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567B1 -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567B1
KR101521567B1 KR1020140049698A KR20140049698A KR101521567B1 KR 101521567 B1 KR101521567 B1 KR 101521567B1 KR 1020140049698 A KR1020140049698 A KR 1020140049698A KR 20140049698 A KR20140049698 A KR 20140049698A KR 101521567 B1 KR101521567 B1 KR 101521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bolt
injection
bowl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광
Original Assignee
송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광 filed Critical 송태광
Priority to KR102014004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트랩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서 트랩을 가압하여 보올 배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의 수평도에 관계없이 트랩과 보올 배출구의 접합력을 유지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trap of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의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기트랩에 장착되는 사출트랩을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회전으로 승강시키면서 사출트랩의 수용리브가 도기트랩의 배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어 탱크에 저장된 물 및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도기트랩의 보올(Bowl)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사출트랩과 플랜지 및 배수관을 경유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면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보올이 형성된 도기트랩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구성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7292호로 변기용 접속유닛이 공개된 바 있다.
선 공개된 실용신안은, 상기 접속유닛은, 변기 배출구에 탄성 시일재가 장착되어 결합되면서 양측에 고정부가 형성되어 변기와 고정나사못으로 고정되고, 저면의 플랜지 접합부에 플랜지가 결합되어 바닥 배수구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선 공개된 실용신안은, 접속유닛의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능률의 저하로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나사못으로 변기와 고정부가 고정될 때, 고정나사못이 관통되도록 변기에 관통홀을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변기 배출구에 결합된 접속유닛의 저면이 바닥면에 밀착될 때, 수평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접속유닛이 편심되어 변기 배출구에 결합되기 때문에 접합력이 균일하지 못해 물론 심지어는 누수가 발생하여 오동작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세척수가 낭비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회전으로 사출트랩을 승강시키면서 사출트랩의 수용리브가 도기트랩의 배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바닥면의 수평도에 관계없이 사출트랩과 도기트랩의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누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출트랩의 구조 간소화로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에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음으로 작업공정이 단축되어 변기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는,
보올과 상기 보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도기트랩과;
상기 도기트랩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사출트랩과;
상기 사출트랩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 하부에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부에 볼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볼트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된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브라켓에 밀착되면서 사출트랩을 승강시켜 도기트랩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에 체결된 너트의 회전으로 사출트랩을 승강시키면서 사출트랩의 수용리브가 도기트랩의 배출구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바닥면의 수평도에 관계없이 사출트랩과 도기트랩의 접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함은 물론 누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트랩의 구조 간소화로 생산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에 관통홀을 형성하지 않음으로 작업공정이 단축되어 변기의 생산성을 증대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100)는, 보올(111)과 상기 보올(111)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배출구(112)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도기트랩(110)이 구성되고, 상기 도기트랩(110)과 배수관(10)을 연결하는 사출트랩(120)이 구성되며, 상기 사출트랩(120)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볼트(130)가 구성되고, 상기 볼트(130) 하부에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부에 볼트(130)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41)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40)이 구성되며, 상기 볼트(130)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된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브라켓(140)에 밀착되면서 사출트랩(120)을 승강시켜 도기트랩(11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너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출트랩(120)은, 적어도 1단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출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사출몸체(121)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도기트랩(110)의 배출구(112)를 수용하는 수용리브(122)가 구비되며, 상기 사출몸체(121)의 타측단부에 플랜지(20)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리브(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리브(122) 내부에 장착되는 패킹(124)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40)은 변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브라켓(140)은 사출품으로 변기본체 내부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기트랩(110)은 보올(111)과 배출구(112)로 형성되면서 도기재질로 변기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보올(111)에는 림수로(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변기본체 후단에 수조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수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올(111)은 상부가 개구되도록 하단부가 만곡되게 형성되면서 일측에 수직으로 개구되도록 보올(111)과 연통된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기트랩(110)의 배출구(112)에 결합되는 사출트랩(120)은 적어도 1단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사출몸체(121)의 일측단부에는 배출구(112)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리브(122)가 구비되고, 상기 사출몸체(121)의 타측단부에는 플랜지(20)가 결합되는 결합리브(1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사출몸체(121)에 수도 및 수도전과 연결되는 제트수로(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사출트랩(120)의 하단부에는 일정길이의 볼트(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130)에는 너트(15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되는데, 상기 너트(150)는 볼트(150) 단부가 돌출되도록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출트랩(120)의 수용리브(122)를 도기트랩(110)의 배출구(112)에 결합하면, 상기 수용리브(122)에 장착된 패킹(124)이 배출구(112)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사출트랩(120)의 타측단부는 변기본체에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사출트랩(120)의 하단부에 돌출된 볼트(130)에는 지지브라켓(140)의 수용공간(141)이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40)은 변기본체 바닥내면에 안착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40)은 변기본체 바닥내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변기변체 바닥내면에 지지브라켓(140)이 안착되면, 볼트(130)에 체결된 너트(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130)의 하단부로 이동시켜 지지브라켓(140) 상면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지지브라켓(140) 상면에 너트(150)가 밀착된 상태에서도 너트(15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너트(150)의 반대방향 회전에 따라 볼트(130)가 승강함은 물론 볼트(130)가 형성된 사출트랩(120)이 승강하면서 사출트랩(120)의 수용리브(122)가 도기트랩(110)의 배출구(112)에 견고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수용리브(122)에 장착된 패킹(124)이 배출구(112) 외주면을 감싸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사출트랩(120)이 도기트랩(110)에 장착되면, 상기 사출트랩(12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결합리브(123)에 플랜지(20)를 결합한 후, 변기본체를 이동시켜 플랜지(20)가 배수관(10)에 결합되도록 바닥면에 밀착시키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본체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변기본체가 설치되면, 보올(111)에 세척수가 저장됨과 동시에 보올(111)에 저장되는 세척수가 보올(111)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연통된 배출구(112)를 폐쇄시키면서 배수관(10)으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변기본체에 수조가 형성된 경우, 수도전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 후, 저장된 물을 보올(111)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수 있고, 수조가 없는 경우, 후레쉬밸브를 통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보올(111)로 배수시켜 용변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양변기 110: 배출구
120: 트랩 130: 볼트
140: 너트 150: 지지브라켓
160: 플랜지

Claims (5)

  1. 보올과 상기 보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도기트랩과;
    상기 도기트랩과 배수관을 연결하는 사출트랩과;
    상기 사출트랩 하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 하부에 수직선상으로 위치하면서 내부에 볼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볼트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된 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브라켓에 밀착되면서 사출트랩을 승강시켜 도기트랩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트랩은,
    적어도 1단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출몸체와;
    상기 사출몸체의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도기트랩의 배출구를 수용하는 수용리브와;
    상기 사출몸체의 타측단부에 플랜지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리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리브 내부에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변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사출품으로 변기본체 내부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KR1020140049698A 2014-04-25 2014-04-25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KR101521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98A KR101521567B1 (ko) 2014-04-25 2014-04-25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98A KR101521567B1 (ko) 2014-04-25 2014-04-25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567B1 true KR101521567B1 (ko) 2015-05-20

Family

ID=53395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698A KR101521567B1 (ko) 2014-04-25 2014-04-25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80A1 (ko) * 2015-07-14 2017-01-19 동양프론테크(주) 수세식 변기용 변기트랩
KR101971165B1 (ko) 2017-10-25 2019-04-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KR20200136136A (ko) 2019-05-27 2020-12-07 이연곽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97Y2 (ja) * 1988-04-04 1994-05-11 東陶機器株式会社 和風便器の排水管支持構造
JP2005048407A (ja) * 2003-07-31 2005-02-24 Toto Ltd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水洗便器、及び、水洗便器の設置方法
KR101243671B1 (ko) *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KR20140069973A (ko) * 2012-11-30 2014-06-1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보올과 트랩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897Y2 (ja) * 1988-04-04 1994-05-11 東陶機器株式会社 和風便器の排水管支持構造
JP2005048407A (ja) * 2003-07-31 2005-02-24 Toto Ltd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水洗便器、及び、水洗便器の設置方法
KR101243671B1 (ko) * 2011-11-23 2013-03-15 계림요업주식회사 내부 배수트랩의 체결부가 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변기
KR20140069973A (ko) * 2012-11-30 2014-06-10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의 보올과 트랩의 설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80A1 (ko) * 2015-07-14 2017-01-19 동양프론테크(주) 수세식 변기용 변기트랩
KR101971165B1 (ko) 2017-10-25 2019-04-2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KR20200136136A (ko) 2019-05-27 2020-12-07 이연곽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567B1 (ko) 양변기의 트랩 설치구조
KR101202071B1 (ko) 양변기용 배수관 연결구
KR101971165B1 (ko) 양변기 트랩의 설치구조
RU2009114718A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сливного бачка
KR101521568B1 (ko) 양변기용 플랜지
KR101407071B1 (ko) 양변기의 보올과 트랩의 설치구조
CN204940478U (zh) 一种立管预埋件及其装置、结构和系统
CN105386490A (zh) 翻转式洗脸盆
CN201933586U (zh) 一种外接水路冲刷马桶
KR101868413B1 (ko) 양변기의 트랩과 플랜지의 결합구조
CN205653865U (zh) 蹲便器
EP2287410B1 (en) Siphon accessible to plumbing snake via feed opening
CN102071730B (zh) 高水封大水量防臭气地漏
CN206457919U (zh) 一种直立式地漏防臭沉溢水接头
KR101910007B1 (ko) 일체형 좌변기
CN219653971U (zh) 一种外墙保温防积水渗水托架
KR100867432B1 (ko) 자동 물내림장치의 오버플로우어관 고정장치
CN2761710Y (zh) 高水封不锈钢隔臭地漏
CN215330254U (zh) 一种具有侧向排水功能的卫浴洗手盆
CN215330253U (zh) 一种侧向排水的卫浴洗手盆
KR20020086319A (ko) 화변기 고정틀
CN105839751A (zh) 蹲便器
CN213508761U (zh) 一种改进型马桶
CN217974654U (zh) 具有一体式内置水箱的坐便器
CN216640778U (zh) 一种电动下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