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558B1 -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558B1
KR101522558B1 KR1020110023175A KR20110023175A KR101522558B1 KR 101522558 B1 KR101522558 B1 KR 101522558B1 KR 1020110023175 A KR1020110023175 A KR 1020110023175A KR 20110023175 A KR20110023175 A KR 20110023175A KR 101522558 B1 KR101522558 B1 KR 101522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terminal
music
video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770A (ko
Inventor
김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닐
Priority to KR102011002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5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경음악을 재생하고, 단말기가 자신의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 또는 배경화면을 변화시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변화를 녹화하여 영상물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물을 상기 배경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단말기의 3 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센서, 버튼 또는 터치화면이 부착된 단말기는, 부착되지 않은 기존의 단말기에서의 뮤직 비디오 제작 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역동적으로 뮤직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스트리밍 서버, 서드파티 서버, 이메일 서버, 메신저 서버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배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METHOD FOR CREATING MUSIC VIDEO CONTENTS AT A SENSOR ATTACHED DEVICE}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기의 3 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일반화되고, 개인용 컴퓨터에 대한 조작이 용이해짐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들에 의한 컨텐츠 제작 및 배포가 일반화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들에게도 확장되고 있다.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들은, 자신이 직접 단말기의 컨텐츠를 제작, 배포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컨텐츠를 제작하기를 원하며, 이에 따른 방법의 고안이 필요해졌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들의 기능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3 차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터치화면이 부착됨에 따라, 상기 센서 또는 터치화면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3 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효과적으로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할 필요 없이, 단말기에 부착된 센서, 또는 버튼, 터치화면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자신이 제작한 뮤직 비디오를, 스트리밍 서버 또는 서드파티 서버로 전송하거나 이메일 또는 메신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뮤직 비디오를 다른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뮤직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릭터 이미지를 변형하여 캐릭터의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동작을 녹화하여 영상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물을 상기 배경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배경화면의 변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이미지 또는 배경화면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찍은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버튼을 클릭, 또는 상기 단말기의 터치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G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캐릭터의 동작 또는 배경화면의 변화를 동작 라이브러리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하여 상기 캐릭터 이미지에 맵핑된 복수의 제어 좌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하나 이상 존재하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상기 캐릭터의 동작이 획득되는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라이브러리 중에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가 편집 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뮤직 비디오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RL 을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로서, 센서, 버튼 또는 터치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 상기 버튼의 클릭 또는 상기 터치화면의 터치입력을 통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캐릭터 이미지를 변형하여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녹화하여 영상물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물을 상기 배경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하여 상기 캐릭터 이미지에 맵핑된 복수의 제어 좌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값 또는 배경화면의 변화를 저장하고 있는 동작 라이브러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에 따라 캐릭터와 배경화면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의 3 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뮤직 비디오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디바이스를 추가할 필요 없이, 단말기에 부착된 센서, 또는 버튼, 터치화면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뮤직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자신이 제작한 뮤직 비디오를 스트리밍 서버 또는 서드파티 서버로 전송하거나 이메일 또는 메신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뮤직 비디오를 다른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배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시스템의 모습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뮤직비디오 생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모든 타입의 공지된 장치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센서"는, 센서가 부착된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센서는 모든 공지된 센서들,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 센서, G 센서 등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센서는,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의 가속도, 가로, 세로 방향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물론, 입체적으로 발생하는 3 차원 움직임, 예를 들어, 단말기의 이동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뮤직 비디오"는, 음악과 함께 어울리는 영상을 추가한, 가능한 모든 형태의 비디오 클립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의 "캐릭터"는, 비디오에서 등장하는 등장 인물로서 사용자가 조정 가능한 대상을 지칭하며, 사진이나 그림 등,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가시화 가능한 모든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캐릭터 이미지는 캐릭터가 다양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한데, 예를 들어 캐릭터 이미지에 복수의 제어 좌표가 맵핑되고, 셋 이상의 제어 좌표를 서로 직선 연결하여 둘러싸지는 각각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어 좌표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분할된 각 영역이 확대, 축소, 변형, 회전, 이동됨으로써 캐릭터 이미지가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 이미지는 2차원 또는 3차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배경화면”은, 비디오에서의 배경으로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으며, 사진이나 그림 등,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가시화 가능한 모든 형태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시스템의 모습이다.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 (200), 네트워크 (100), 스트리밍 서버 (110), 서드파티 서버 (120), 이메일 서버 (130), 메신저 서버 (140) 를 포함한다.
단말기 (200) 는,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도록 구현된 단말기로서, 스트리밍 서버 (110), 서드파티 서버 (120), 이메일 서버 (130), 메신저 서버 (140) 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100) 를 통해, 상기 서버들로 자신의 뮤직 비디오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200) 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한편, 네트워크 (100) 는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통신망을 지칭하며, 이더넷 또는 인터넷 등이 될 수 있고, 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100) 는, 스트리밍 서버 (110), 서드파티 서버 (120), 이메일 서버 (130), 및 메신저 서버 (140) 와 단말기 (200) 와의 통신을 지원하며, 이때의 통신지원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모두 가능하다.
한편, 스트리밍 서버 (110), 서드파티 서버 (120), 이메일 서버 (130), 메신저 서버(140)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스트리밍 서버(110)는, 인터넷에서 음성이나 비디오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지칭하며, 서드파티 서버 (120) 는, 제 3 자가 자신의 목적에 따른 웹 서비스, 예를 들어, 블로그 서비스, 검색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등을 제공하도록 구현된 서버를 지칭하며, 이메일 서버 (130) 는,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된 서버를, 메신저 서버 (140) 는, 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현된 서버를 지칭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200) 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단말기 (200) 는, 음악 재생부 (210), 움직임 감지부 (220), 제어부 (230),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40), 디스플레이부 (250) 및 전송부 (260) 를 포함한다.
음악 재생부 (210) 는,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뮤직 비디오의 배경음악을 재생한다. 단말기의 사용자가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음악 재생부 (210) 는 배경 음악의 재생을 시작하며, 뮤직 비디오 생성을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배경 음악의 재생을 종료한다.
한편, 움직임 감지부 (220) 는 단말기 (200) 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움직임 감지부 (220) 는, 일반적으로 센서, 특히,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 (200) 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물론, 움직임 감지부 (220) 는 상기 센서를 이용한 움직임 감지 이외에도, 단말기에 포함된 버튼의 클릭을 통해 단말기 (200) 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화면이 터치화면인 경우, 사용자가 터치화면을 터치함에 따라 단말기 (200) 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 (220) 는, 단말기 (200) 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더해, 상기 움직임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동작인지를 결정하고, 그 동작을 제어부 (230) 에게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 (230) 는, 단말기 (200) 의 사용자가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음악 재생부 (210) 로 하여금 배경 음악을 재생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 (230) 는, 움직임 감지부 (220) 에서 감지된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40) 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250) 상에 표시된 캐릭터의 동작, 모습, 배경화면 등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230) 는,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전송부 (260) 를 통해, 단말기 (200) 외부의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한편,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40) 는, 하나 이상의 동작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고, 제어부 (230) 를 통해 전달된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부 (230) 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작 라이브러리는,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캐릭터의 동작 외에도 캐릭터가 등장하는 화면의 배경의 변화, 배경 흔들림, 캐릭터와 배경의 상대적인 이동 등의 효과 등도 저장한다. 이와 같은 동작 라이브러리는, 움직임 감지부 (220) 에서 감지 가능한, 모든 가능한 경우의 수의 단말기 움직임에 대한 캐릭터의 기본적인 동작을 저장하는 디폴트 동작 라이브러리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정의한 동작 라이브러리일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동작 라이브러리일 수도 있다. 특히 캐릭터의 동작과 관련하여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캐릭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캐릭터 이미지에 맵핑되는 복수의 제어 좌표에 대한 제어값을 포함한다. 즉, 예를 들어 캐릭터 이미지에 복수의 제어 좌표가 맵핑될 수 있는데,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에서 단말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어 좌표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대한 값을 포함함으로써, 단말기 움직임에 대응하여 각각의 제어 좌표가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에 따라 이동하고, 복수의 제어 좌표를 서로 직선 연결하여 형성되는 평면(예를 들어, 최소 세 개의 제어 좌표를 직선 연결하여 형성되는 삼각형 평면이 될 수 있다)이 각각 제어 좌표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 변형, 회전, 확대, 축소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캐릭터 이미지가 변형됨으로써 캐릭터가 단말기 움직임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캐릭터 이미지를 이동, 변형, 회전, 확대, 축소 시키는 제어값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40) 는 동작 라이브러리 생성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라이브러리 생성부는, 사용자가 동작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존의 동작 라이브러리를 편집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기존의 동작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기존의 캐릭터나 배경화면을,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사진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만약, 동작 라이브러리 생성부가 캐릭터나 배경화면을 사진으로 대체하도록 지원한다면,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 생성부는, 사진에 있는 인물의 포즈나 배경화면의 채도, 색도 등을 분석하여 단말기의 움직임과 일대일 매칭되도록 동작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특정 사진과 단말기의 움직임이 일대일 매칭되도록 동작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게끔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 생성부는 사진에 있는 인물을 캐릭터로 하여 뮤직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진의 인물 이미지에 캐릭터 제어를 위한 제어 좌표를 맵핑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250) 는, 캐릭터 및 배경화면을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캐릭터의 동작이나 배경 화면의 변화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250) 는 녹화부 (미도시) 및 결합부 (미도시) 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화부는, 디스플레이부 (250) 에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비디오로 녹화하고, 결합부는, 녹화된 비디오를 배경음악과 결합한다. 디스플레이부 (250) 는 녹화된 결과물인 뮤직 비디오를 전송부 (260) 로 전달하여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송부 (260) 는, 단말기에서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다른 단말기 또는 서버로 배포한다. 전송부 (260) 는, 뮤직 비디오 컨텐츠를 목표된 단말기로 직접 배포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 (260) 는, 뮤직 비디오 컨텐츠를 스트리밍 서버 (110) 로 전송한 후, 스트리밍 서버 (110) 로부터 수신한 URL 을 목표된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뮤직 비디오 컨텐츠를 배포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뮤직 비디오 생성 흐름도이다. 뮤직 비디오 생성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먼저, 음악 재생부 (210) 에서는, 뮤직 비디오의 배경음악을 재생하기 시작한다 (단계 310). 움직임 감지부 (220) 에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단계 320), 단말기의 움직임을 정의하고,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캐릭터의 동작 및 배경화면의 변화를 동작 라이브러리로부터 획득한다.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변경, 즉, 디스플레이된 캐릭터의 동작, 디스플레이 배경 등을 변경시킨다 (단계 330).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녹화하고, 배경 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 클립을 생성한다 (단계 340). 단계 320 내지 단계 340 의 일련의 단계는 배경 음악의 재생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음악 재생부 (220) 에서 배경 음악의 재생이 종료되었음을 제어부 (230) 로 알리면, 제어부 (230) 는 상기 일련의 단계를 종료하고 생성된 비디오 클립들을 하나로 뮤직 비디오로 저장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뮤직 비디오를 목적된 단말기 또는 서버로 배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뮤직비디오를 생성하는 일 실시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서술한다. 편의상, 상기 실시예에서의 단말기가 인식가능한 움직임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우로 기울이는 움직임 (이하에서는, '움직임 1' 라 함) 과 단말기가 위로 이동하는 움직임 (이하에서는, '움직임 2'라 함), 그리고 단말기의 터치화면 상의 터치 입력 감지 (이하에서는, ‘움직임 3’이라 함) 만이 있음을 가정한다. 또한, 단말기의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40) 에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1, 움직임 2 및 움직임 3 에 대응되는 캐릭터의 동작, 배경 및 효과 등을 저장하고 있는 동작 라이브러리 1 및 동작 라이브러리 2 가 저장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동작 라이브러리 1 의 경우, 움직임 1 에 대해서는, 캐릭터가 오른손을 드는 동작을 하도록 하고, 움직임 2 에 대해서는, 캐릭터가 점프를 하는 동작을 하도록 하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배경에 폭죽이 터지도록 하며, 움직임 3 에 대해서는 배경화면이, 캐릭터를 중심으로 하트가 그려진 배경화면으로 변경된다. 동작 라이브러리 2 의 경우, 움직임 1 에 대해서는, 캐릭터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하도록 하고, 움직임 2 에 대해서는 캐릭터가 양 손을 드는 동작을 하도록 하면서, "ye!" 라는 내용이 기재된 말풍선이 생기도록 하며, 움직임 3 에 대해서는 배경화면의 디폴트 배경화면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단말기의 사용자는, 배경 음악 재생이 시작되면, 음악에 맞춰 단말기를 우로 한번 움직이고, 위로 한번 움직인다. 그리고 단말기의 터치화면을 한번 터치한다. 이러한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해, 단말기는 움직임 감지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움직임 1, 움직임 2 및 움직임 3 순으로 감지하고, 움직임 1 내지 움직임 3 에 따른 캐릭터의 동작 및 배경화면의 변화 등을 동작 라이브러리로부터 획득하여,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이때, 동작 라이브러리 1 또는 동작 라이브러리 2 중 어떤 동작 라이브러리에 따라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할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라이브러리 1 을 디폴트 동작 라이브러리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 의 경우 사용자가 동작 라이브러리 1 을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나타난 모습이고, 도 6 의 경우 사용자가 동작 라이브러리 2 를 선택한 경우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나타난 모습이다.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의 변화를 녹화하고, 배경음악과 함께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 클립을 생성한다. 단말기는 음악의 재생이 끝날 때까지 계속적으로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변화시키며, 그 변화를 녹화하고 배경음악과 결합한다. 이렇게 생성된 뮤직 비디오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다른 가능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또는, 스트리밍 서버나 서드파티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이메일 서버나 메신저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을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단계들을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하였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네트워크 110 : 스트리밍 서버
120 : 서드파티 서버 130 : 이메일 서버
140 : 메신저 서버 200 : 단말기
210 : 음악 재생부 220 : 움직임 감지부
230 : 제어부 240 :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
250 : 디스플레이부 260 : 전송부

Claims (13)

  1. 휴대 단말기에서 뮤직비디오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고,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미리 저장된 캐릭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감지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캐릭터 이미지를 변형하여 캐릭터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캐릭터의 동작을 녹화하여 영상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음악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영상물을 상기 배경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배경화면의 변화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캐릭터 이미지 또는 배경화면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찍은 사진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기의 버튼을 클릭,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터치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센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또는 G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캐릭터의 동작 또는 배경화면의 변화를 동작 라이브러리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하여 상기 캐릭터 이미지에 맵핑된 복수의 제어 좌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값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하나 이상 존재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상기 캐릭터의 동작이 획득되는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작 라이브러리 중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서버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편집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서버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뮤직 비디오를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상기 뮤직 비디오에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URL 을 서버 또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11.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배경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로서, 센서, 버튼 또는 터치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감지부는, 상기 음악 재생부에서 상기 배경음악이 재생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의 감지, 상기 버튼의 클릭 또는 상기 터치화면의 터치입력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움직임 감지부에서 감지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캐릭터 이미지를 변형하여 캐릭터를 동작시키는, 제어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녹화하여 영상물을 생성하는 녹화부;
    상기 배경음악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녹화부에서 생성한 상기 영상물을 상기 배경음악과 결합하여 뮤직 비디오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뮤직 비디오를 상기 휴대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뮤직 비디오 생성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매칭하여 상기 캐릭터 이미지에 맵핑된 복수의 제어 좌표의 상대적인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값 또는 배경화면의 변화를 저장하고 있는 동작 라이브러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동작 라이브러리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동작 라이브러리에 따라 캐릭터와 배경화면을 변화시키는, 뮤직 비디오 생성 휴대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뮤직비디오를 서버 또는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뮤직 비디오 생성 단말기.
KR1020110023175A 2010-07-23 2011-03-16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KR10152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75A KR101522558B1 (ko) 2010-07-23 2011-03-16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1660 2010-07-23
KR1020100071660 2010-07-23
KR1020110023175A KR101522558B1 (ko) 2010-07-23 2011-03-16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26A Division KR101459701B1 (ko) 2010-07-23 2014-01-06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70A KR20120011770A (ko) 2012-02-08
KR101522558B1 true KR101522558B1 (ko) 2015-06-03

Family

ID=4583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175A KR101522558B1 (ko) 2010-07-23 2011-03-16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25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81A (ko) * 2001-09-03 2003-03-08 최동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션감지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81A (ko) * 2001-09-03 2003-03-08 최동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모션감지 게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70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85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interactive workspace
JP5654984B2 (ja) コンピューターおよびメディアプレーヤー上で消費されるコンテンツに複数の段階のコンテキストを提供すること
US9235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interactive workspace
RU2644142C2 (ru) Контекстны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US10187520B2 (en) Terminal device and content displaying method thereof, serv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71579B1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954914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nform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CN104081319B (zh) 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6913634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インタラクティブ方法
RU261988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вмест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данных между различными сетев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JP5654985B2 (ja) コンピューターおよびメディアプレーヤー上で消費されるコンテンツに複数の段階のコンテキストを提供すること
KR101459701B1 (ko)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JP6066602B2 (ja) 処理装置
EP288437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70125618A (ko) 증강현실 플랫폼을 통해 가상 영역에 표시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08305103A (ja) 機器間操作インターフェース、機器制御端末、及びプログラム
WO2014034256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601280B1 (ko) 일반 물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관리 방법
KR101666922B1 (ko)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522558B1 (ko) 센서가 부착된 단말기에서의 뮤직비디오 생성 방법
KR102113503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40089069A (ko) 재생 가능 객체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인터렉션 방법
WO2021044601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拡張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453500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24057650A1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06

Effective date: 2015011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007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106

Effective date: 2015011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