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630B1 - 자연증발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자연증발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630B1
KR101522630B1 KR1020130043685A KR20130043685A KR101522630B1 KR 101522630 B1 KR101522630 B1 KR 101522630B1 KR 1020130043685 A KR1020130043685 A KR 1020130043685A KR 20130043685 A KR20130043685 A KR 20130043685A KR 101522630 B1 KR101522630 B1 KR 10152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water storage
main body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321A (ko
Inventor
소성도
Original Assignee
소성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성도 filed Critical 소성도
Priority to PCT/KR2013/00874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84492A1/ko
Publication of KR2014007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가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형성되며,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는 냉수유도면과, 상기 저수부의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이 형성되는 사면저수부와,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저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 상면에는 증발된 수분이 발산되는 발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로 바람을 불어, 상기 저수부의 수분증발을 촉진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저수부에 가습드럼을 장착해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함과 동시에 낮은 전력 소비로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높은 상대습도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저수부를 65℃로 30분간 저온살균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45℃, 55℃, 65℃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병원균과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며, 상기 저수부 내에서 회전되는 가습드럼을 이용해 저수부 내에 수용 물의 증발이 쉽도록 하고, 물의 공기 중 노출 표면적을 늘려 자연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증발식 가습기{Evaporation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을 위한 물을 저온 살균하는 저수부에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에 송풍팬으로 바람을 가해 증발되는 수분으로 가습하거나, 또한 상기 저수부에 가습드럼의 일부분이 잠기게 장착하고, 상기 가습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송풍팬으로 상기 가습드럼에 바람을 가해 증발되는 수분으로 가습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도가 낮아 매우 건조한 겨울철, 특히 콘크리트 건물에서의 겨울철에는 그 실내가 극히 건조해지며, 상기 실내가 지속적으로 건조해질 경우에는 인체에 큰 해악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요소를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에 습기를 인공적으로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가 사용되는데, 상기 가습기로는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켜 그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가열식 가습기, 그리고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로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초음파식 가습기 등이 있다.
상기 가열식 가습기는 수조 내의 물을 끓임으로써 물속의 세균을 멸균시킬 수있는 장점은 있으나, 증기로서 실내를 가습하기 때문에 가습 량이 극히 적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초음파식 가습기는 실내로 분무되는 가습 량을 임의 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물속의 세균이 살균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로 분무되기 때문에 살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기울려야 했다.
그리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통 내부 및 초음파발진부 주위 부분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세척하기가 어려워 세균이 잘 번식하고, 초음파에 의하여 발생되는 물입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분사되는 물입자는 가습기 주위에 한정되어 떨어져 주위가 물기에 젖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초음파식 가습기는 초음파발진부가 동작시 수조 내의 모든 물을 진동시켜 가습을 수행하기 때문에 초기 가습시간이 길어지는 동시에 전력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재와 초음파 진동부재를 동시에 동작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데에도 물 전체를 가열하여야 하기 때문에 역시 많은 시간 및 전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근래에는 다양한 자연증발식 가습기가 제공되었는데, 그중 하나를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20-0299882호(2002.12.20)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송풍팬이 구비되어 습공기의 강제송풍이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는 도어에 토출그릴이 형성된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을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후면 상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저면에 내장되는 것으로,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양단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도록 대략 철봉형상의 시트프레임이 결합되고 일측면에 마개로 개폐되는 물주입구를 형성한 수통과, 하단은 상기 삽입구를 통하여 상기 수통에 위치하고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시트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수통의 물을 흡수하고, 전면에 다수의 통풍구가 그릴(grill)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의 송풍공기가 통과하면서 습공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해면질로 된 보습시트로 구성된 자연증발식 가습기가 제공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보수성과 흡수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실내공기의 대류현상과 실내의 온도차 및 습도 차에 의한 물의 자연증발현상에 의존하기 때문에 가습공간이 한정적이고 일정공간을 최단 시간 내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습할 수 없으므로 가습효과가 미약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수부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의 하부를 보온부재로 보온 처리하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상기 저수부를 송풍하도록 해 수분증발을 촉진하고, 상기 저수부를 65℃로 30분간 저온살균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45℃, 55℃, 65℃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해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병원균과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며, 상기 저수부 내에서 회전되는 가습드럼을 장착해 저수부 내에 수용 물의 증발이 쉽도록 물의 공기 중 노출 표면적을 늘려 자연증발량을 증가시키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내부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형성되며,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저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 상면에는 증발된 수분이 발산되는 발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로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분증발을 촉진하고 수온조절 역활을 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구성하는데,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는 냉수유도면; 상기 저수부의 주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이 형성되는 사면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되는 물의 통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판막이; 상기 판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블록막이; 및 상기 블록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엠자막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구비되고,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원통형 도는 다각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물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물통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주연을 따라 흡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연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서 대류하는 수분을 외부와 통하는 상측으로 강제 배기하고, 수온조절 역할을 하는 배기관체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구성하는데,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는 냉수유도면; 상기 저수부의 주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이 형성되는 사면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되는 물의 통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판막이; 상기 판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블록막이; 및 상기 블록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엠자막이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저수부의 저면 중심에 구성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을 45℃, 55℃, 65℃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온도로 가열해 저온살균하는 히팅부재와, 상기 저수부 저면에 접합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을 보온하는 보온부재 및 상기 저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본체의 저수부 배후에는 구동기어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물에 잠기는 일부분을 제외한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공기 중으로 증발시키는 가습드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습드럼은 상기 본체에 구성된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의 좌,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할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좌,우측 완충부재와, 상기 좌,우측 완충부재 각각의 외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는 좌,우측 내통부재와,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 각각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포함해 공기 중으로 노출되게 하는 외통부재 및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 각각의 외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저수부에 장착되게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마감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는 숯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의 표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저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이 구비된 측의 대향진 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바람을 발산구로 유도하는 유도편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저수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부로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분 증발을 촉진하는 팬덕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팬덕트의 출구를 상기 저수부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와류의 대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배기관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보호하는 팬보호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상기 배기관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따른 연동 개폐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분증발을 단속하는 증발방지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저수부의 주변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의 하부를 보온부재로 보온 처리하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송풍팬으로 상기 저수부를 송풍하도록 해 물의 자연증발을 촉진함과 동시에 낮은 전력 소비로 비교적 빠른 시간 안에 높은 상대습도를 이루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저수부를 65℃로 30분간 저온살균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45℃, 55℃, 65℃로 수온을 유지하도록 해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에 포함된 병원균과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저수부 내에서 회전되는 가습드럼을 이용해 저수부 내에 수용 물의 증발이 쉽도록 하고, 물의 공기 중 노출 표면적을 늘려 자연증발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른 형태의 저수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물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분해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A-A'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B-B'단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습드럼의 분해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구성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에 따른 배기관체 및 증발방지막의 구동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예에 따른 본체 일측에 팬덕트를 구성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10) 내에 형성된 저수부(11) 주변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사면저수부(11a)가 형성된 저수부(11)에 송풍을 가해 상기 저수부(11)의 물을 공기 중으로 자연증발시켜 가습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10)는 육면체의 형태로 상측 내부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저수부(11)는 그 형태가 하나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1)의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1)의 하부에는 공급된 물 중 냉수가 유도되는 냉수유도면(11b)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의 증발은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물의 표면적의 크기와 비례하기에, 따라서 상기 사면저수부(11a)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도록 해 상기 사면저수부(11a)를 통해 물의 증발을 촉진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을 가진 물이 상기 냉수유도면(11b)을 통해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수유도면(11b)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저온살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히팅부재(13)가 병렬로 구성된다.
상기 저온살균이란 함은 보통 60∼80℃의 물을 24시간마다 30∼60분간 3∼7회 가열하여 살균하는 방법으로 저온간헐살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60℃로 1∼2시간 가열하면 발육형인 것은 사멸하지만 포자(胞子)는 죽지 않으므로 1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포자가 발육형으로 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다시 가열하여 사멸하는데, 보통 61∼63℃로 30분간, 혹은 75℃이상에서 15분간 가열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45℃, 55℃, 65℃ 별로 선택적으로 미온수를 유지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미온수 가열 및 유지를 위한 온도제어는 히팅부재(13)의 선택적인 ON/OFF, 또는 송풍팬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수부(11) 물의 온도를 45℃, 55℃, 65℃로 저온 가열,유지함으로써 분출 증기 온도가 낮아 화상의 위험이 없고,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가습기 주변 공기를 차갑게 하거나, 뜨겁게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13)는 PTC발열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TC발열체는 티탄산바륨계(系)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소자로 니크롬선을 대신하는 비교적 안전한 발열체이다.
그리고 수온은 상기 저수부(11) 일측에 온도센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온을 토대로 상기 히팅부재(13)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부(11) 저면에는 보온부재(14)가 접합되어, 상기 히팅부재(13)에 의해 가열된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보온한다.
상기 보온부재(14)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의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S)를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치(S)는 전원버튼, 수온을 45℃, 55℃, 65℃로 선택할 수 있는 수온선택스위치와, 풍속조절선택스위치와, 저온살균 바이패스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부(11)를 단일로 표현하나, 가습기의 용량 및 미세한 온도제어, 소음 정도에 따라 복수의 저수부(11)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저수부(11)에는 각각 히팅부재(13)가 개별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저수부(11)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11)가 수위를 유지하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가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11)로 유입되는 물의 출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판막이(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물의 출로는 상기 저수부(11) 측이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저수부(11)의 뜨거운 물이 물공급부(20)로 이동이 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판막이(21)의 결합 상태에 따라 물의 출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위치 또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판막이(21)의 후방에는 블록막이(22)가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고, 상기 블록막이(22)의 후방에는 엠자막이(23)가 배치되어, 상기 블록막이(22)와 더불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한다.
상기 본체(10)의 물공급부(20)에는 물통(40)이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물공급부(20)로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데, 상기 물통(40)은 통상의 가습기용 물통과 별 차이가 없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부(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부케이스(60)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부케이스(60)의 일측 상면에는 증발된 수분이 발산되는 발산구(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11)로 바람을 불어, 상기 저수부(11)의 수분증발을 촉진하는 송풍팬(6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62)은 상기 저수부(11)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송풍팬(62)이 구비된 측의 대향진 측 내면에는 유도편(63)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62)에 의해 인입된 바람이 발산구(61)로 유도한다.
더불어 상기 저수부(11)의 일측에는 팬덕트(80)가 더 배치되어, 상기 저수부(11)로 외부의 공기를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11)의 수분 증발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물입자가 미세하여 확산에 의한 방식으로 공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습이 되며, 상대습도가 높아지면 증발량이 어려워지므로, 자동으로 적당한 습도로 조절이 되어,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가 갖는 문제점인 증발되는 물 입자가 크므로, 가습영역이 좁고, 습도조절 장치가 없다면 지나치게 가습 되는 것이 해소되고, 가열식 가습기는 갖는 문제점인 뜨거운 증기를 방출함으로써 분출구에서 뜨거운 증기에 의한 화상의 위험이 있으며, 주변 온도를 덥게 할 뿐만 아니라, 많은 소비전력을 필요로 하는 것을 해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본체(10) 내에 형성된 저수부(11)에 회전하는 가습드럼(50)이 장착되어, 상기 가습드럼(50)이 회전하면서 표면에 적혀진 상기 저수부(11)의 물을 공기 중으로 자연증발시켜 가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육면체의 형태로 상측 내부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저수부(11)에는 가습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드럼(5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성으로 상기 저수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1)의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1)의 하부에는 공급된 물 중 냉수가 유도되는 냉수유도면(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수유도면(11b)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저온살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의 히팅부재(13)가 병렬로 구성된다.
상기 저온살균이란 함은 보통 60∼80℃의 물을 24시간마다 30∼60분간 3∼7회 가열하여 살균하는 방법으로 저온간헐살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60℃로 1∼2시간 가열하면 발육형인 것은 사멸하지만 포자(胞子)는 죽지 않으므로 1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포자가 발육형으로 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다시 가열하여 사멸하는데, 보통 61∼63℃로 30분간, 혹은 75℃이상에서 15분간 가열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45℃, 55℃, 65℃ 별로 선택적으로 수온을 유지하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미온수 가열 및 유지를 위한 온도제어는 히팅부재(13)의 선택적인 ON/OFF, 또는 송풍팬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수부(11) 물의 온도를 45℃, 55℃, 65℃로 저온 가열,유지함으로써 분출 증기 온도가 낮아 화상의 위험이 없고,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가습기 주변 공기를 차갑게 하거나, 뜨겁게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13)는 PTC발열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TC발열체는 티탄산바륨계(系)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소자로 니크롬선을 대신하는 비교적 안전한 발열체이다.
그리고 수온은 상기 저수부(11) 일측에 온도센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온을 토대로 상기 히팅부재(13)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부(11) 저면에는 보온부재(14)가 접합되어, 상기 히팅부재(13)에 의해 가열된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보온한다.
상기 보온부재(14)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의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S)를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치(S)는 전원버튼, 수온을 45℃, 55℃, 65℃로 선택할 수 있는 수온선택스위치와, 풍속조절선택스위치와, 저온살균 바이패스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저수부(11) 배후에는 구동부(30)가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부(30)는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받아 구동하는 전동모터와, 복수개의 구동기어(31)가 서로 조합되어 상기 가습드럼(5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1)의 일부는 상기 가습드럼(5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노출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저수부(11)의 좌,우변에는 장착홈(12)이 형성되어, 상기 가습드럼(50)이 장착되는데, 상기 장착홈(12)은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해 상기 가습드럼(50)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드럼(50)은 상기 구동부(30)의 구동기어(31)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본체(10)의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30)의 구동기어(31)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물에 잠기는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부(11)에 수용된 물을 공기 중으로 증발한다.
이때 상기 가습드럼(50)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구성된 구동부(30)의 구동기어(3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기어(51)가 구성되고, 상기 회전기어(51)가 회전할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좌,우측 완충부재(52)가 상기 회전기어(51)의 좌,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완충부재(52) 각각의 외향면에는 상기 회전기어(51)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는 좌,우측 내통부재(53)가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53) 각각의 외부에는 상기 저수부(11)에 수용된 물을 포함해 공기 중으로 노출되게 하는 외통부재(5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54)는 표면에 미세한 다공이나, 미세 홈이 무수히 형성된 숯(백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54)의 표면에는 돌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53) 각각의 외향면에는 상기 저수부(11)에 장착되게 회전축(56)이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마감부재(55)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56)은 상기 본체(10)의 장착홈(12)에 장착되어 상기 가습드럼(50)이 저수부(11) 내에 위치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가습드럼(5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저수부(11)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11)가 수위를 유지하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가 형성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11)로 유입되는 물의 출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판막이(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물의 출로는 상기 저수부(11) 측이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저수부(11)의 뜨거운 물이 물공급부(20)로 이동이 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판막이(21)의 결합 상태에 따라 물의 출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위치 또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판막이(21)의 후방에는 블록막이(22)가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고, 상기 블록막이(22)의 후방에는 엠자막이(23)가 배치되어, 상기 블록막이(22)와 더불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한다.
상기 본체(10)의 물공급부(20)에는 물통(40)이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의 물공급부(20)로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데, 상기 물통(40)은 통상의 가습기용 물통과 별 차이가 없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부(1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부케이스(60)가 결합되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60)의 일측 상면에는 증발된 수분이 발산되는 발산구(6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11)에 장착된 가습드럼(50)에 바람을 불어, 상기 가습드럼(50)의 수분증발을 촉진하는 송풍팬(6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62)은 상기 가습드럼(5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송풍팬(62)이 구비된 측의 대향진 측 내면에는 유도편(63)이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62)에 의해 인입된 바람이 발산구(61)로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증발식 가습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체(10) 내에 형성된 저수부(11) 주변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사면저수부(11a)가 형성된 저수부(11)에 송풍을 가해 상기 저수부(11)의 물을 공기 중으로 자연증발시켜 가습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의 형상을 원통형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상기 본체는 상부가 개방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저수부(11)의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는 사면저수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부(11)의 하부에는 공급된 물 중 냉수가 유도되는 냉수유도면(11b)이 형성될 수 있다.
물의 증발은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물의 표면적의 크기와 비례하기에, 따라서 상기 사면저수부(11a)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을 유지하도록 해 상기 사면저수부(11a)를 통해 물의 증발을 촉진한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을 가진 물이 상기 냉수유도면(11b)을 통해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수유도면(11b)의 저면에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저온살균하기 위해 하나 이상 복수의 히팅부재(13)가 병렬로 구성된다.
상기 저온살균이란 함은 보통 60∼80℃의 물을 24시간마다 30∼60분간 3∼7회 가열하여 살균하는 방법으로 저온간헐살균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60℃로 1∼2시간 가열하면 발육형인 것은 사멸하지만 포자(胞子)는 죽지 않으므로 1일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포자가 발육형으로 되는 것을 기다렸다가 다시 가열하여 사멸하는데, 보통 61∼63℃로 30분간, 혹은 75℃이상에서 15분간 가열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45℃, 55℃, 65℃ 별로 선택적으로 미온수로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미온수 가열 및 유지를 위한 온도제어는 히팅부재(13)의 선택적인 ON/OFF, 또는 송풍팬의 선택적인 ON/OFF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수부(11) 물의 온도를 45℃, 55℃, 65℃로 저온 가열,유지함으로써 분출 증기 온도가 낮아 화상의 위험이 없고, 방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가습기 주변 공기를 차갑게 하거나, 뜨겁게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히팅부재(13)는 PTC발열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TC발열체는 티탄산바륨계(系) 도자기로 온도가 상승하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커지는 반도체소자로 니크롬선을 대신하는 비교적 안전한 발열체이다.
그리고 수온은 상기 저수부(11) 일측에 온도센서(15)가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수온을 토대로 상기 히팅부재(13)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수부(11) 저면에는 보온부재(14)가 접합되어, 상기 히팅부재(13)에 의해 가열된 상기 저수부(11) 내에 수용된 물을 보온한다.
상기 보온부재(14)로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의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S)를 구비되는데, 상기 스위치(S)는 전원버튼, 수온을 45℃, 55℃, 65℃로 선택할 수 있는 수온선택스위치와, 풍속조절선택스위치와, 저온살균 바이패스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수부(11)를 단일로 표현하나, 가습기의 용량 및 미세한 온도제어, 소음 정도에 따라 복수의 저수부(11)로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저수부(11)에는 각각 히팅부재(13)가 개별로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11)가 수위를 유지하게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0)가 형성되는데,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11)로 유입되는 물의 출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판막이(2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물의 출로는 상기 저수부(11) 측이 상기 물공급부(20)의 출구보다 높게 형성하여, 상기 저수부(11)의 뜨거운 물이 물공급부(20)로 이동이 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판막이(21)의 결합 상태에 따라 물의 출로 크기를 변경할 수 있고, 위치 또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판막이(21)의 후방에는 블록막이(22)가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고, 상기 블록막이(22)의 후방에는 엠자막이(23)가 배치되어, 상기 블록막이(22)와 더불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한다.
상기 물공급부(20)는 물통(40)과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20)로 공급하는 물을 저장하는데, 상기 물통(40) 또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물통(40)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배치되며, 통상의 가습기용 물통과 별 차이가 없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가 개방된 상기 원통형의 본체(10) 상측 내부에는 배기관체(70)가 결합되는데,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측 내주연을 따라 흡기공(74)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측 내주연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배기관체(70)의 내부에는 송풍팬(71)이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71)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저수부(11)의 상부에서 대류하는 수분이 외부와 통하는 상측을 통해 강제 배기된다.
이때 상기 배기관체(70)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71)의 상부에는 메쉬 형태의 팬보호망(72)이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71)을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a와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체(70)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71)의 하부에 증발방지막(73)이 배치되고, 상기 저수부(11)의 수분증발을 단속한다.
상기 증발방지막(73)은 필름형태의 복수의 막이 일측만 고정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으로, 상기 송풍팬(71)이 구동되면, 상승기류에 의해 부상되어, 개방시켜 증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71)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증발방지막(73)들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배기관체(70)가 외부와 통하지 않도록 폐한다.
더불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부(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부(11)로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11)의 수분 증발을 촉진하는 팬덕트(80)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팬덕트(80)의 출구를 상기 저수부(11)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와류의 대기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저수부 12: 장착홈
13: 히팅부재 14: 보온부재 15: 온도센서
20: 물공급부 21: 판막이 22: 블록막이
23: 엠자막이 30: 구동부 31: 구동기어
40: 물통 50: 가습드럼 51: 회전기어
52: 완충부재 53: 내통부재 54: 외통부재
55: 마감부재 56: 회전축 60: 상부케이스
61: 발산구 62, 71: 송풍팬 63: 유도편
70: 배기관체 72: 팬보호망 73: 증발방지막
80: 팬덕트

Claims (13)

  1. 내부 중앙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수부의 일측에는 상기 저수부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형성되며,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의 물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과, 상기 저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 상면에는 증발된 수분이 발산되는 발산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저수부로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분증발을 촉진하고 수온조절 역활을 하는 송풍팬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는 냉수유도면;
    상기 저수부의 주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이 형성되는 사면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되는 물의 통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판막이;
    상기 판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블록막이; 및
    상기 블록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엠자막이를 더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2.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저수부가 일정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가 구비되고, 정면에는 구동을 조작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원통형 도는 다각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된 물공급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물통과,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주연을 따라 흡기공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 내주연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구동하여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서 대류하는 수분을 외부와 통하는 상측으로 강제 배기하고, 수온조절 역할을 하는 배기관체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하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 중 상대적으로 낮은 수온의 물이 집합되는 냉수유도면;
    상기 저수부의 주변에는 상기 저수부 내에 상대적으로 얕은 수심이 형성되는 사면저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의 출구에는 상기 저수부로 유입되는 물의 통로가 하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판막이;
    상기 판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블록막이; 및
    상기 블록막이의 후방에 배치되어, 물의 대류를 통한 열전달을 억제하는 엠자막이를 더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저면 중심에 구성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을 45℃, 55℃, 65℃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온도로 가열해 저온살균하는 복수의 히팅부재;
    상기 저수부 저면에 접합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을 보온하는 보온부재; 및
    상기 저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더 포함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저수부 배후에는 구동기어가 노출되게 구성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본체의 저수부 내에 수용된 물에 일부분이 잠기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물에 잠기는 일부분을 제외한 노출되는 나머지 부분을 통해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공기 중으로 증발시키는 가습드럼이 더 포함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습드럼은
    상기 본체에 구성된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회전기어;
    상기 회전기어의 좌,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할 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는 좌,우측 완충부재;
    상기 좌,우측 완충부재 각각의 외향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되는 좌,우측 내통부재;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 각각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부에 수용된 물을 포함해 공기 중으로 노출되게 하는 외통부재; 및
    상기 좌,우측 내통부재 각각의 외향면에 결합되고, 상기 저수부에 장착되게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 마감부재가 더 포함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는 숯으로 형성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외통부재의 표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저수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이 구비된 측의 대향진 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바람을 발산구로 유도하는 유도편이 더 포함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9. 삭제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부로 송풍하여 상기 저수부의 수분 증발을 촉진하고 수온조절 기능을 하는 팬덕트가 더 포함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팬덕트의 출구를 상기 저수부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와류의 대기류가 형성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을 보호하는 팬보호망이 더 구비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체의 내부에 구비된 송풍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에 따른 연동 개폐되어, 상기 저수부의 수분증발을 단속하는 증발방지막이 더 구비되는 자연증발식 가습기.
KR1020130043685A 2012-11-30 2013-04-19 자연증발식 가습기 KR10152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746 WO2014084492A1 (ko) 2012-11-30 2013-09-30 자연증발식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38368 2012-11-30
KR1020120138368 2012-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321A KR20140070321A (ko) 2014-06-10
KR101522630B1 true KR101522630B1 (ko) 2015-05-26

Family

ID=5112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685A KR101522630B1 (ko) 2012-11-30 2013-04-19 자연증발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08A1 (ko) * 2018-01-23 2019-08-01 김성주 자연증발식 가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5574A (zh) * 2019-07-26 2019-10-18 江西蓝臻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温湿调控装置
CN111197833A (zh) * 2020-03-02 2020-05-26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无雾加湿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59A (ko) * 1993-11-09 1995-06-15 강순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KR20070017789A (ko) * 2005-08-08 2007-02-13 이바도 살균형 가습기
KR20120026943A (ko) * 2010-09-10 2012-03-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59A (ko) * 1993-11-09 1995-06-15 강순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KR20070017789A (ko) * 2005-08-08 2007-02-13 이바도 살균형 가습기
KR20120026943A (ko) * 2010-09-10 2012-03-2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 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08A1 (ko) * 2018-01-23 2019-08-01 김성주 자연증발식 가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321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1405B1 (ko) 육류의 건조숙성장치
KR101522630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KR101102006B1 (ko)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가습용수 제어시스템
CN209105981U (zh) 蛇房
KR101710122B1 (ko) 자연증발식 피톤치드 공급 및 전열구조의 스탠드형 환기장치
KR101346249B1 (ko) 증발식 가습기
KR200451919Y1 (ko) 냉풍 블로워
WO2014084492A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JP3166744U (ja) 温度、湿度調節送風機
KR200477015Y1 (ko)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CN101881482A (zh) 加湿型暖气片
CN211129470U (zh) 一种草地贪夜蛾室内快速培育箱
JP2008215684A (ja) 加湿装置及び加湿空調装置
JP3788215B2 (ja) 気化式加湿機
KR200381151Y1 (ko) 기능성 신발장
CN214525714U (zh) 一种恒湿设备
CN207958804U (zh) 一种杀菌除臭袜子烘干装置
KR10240748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습 온풍기
JP3546837B2 (ja) 加湿器
KR200421681Y1 (ko) 자연 가습기
CN220624532U (zh) 一种冰箱及其低温高湿解冻装置
KR101710123B1 (ko) 강제증발식 피톤치드 공급 및 전열구조의 스탠드형 환기장치
KR101336895B1 (ko) 기화식 가습기
JP2004028499A (ja) 冷蔵庫
CN112455930A (zh) 一种恒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