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007B1 -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007B1
KR101523007B1 KR1020140166392A KR20140166392A KR101523007B1 KR 101523007 B1 KR101523007 B1 KR 101523007B1 KR 1020140166392 A KR1020140166392 A KR 1020140166392A KR 20140166392 A KR20140166392 A KR 20140166392A KR 101523007 B1 KR101523007 B1 KR 10152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sin
extruder
polyethylene
ex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세은피엔피 주식회사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은피엔피 주식회사,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은피엔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3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15Cooling of hollow articles
    • B29C48/912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 B29C48/913Cooling of hollow articles of tubular films ex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성형에 의해 파이프의 생산 방향에서 회전형으로 합성수지가 공급되며 회전 인장기를 통하여 1본에 1회전의 회전 성형으로 수상 구조물로 설치되어 작용하는 압력을 견디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 수지에 UV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유기물 코팅층을 코팅하여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HDPE) 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수지 유입구(11)로 공급하는 수지 분사 압출구(12)에서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설치한 관 성형공간(15)에 공급하여 파이프(20)를 성형하는 압출기 금형(10)과, 상기 압출기 금형(10)에서 압출된 파이프(10)를 냉각장치(60)에서 냉각시켜 절단장치(70)에서 절단하는 파이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입구(11)를 통과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지 분사 압출구(12)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폭이 좁고 긴 형태로 경사지게 관 성형공간(15)에 압출하되;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가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15)에 압출되어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압출기 금형(10)과;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압출되는 파이프(20)가 모터(43)의 동력을 체인(42)과 스프라켓(41)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파이프(20) 1 본당 1회전 정도의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는 회전 인장기(40)와;
상기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파이프(20)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HALS)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장치(50)와;
상기 유기물 코팅층(30)을 코팅한 파이프(20)를 공급하여 냉각장치(60)에서 냉각하여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Pipe for reinforcing of structure on the water from the shock and the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 성형에 의해 파이프의 생산 방향에서 회전형으로 합성수지가 공급되며 회전 인장기를 통하여 1본에 1회전의 회전 성형으로 수상 구조물로 설치되어 작용하는 압력을 견디도록 하고, 상기 파이프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 수지에 UV 안정제로 이루어지는 유기물 코팅층을 코팅하여 햇빛에 노출되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배수관로의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콘크리트 관이나 주철관에 비하여 강도는 낮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경량이어서 취급 및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합성수지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사각형이나 원형의 형상을 갖도록 나선형으로 원료를 공급하면서 원형의 중공관(이중벽관)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합성수지만으로 이루어진 중공관은 하중강도가 약하여 토압이나 윤압에 매우 취약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합성수지만으로 구성되는 합성수지관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사각관이나 원형관을 성형시킨 후 나선형으로 연속해서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합성수지관은 강도가 떨어져 사용이 어려운 관계로 보강을 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두꺼워서 재료의 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관은 지중에 매설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나 지상에 노출되는 형태 또는 수상용으로 가두리 양식장과 수상구조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수상구조물용 파이프는 압출에 의해 성형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의 압출 성형법은 도 1에 도시한 바과 같이 용융되어 유동화된 합성수지 원료를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을 갖는 압출기 금형(10)에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 파이프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토출시키는 성형법이다.
즉, 유동화된 합성수지재가 금형의 내경 압출관(14) 내측으로 인입되어 다수 개의 분사 압출구(12)를 통해 내경 압출관(14)의 외측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여러 가닥의 폴리에틸렌 수지가 내경 압출관와 외경 압출관 사이의 관 성형공간(15)에서 서로 압착됨으로써 금형의 외부로 토출될 때는 파이프(20)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내경 압출관에 형성된 분사구의 단면 형상이 원형이어서 토출되는 합성수지재가 정교하게 압착되지 못하여 성형된 파이프의 측면 강도가 약하였다.
즉, 분사구의 형상이 원형이어서 토출되는 폴리에틸렌 수지도 원형인데 원형의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31)은 도 2와 같이 서로 밀착되더라도 접촉되는 면이 좁고, 서로 미끄러져 압착효과가 좋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종래의 파이프는 내, 외측 측면 방향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취약하여 측면이 잘 터졌다.
또, 측면이 터지는 경우 크랙(32)이 측 방향을 따라 뻗어나가고, 이로 인하여 파손되는 구간이 길어지므로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생산하는 "중공부가 마련된 일체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장치"(한국 실용신안 제0284620호, 출원일 2002. 05 .07)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나선형 방법은 압출성형 방식에 비하여 파이프의 제조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직경이 작은 파이프의 생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한편, 파이프를 내부수지층과 외부수지층으로 구성하고, 내부수지층과 외부수지층 사이에 톱밥과 왕겨를 충진하는 "강도가 보강된 다층구조의 하수관"(한국 실용신안 제0186158호, 출원일 1999. 11. 11)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의 생산방법도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측방향의 보강 효과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0502104호(2005. 07. 08. 등록) 문헌 2. 특허공개번호 제2002-0087182호(2002. 11. 22. 공개)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483141호(2005. 04. 04.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392235호(2003. 07. 09.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압출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수지 분사 압출구를 원주방향에서 경사지게 형성하여 여러 층으로 적층되도록 압출하면서 전체적으로 나선형이 되도록 꼬아지게 압출되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압력에 효과적으로 견디며 크랙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나선형으로 꼬아지게 압출하는 파이프의 외경에 UV 안정제(HALS)로 이루어지는 유기물을 코팅하여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손상이나 크랙이 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HDPE) 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수지 유입구로 공급하는 수지 분사 압출구에서 내경 압출관과 외경 성형관의 사이에 설치한 관 성형공간에 공급하여 파이프를 성형하는 압출기 금형과, 상기 압출기 금형에서 압출된 파이프를 냉각장치에서 냉각시켜 절단장치에서 절단하는 파이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입구를 통과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지 분사 압출구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폭이 좁고 긴 형태로 경사지게 관 성형공간에 압출하되;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가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과 외경 성형관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에 압출되어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이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압출기 금형과;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압출되는 파이프가 모터의 동력을 체인과 스프라켓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파이프 1 본당 1회전 정도의 꼬임이 발생하도록 하는 회전 인장기와;
상기 회전 인장기를 통과한 파이프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HALS)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장치와;
상기 유기물 코팅층을 코팅한 파이프를 공급하여 냉각장치에서 냉각하여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출기의 내부에 설치하는 수지 분사 압출구를 원주방향에서 경사지게 형성하여 여러 층으로 적층되도록 압출하면서 전체적으로 나선형이 되도록 꼬아지게 압출되며, 압출기 전방의 회전 인장치에서 1본에 1회전 정도를 꼬아지도록 압출 성형하여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압력에 효과적으로 견디며 크랙이 형성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나선형으로 꼬아지게 압출하는 파이프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 수지와 혼합하는 UV 광안정제(HALS)는 아민계 광안정제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1.5 중량%로 이루어지는 유기물 코팅층이 25∼7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손상이나 크랙이 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압출기의 내부에 대한 단면 사시도
도 2 는 종래 압출기에서 생산된 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종래 파이프의 크렉 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압출기에 내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압출기에서 생산된 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압출기 내부에서 생산되는 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파이프에 대한 압출상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파이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압출상태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메쉬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11 은 UV 안정제의 사용에 따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압출기에 내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압출기에서 생산된 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압출기 내부에서 생산되는 파이프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압출기에 연결되어 있는 압출기 금형(10)은 용융되어 배출되는 폴리에틸렌(HDPE) 수지가 다수개의 원형으로 형성된 수지 유입구(11)를 통하여 공급된 후 외경의 원주 방향에서 한쪽 방향으로 경사지며 횡 방향의 폭이 종 방향의 높이보다 큰 형태로 형성된 수지분사 압출구(12)의 형상을 따라서 압출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20)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15)에 압출되는 것이다.
상기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은 압출 경사면(13)이 형성되어 폴리에틸렌 수지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파이프에 대한 압출상태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압출기 금형(10)의 전방에 파이프(20)의 외경을 잡아 5∼10미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1 본당 1바퀴의 스크류 형태로 꼬이도록 인장 되는 회전 인장기(40)는 한쪽에서 스프라켓(41)을 체인(42)으로 모터(43)와 연결하였다.
상기 회전 인장기(40)의 전방에는 압출기(52)와 연결된 코팅금형(51)으로 이루어진 코팅장치(50)를 설치하여 파이프(20)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HALS)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UV 광안정제(HALS)는 아민계 광안정제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기물 코팅층(30)이 25∼7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여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손상이나 크랙이 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코팅장치(50)의 전방에는 냉각장치(60)를 설치하여 수냉방법으로 냉각되도록 한 후 절단장치에서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7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인장치(40)와 코팅장치(50)의 사이에 메쉬 코팅장치(90)를 더 설치하여 파이프(20)의 외경에 폴리에틸렌 메쉬(80)를 코팅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파이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압출상태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메쉬에 대한 요부확대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파이프(10)는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후 메쉬 코팅장치(90)를 더 설치하여 폴리에틸렌 메쉬(80)를 코팅한 후 코팅장치(50)에서 유기물 코팅층(30)의 코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는 폴리에틸렌(HDPE) 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수지 유입구(11)로 공급하고, 상기 수지 유입구(11)를 통과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지 분사 압출구(12)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폭이 좁고 긴 형태로 경사지게 압출되어 관 성형공간(15)에 압출하는 것이다.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형상을 따라서 압출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20)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15)에 압출되므로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므로 내, 외경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그 압력은 파이프(20)의 두께 깊은 곳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이프(20)는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압출되고, 동시에 전방의 회전 인장기(40)가 모터(43)의 동력을 체인(42)과 스프라켓(41)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파이프(20) 1 본당 1회전 정도의 꼬임이 발생하도록 생산하므로 내, 외경에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견디어 쉽게 변형되거나 크렉(32)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20)가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후에는 코팅장치(50)에 공급되어 외경의 전체면에서 유기물 코팅층(30)을 코팅하는 것으로,
압출기(52)에서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HALS)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UV 광안정제(HALS)는 아민계 광안정제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기물 코팅층(30)이 25∼7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는 것이다.
상기 UV 안정제는 광안정제의 함량이 0.2중량% 이하로 이루어 지는 경우 조기 산화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 중량%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격상승 및 표면이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0.8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유기물 코팅층(30)에 의한 UV 광안정제(HALS)는 도 11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이 햇빛에 장기간 노출되더라도 손상이나 크랙이 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파이프(20)는 메쉬 코팅장치(90)에서 파이프(20)의 외경에 폴리에틸렌 메쉬(80)를 코팅한 후 코팅장치(50)에 공급하여 폴리에텔렌 수지 가닥(21)과 폴리에틸렌 메쉬(80) 및 유기물 코팅층(30)의 3층 구조로 이루어져 더욱 안정되고 견고한 파이프(20)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메쉬(80)는 50∼10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며, 미리 성형하여 나선형으로 공급하거나, 파이프(20)의 외경에 직접 압출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코팅장치(50)의 전방에는 냉각장치(60)를 설치하여 수냉방법으로 냉각되도록 한 후 절단장치에서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7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가. 수지 용융 공급단계
폴리에틸렌(HDPE) 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수지 유입구(11)로 공급하는 수지 용융 공급단계(S1); 를 수행하는 것이다.
나. 수지 경사 압출단계
상기 수지 유입구(11)를 통과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지 분사 압출구(12)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폭이 좁고 긴 형태로 경사지게 압출되어 관 성형공간(15)에 압출하되;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형상을 따라서 압출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20)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15)에 압출되어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되는 수지 경사 압출단계(S2);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 파이프 회전 압출단계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압출되는 파이프(20)는 동시에 전방의 회전 인장기(40)가 모터(43)의 동력을 체인(42)과 스프라켓(41)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파이프(20) 1 본당 1바퀴의 스크류 형태로 꼬이도록 인장 되는 파이프 회전 압출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다.
라. 라. 폴리에틸렌 메쉬 코팅단계
상기 파이프(20)가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하면 외경에 폴리에틸렌 메쉬(80)가 50∼10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는 폴리에틸렌 메쉬 코팅단계(S7)를 더 수행하는 것이다.
마. 파이프 코팅단계
상기 파이프(20)가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후에는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HALS)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UV 광안정제(HALS)는 아민계 광안정제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기물 코팅층(30)이 25∼7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는 파이프 코팅단계(S4);를 수행하는 것이다.
바. 파이프 냉각단계
상기 유기물 코팅층(20)을 코팅한 파이프(20)를 공급하여 냉각장치(60)에서 수냉방법으로 냉각되도록 하는 파이프 냉각단계(S5);를 수행하는 것이다.
사. 파이프 절단단계
냉각한 파이프(20)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파이프 절단단계(S6);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표를 설치하는 가두리 양식장에 사용하거나, 수상구조물로 사용되어 수상에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햇빛이 직접 작용하더라도 부식이나 전식이 발생하지 않고, 산, 염, 알칼리에 침해되지 않는 것으로 장기간 강도를 유지하며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압출기 금형 11 : 수지 유입구
12 : 수지 분사 압출구 13 : 압출 경사면
14 : 내경 압출관 15 : 관 성형공간
16 : 외경 성형관 20 : 파이프
21 :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 30 : 유기물 코팅층
32 : 크렉 40 : 회전 인장기
41 : 스프라켓 42 : 체인
43 : 모터 50 : 코팅장치
51 : 코팅금형 52 : 압출기
60 : 냉각장치 70 : 절단장치
80 : 폴리에틸렌 메쉬 90 : 메쉬 코팅장치

Claims (3)

  1. 폴리에틸렌 수지를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수지 유입구(11)로 공급하는 수지 분사 압출구(12)에서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설치한 관 성형공간(15)에 공급하여 파이프(20)를 성형하는 압출기 금형(10)과, 상기 압출기 금형(10)에서 압출된 파이프(10)를 냉각장치(60)에서 냉각시켜 절단장치(70)에서 절단하는 파이프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 유입구(11)를 통과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수지 분사 압출구(12)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폭이 좁고 긴 형태로 경사지게 관 성형공간(15)에 압출하되;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가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얇고 폭이 넓은 형태가 되면서 여러 겹으로 적층되는 동시에 한 방향으로 나선형태가 되도록 꼬여 파이프를 이루도록 내경 압출관(14)과 외경 성형관(16)의 사이에 있는 관 성형공간(15)에 압출되어 폴리에틸렌 수지 가닥(21)이 서로 교차되게 다수개의 압출기 금형(10)과;
    상기 수지 분사 압출구(12)의 경사진 형태에 따라서 나선형으로 꼬이면서 압출되는 파이프(20)가 모터(43)의 동력을 체인(42)과 스프라켓(41)으로 저속 회전하면서 파이프(20) 1 본당 1바퀴의 스크류 형태로 꼬이도록 인장 되는 회전 인장기(40)와;
    상기 회전 인장기(40)를 통과한 파이프(20)의 외경에 렌덤폴리에틸렌(RPE)와 UV 광안정제를 혼합하여 유기물 코팅층(30)을 형성하는 코팅장치(50)와;
    상기 유기물 코팅층(30)을 코팅한 파이프(20)를 공급하여 냉각장치(60)에서 냉각하여 5∼10미터의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장치(50)는 렌덤폴리에틸렌(RPE)와 혼합하는 UV 광안정제(HALS)가 아민계 광안정제로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기물 코팅층이 25∼7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인장기(40)와 코팅장치(50)의 사이에서 파이프(20)의 외경에 폴리에틸렌 메쉬(80)가 50∼100㎛의 두께를 갖도록 코팅하는 메쉬 코팅장치(90)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의 제조장치.
KR1020140166392A 2014-11-26 2014-11-26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KR10152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92A KR101523007B1 (ko) 2014-11-26 2014-11-26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392A KR101523007B1 (ko) 2014-11-26 2014-11-26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007B1 true KR101523007B1 (ko) 2015-05-26

Family

ID=5339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92A KR101523007B1 (ko) 2014-11-26 2014-11-26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30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034A (ko) * 1979-11-12 1983-04-29 하롤드 옵스트러 파이프 코팅방법
KR20010005436A (ko) * 1999-06-08 2001-01-15 박운용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흄관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1034A (ko) * 1979-11-12 1983-04-29 하롤드 옵스트러 파이프 코팅방법
KR20010005436A (ko) * 1999-06-08 2001-01-15 박운용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흄관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12377A (zh) 压裂液输送软管及其制造方法及共挤模具
KR101612924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CN110027183A (zh) 一种聚乙烯钢骨架复合稳态管的生产方法
KR101523006B1 (ko)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방법
CN108177356A (zh) 一种聚乙烯增强螺旋缠绕波纹管的生产装置
KR101523007B1 (ko)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와 그 제조장치
KR101516340B1 (ko) 수상 구조물용 충격 보강을 위한 파이프
KR100632782B1 (ko) 겹층 성형공간을 갖는 합성수지 다공관 다이스금형
FI122388B (sv) Ihålig profil som används vid rörtillverkning
KR101532663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901751B1 (ko) 수밀 유지를 위한 중공 차단형 다중벽 하수관
CN202753391U (zh) 双平壁螺旋中空结构壁管的制造装置
CN103195987B (zh) 一种超高环刚度塑钢复合管及其制备方法
US20150176290A1 (en) Reinforced composite decking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CN105082492A (zh) 内螺旋挤出装置和内螺旋消音管生产装置以及生产方法
CN202561278U (zh) 一种有关连续拉织成型的玻璃钢加筋管
KR20150145810A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KR100743217B1 (ko) 강도 향상형 합성수지관
KR20070102975A (ko) 강도가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DE102013111970A1 (de) Verfahren zur Verlegung eines langen Rohrstrangs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02884286U (zh) 一种带增强内肋和增强钢带的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
KR101618778B1 (ko)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327186B1 (ko) 이중벽관을 이용한 전선드럼
CN205447009U (zh) 超高分子量hdpe复合塑料双壁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