a) 및 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헬라셀 내로 삽입된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약한 청색의 형광을 나타내었다. 이는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헬라셀 내로 잘 침투함을 보여준다. 또한, 도 7(d) 및 7(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주입된 상기 헬라셀에 은 이온(Ag+)을 첨가하자 헬라셀 전체에서 청색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고, 도 7(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광의 발색이 녹색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기 헬라셀 내로 침투된 실시예 1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와 은 이온(Ag+)의 결합체가 형성되어 발색된 청색의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고 발색이 녹색으로 변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s. 7 (a) and 7 (b),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inserted into the helical cell showed weak blue fluorescence. This shows that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penetrates well into the Helacel. 7 (d) and 7 (e), when the silver ions (Ag + ) were added to the helical cells injected with the dipeptide derivatives of Example 1, the intensity of the blue fluorescence increased ,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fluorescence appeared green as shown in Fig. 7 (f). This indicates that a complex of the dipeptide derivative of Example 1 and silver ion (Ag + ) penetrated into the helical cell was formed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blue fluorescence and change the color to gree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생체 세포 내로 침투가 용이하고, 생체 세포 내에서 은 이온(Ag+)과의 결합에 의한 형광세기 변화를 통해 은 이온(Ag+)의 검출이 가능한 점을 이용하여 생체 시료 내 은 이온(Ag+)의 검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로 유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peptid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penetrate into living cells, and silver ions (Ag + ) can be detected through fluorescence intensity change due to binding with silver ions (Ag + ) in living cells it may use the biological sample is used in the detection of ions (Ag +), is ion to (Ag +), ionic mercury (Hg 2+), copper ion (I) (Cu +), and simultaneously the silver nanoparticles or Ishihara And can be useful as a fluorescence-sensitive chemical sensor capable of detecting fluorescence.

Claims (1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R은 수소, NR1R2 또는 OR3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하이드록시, C1 - 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 C1-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비치환 또는 치환된 페닐 또는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6 원자 헤테로아릴이고, 여기서 상기 치환된 페닐은 할로겐, 하이드록시, C1 - 4 의 직쇄 또는 측쇄 알콕시 또는 NR4R5 로 치환될 수 있고, 여기서 R4 및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고;
R3은 수소 또는 C1-10 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A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lt; EMI ID =
[Chemical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5

(In the formula 1,
R is hydrogen, NR 1 R 2 or OR 3, and;
R 1 and R 2 ar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hydrogen, halogen, hydroxy, C 1 - 10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unsubstituted or substituted phenyl or a N, O or S in the C 1-4 of and 5-6 membered heteroaryl containing a heteroatom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herein said substituted phenyl is halogen, hydroxy, C 1 - 4 may be substituted with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oxy or NR 4 R 5 in and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or C 1 to each other - and 5 straight or branched alkyl;
R &lt; 3 &gt; is hydrogen or a linear or branched alkyl of C &lt; 1-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수소, NR1R2 또는 OR3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옥틸, 메톡시, 에톡시, 프로필옥시, 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4-브로모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3-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3-아닐린, 4-아닐린, 4-(N-메틸아미노)페닐, 3-(N,N-디메틸아미노)페닐, 2-피리디닐, 3-피리디닐, 2-퓨로일, 3-퓨로일, 2-티오페닐 또는 3-티오페닐이고;
R3은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또는 옥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 is hydrogen, NR 1 R 2 or OR 3, and;
R 1 and R 2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are hydrogen,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xyl, octyl, methoxy, ethoxy, propyloxy, phenyl, 3- chlorophenyl, Aniline, 4- (N-methylamino) phenyl, 3- (N, N-dimethylamino) phenyl , 2-pyridinyl, 3-pyridinyl, 2-furoyl, 3-furoyl, 2-thiophenyl or 3-thiophenyl;
R 3 is hydrogen, methyl, ethyl, propyl, butyl, pentyl, hexyl or octy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은 NR1R2 또는 OR3이고;
R1,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 is NR 1 R 2 or OR 3, and;
R 1 , R 2 And R 3 is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hydrogen, methyl or ethy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는,
(S)-N-((S)-1-아미노-3-(1H-이미다졸-4-일)-1-옥소프로판-2-일)-2-(3,5a-다이하이드로피렌-1-술폰아미도)-3-(1H-인돌-3-일)프로판아마이드;
(S)-2-((S)-2-(3,5a-다이하이드로피렌-1-술폰아미도)-3-(1H-인돌-3-일)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익에시드;
(S)-메틸 2-((S)-3-(1H-인돌-3-일)-2-(피렌-4-술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에이트; 및
(S)-에틸 2-((S)-3-(1H-인돌-3-일)-2-(피렌-4-술폰아미도)프로판아미도)-3-(1H-이미다졸-4-일)프로파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1)
(S) -N- (S) -1-amino-3- (1H-imidazol-4-yl) -Sulfonamido) -3- (lH-indol-3-yl) propanamide;
3- (1H-indol-3-yl) propanamido) -3- (1H-indol- Imidazol-4-yl) propanoic acid;
(S) -methyl 2 - ((S) -3- (1H-indol-3-yl) -2- (pyrene- 4- sulfonamido) propanamido) -3- Yl) propanoate; And
(S) -ethyl 2 - ((S) -3- (1H-indol-3-yl) -2- (pyrene- 4- sulfonamido) propanamido) -3- Yl) propanoate, wherein the dipeptide derivativ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6

(상기 반응식 1에서,
R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7
은 고체상으로써, 아마이드가 연결된 메틸벤즈히드릴아민(MBHA) 수지, 왕(Wang)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다).
As shown in Scheme 1 below,
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step 1);
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 (step 2);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 (Step 3); And
(Step 4) of 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 (step 4) Method of preparing di-peptide derivatives:
[Reaction Scheme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6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1,
R is as defined in formula (1) of claim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7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benzhydrylamine (MBHA) resin, Wang resin, polyethylene glycol-polystyrene (PEG-PS) resin, silica nanoparticles,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and chitosan in the solid phase 1 &lt; / RTI &gt;
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 is a protecting group and is di-tert-butyl dicarbonate.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고체상에 지지된 화합물을 화학식 3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4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a의 화합물에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커플링시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화학식 6a의 화합물을 피렌술포닐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화학식 7a의 화합물에서 Trt 및 Boc 보호기를 제거하고, 고체상으로부터 분리하여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단계 4에서 제조된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화학식 8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8

(상기 반응식 2에서,
X는 Br, Cl, 또는 I이고,
R3은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9
은 고체상으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스틸렌(PEG-PS) 수지, 실리카 나노 입자, 티타늄옥사이드 나노 입자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Fmoc은 보호기로써, 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이고,
Trt는 보호기로써, 트리틸(triphenylmethyl chloride)이고,
Boc은 보호기로써,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di-tert-butyl dicarbonate)이고;
화학식 1a 또는 1b는 제1항의 화학식 1의 유도체이다).
As shown in Reaction Scheme 2 below,
Reacting a compound supported on a solid phase represented by formula (2a)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to prepar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a) (step 1);
Coupling the compound of formula (5) to the compound of formula (4a) prepared in step (1)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6a) (step 2);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6a) prepared in step 2 with pyrenesulfonyl chloride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7a) (step 3);
Removing the Trt and Boc protecting groups from the compound of formula (7a) prepared in step 3 and separating from the solid phase to prepare the compound of formula (1a) (step 4); And
(Step 5) of reacting the compound of formula (Ia) prepared in step 4 with a compound of formula (8) to prepare a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formula (1b) (step 5) Way:
[Reaction Scheme 2]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8

(In the above Reaction Scheme 2,
X is Br, Cl, or I,
R &lt; 3 &gt; is as defined in formula (1)
Figure 112013093430614-pat00019
(PEG-PS) resin, a silica nanoparticle, a titanium oxide nanoparticle, and chitosan as a solid phase,
Fmoc is a protecting group, fluorenylmethyloxycarbonyl chloride,
Trt is a protecting group, triphenylmethyl chloride,
Boc is a protecting group, di-tert-butyl dicarbonate;
(1a) or (1b) is a derivative of the formula (1).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할 수 있는 형광 감응 화학센서.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dipeptide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general formula (1)
Is capable of simultaneously or periodically detecting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sensor.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를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을 포함하는 시료에 투입시키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의 시료 내에 존재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의 반응 생성물이 발생시키는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동시 또는 이시에 검출하는 방법.
Claim a dipeptide derivative ion of the formula 1 of claim 1 (Ag +), mercury ions (Hg 2 +), a copper ion (I) (Cu +), and the first detecting at least one targe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nanoparticles (Step 1); And
(Ag + ) comprising a fluorescent signal generated by a reaction product of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present in the sample of step 1 and a dipeptide derivative of the formula (1) (step 2) (Hg 2+ ), copper ion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simultaneously or at the same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방법은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검출대상과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펩타이드 유도체가 선택적으로 감응하여 각각의 형광 신호 차이에 의해 동시에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ec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etection targe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ver ions (Ag + ), mercury ions (Hg 2+ ), copper ions (I) (Cu + ) and silver nanoparticles, Wherein the dipeptide derivative is selectively sensitized and detected simultaneously by the difference of the respective fluorescence signa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수용액상; 또는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및 아세토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기용액을 포함한 수용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ample is an aqueous liquid phase; Or an aqueous solution phase containing at least one organic solu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anol,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nd acetonitri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상수, 하수, 폐수, 강물, 바닷물 또는 생체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ample is a constant, sewage, wastewater, river, seawater, or biological flui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대상 중에서 은나노 입자는 산화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생성된 음이온 입자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n anion particle generated by adding an oxidizing agent to the silver nanoparticles among the objects to be detected is detected.
KR1020130123374A 2012-10-17 2013-10-16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KR1015233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5376 2012-10-17
KR1020120115376 2012-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486A KR20140049486A (en) 2014-04-25
KR101523311B1 true KR101523311B1 (en) 2015-06-01

Family

ID=50655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374A KR101523311B1 (en) 2012-10-17 2013-10-16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3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1B1 (en) 2017-03-15 2018-07-0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ripeptide and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ratiometric detection method of aluminium ion and trivalent metal ion using the same
KR20190071932A (en) * 2017-12-15 2019-06-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eparing carbon quantum dots from broccoli and method for detecting sil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22B1 (en) * 2014-10-15 2016-10-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Chemosensor for nanomolar concentration of heparin in vivo,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etection method of heparin using the same
CN105085404B (en) * 2015-08-06 2017-08-08 华南师范大学 The pyrene compound of histidine methylester modification and its synthetic method and application
CN107991273B (en) * 2017-09-11 2021-03-19 齐齐哈尔大学 Hg based on imidazole derivative fluorescent probe2+And S2-Relay fluorescence detection method
CN111157501B (en) * 2020-01-07 2022-10-14 香港科技大学深圳研究院 Method for quantitatively measuring nano silver and silver ions in cells
CN113999280A (en) * 2021-09-23 2022-02-01 深圳湾实验室坪山生物医药研发转化中心 Dipeptide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nano material and application
CN115583944A (en) * 2022-09-28 2023-01-10 哈尔滨理工大学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benzothiazole derivativ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 N. NEUPANE et al, Talanta, 2011, 85, pp. 1566-1574 *
L. N. NEUPANE et al, Talanta, 2011, 85, pp. 1566-1574*
M. H. YANG et al, Organic Letters, 2011, 13, 19, pp. 5028-5031 *
M. H. YANG et al, Organic Letters, 2011, 13, 19, pp. 5028-5031*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321B1 (en) 2017-03-15 2018-07-0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Tripeptide and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ratiometric detection method of aluminium ion and trivalent metal ion using the same
KR20190071932A (en) * 2017-12-15 2019-06-2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eparing carbon quantum dots from broccoli and method for detecting silver
KR102584605B1 (en) 2017-12-15 2023-10-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of preparing carbon quantum dots from broccoli and method for detecting sil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486A (en)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311B1 (en) Dipeptid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chemosensor having the same and detection method of silver ion, mercury ion, copper(I) ion and silver nano particle using the same
Neupane et al. Highly selectively monitoring heavy and transition metal ions by a fluorescent sensor based on dipeptide
Xu et al. Modulating the selectivity by switching sensing media: a bifunctional chemosensor selectivity for Cd 2+ and Pb 2+ in different aqueous solutions
Neupane et al. Ratiometric red-emission fluorescence detection of Al 3+ in pure aqueous solution and live cells by a fluorescent peptidyl probe using aggregation-induced emission
Wang et al. A colorimetric and fluorescent chemosensor for copper ions in aqueous media and its application in living cells
Kim et al. Ratiometric fluorescence detection of Hg (II) in aqueous solutions at physiological pH and live cells with a chemosensor based on tyrosine
Yang et al. A methionine-based turn-on chemical sensor for selectively monitoring Hg 2+ ions in 100% aqueous solution
Li et al. A “turn-on” fluorescent chemosensor for zinc ion with facile synthesis and application in live cell imaging
Fang et al. An excited-state intramolecular proton transfer (ESIPT)-based aggregation-induced emission active probe and its Cu (II) complex for fluorescence detection of cysteine
WO2013035767A1 (en) Fluorescent probe for use in detection of acidic environment
KR101375564B1 (en) Mercury ion selective, ratiometric fluorescent chemosensor derived from amino aci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etection method of mercury ion using the same
Kundu et al. An amide probe as a selective Al 3+ and Fe 3+ sensor inside the HeLa and a549 cell lines: Pictet–Spengler reaction for the rapid detection of tryptophan amino acid
Jeong et al. TURN-ON fluorescence detection of cyanide using an ensemble system consisting of a dansyl-based cationic probe and dicyanovinyl derivative
Yang et al. A tricarbocyanine near-infrared fluorescent probe for sulfide through a copper displacement mechanism
KR101665046B1 (en) Ratiometric fluorescent chemosensor including boronic acid binding to mercury ion selectively,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etection method of mercury ion using the same
KR101179513B1 (en) Methionine amino acid based chemical sensor for selective detecting mercury 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Nagarajan et al. The first tryptophan based turn-off chemosensor for Fe2+ ion detection
CN110092773B (en) Xanthene derivativ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06188102B (en) A kind of water-soluble dendroid list imide compound fluorescence probe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Wu et al. A rhodamine derivative as a highly sensitive chemosensor for iron (III)
Tang et al. A fluorescein-based fluorescent probe for real-time monitoring hypochlorite
Bhowmick et al. A rhodamine based turn-on chemosensor for Fe 3+ in aqueous medium and interactions of its Fe 3+ complex with HSA
KR101466800B1 (en) Mercury ion selective, ratiometric fluorescent chemosensor derived from aromatic amino aci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etection method of mercury ion using the same
Xu et al. A simple donor–acceptor probe for the detection of Cr 3+ cations
KR101187665B1 (en) Synthesis of amino acid bearing two dansyl fluorophores for monitoring hg2+ in aqueous solution and detection method for hg2+ ions using this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