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816B1 -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Google Patents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22816B1 KR101522816B1 KR1020140082595A KR20140082595A KR101522816B1 KR 101522816 B1 KR101522816 B1 KR 101522816B1 KR 1020140082595 A KR1020140082595 A KR 1020140082595A KR 20140082595 A KR20140082595 A KR 20140082595A KR 101522816 B1 KR101522816 B1 KR 1015228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sheet
- shape
- stability structure
- directional
- residual str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70 flexi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각각의 안정 상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 은 도 6 에 도시된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에서 한 안정 상태 형상에서 다른 안정 상태 형상으로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10a, 10b: 제1 고분자 시트 20, 20a, 20b: 제2 고분자 시트
15: 압력 채널 18: 호스
30: 중간 시트
Claims (8)
- 일 방향으로 휘어져 안정 상태가 유지되는 제1 형상과,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휘어져 안정 상태가 유지되는 제2 형상을 갖는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에서,
제1 방향으로 잡아 당겨 변형시킴으로써 잔류 응력이 인가된 제1 고분자 시트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잡아 당겨 변형시킴으로써 잔류 응력이 인가된 제2 고분자 시트를 겹쳐 접합함으로써, 상기 제1 형상 및 상기 제2 형상을 갖도록 한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시트에서 잔류 응력이 인가된 제1 방향과, 상기 제2 고분자 시트에서 잔류 응력이 인가된 제2 방향은 서로 수직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시트 또는 상기 제2 고분자 시트에서 인가된 잔류 응력의 크기 또는 방향이 위치에 따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내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충진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안정 상태의 형상에서 다른 안정 상태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압력 채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채널은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단면 중앙에서 제1 또는 제2 고분자 시트 쪽으로 치우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시트 및 상기 제2 고분자 시트는 소재 또는 두께가 각각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4 항에서,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내부에는 공압 또는 유압이 충진되어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를 제1 형상에서 제2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1 압력 채널과, 공압 또는 유압이 충진되어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를 제2 형상에서 제1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2 압력 채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제7 항에서,
상기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의 제1 고분자 시트 및 제2 고분자 시트 사이에는 중간 시트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595A KR101522816B1 (ko) | 2014-07-02 | 2014-07-02 |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595A KR101522816B1 (ko) | 2014-07-02 | 2014-07-02 |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22816B1 true KR101522816B1 (ko) | 2015-05-27 |
Family
ID=5339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595A Active KR101522816B1 (ko) | 2014-07-02 | 2014-07-02 |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2281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1894B1 (ko) * | 2008-09-29 | 2009-12-15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냅-스루를 이용한 마이크로 펌프 |
-
2014
- 2014-07-02 KR KR1020140082595A patent/KR10152281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1894B1 (ko) * | 2008-09-29 | 2009-12-15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냅-스루를 이용한 마이크로 펌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20311B1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bric-elastomer composites as pneumatic actuators | |
TWI727177B (zh) | 具有薄且高模數層之折疊式顯示器中性軸管理 | |
US11966256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16090527A1 (zh) | 柔性屏保护结构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的柔性显示屏 | |
KR101804675B1 (ko) | 소프트 로봇 구동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소프트 로봇 | |
CN105500383A (zh) | 一种具有多种运动形式的软体机器人模块 | |
ATE410716T1 (de) | Positionierung einer kameralinse unter verwendung eines elektroaktiven geräts | |
JP5458288B2 (ja) | 静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202105899A (zh) | 積層型靜電致動器 | |
KR101522816B1 (ko) | 고분자 시트를 이용한 양방향 안정성 구조체 | |
KR102243703B1 (ko) | 메타물질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 | |
EP2053670B1 (en) | An elongated actuator structure | |
US10456929B1 (en) | Negative pressure actuated soft bending actuator | |
CN107002814A (zh) | 无铰链大动程负刚度结构 | |
Li et al. | Asymmetry bistability for a coupled dielectric elastomer minimum energy structure | |
WO2021247538A1 (en) | Living hinge boom | |
Sudhawiyangkul et al. | A multi-DOF soft microactuator integrated with flexible electro-rheological microvalves using an alternating pressure source | |
KR102252689B1 (ko) | 레이어 굽힘 구동기 및 그 구동방법 | |
US1101480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3D soft microstructures | |
Ko et al. | Characterization of bending balloon actuators | |
JP6892073B2 (ja) | アクチュエータ | |
CN105406756B (zh) | 一种压电粗纤维和压电堆的尺蠖式作动器及作动方法 | |
CN118848950B (zh) | 一种具有流体通道且形变可控的柔性形变驱动结构与应用 | |
EP2504274B1 (en) | Mems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 |
WO2020076155A3 (en) | Shear piezoelectric transduc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