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790B1 -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 Google Patents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790B1
KR101522790B1 KR1020130145172A KR20130145172A KR101522790B1 KR 101522790 B1 KR101522790 B1 KR 101522790B1 KR 1020130145172 A KR1020130145172 A KR 1020130145172A KR 20130145172 A KR20130145172 A KR 20130145172A KR 101522790 B1 KR101522790 B1 KR 101522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airflow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치권
김경구
조운용
육정원
이기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식회사 아이디에이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14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공조설비에 사용되는 덕트의 내부로 적절한 양의 풍량이 소음이 저감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부 천장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공조 덕트(100)의 유로(110)에 고정되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되는 흡음재(200)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기류이동통로(210)가 복 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는 복 수개의 마개(300)가 각각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Adjustable Airflow Duct Silencer}
본 발명은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공조설비에 사용되는 덕트의 내부로 적절한 양의 풍량이 소음이 저감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는 방의 용도에 적합한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청정도, 평균유속을 유지하고, 먼지, 유해가스 등을 배제하는 것으로서 공기조절 또는 에어컨디셔닝이라고 하며, 여름에는 냉방, 겨울철에는 난방을 하여 사계절을 통해서 항상 실내를 적당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으로 냉방과 난방을 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이러한 공기조화는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쾌감공기조화와 실내에서 취급하는 물품과 그것을 가공하는 작업에 적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산업공기조화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방의 용도가 다르면 적합한 실내상태도 달라지므로 덥거나 추운 방에는 온도가 낮은 또는 높은 공기를 보내서 실온을 목표 값으로 유지할 수 있고, 습도가 높을 때는 건조한 공기를 먼지나 가스의 농도가 허용 을 넘어섰을 때에는 청정한 공기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공기조화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공기를 여러 가지 상태로 바꿀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기계실에 설치하고 송풍기를 이용하여 덕트를 통해 각 방에 필요한 공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공조설비에 사용되는 공조 덕트는 기체가 통과되는 통로가 사각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일정규격을 가지는 덕트(일자형 덕트 및 L자형 덕트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덕트들을 건물의 벽면의 형태에 맞게 배정한 후 그 배정된 각각의 덕트를 억지끼움으로 연결 고정한다.
이후, 그 연결 고정된 각각의 덕트가 건물 내 벽의 모서리면 부근에 설치하기 위해 지지밴드가 그 연결 고정된 각각의 덕트에 소정간격마다 감싸지고, 그 감싸진 지지밴드에 고정철선의 일측부를 고정연결 시킨 후 고정철선의 일 측부에 형성된 나사홈을 천장 면에 체결함으로써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상기 덕트의 통로는 공기 배출이나 외부 공기의 공급등의 경우에는 단일의 통로를 구성하게 되지만 냉, 난방 또는 공기의 순환 등 하나의 덕트로 복수의 기능이 요구되는 경우 각각의 덕트의 내부공간에는 용도에 따라 독립적인 기능을 하는 2 내지 3개의 복수개의 통로가 구성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획 벽이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송풍기에 의해 덕트의 통로로 유입되는 기류가 바깥쪽으로는 빠른기류가 안쪽으로는 느린기류가 형성되면서 유입되어지는 관계로, 서로 다른 기류의 충돌로 난류가 만들어지게 되고, 상기 난류에 지속적으로 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가 엉키어 와류가 발생되면서 불필요한 손실압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8392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4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송풍기에 의해 덕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가 동일한 속도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덕트를 흐르는 기류가 흐름변화에 따른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덕트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의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양을 조정해 가면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는
건물의 내부 천장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공조 덕트(100)의 유로(110)에 고정되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되는 흡음재(200)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기류이동통로(210)가 복 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는 복 수개의 마개(300)가 각각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때, 상기 흡음재(200)는 스티로폼과 같은 다공성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에 복수개 설치되는 흡음재(200)는 기류이동통로(210)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에 의하면 송풍기에 의해 덕트의 통로로 유입되는 기류가 다공성재질의 흡음재에 의해 소음이 흡수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재에 형성된 기류이동통로를 통해 동일한 속도로 원활하게 흐르게 되어, 덕트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에 의하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된 흡음재의 기류이동통로에 마개를 결합시켜 덕트의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나의 덕트로 각 실내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변화시켜 가면서 덕트의 시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기류이동통로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일실시예가 덕트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일실시예가 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기류이동통로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일실시예가 덕트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의 일실시예가 덕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는 도 1과 도 2 및 도 3과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외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110)가 관통되게 형성된 공조 덕트(100)와, 상기 덕트(100)에 형성된 유로(110)에 고정되게 삽입되는 스티로폼과 같은 다공성재질의 흡음재(200)와, 상기 흡음재(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된 기류이동통로(210)와,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마개(3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덕트(100)에 형성된 유로(110)에 스티로폼과 같은 다공성재질의 흡음재(200)를 삽입시키면, 상기 흡음재(200)의 외측면이 유로(110)를 형성하고 있는 덕트(100)의 내측면과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음재(200)에 형성된 기류이동통로(210)는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덕트(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흡음재(200)에 의해 흡음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를 흐르는 공기의 양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류이동통로(210)가 폐쇄되도록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 마개(300)를 결합시켜 주게 되면, 상기 마개(300)가 결합된 기류이동통로(210)로는 덕트(100)의 유로(110)로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작업환경에 알맞게 덕트(100)의 통로(110)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량을 조정한 상태에서 덕트(100)를 건물 내 벽에 고정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개(300)에 의해 개폐되는 기류이동통로(210)가 복수개 관통되어 형성된 흡음재(200)를 도 5와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덕트(100)의 유로(110)에 고정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복 수개 설치하여도 된다.
이때, 상기 흡음재(200)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덕트(100)에 절개 형성된 절개홈(120)을 통해 흡음재(200)가 덕트(10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덕트(100)의 유로(110)를 흐르고 있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흡음재(200)에 의해 순차적으로 흡음이 이루어지면서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에 복 수개 설치되는 흡음재(200)의 기류이동통로(210)가 상호 엇가린 상태로 개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를 흐르고 있는 공기가 흡음재(200)에 더욱 폭넓게 접촉되면서 흡음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한 양의 공기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를 흐르고 있는 공기량은 흡음재(200)에 형성된 기류이동통로(210)의 개폐량에 의해 조절되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 결합되는 마개(300)의 결합유무를 작업환경에 따라 직접 작업자가 결정하여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덕트(100)의 유로(110)로 기류가 유입되면 다공성재질의 흡음재(200)에 의해 소음이 흡수된 상태에서 상기 흡음재(200)에 형성된 기류이동통로(210)를 통해 동일한 속도로 원활하게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덕트(100)에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복수개 관통되게 형성된 흡음재(200)의 기류이동통로(210)에 마개(300)를 결합시켜 덕트(100)의 유로(110)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양을 조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나의 덕트(100)로 각 실내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변화시켜 가면서 덕트(100)의 시공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100 : 덕트
110 : 유로
200 : 흡음재
210 : 기류이동통로
300 : 마개

Claims (3)

  1. 건물의 내부 천장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공조 덕트(100)의 유로(110)에 고정되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삽입되는 흡음재(200)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20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기류이동통로(210)가 복 수개 형성되고, 상기 기류이동통로(210)에는 복 수개의 마개(300)가 각각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의 유로(110)에 복수개 설치되는 흡음재(200)는 기류이동통로(210)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KR1020130145172A 2013-11-27 2013-11-27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KR101522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172A KR101522790B1 (ko) 2013-11-27 2013-11-27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172A KR101522790B1 (ko) 2013-11-27 2013-11-27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790B1 true KR101522790B1 (ko) 2015-05-26

Family

ID=5339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172A KR101522790B1 (ko) 2013-11-27 2013-11-27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4837998A (zh) * 2022-05-23 2022-08-02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双支撑通风机进气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81U (ko) * 2008-11-03 2010-05-12 송병진 소음차단 기능을 갖는 공조용 풍량 조절장치
KR20130030419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용 풍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4881U (ko) * 2008-11-03 2010-05-12 송병진 소음차단 기능을 갖는 공조용 풍량 조절장치
KR20130030419A (ko) * 2011-09-19 2013-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덕트용 풍량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4837998A (zh) * 2022-05-23 2022-08-02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双支撑通风机进气箱
CN114837998B (zh) * 2022-05-23 2023-12-08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双支撑通风机进气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6778A (zh) 一种实现均匀送风的静压箱
WO2016054947A1 (zh) 吸尘器
WO2017166935A1 (zh) 空调室内机
KR950006370A (ko) 청정실 설비
KR101522790B1 (ko) 덕트용 풍량조절형 소음기
KR20180081777A (ko) 에어컨 실내기
DE69915867D1 (de) Klimaanlage
WO2015196588A1 (zh) 一种降噪装置及方法
JP2010107054A (ja) 空気調和機
JP2006125825A (ja) 換気装置
KR20180066710A (ko) 환기 장치
JP6717634B2 (ja) 空調設備及び全館空調システム
KR101433437B1 (ko) 창호용 환기장치
FI85188B (fi) Foerfarande och arrangemang foer att daempa tonen och/eller foer att reglera stroemningen i ett stroemningssystem foer ett gasformigt medelaemne, saosom t.ex. i ett luftbehandlingssystems luftdistributions- och/eller avluftningssystem, samt anvaendning av en modulljuddaempare.
KR101108448B1 (ko) 층고를 낮추기 위한 가변식 급배기 덕트장치
JP6448264B2 (ja) 空調設備用の吹き出し装置及び吸込み装置
CN204139358U (zh) 一种可拆卸式一体隔声房
JPH05264081A (ja) 排気フード
US10462934B2 (en) Penthouse cooling/return air distribution assembly
JP2004116854A (ja) 置換換気型低露点室及び置換換気による低露点室の空調方法
JP2018141603A (ja) ダクト換気装置
US20160305379A1 (en) Combination Exhaust and Supply Duct
CN204402634U (zh) 一种一级二级消音集成的消声器
RU157166U1 (ru) Шумоглушитель крышного вентилятора
SU1322026A1 (ru) Вентил 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меще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